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의 발전을 위한 제언

        김진일,이용찬,전훈재,김창덕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1 Clinical Endoscopy Vol.42 No.1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was established in 1976 for academic exchanges between endoscopic specialists. It joined the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 in 1988 and founded The Gastrointestinal Endoscopy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 2009 for academics, education, and research on gastrointestinal endoscopy. The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 rated this academic society 250 out of 275 points, which is equivalent to 91 points when converted to a 100 point scale. Globalization is the recommendation of the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 To pursue globalization, this academic society will publish and register English journals on Index Medicus and encourage the use of English during symposiums. Such efforts will allow this academic society to better cooperate and exchange knowledge with academic societies of other countries. Moreover, this academic society must contribute socially by enlightening the public about endoscopy.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는 내시경을 전문으로 시행하는 의사들의 학문적 교류를 목적으로 1976년 창립되었다. 이후 꾸준한 발전을 거쳐 1988년 대한의학회에 가입하였으며 2009년 대한 소화기내시경연구재단을 설립하여 소화기내시경과 관련한 학술, 교육 및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대한의학회에 의한 본 학회의 평가는 275점 만점에 250점이다. 대한의학회의 평가는 학회 활동을 평가하는 객관적인 기준으로 의학회에서 제시하는 주된 방향은 국제화이고 이와 같은 방향 설정은 본 학회의 가장 부족한 부분으로 본 학회가 나아갈 방향과 부합한다. 이를 위하여 본 학회는 학회지를 영문화하여 국제 검색 시스템에 등재하고, 학술대회에서 영어 진행과 영어 발표를 권장하여 아시아 각국의 내시경 학회와 친밀한 교류 협력을 가지고, 궁극적으로는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미국이나 유럽의 내시경학회와 어깨를 나란히 하여야 하겠다. 또한 학회의 사회 기여를 위하여 내시경 교육 사업, 내시경 소독, 암 검진 질 향상 사업, 공익성 홍보 등 적극적인 공익 활동과 계몽이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소화기내시경 세부전문의 교육수련 가이드라인

        이기명,최석렬,장병익,김성환,강창돈,김영대,박정엽,정일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1 Clinical Endoscopy Vol.42 No.4

        1995년 후반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에서는 소화기내시경 세부전문의 제도와 세부 규정을 마련하여 현재까지 많은 세부전문의들을 배출하고 있으나 체계적인 교육목표와 지침이 미비하였다. 소화기내시경 세부전문의 수련과정에서 내시경 검사는 지도 전문의의 감독하에 실시되고 있지만, 수련기간 동안 여러 내시경 검사와 치료법에 익숙해지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또한 수련과정 후 독자적인 검사와 치료를 통한 체득과정이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지도 전문의 감독을 벗어나 소화기 내시경 검사와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할 만한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교육수련위원회에서는 안전하고 정확한 내시경 검사 및 치료를 위하여 세부전문의 수련과정 중에 반드시 알아야 할 최소한의 교육목표를 제시함으로써 지도 전문의 및 피교육자에 교육수련의 가이드라인 제공과 동시에 향후 내시경 검사와 치료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KSGE) developed regulations and a gastrointestinal endoscopy board in 1995. Although the KSGE has acquired many specialists since then, the education and training aims and guidelines were insufficient. Although endoscopic examinations are supervised by a specialist during a GI fellowship, some types of GI endoscopic examinations and treatments are difficult to obtain exposure. Fellows should acquire endoscopic skills through repeated independent endoscopic examinations after a GI fellowship. Thus, the KSGE requires training guidelines for fellowships that allow fellows to perform endoscopic examinations without a supervisor. This document is intended to provide the principles that the Committee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KSGE can use to develop practical guidelines for granting privileges to perform accurate GI endoscopy safely. KSGE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GI endoscopy by providing guidelines for fellowships and supervisors.

      • KCI등재

        일차 및 이차 의료기관에서 내시경 절제술은 가능한가?

