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로 치료한 위의 염증성 섬유양 용종

        김현성,김진일,고명범,노치호,이세민,정대영,박수헌,김재광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8 No.4

        Inflammatory fibroid polyp (IFP) is a rare benign fibroproliferative disease that arises from the submucosal layer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Surgical resection has been performed in most cases and the application of endoscopic resection is rare.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which was recently introduced, enables en-bloc resection of a tumor regardless of the tumor size and location. Since IFP is benign, ESD can be very useful for both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 large-sized IFP. A 45-year-old woman was referred for the management of a gastric mass. Esophagogastroduodenoscopy showed a round submucosal mass with a central bulging at the gastric body. Endoscopic ultrasonography showed a 3.5×3.0 cm-sized hypoechoic mass in the third layer of the stomach. The tumor was removed by ESD with using a hook knife for complete en-bloc resection. The pathologic finding was compatible with the diagnosis of IFP. We report here on a case of IFP that presented as a gastric submucosal tumor and it was treated by the ESD method. 염증성 섬유양 용종은 위장관의 점막하층에 발생하는 드문 양성 섬유증식성 질환이다. 내시경 및 내시경 초음파에서 특징적인 소견이 없어 대부분 완전절제 후 병리학적으로 진단된다. 치료는 주로 외과적 수술이 시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내시경 절제술로 진단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크기가 작거나 유경성인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도입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은 크기 및 위치와 상관없이 일괄절제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어, 본 질환과 같이 내시경을 통한 조직검사나 내시경 초음파만으로 절제 전 양성과 악성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에 있어 불필요한 외과 치료를 피하고 내시경으로 제거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들은 위의 점막하 종양을 주소로 전원된 45세 여자에서 내시경 조직검사 및 내시경 초음파를 시행하였으나 진단되지 않아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을 시행한 후 염증성 섬유양 용종으로 진단한 1예를 경험하여 이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KCI등재

        내시경적 제거가 가능한 직장 점막하 병변으로 오인한 자궁내막증 1예

        정승규,이석호,손범석,이창균,이태훈,정일권,김선주,이지혜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0 Clinical Endoscopy Vol.41 No.5

        Endometriosis occurs most frequently in the intestine. In the pelvic organs intestinal endometriosis presents with various symptoms and endoscopic findings. If an asymptomatic submucosal lesion is found in the sigmoid colon or rectum of reproductive women, a differential diagnosis should be done. Owing to advancements in endoscopic therapy, endoscopic excision has been attempted for various subepithelial lesions. To successfully do an endoscopic excision, accurate diagnosis should be obtained through diagnostic tests such as endoscopic ultrasonography prior to excision. Here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rectal endometriosis in an asymptomatic woman of reproductive age. They attempted endoscopic resection based on the endoscopic finding that the subepithelial lesion was limited to the submucosal layer in endoscopic ultrasonography. This conclusion turned out to be a mistaken one. Because of tumor adhesion to the proper muscular layer, we failed to successfully conduct an endoscopic excision. Ultimately, we did surgery and diagnosed rectal endometriosis. 장관에 발생하는 자궁내막증은 골반내 장기를 제외하면 가장 호발하는 부위이며 다양한 양상의 내시경 소견 및 증상을 보인다. 특히 가임기의 여성에서 구불결장 혹은 직장에서 무증상의 점막하 병변이 발견되었을 때는 감별진단에 포함시켜야 한다. 내시경적 치료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점막하 병변에 대한 내시경적 절제가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실패없는 내시경적 절제를 위해서는 시술전 내시경 초음파 등의 진단적 검사를 통하여 정확한 정보를 얻어야 한다. 저자들은 가임기 여성에서 별다른 증상 없이 내시경으로 발견한 점막하 병변을 내시경 초음파에서 점막하층에 국한된 것으로 오인하여 내시경적 점막하 절제술을 시도하였으나 종괴의 고유근육층 유착으로 실패 후 수술적 절제로 자궁내막증으로 최종 진단된 1예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KCI등재후보

