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태동고전연구소 소장 고문헌에 관한 소고

        이정효,박선희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5 No.-

        태동 소장 고문헌을 주제별, 판종별 특징과 중요자료 약 8종에 대하여 서지사항과 자료의 가치 등을 살펴보았다. 주제별로 살펴본 결과 경부 62종 444책(8%), 사부 147종 640책(20%), 자부 157종 605책(21%), 집부 374종 1,738책(51%)으로 절반이 집부인 문집류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종별로 살펴보면, 목판본이 236종(32%), 필사본 142종(19%), 석판본 105종(14%), 신연활자본 103종(14%), 영인본 64종(9%), 금속활자본 48종(7%), 목활자본 24종(3%) 등으로 나타났다. 금속활자본은 무신자, 교서관인서체자, 전사자 등 13종류의 활자가 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중요자료 8종은 현존 수량이 적고, 기존의 비공개 자료로 연구 가치가 높아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is a comprehensive review of 3,248 books of 740 species owned by the TAEDONG CENTER FOR EASTERN CLASSICS. According to each topic, the book was divided into 62 books of 444 books (8 percent), 147 books of 640 books (20 percent), 157 books of self-esteem 605 books (21 percent), and 374 books of 1,738 books (51 percent) According to the edition, 236 woodblock prints (32%), 142 manuscripts (19%), 105 stone tablets (14%), 103 new printed capital (14%), 64 metal types (9%), and 24 wood-printed capital (3%). It is estimated that 13 types of metal type were mainly used, including those of no believers, those of the royal library, and those who died in war dead. According to the study of eight important materials indcluding “sohakjibseol”, various types of type and old woodblock prints prior to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can help research on the types and document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e existing amount is very small, making them more valuable. This is Lim Chang-soon's personal library, which also provides insight into his bibliographic views and academic tendencies. Unfortunately, it is true that some of the materials are severely damaged and the preservation environment is poor, making it difficult to avoid further damage in the future. In this regard, it is imperative to provide national policy support for our records and cultural heritage along with the interest of the collection agency. In addition, I hope that the author's low insight will only mention the roughness of the data, reveal that there may be errors in classification and judgment identification, and that it can be corrected and supplemented through further research. It is also hoped that this cleanup project and the ongoing project to build the original text image will lead to active research in related fields of study by the TAEDONG CENTER FOR EASTERN CLASSICS.

      • KCI등재

        홍대용(洪大容)의 춘추화이관(春秋華夷觀) 연구

        이해임(Hae-Im LEE)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4 泰東古典硏究 Vol.52 No.-

        이 논문의 목적은 홍대용의 춘추화이관이 다양성과 평등성을 추구하는 것임을 밝히는 데 있다. 춘추화이관은 통상 중화와 이적을 지역, 종족, 문화로 구별하는 것이다. 『좌전』이 종족을 강조한다면 『공양전』은 문화를 중시한다는 데서 차이가 있다. 조선 성리학자 대부분은 두 노선을 벗어나지 않는다. 연행 이전 홍대용 또한 『좌전』의 춘추화이관을 벗어나지 않는다. 이 점은 『을병연행록』의 기사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는 연행 중에 청대 지식인들과 함께 토론하면서 주자학의 도통 의식, 율곡학파의 정통성, 그리고 중화와 야만의 춘추화이관에 큰 변화를 보인다. 이로부터 홍대용은 학문과 종족의 다양성과 함께 평등성을 인정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 점은 『의산문답』과 함께 연행 이후 낙학계 학자들과 토론하는 데서 여실히 드러난다. 특히 인물균은 인물성동이론의 자장을 넘어서는 학문적 성과일 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자천이시지(自天而視之)라는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사람과 동식물의 다양성과 평등성을 생명의 원리로 풀어낸다. 아울러 홍대용은 공자의 구이 일화로부터 춘추대의의 존왕양이를 『좌전』과 『공양전』의 지역, 종족, 문화 차원이 아니라 각 민족의 역사, 지역, 환경 요소로 해석함으로써 중화와 이적을 구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문명과 야만의 구도 또한 해체한다. 따라서 홍대용은 연행 이전 춘추화이관의 보편성과 위계성을 넘어 다양성과 평등성을 수립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at Hong Dae-yong's the theory of Spring and Autumn' Sinocentrism pursues diversity and equality. The theory of Spring and Autumn' Sinocentrism is usually to distinguish between Civilization and Savage by region, tribe, and culture. If the Zuozhuan(左傳) emphasizes tribe, the Gongyangzhuan(公羊傳) differs only in that it values culture, but most of the Joseon Neo-Confucianism scholars do not deviate from the two lines. Prior to a travel to Beijing, Hong Dae-yong also does not deviate from the theory of Spring and Autumn' Sinocentrism of the Zuozhuan. This point can be found in an article in the Eul-Byeong-Yonhaengrok(乙丙燕行錄). While discussing with Qing Dynasty intellectuals during a travel to Beijing, he showed great changes in the consciousness of Zhuzixue’s Truth Inheritance, the legitimacy of the Yulgok school, and the theory of Spring and Autumn' Sinocentrism. From this, Hong Dae-yong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cognize equality as well as the diversity of thoughts and tribe groups. This point is evident not only in Uisanmundab(醫山問答) but also in the discussion with scholars of Nak school after a travel to Beijing. In particular, it[人物均] is not only an academic achievement beyond the scope of claiming that the nature of people and animals is the same, but from this, the diversity and equality of people and animals are explained by suggesting that they are all the same from Observing all things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e[自天而視之]. In addition, Hong Dae-yong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civilization and barbarism, and dismantles the structure of civilization and barbarism by using Confucius' story of Jiuyi[九夷] to interpret that restoring the Royal Doctrine and Expelling the Minor Nationality[尊王攘夷] of Chunqiudayi[春秋大義] as the history, region, and environmental elements of each nation, not just as the region, tribe, and culture.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hat Hong Dae-yong insisted on diversity and equality beyond the universality and hierarchy of the previous theory of Spring and Autumn' Sinocentrism.