        전성우,정민규,김성국,김태년,장병익,이시형,김경옥,김은수,조광범,박경식,김은영,정진태,권중구,양창헌,이중현,박창근,서향은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0 Clinical Endoscopy Vol.41 No.6

        Background/Aims: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has been gaining popularity with the advances in the technique and the accumulating experien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ssess the current situation of endoscopic resection (ER) in primary clinics and community-based hospitals and to suggest an affordable training program. Methods: A questionnaire about the indications to perform ER for gastric or colonic lesions was sent to the doctors working in the non-tertiary hospitals by mail. Results: The responders who were performing EMR or polypectomy for gastric lesions accounted for 43% (31/72) and 44.8% (47/101), respectively, of the total responders. The percentage of responders who had experience with performing EMR or polypectomy for colonic lesions accounted for 56.6% (30/53) and 87.3% (62/71), respectively, of the total responders. The indication for ER for treating gastric and colonic lesions was restricted to the size of 1∼2 cm irrespective of the type or location of lesion. Most of the responders assumed that ER should be performed in their clinics and they wanted to have a chance to improve these techniques. Conclusions: The infrastructure for therapeutic endoscopy, such as ER, should be progressively expanded. Therefore, well designed schematic training programs are currently needed to advance using ER more commonly in clinical practice. 목적: 내시경점막절제술 및 내시경점막하박리술은 기술적 측면에서 발전을 거듭하면서 현재 위장 및 대장의 조기암이나 전암성 병변의 치료 영역에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삼차 의료기관에서 시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 연구는 일차 및 이차 의료기관에서 내시경절제술에 대한 현황을 알아보고, 실제 진료에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체계적 교육에 대한 틀을 마련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구경북지역 내과, 외과 및 가정의학과 계열 개원의와 봉직의를 대상으로 위 및 대장의 내시경절제술 경험과 적응증에 대한 설문지를 보낸 후 회수하였다. 결과: 총 1,631명 중 112명이 응답하여 수거율은 6.8%였다. 내시경 전문의가 79명으로 75.2%를 차지하였고 내과의가 82명으로 78.1%를 차지하였다. 위 병변에 대한 EMR 또는 용종절제술은 43%(31/112)와 44.8%(47/101)에서 시행하였다. 위 병변에 대한 EMR의 적응증으로는 모양이나 위치에 상관없이 크기가 1∼2 cm일 때 시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장 병변에 대한 EMR 또는 용종절제술의 경험은 각각 응답자의 56.6%(30/53)와 87.3%(62/71)에서 있었다. 대장 병변에 대한 내시경절제의 적응증 역시 모양이나 위치에 상관없이 크기가 1∼2 cm일 때 시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내시경절제술을 일차 및 이차 의료기관에서도 시행하는 것이 좋다고 답하였으며 동물모델 등을 이용한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석하겠다는 답변이 많았다. 결론: 내시경절제술과 같은 치료 내시경의 저변을 점진적으로 확대해나가는 것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과 지속적인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캡슐내시경의 가이드라인

        임윤정,문정섭,장동경,장병익,전훈재,최명규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7 No.6

        캡슐내시경은 내시경의 삽입에 따른 환자의 고통이 없을 뿐 아니라 내시경 시술자의 삽입에 따른 숙련도가 필요치 않아 널리 보급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캡슐내시경은 소장 내면을 비디오를 통해 관찰하기 때문에 숙련된 내시경 의사라면 판독에 큰 어려움은 없으나 캡슐내시경이 기존의 내시경과 다른 부분이 있어 정확한 판독을 위해서는 캡슐내시경의 전처치, 원리, 소프트웨어, 적응증, 금기 등의 숙지 뿐 아니라 소장의 정상 소견, 출혈, 종양, 궤양 등 이상 소견에 대한 숙련이 요구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소장의 캡슐내시경의 검사가 널리 보급되어 캡슐내시경의 원리, 검사법, 적응증, 금기, 합병증, 자격요건 등을 포함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캡슐내시경의 질을 높여 의료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캡슐내시경과 이중풍선 소장내시경의 소장병변의 진단 일치도

        김현건,김진오,이태희,김완중,최현숙,조영관,조원영,고봉민,조주영,이문성,이준성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0 Clinical Endoscopy Vol.40 No.4