        내시경유두괄약근절개술 후 출혈의 내시경 치료

        안동원 ( Dong-won Ahn ),박선미 ( Seon Mee Park ),한정호 ( Joung-ho Han ) 대한췌담도학회 2017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2 No.1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ERCP)은 췌담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필수적인 시술이며, 내시경유두괄약근절개술(EST)은 ERCP를 성공하기 위한 관문이다. EST를 시행하기 위한 장비 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EST 후 발생한 출혈은 여전히 치명적 인 합병증으로 남아있다. EST 직후에 발생한 출혈은 내시경 시야를 방해하여 성공적인 ERCP를 마칠 수 없게 하며, EST 후 지연형 출혈의 경우에는 혈담즙과 이에 의한 담도염, 심지어 혈역학적 쇼크까지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다행히도 대부분의 출혈은 자발적으로 멈추지만,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출혈량이 있거나, 지속적인 출혈에서는 1차적으로 내시경 지혈술이 필요하다. 에피네프린을 혼합한 식염수의 주 사, 전기응고법, 클립이나 밴드를 이용한 기계적 지혈법까지 다양한 내시경적 지혈법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대부분 위 장관 출혈의 지혈술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가져온 것이다. ERCP를 시행하는 의사는 다양한 내시경적 지혈술을 모두 숙 지하고 있어야, 한가지 지혈술로 실패한 경우에 다른 방법의 지혈술로 전환을 할 수 있어야한다. 또한 내시경적 지혈술에 실패한 경우에는 혈관조영술이나 수술로 출혈을 치료할 수 있 는 결정을 할 수 있어야만 한다.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is an essential method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various pancreatobiliary diseases and endoscopic sphincterotomy (EST) is the gateway to complete ERCP. Although techniques and instruments for EST have improved, bleeding is still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Treatment of immediate post-EST bleeding is important because blood can interfere with subsequent procedures. Additionally, endoscopists should be cautious about delayed bleeding may cause hemobilia, cholangitis, and hemodynamic shock. Most cases of post-EST bleedings will stop spontaneously, however, endoscopic management is necessary in case of clinically significant and persistent bleeding. Various endoscopic methods including epinephrine or fibrin glue injection, electrocoagulation, hemoclipping and band ligation et al can be used through a side-viewing or forward-viewing endoscope similar to those used in hemostasis of peptic ulcer bleeding. Endoscopists who perform ERCP should use various methods of endoscopic hemostasis strategically.

      • KCI등재후보

        위장관 유암종의 내시경적 치료 성적에 대한 고찰

        박용범 ( Yong Bum Park ),김진일 ( Jin Il Kim ),하병화 ( Byung Hwa Ha ),정대영 ( Dae Young Cheung ),김태호 ( Tae Ho Kim ),김창환 ( Chang Hwan Kim ),김성수 ( Sung Soo Kim ),조세현 ( Se Hyun Cho ),박수헌 ( Soo Heon Park ),채현석 ( Hi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3