      • KCI등재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대학』 이해와 그 정치사상적 의미

        한정길(HAN Jeonggil)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4 No.-

        이 연구는 다산 『대학』관의 특징과 그 정치사상적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그 연구 방법으로는 다산 『대학』관의 정치사상적 의미를 주자학이나 양명학의 그것과 비교하여 고찰하는 방식을 취했다. 이를 통해 다산의 『대학』관이 경학사상사에서 지니는 의의도 함께 살펴보고자 했다. 다산은 ‘대학’을 ‘태학’으로 풀이한다. 그리고 『대학』을 최고 통치자 집단을 양성하는 목민학의 기본 교재로 여긴다. 이것은 다산이 군주를 중심으로 한 관료정치를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산은 ‘명덕’을 효·제·자로 풀이하고, 천하에 명덕을 밝히는 방법을 ‘친민’에서 찾는다. 그는 ‘친민’을 천자가 태학에서 효·제·자의 예를 실천하여 모범을 보임으로써 ‘백성들이 그것을 본받아 서로 친하는 것’으로 풀이한다. 이것은 다산이 유가의 인륜가치가 실현되는 세상을 지향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다산은 ‘격물치지’를 ‘물’의 본말을 헤아리고, ‘일’의 종시를 아는 것으로 풀이한다. 이것은 기존 주자나 왕양명의 ‘궁리’와 ‘치양지’의 정치사상을 부정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다산은 ‘성의장’을 하나의 독립된 장으로 봄으로써 ‘성의’를 ‘치국·평천하’를 실현하는 근본 공부로 설정할 수 있었다. 다산은 ‘평천하장’을 『대학』의 중심으로 여기고, 그로부터 정치이념과 그것을 실현하는 방법 및 정사의 두 가지 강령을 도출해 낸다. 그는 입현공치와 안민정치를 통해 백성들의 원욕(願慾)을 구현하고자 했다. 이것들은 주자학이나 양명학의 『대학』관과 비교할 때 다산만의 독자성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그 경학사상사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Dasan Jeong Yak-yong’s understanding of the Great Learning and its significance as political thought. It examines Dasan’s political thought reflected in his understanding of the Great Learning in comparison with that of Zhuzi studies or Yangming studies. It also assesses the importance of Dasan’s understanding of the Great Learning in the history of thoughts on Confucian classics. Dasan interprets daxue 大學 as taixue 太學 (Imperial Academy) and regards the Great Learning as the basic textbook of ‘the study of governing the people’ (mumin xue 牧民學) that educates a group of supreme rulers-to-be. This shows that Dasan was pursuing a centralized bureaucracy with the king as its nucleus. Dasan understands mingde 明德 (illustrious virtue) as xiao 孝 (filial duty), ti 悌(politeness) and ci 慈 (benevolence), and find the way to manifest illustrious virtue in qinmin 親民, which, in his interpretation, means that people come to love each other by following the example of the monarch’s practicing xiao, ti and ci in the Imperial Academy. This reveals that Dasan aims for a world where Confucian morality is realized. Dasan interprets gewu zhizhi 格物致知 as discerning the root and branches of ‘the thing’ and knowing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work.’ This interpretation is worth noting since it shows that Dasan’s political thought follows neither Zhu Xi’s theory of ‘exploring the principles of things’ nor Wang Yangming’s theory of ‘extending innate knowledge.’ Dasan deems the “Chengyi” 誠意 (making the will sincere) chapter an independent chapter, which enables him to present ‘making the will sincere’ as a fundamental study for ‘ruling the country and making the world at peace.’ Dasan regards the “Ping Tianxia” 平天下 (making the world at peace) chapter as the core of the Great Learning, and derives political thought and the method of realizing it from this chapter. He also formulates two political measures based on this chapter: employing talented and virtuous men and caring the people. By implementing these measures, he is intent on fulfilling the desires of the people. This political thought endows Dasan with scholarly originality in interpreting the Great Learning, distinguished from Zhuzi studies and Yangming studies. In this regard, Dasan’s political thought derived from the Great Learning has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oughts on Confucian classics.