        Background/Aims: To evaluate the diagnostic agreement between capsule endoscopy (CE) and double-balloon enteroscopy (DBE) in patients with suspected small bowel disease.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and compared the diagnostic yield and the diagnostic agreement between CE and DBE, in patients who initially underwent CE followed by DBE at a single tertiary referral center.Results: Thirty patients (17 males, mean age 45±17) underwent both CE and DBE. Total small bowel examination was possible in 80% (24/30) with CE, and 20% (6/30) with DBE. Diagnostic yield was 56.7% (17/30) with CE, and 73.3% (22/30) with DBE. Overall diagnostic yield was 93.3% (28/30) after both examinations. The overall degree of concordance between CE and DBE for lesion description was a moderate agreement, with a calculated kappa index of 0.48 (95% CI 0.44∼0.52, p<0.05). Both CE and DBE detected identical lesions relevant to the clinical presentation in 56.6% (17/30) of cases. A total of 36.7% (11/30) of cases changed diagnosis because different lesions were detected by each method. Conclusions: The overall degree of concordance between CE and DBE showed moderate agreement. Additional DBE examinations can improve the diagnostic yield of small bowel lesions in patients with no relevant findings or failed detection on CE, who are, however, clinically suspicious. 목적: 캡슐내시경과 이중풍선 소장내시경을 모두 시행한 소장질환이 의심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병변 관찰의 일치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부터 2009년 4월까지 캡슐내시경과 이중풍선 소장내시경검사를 모두 시행받은 30명을 대상으로 병소 발견율과 병변 일치도, 진단 일치도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30명(M:17, F:13)의 평균 연령은 45±17세였으며 24명은 혈변 및 흑색변, 빈혈을 주소로, 6명은 복통을 주소로 소장 병변에 대한 검사를 시행받았다. 소장 병변에 대한 진단율은 캡슐내시경 56.7%(17/30명), 이중풍선 소장내시경 73.3%(22/30명)였으며, 두 검사를 모두 시행받은 후 진단율은 93.3%(28/30명)이었다. 캡슐내시경에서 정확한 진단이 어려웠던 13예 중 61.5%(8/13)에서 이중풍선 소장내시경을 시행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었다. 캡슐내시경과 이중풍선 소장내시경의 병변 관찰에 대한 비교에서는 중등도의 일치도를 보였으며(kappa=0.484), 증상의 유발이 가능해 보이는 동일 병변을 관찰한 예는 전체의 56.6%(17/30명)이었다. 동일한 병변이 관찰된 17예 중 캡슐내시경에서 진단이 애매하여 이중풍선 소장내시경 시행 후 진단이 바뀐 경우는 5.9%(1/17예)로 멕켈씨 게실 1예였으며, 동일 병변이 관찰되지 않아 진단이 바뀐 예는 36.7%(11/30예)로 이들 11예 중 캡슐내시경에서 병변 관찰이 애매하거나 진단이 어려웠던 경우가 81.8%(9/11예)였다. 결론: 두 검사의 소장 병변에 대한 관찰 비교에서는 중등도의 일치도를 보이며, 캡슐내시경은 수동적인 관찰을 하기 때문에 시야각에서 한 번에 관찰이 어려운 병변은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캡슐내시경에서 관찰된 병변이 증상을 설명하기에 모호할 경우에는 임상적인 판단에 따라 이중풍선 소장내시경을 시행한다면 소장 병변에 대한 진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대장내시경 적응증의 적절성 및 진단율과의 연관성 조사

        이춘영,이충현,김영호,이종우,박동일,성인경,김신연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8 No.6