        목적: 유암종은 위장관 및 기관지 등의 신경 내분비 세포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전이 및 주위 조직의 침범을 일으킬 수 있어 외과적 절제술을 포함한 광범위 절제가 기본 치료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최근 내시경 시행 증가 및 술기의 발달로 비교적 작은 크기의 유암종에 대한 내시경 절제술이 많이 시행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내시경 절제의 적응증 및 치료 성적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기에 저자들은 위장관 유암종으로 진단 후 내시경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성적을 조사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성가병원, 의정부 성모병원에서 위장관 유암종으로 진단된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총 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 그리고 치료 성적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는 남자 31명, 여자 19명이었고, 연령분포는 17세에서 77세, 평균 연령은 52.6±13.6세였다. 발생 부위는 직장이 30예(60%)로 가장 많았으며, 위 9예(18%), 십이지장 7예(14%), 충수 돌기 2예(4%), 대장 2예(4%)였다. 전체 유암종의 크기는 3~25 mm였고, 평균 크기는 10.1±5.6 mm였다. 50예의 유암종 중 38예는 내시경으로, 11예는 외과적 수술로 절제하였으며, 1예는 다발성 전이가 있어 원발 병소의 치료가 불가능하였다. 내시경 절제술을 시행한 유암종의 평균 크기는 8.6±4.5 mm, 수술적 절제술을 시행한 유암종의 평균 크기는 13.5±6.1 mm였다. 내시경 치료 총 38예 중 25예(65.8%)는 내시경 점막절제술 또는 점막하 박리법을 13예(34.2%)는 올가미를 이용한 용종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내시경 치료 중 불완전 절제된 잔류 병변은 올가미를 이용한 용종절제술을 시행했던 2예에서 발생하였고, 추가적인 점막절제술을 통해 완전히 제거하였다. 십이지장 유암종의 경우 10 mm 이하, 위 및 직장의 경우 15 mm 이하에서 내시경으로 합병증 없이 치료가 가능하였으며, 모든 예에서 재발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위장관 유암종은 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악성화 가능성이 있어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하는 질환이다. 유암종이 점막하층에 국한되어 있다면 십이지장에서 10 mm 이하인 경우, 위 및 직장에서 15 mm 이하인 경우 내시경 절제술이 위장관 유암종의 일차 치료로 가능할 수 있다. Background: The treatment of choice of gastrointestinal carcinoid tumors has been thought to be radical excision. However, surgical treatment has been substituted by endoscopic treatment in cases of small gastrointestinal carcinoid tumors.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endoscopic treatment for gastrointestinal carcinoid tumor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endoscopic findings of 50 cases of gastrointestinal carcinoid tumors diagnosed in St. Mary`s Hospital, Holy Family Hospital, and Uijeongbu St. Mary`s Hospital, all affiliated organizations of th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enter of Korea,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6.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2.6±13.6 years-old. The mean tumor size was 10.1±5.6 mm. Thirty-eight cases were treated by endoscopy (mean tumor size: 8.6±4.5 mm), eleven cases were treated by surgery (mean tumor size: 13.5±6.1 mm), and one case with multiple metastases was untreatable by either endoscopy or surgery. Twenty five cases of endoscopic therapy were treated by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o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Thirteen cases were resected by use of a conventional polypectomy. Two cases of the conventional polypectomy were resected incompletely, and were treated with an additional endoscopy. No cases of endoscopic treatment have recurr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Conclusions: Recently, the incidence of carcinoid tumors is on the increase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s determined by performing frequent endoscopic examinations in Korea. If the gastrointestinal carcinoid tumor is limited to the submucosal layer, endoscopic treatment could be sufficient as the primary treatment in selected patients with a tumor diameter of 10 mm or less in the duodenum and 15 mm or less in the stomach and rectum.(Korean J Med 73:274-282, 2007)

      • 소화기 내시경과 부속기구의 재처리에 대한 다학제-다학회 지침: 대한간학회, 대한감염학회, 대한상부위장관 ․ 헬리코박터학회, 대한소화기학회,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대한소화기암학회, 대한장연구학회,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소화기내시경간호학회 및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정대영 ( Dae Young Cheung ),장병익 ( Byung Ik Jang ),김상욱 ( Sang Wook Kim ),김지현 ( Jie-hyun Kim ),김형근 ( Hyung Keun Kim ),신정은 ( Jeong Eun Shin ),윤원재 ( Won Jae Yoon ),이용강 ( Yong Kang Lee ),정광현 ( Kwang Hyun Chun 대한내과학회 2020 대한내과학회지 Vol.95 No.5