      • KCI등재

        「논어문의」를 통해 본 홍대용의 경학사상사적 의의 : 전통적 해석과 차별화되는 새로운 해석 지평 마련

        조정은(JO Jungeu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4 No.-

        이 글은 「논어문의」를 분석하여 홍대용이 조선경학사상사에서 지니는 의의를 살핀다. 홍대용은 유가에서 받드는 인물들의 권위와 이들에 관한 주석의 권위에서 벗어나 『논어』를 이해했고, 그 권위에 균열을 내는 도구로 상식과 유가 이념을 취했다. 그동안 문제 삼을 수 없었던 대상을 문제 삼으면서 경문의 본래 뜻과 상관성이 약한 불필요한 논의에 경종을 울리고, 공자를 현실을 살아간 한 인간으로 되살려 내고, 유가의 성인을 높인다면서 오히려 유가 이념에 배치되는 논의로 귀결되는 폐단을 드러냈다. 이러한 홍대용의 비판 작업은 유학에 대한 반발이 아닌 오히려 유학이 그간 간과했던 유학의 본래 정신 즉, 현실에 근거해 마땅함을 평가해야 하고, 군신과 부자의 도리에 어긋남이 없어야 한다는 정신을 환기시키는 작업이었다. 새로운 비판점에 선 시도였던 만큼 그 깊이는 부족했으나 홍대용의 경학사상사적 위치에서 깊이까지 요구하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논어문의」를 통해 살펴본 홍대용의 경학사상사적 의의는 유가적 권위로부터 자유로운 입장에서 경험적 상식과 유가 이념에 근거해 경문과 주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새로운 경학 흐름을 만들어 갈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assesses the significance of Hong Dae-yong in the history of thoughts on Confucian classics in Joseon by analyzing his “Noneo muni” (Inquiry on the Analects). Hong Dae-yong understands the Analects deviating from the authority of renowned Confucian figures and commentaries on them; he takes common sense and Confucian ideology as a tool to crack the authority. By addressing issues about the subjects that have not been taken as a problem, Hong raises the alarm about unnecessary discussions that has little to do with the original meaning of sentences in Confucian classics. In addition, he describes Confucius more vividly as a human being who lived in reality, and reveals the harmful effect of speaking too highly of Confucian sages that in the end runs counter to the spirit of Confucianism. Hong Dae-yong’s criticism is not an opposition to Confucianism, but on the contrary a reminder of the Confucian spirit: evaluation should be based on reality, and there should be no violation of the principles of ruler and subject, father and son. As his criticism is directed to new subjects, its depth is insufficient; however, it would be unjust to demand depth considering his historical position. In sum, the significance of Hong Dae-yong in the history of thoughts on Confucian classics can be found in that he prepared a bridgehead to open a new chapter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by critically examining Confucian classics and commentaries on them, on the basis of common sense and Confucian ideology while not restricted by the authority of Confuci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