        Background/Aims: We wanted to evaluate if the guidelines for appropriately performing colonoscopy by the American Society for Gastrointestinal Endoscopy (ASGE) yield good diagnostic efficacy, and we wanted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referrals. Methods: A total of 2,412 consecutive patients (1,605 men and 807 women) who were undergoing colonoscopy from September 2006 to February 2007 were prospectively enrolled in the study. The diagnostic yield was defined as the percentage of relevant colonic pathologies of the total number of performed colonoscopies. The 2000 ASGE guidelines were used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dications for the procedure. Results: The large majority (64.2%) of patients had colonoscopy for an indication that was considered ‘generally indicated’, while the procedure was considered ‘generally not indicated’ for 22.4% of the patients. The diagnostic yield of colonoscopy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appropriate colonoscopies (59.1%) than for the inappropriate colonoscopies (23.2%). On the multivariable analysis, the diagnostic yield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dication that was “generally indicated” (odds ratio=9.5) and with the referrals by a gastroenterologist (odds ratio=1.7). Conclusions: The ASGE guidelines have shown a good diagnostic yield. Further steps are required to update and standardize the guidelines to increase the diagnostic yield. 목적: 지난 수년간 대장암과 대장용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러 가지 선별검사에서 이상소견을 보이는 경우에 시행되는 대장내시경의 건수도 증가하였지만, 증상이 없고 대장암의 위험요인이 없는 경우에도 대장내시경을 받길 원하는 사람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00년 미국 소화기내시경 학회에서 제정한 대장내시경 적응증의 유용성을 전향적 연구를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삼성서울병원, 건국대학교병원, 강북삼성병원에서 2006년 9월부터 2007년 2월까지 대장내시경 검사가 의뢰된 2,412명의 환자들을 사전 설문조사 후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대장내시경 적응증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2000년에 발표된 미국 소화기내시경학회의 진료지침이 사용되었고, 진단율은 각각의 적응증으로 시행된 전체 대장내시경 건수 분의 유의한 소견을 보인 건수로 정의 하였다. 결과: 64.2%의 환자군은 미국 소화기내시경 학회 진료지침의 ‘generally indicated’군에 해당하는 적응증으로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였고, 22.4%의 환자는 ‘generally not indicated’, 13.4%의 환자에서는 ‘not listed’군에 해당하는 적응증으로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였다. 진단율은 ‘generally indicated’군에서 59.1%, ‘generally not indicated’군에서 23.2%, ‘not listed’군에서 21.9%를 보였으며 다변량분석 시행결과, 진단율은 대장내시경 적응증의 적절성 여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Odds ratio=9.5, p<0.001), 소화기내과 의사에 의해 의뢰된 대장내시경 검사의 진단율이 타과의사에 의해 의뢰된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은 진단율을 보였다(Odds ratio=1.7, p<0.01). 결론: 대장내시경 검사의 진단율은 의뢰된 적응증의 적절성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고 내시경 처방의의 전공과목과도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 KCI등재

        위장관 기생충 감염의 내시경 및 임상적 특징

        이원현,유승석,김현진,김태효,이옥재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7 Clinical Endoscopy Vol.35 No.5

        Background/Aims: Although the overall infection rate of infection with parasites has decreased, the rate of food- mediated infection with parasites has not declin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the various endoscop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gastrointestinal (GI) parasite infections diagnosed endoscopically. Methods: W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medical records including the endoscopic reports of 27 patients with GI parasite infections diagnosed endoscopically at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3 through September 2006. Results: Among 27 patients with a GI parasite infection, 66.7% were female and food-mediated parasite infections including anisakiasis accounted for 77.8% of all of the infections. Soil-mediated parasites were still detected. Extremely rare cases of echinostomiasis and diphyllobothriasis were also identified. Abdominal pain was most frequent symptom (48.1%) and even intestinal or biliary obstructions were seen. The most common endoscopic finding was a visible worm, and various findings including the presence of a pseudotumor were observed. The median period from symptom onset to endoscopy was 15 days for anisakiasis with a pseudotumor compared to 1 day for anisakiasis without a pseudotumor. Conclusions: Endoscopy revealed the presence of various GI parasite infections as well as the presence of anisakiasis, a food-mediated parasitic disease. Various clinical and endoscopic features were seen, including GI bleeding, obstruction, and a pseudotumor. Therefore, a thorough endoscopic examination is required promptly together with detailed history taking concerning the consumption of raw fish.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7;35:304-312) 목적: 우리나라에서는 위생 개선 및 기생충질환의 관리체계의 발전으로 감염이 감소하였지만, 식품매개 기생충감염은 감소하지 않고 있다. 저자들은 내시경으로 진단한 위장관 기생충 감염의 현황과 내시경 및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월부터 2006년 9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에서 내시경검사를 받고 위장관 기생충감염으로 진단받은 27명을 대상으로 내시경검사 결과보고서를 포함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위장관 기생충감염 환자 27명 가운데 21명(77.8%)이 식품매개 기생충증이었고 18명(66.7%)이 여자였다. 아니사키스증이 17명(63%)이었고, 담관 회충증 3명, 요충증 2명, 간흡충증 2명, 편충증 1명이었으며 이외에도 극구흡충증 1명 및 광절열두조충증 1명이었다. 임상증상은 복통(48.1%), 구역/구토(18.5%), 황달(11.1%) 등이었으며, 상부 위장관출혈 및 장폐색의 임상양상을 보였고, 위에 가장 많이 감염되었다. 가장 흔한 내시경 소견은 직접적인 충체였고, 이외에도 점막의 부종, 충혈, 출혈, 증식 소견 및 거짓종양과 같이 다양한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증상 발현 후 내시경검사까지의 중앙시간은 거짓종양을 보인 군에서 15일로 거짓 종양이 없는 군의 1일에 비해 길었다. 결론: 대표적인 식품매개 기생충 질환인 아니사키스증이 대부분이었으나 토양매개 기생충 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기생충감염을 내시경으로 진단할 수 있다. 증상 발현에서 내시경 검사를 받기까지의 시간 및 기생충의 종류에 따라서 위장관 폐쇄 및 거짓종양을 포함한 다양한 임상양상 및 내시경 소견을 보여 진단이 어려워지므로, 식이력을 비롯한 자세한 병력 청취와 신속한 내시경 검사를 통한 감별 진단이 필요하다.