        목적: 소화기 내시경의 보급과 사용이 증가하면서 내시경의 수행과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소화기 내시경에 의한 병원 내 감염은 의료 현장의 매우 주요한 문제이다. 신뢰할 수 있는 내시경 재처리 과정은 소화기 내시경의 안전성에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다. 소화기 내시경의 재처리에 관한 진료 지침은 현장에서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내용이어야 하며, 지침을 준수하였을 때 충분한 수준으로 병원균의 전파를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 방법: 이번 재처리 지침은 내시경 관련 감염과 소독에 대한 과학적 근거와 전문가의 의견을 토대로 하여 이론과 실무를 아우를 수 있는 포괄적 내용이 되도록 하였다. 결과: 이번 개정에는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와 함께 대한간학회, 대한감염학회, 대한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 대한소화기학회,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대한소화기암학회, 대한장연구학회, 대한췌장담도학회 그리고 대한소화기내시경간호학회가 함께 참여하였다. 결론: 향후에도 내시경 관련 감염 관리와 재처리 과정에 대한 연구 및 개정 보완은 지속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내용은 적절한 시기에 개정된 지침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Aims: The area of endoscopic application has been continuously expanded since its introduction in the last century and the frequency of its use also increased stiffly in the last decades. Because gastrointestinal endoscopy is naturally exposed to diseased internal organs and contact with pathogenic materials, endoscopy mediated infection or disease transmission becomes a major concern in this field. Gastrointestinal endoscopy is not for single use and the proper reprocessing process is a critical factor for safe and reliable endoscopy procedures. What needed in these circumstances is a practical guideline for reprocessing the endoscope and its accessories which is feasible in the real clinical field to guarantee acceptable prevention of pathogen transmission. Methods: This guideline contains principles and instructions of the reprocess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 step by step. And it newly includes general information and updated knowledge about endoscopy-mediated infection and disinfection. Results: Multiple societies and working groups participated to revis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the Korean Society of Infectious Diseases, Korean College of Helicobacter and Upper Gastrointestinal Research, the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Cancer,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Intestinal Diseases, Korean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Nurses and Associates and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Through this cooperation, we enhanced communication and established a better concordance. Conclusions: We still need more researches in this field and fill up the unproven area. And our guidelines will be renewed accordingly. (Korean J Med 2020;95:325-335)

      • KCI등재

        조기위암에서 불완전 내시경 절제 후의 수술 전략

        박지혜 ( Ji Hyae Park ),김용진 ( Yong Jin Kim ),강길호 ( Gil Ho Kang ),정귀애 ( Gui Ae Jeong ),조규석 ( Gyu Seok Cho ),이문수 ( Moon Soo Lee ),허경열 ( Kyung Yul Hur ),김재준 ( Jae Joon Kim ),( Joo Young Cho ) 대한임상종양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6 No.1

        배경 및 목적 : 한국에서의 조기위암 증가와 함께 개별화와 최소 침습적 면에서 내시경 절제술이 널리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내시경 절제의 증가와 함께 그 치료범위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는 내시경으로 불완전하게 절제된 조기 위암에 있어 수술 결과를 토대로 적절한 수술 범위를 제안하고자 본 연구를 고안하였다. 환자 및 방법 : 1999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내시경 절제 후위 절제 수술을 받은 63명의 조기위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절제 방법, 일괄절제율, 수술시행 근거, 그리고 병리학적 결과(잔존암의 유무, 침습깊이, 분화도, 림프절전이)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일괄절제는 50명(80%)의 환자에서 가능했으며, 이 중 내시경 점막절제술을 시행한 경우는 35명(56%),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을 시행한 경우는 28명(44%)이었다. 수술시행 근거로, 절제변연의 잔존암이 28명(44%), 점막하 침습이나 나쁜 분화도가 19명(30%), 내시경 절제와 관련된 합병증이 9명(14%), 그리고 기타7명(11%)이었다. 내시경 절제 합병증으로 수술을 받은 예를 제외한 54명의 수술 후 병리결과를 분석하였을 때, 잔존암이 발견된 경우는 21명(44%), 림프절전이가 있는 경우는 3명(6%)이었다. 잔존암이 발견된 21명 중 내시경 절제 시 절제변연에 암이 없었던 경우가 5명(23%)이었다. 내시경 절제변연에서 수평침윤이 있었던 환자들만 유일하게 림프절전이가 없었다. 평균추적기간은 23개월이었으며, 추척 관찰 중 소실된 7명의 환자를 제외한 나머지는 현재까지 생존 중이다. 결론 : 대부분의 환자는 위암 1기로 진단되었지만, 점막하층 침윤이 있거나 조직분화도가 나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고 또한 내시경적 절제변연에서 암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술 후 잔존암이 있었던 경우가 일부 환자에서 발견되었다. 따라서 조기위암의 치료에 있어 내시경 점막 하 절제술의 치료범위를 넓히는 것에 대하여 매우 조심스럽게 생각해야 하겠다. 또한, 내시경 절제 후 점막 하 위암으로 진단된 환자의 수술계획에 있어, 저자들의 연구결과 림프절 전이는 수직 절단면 양성인 경우에만 관찰되어, 수직 절단면 양성인 경우는 D1이상, 측면 절단면 양성인 경우 D1이하의 림프절 절제가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Background: Treatment individualization and minimal invasiveness are main current issues in the management of early gastric cancer, along with increased incidence of the disease in Korea. Although several controversies remain, it is technically feasible to extend the indications for ESD. We intended to clarify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the optimal management for incompletely resected gastric cancer with endoscopic treatment. Patients and Methods: Sixty-three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were treated with surgery after endoscopic resection between 1999 and 2006. The resection method, rate of en-block resection, reasons for surgery, and pathologic results (presence of residual cancer, depth of invasion, differentiation and lymph node metastasi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En-block resection was attempted in 80% of the patients, with 56% EMR and 44% ESD. The reasons for surgery were positive resection margin (44%), submucosal invasion or poorly differentiated cancer (30%), EMR or ESD related complications (14%) and miscellaneous (11%). Of 54 patients (except for the patients with complications), we observed 20 patients (37%) with residual cancer, 28 (52%) with submucosal involvement and 3(6%) with lymph node metastasis. Among 22 patients with negative resection margins, 5 (23%) had residual cancer. For patients with positive lateral margin, there was no lymph node metastasis.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23 months and all patients are still alive in a disease-free state, with excluding 7 patients who were lost to follow-ups. Conclusions: Although majority of the patients were diagnosed as stage IA, extending the indications for endoscopic resection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due to relatively high rate of submucosal involvement and the presence of residual cancer with negative resection margin. However, in selected cases with positive lateral margin or well differentiated submucosal cancer, D1 lymphadenectomy could be an alternative treatment strategy.