      • KCI등재

        소장내시경 적응증: 어떤 환자에게 소장내시경을 권유해야 하나?

        최황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1 Clinical Endoscopy Vol.42 No.3

        Balloon-assisted endoscopy (double-balloon or single-balloon endoscopy) is a novel method used to examine the entire small bowel. Enteroscopy has advantages in that tissues can be obtained to get a detailed image, and it is feasible for endoscopic treatments such as hemostasis, dilatation, and polypectomy. Indications for enteroscopy are obscure gastrointestinal bleeding, small bowel involvement due to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 investigation of a small bowel tumor or polyposis, and difficulty of a colonoscopy. Enteroscopy should be recommended to patients with recurrent mid-gut bleeding of obscure origin, suspected Crohn's disease, suspicious small bowel tumor on abnormal imaging, and surveillance of polyposis syndrome including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and Peutz-Jeghers syndrome. We may consider enteroscopy in patients with chronic abdominal pain or diarrhea and increased inflammatory markers. We must also understand the contraindications, co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enteroscopy. 풍선보조 소장내시경은 전체 소장을 검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다. 소장내시경은 조직을 얻을 수 있고 세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지혈, 확장, 폴립절제술과 같은 내시경 치료가 가능하다. 소장내시경의 적응증은 원인불명의 위장관 출혈, 염증성 장질환의 소장침범, 소장종양이나 폴립증의 검사, 삽입곤란 대장내시경 등이다. 따라서 원인불명의 소장 출혈이 반복되는 환자, 소장 크론병이 의심되는 환자, 영상 검사에서 소장종양이 의심되는 환자, 가족선종폴립증 및 포이츠-예거증후군에서 소장내시경을 권유하여야 한다. 만성 복통이나 설사가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있으면서 염증 지표들이 증가된 환자에서 소장내시경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소장내시경의 금기증, 합병증, 제한점에 대하여도 알고 있어야 한다.

      • KCI등재

        내시경 점막절제술 후 국소 재발한 위점막 병변의 재내시경 점막절제술에 대한 연구

        장재혁,이인석,유찬란,남관우,권정현,서정필,박호성,백창렬,박재명,조유경,김상우,최명규,정인식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7 Clinical Endoscopy Vol.35 No.1