      • SCOPUSKCI등재

        대장의 측방발육형 종양에서 내시경적 분할점막절제술 후 추적 대장내시경의 유용성

        김환열 ( Hwan Yeol Kim ),고봉민 ( Bong Min Ko ),차상우 ( Sang Woo Cha ),권계원 ( Kye Won Kwon ),홍수진 ( Soo Jin Hong ),유창범 ( Chang Beom Ryu ),김영석 ( Young Seok Kim ),문종호 ( Jong Ho Moon ),김진오 ( Jin Oh Kim ),조주영 ( Joo 대한장연구학회 2003 Intestinal Research Vol.1 No.2

        목적: 대장의 측방발육형 종양은 대장 벽을 따라 낮고 넓게 자라는 표면형 종양으로 악성변화율이 높고, 크기에 비하여 점막하 침윤의 빈도는 많지 않기 때문에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에 의한 치료가 시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시경적 분할점막절제술후 추적 대장내시경의 시기 및 결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3년 8월까지 32개월간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소화기병 센터에서 대장내시경상 측방발육형 종양으로 진단받은 31예 중 크기가 20 mm 이상으로 내시경적 분할 점막절제술을 시행한 2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추적검사 가 시행되지 않은 4예와 수술을 시행한 2예를 제외한 15예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평균 추적기간은 10.3개월(2-18개월)이었다. 결과: 여자가 14예로 남자의 7예 에 비해 많았고, 평균 연령은 56.9세였다. 조직학적 소견에서 10예(47.6%)가 선암, 관상-융모상 선종이 7예(33.3%), 융모상 선종이 1예(4.8%), 관상 선종이 3예 (14.3%)였다. 내시경적 분할 점막절제술후 추적 대장내시경을 처음 시행한 시기는 평균 2.2개월(1-5개월)이었으며, 총 15예 중 5예(33.3%)에서 추적 기간중 절제 부위에서 재발이 관찰되었다. 선암 2예에서 2개월후 관상선종이, 관상-융모상 선종 1예에서 2개월후 조직검사상 고도 세포 이형성이, 관상 선종 1예에서 5개월후 조직 검사상 선종성 용종이, 국소적 고도 세포 이형성이 동반된 관상 선종 1예에서 4개월 후 조직검사상 관상 선종이 관찰되었다. 이 5예에서 추가적인 내시경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이후 추적 대장내시경상 현재까지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대장의 측방발육형 종양중 크기가 직경 20 mm 이상이어서 내시경적 분할점막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절제부위의 재발율이 높으므로 내시경적 절제술 이후에 도 주기적인 추적 대장 내시경의 시행이 필요하고 최소한 절제후 1년 이내에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Aims: Laterally spreading tumors (LST) of the colon are defined as tumors over 10 mm in diameter that are low in height and grow superficially. These tumors are highly malignant and usually mucosal lesions, therefore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is desirable. We analysed retrospectively the result of endoscopic piecemeal mucosal resection (EPMR) in LSTs larger than 20 mm in diameter. Methods: 21 patients with LSTs larger than 20 mm in diameter were treated using EPMR. The resection sites were examined for residual or recurrent lesions by follow-up colonoscopy. Results: Of the 21 patients who underwent EPMR, 2 patients performed surgical resection and 4 patients were lost during follow-up period. Residual or recurrent lesions were detected in 5 of these 15 patients after EPMR. After additional endoscopic therapy, no more residual or recurrent lesions were detected. Conclusions: After EPMR for large LSTs, it is necessary to strictly follow-up at least within 1 year. (Intestinal Research 2003;2:186-191)