        목적: 내시경 점막절제술(EMR) 후 발견되는 잔류 병변(residual lesion)이나 국소 재발 병변의 치료방침은 아직 정립되지 않았다. 내시경 점막절제술 후 병변의 절제면에는 반흔이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재내시경 점막절제술이 어려우나 최근 내시경 점막하 박리법(ESD)이 도입되면서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저자들은 내시경 점막절제술 후 잔류 병변 혹은 국소 재발 병변의 원인인자와, 재내시경 점막절제술 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8월에서 2006년 9월까지 강남성모병원에서 내시경 점막절제술을 시행 받은 245 예를 대상으로 완전 절제 후 잔류 혹은 국소 재발과 관련된 인자를 분석하였다. 잔류 병변 혹은 국소 재발 병변으로 재내시경 점막절제술을 시행받은 10예에서 일괄 절제율, 완전 절제율, 치료시간, 합병증, 임상경과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재내시경 점막절제술 병변의 크기는 평균 15.1 mm (5~30 mm)였고, 선종이 7예 조기위암이 3예였다. 재내시경 점막절제술의 방법은 고전적 내시경 점막절제술을 3예에서, 내시경 점막하 박리법을 7예에서 시술하였다. 일괄 절제는 8예(80%)에서 가능하였고 9예(90%)에서 완전 절제가 되었다. 재내시경 점막절제술 후 합병증은 시술 중 출혈이 5예(50%)였으며, 천공은 없었다. 재내시경 점막절제술 후 불완전 절제된 1예는 위아전절제술(subtotal gastrectomy)을 시행하였고 9예는 추적관찰 기간 동안 재발하지 않았다. 내시경 점막절제술 후 잔류 혹은 국소 재발과 연관된 인자로는 분할 절제가 유의하였으며(p<0.001), 병변의 위치, 크기, 조직학적 진단, 치료방법은 유의한 연관이 없었다. 결론: 내시경 점막절제술 시 분할 절제 되었을 경우 잔류 혹은 국소 재발이 많았다. 내시경 점막절제술 시행 후 잔류 혹은 국소 재발 병변에서 재내시경 점막절제술이 90%에서 가능하여 재내시경 점막절제술이 치료의 선택이 될 수 있겠다. Background/Aims: Re-endoscopic mucosal resection of a residual or locally recurrent gastric lesion after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is often difficult due to submucosal fibr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 local recurrence of gastric lesions and the results of re-EMR.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245 patients with adenoma or early gastric cancer (EGC) treated by EMR. The factors related to local recurrence after EMR were analyzed. Ten patients with local recurrences after complete resection were treated with re-EMR and analyzed. Results: The mean size of the re-EMR lesions was 15.1 mm (5∼30 mm). S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and three were treated with conventional EMR. En bloc resection was performed in eight patients (80%) and complete resection was performed in nine patients (90%). Bleeding was a complication of re-EMR in five patients (50%). There was no recurrent lesion after re-EMR in nine patients over a mean follow-up duration of 14.7 months. The local recurrenc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tumor was resected piecemeal (p<0.001). Conclusions: Local recurrences occurred more frequently when the tumors were resected piecemeal. Re-EMR was a possible tool for the treatment of residual or locally recurrent lesions in 90% of the patients. Re-EMR may be the treatment of choice for a locally recurrent lesion after EMR according to the indication.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7;35:6-13)

      • KCI등재

        소장의 치료 내시경

        장현주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9 No.2

        Since the first introduction of double balloon enteroscopy (DBE) in 2001, DBE has been refined for complete exploration of the small bowel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Diagnostic DBE using a model EN-450P5 (Fujinon, Saitama, Japan) equipped with a small accessory channel is mainly used for endoscopic observation and limited therapeutic procedures including injection therapy, argon plasma coagulation and polypectomy. Therapeutic DBE utilizing a model EN-450T5 (Fujinon, Saitama, Japan) equipped with a larger accessory channel was developed for various endoscopic interventions. Recently, new enteroscopic techniques such as single balloon enteroscopy and spiral enteroscopy were introduced. These enteroscopic techniques are all used for the controlled observation, targeted tissue sampling for pathologic evaluation and various therapeutic interventions. The overall complication rate of DBE seems acceptable but that of therapeutic DBE is higher than diagnostic DBE and therapeutic colonoscopies because the small intestinal wall is much thinner than other intestinal wall. This review provides an overview concerning therapeutic interventions of DBE. DBE는 전 소장을 관찰할 뿐만 아니라, 조직 생검을 비롯한 다양한 치료 내시경 시술이 가능하여 단 시간 내에 소장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소장의 치료 내시경 시술 분야에서 초기의 진단용 DBE는 지혈술, 용종 절제술 등 몇 가지 술기만 가능하였으나, 겸자공이 큰 치료용 DBE가 개발되면서 위 또는 대장내시경에서 적용하는 대부분의 치료내시경 시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소장의 치료 내시경 시술은 장시간의 시술시간과 시술자의 물리적인 노력이 많이 필요하며, 치료내시경 시술의 장기 치료 성적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종설은 소장의 치료내시경 시술 경험을 바탕으로 문헌고찰과 함께, 소장의 치료내시경 시술들과 주의할 점을 살펴서 정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