      • KCI등재

        호산구 식도염의 임상병리학적 특징 분석: 비폐쇄성 연하곤란과의 비교 연구

        김광현,정일형,김지현,윤영훈,윤선옥,박효진,이상인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1 Clinical Endoscopy Vol.42 No.3

        Background/Aims: Eosinophilic esophagitis (EoE)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dysphagia and esophageal food impactions. However, it is doubtful that gastroenterologists and pathologists make the correct diagnosis of EoE because of the insufficient recognition of EoE based on the endoscopic and pathological finding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ymptoms and the endoscopic and pathologic findings of EoE as compared with those of nonobstructive dysphagia (NO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the endoscopic and pathologic findings from 1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EoE based on an eosinophil count of ≥20 per high-power field (HPF) and 13 patients diagnosed with NOD, and these patients were treated at our hospital from June 2006 till October 2010. Results: The endoscopic findings of EoE included rings (41.7%), furrows (75.0%), exudates (33.3%), mucosal friability (8.3%) and multi-findings (6.7%). Furrows and multi-findings were identified more frequently in EoE as comparison to that in NOD. The pathologic findings revealed that the maximal eosinophil counts/HPF were 87.2 (range 20∼232) and 2.2 (0∼11) in EoE and NOD, respectively. Moreover, eosinophil microabscess (58.3%), degranulation (100%) and spongiosis (91.7%) were more significantly observed in EoE compared with that in NOD. Conclusions: EoE had specific endoscopic and clinicopathologic features that distinguish it from NOD. For patients with dysphagia, the endoscopic and pathologic findings of EoE should be kept in mind. 목적: 호산구 식도염(eosinophilic esophagitis, EoE)은 식도의 과도한 호산구 침윤으로 인하여 연하 곤란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드문 질환이나, 최근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이에 대한 임상적, 병리적 인지 부족으로 인하여 진단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저자들은 비폐쇄성 연하곤란(nonobstructive dysphagia, NOD) 환자의 임상 증상, 내시경, 식도 조직의 병리 소견과의 비교를 통하여 EoE의 내시경 소견 및 임상병리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6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강남세브란스 병원에서 내시경을 받은 환자들 중, EoE로 진단된 12명과 연하곤란으로 식도 조직검사를 받은 NOD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EoE의 진단은 식도 조직검사 상 고배율 시야 당 호산구가 20개 이상 관찰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양 군의 내시경 소견과 병리 슬라이드를 후향적으로 재검토하여 병리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EoE의 내시경 소견은 원형 주름(41.7%), 골(75%), 삼출물(33.3%), 점막 취약성(8.3%), 2개 이상의 소견(6.7%)이었으며, 이 중 골과 2개 이상의 소견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NOD보다 많이 관찰되었다. 고배율 시야당 호산구의 개수는 EoE에서 87.2개(20∼232개)로 NOD에서 2.2개(0∼11개)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또한, EoE에서 호산구 미세농양(7명 대 0명; p<0.01), 호산구 탈과립(12명 대 1명; p<0.01), 해면화(11명 대 5명; p=0.01)가 유의하게 많았다. 그러나 고유판 유두부 길이 증가, 섬유화, 기저 세포층 증식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EoE는 NOD와 구별되는 명확한 내시경 소견 및 임상병리적 특징들을 보였다. 연하곤란의 환자에 대한 접근에 있어 이러한 EoE의 특징을 숙지하는 것이 EoE의 진단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식도 결핵의 내시경초음파 소견: 증례보고

        조규현,정진태,허창재,권중구,김은영,오훈규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0 Clinical Endoscopy Vol.40 No.5

        Esophageal tuberculosis is a rare disease that is difficult to diagnose with 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 endoscopic ultrasonography (EUS), and computerized tomography. The patients with esophageal tuberculosis show diverse endoscopic findings, but ulcerative lesion in the middle esophagus is usually found. In Korea, the endoscopic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esophageal tuberculosis have not been described. The main endoscopic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esophageal tuberculosis include heterogeneous or homogeneous hypoechoic masses in the esophageal wall with hyperechoic spots inside, interruption of the esophageal adventitia, and mediastinal lymphadenopathy. In this report, we describe two patients with esophageal tuberculosis, and they presented with submucosal tumor. In these patients, esophageal tuberculosis was diagnosed by EGD, EUS, and performing tuberculosis phase chain reaction on the endoscopic biopsies. 식도 결핵은 드문 질환으로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나 식도 조영술 및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진단하기 어렵다. 식도 결핵의 내시경 소견은 다양하나 주로 중부 식도 부위에 궤양형 병변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내시경초음파에 대한 소견은 증례보고 만이 발표되어 있으며 국내보고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식도 결핵의 주된 내시경초음파 소견은 식도벽내의 이질성 또는 균질성의 저에코 종괴모양으로 종괴내에 고에코성 반점이 대부분 나타나며 종격동 림프절이 커져 있고 식도 장막층의 파괴를 볼 수 있다. 저자들은 점막하 종양이 의심되어 전원된 환자들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 및 내시경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식도 결핵으로 의심하고 조직검사 및 결핵 중합효소 연쇄반응에서 확진한 2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KCI등재

        내시경 점막 절제술로 제거한 식도 양성 신경집종 1예

        조석우,정필진,이승환,윤경원,김현수,최성규,유종선,박창환,양대열,임성륜,정경면,정혜경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6 No.6

        .Esophageal schwannoma is a very rare neoplasm. The differentiation of schwannoma from the other submucosal tumors such as GISTs or leiomyoma is very difficult to do on the preoperative examination with performing esophagoscopy and computed tomography. The diagnosis is generally not confirmed until the hist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tests of the tumor are performed. A 38-year-old man presented to us with neck discomfort. The endoscopy showed a middle esophageal submucosal tumor that measured 12 mm in size and there were no mucosal changes. The endoscopic ultrasonography showed a tumor in the muscluaris mucosa layer without lymphadenopathy. After band ligation of the lower part of the tumor, it was removed by performing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and using a snare. A definitive diagnosis of esophageal benign schwannoma was made from the pathologic findings, which included positiv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S-100 protein and negative staining for C-kit, CD34 and actin. We report here on an esophageal benign schwannoma that was removed by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식도 신경집종은 드문 종양으로 수술 전 내시경 검사 및 영상 검사 만으로 위장관 기질종양이나 평활근종 등 다른 점막하 종양과 감별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대부분 수술 절제 후 종양의 조직검사 및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하여 진단이 이루어진다. 크기가 작고 병변이 점막층 및 점막하층에 국한된 경우 내시경 절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나 아직까지 내시경 절제로 치유된 증례는 극히 드물다. 38세 남자 환자가 목불편감을 주소로 내원하여 실시한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상 우연히 점막하 종양이 발견되었으며 초음파 내시경검사에서 중부식도에 약 12 mm 크기의 점막근층에서 기원하는 종양이 관찰되었다. 진단 및 치료를 위해 밴드 결찰술을 이용한 내시경 점막 절제술을 실시하였으며 종양은 면역조직화학검사에서 S-100 단백 염색에 양성이고 actin, c-kit (CD117), CD34 등에는 음성인 양성 신경집종으로 진단되었다. 저자들은 내시경 점막 절제술로 치유된 양성 식도 신경집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