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양극성 장애 환자의 첫 삽화에 따른 임상적 특징

        김윤기,이은,전덕인,유빈,석정호,조현상,김세주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7 신경정신의학 Vol.46 No.4

        Objectives : It has been reported that first episode polarity affected the course and the prognosis ofbipolar disorder. However, there is remarkable paucity of infbrmation regarding first episode polarity in bipolar disorder.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first episode polarity of bipolar patients who had been hospitalized. Methods : Analyses were based on the medical documents of 520 bipolar patients who had been hospitalized in 4 hospitals. We examined clinical features of the current episode, demographics, Past treatment history, suicidal attempt history, family history and comorbidhy.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between manic onset and depressive onset patients.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6.7 years old : they had 2.1 number of admission history and 6.6 years of illness duration. The patients beginning with depressive onset was 39.4%, and they had more diagnosis of bipolar II disorder, more number of suicidal attempts and reported more depressive mood during index admission than manic onset patients. Conclusion : Depressive onset is a common presentation in bipolar disorder. It is necessary to give more attention to depre-ssive episode in bipolar disorder. Prospective study needs to explore the correlation of first-episode of polarity and course of the illness in the future.

      • WDM 광소자 제작을 위한 S-Bend형 방향성 결합기 설계에 관한 연구

        라경태,윤중현,김상덕,최현용,김종빈 조선대학교 전자정보통신연구소 2001 電子情報通信硏究所論文誌 Vol.4 No.2

        In this paper, we proposed a waveguide offset-applied S-Bend type directional coupler for reducing loss and complete coupling. Calculation results were gained by effective index method and simulated by beam propagation method. Condition for calculation are as follows.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core and clad is 0.75%, clad index is 1.444, waveguide separation is 3 ㎛, and curvature radious is 10000 ㎛. As results from simulation, 3 dB coupler and full coupling directional coupler have to introduce a waveguide offset 0.25 ㎛ for minimum insertion loss and complete coupling, and we certificated that waveguide offset affected to insertion loss properties. Hence, we found that a directional coupler for wavelength division (de)multiplexing has to introduce a proper waveguide offset.

      • KCI등재후보

        열적 변화를 이용한 실내환경 가스의 분류

        최낙진,심창현,송갑득,주병수,이윤수,이상문,이덕동,허증수 한국센서학회 2002 센서학회지 Vol.11 No.5

        단일 기판위에 온도측정용 Pt 박막과 Pt 히터 그리고 가스 감지를 위하여 순수한 SnO_2 박막과 Pt가 첨가된 SnO_2박막을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제작된 소자는 실내환경가스인 이산화탄소, 프로판 그리고 부탄의 분류에 응용되었다. 동작 온도를 가변하기 위하여 히터의 입력 전압을 사다리꼴로 인가하면서 SnO_2 감지막의 반응특성과 실내환경가스들에 대한 분류여부를 조사하였다. 감지막 반응특성곡선에서 여러 변수들을 추출한 후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PCA)을 통하여 가스 분류 특성을 검증하였다. Two SnO_2 based sensing films(pure SnO_2 and SnO_2/Pt) and a Pt thin film for temperature sensor on an alumina substrate were designed and fabricated for classifying the indoor environmental gases. By controlling the heating power in the shape of trapezoid, unique four sensing response curves created from both SnO_2 film and SnO_2/Pt film. Then, various parameters were extracted from sensing response curves and carried ou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The results confirm that a sensor array with the proposed operating mode was extremely effective in classifying indoor environmental gases such as CO_2, C_3H_8, C_4H_10.

      • KCI등재

        KAERI 부지 주변의 환경선량 측정을 위한 온라인 감마선량 감시시스템

        이정호,박두원,이원윤,이현덕,최용호,김삼랑,홍광희,이창우 대한방사선 방어학회 1994 방사선방어학회지 Vol.19 No.2

        환경감마선량 변동을 감시하기 위해 한국원자력연구소 부지 주변에 온라인 감마선량 감시망을 구성하였다. 모니터링 포스트에 설치된 전리함 검출기에 의해 측정된 자료는 무선전송방식으로 중앙통제소에 전송되어 실시간으로 감시된다. 무선전송 방식은 자료의 전송, 처리 및 자자에 신뢰도가 높고 경제적이었다. 감시시스템은 급격한 선량증가시 조기경보체제와 연결할 수 있게 하였다. On-line gamma monitoring system around KSERI-site was set up to monitor the radiation fluctuations in environment. Data on gamma exposure rates measured by the ionication chamber in the monitoring posts are transmitted to a computer of central control station with radio telemetry transmission and reliable on handing and storing of data. This monitroing system can triger an early warning system in the event of abnormal radiation levels.

      • RISS 인기논문

        수면량과 집중력의 상관관계

        김병우,류지근,박우진,박계원,김미정,임지은,백대현,최재덕,최윤호,이가현,이관,김덕수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2 東國醫學 Vol.9 No.1

        수면, 기억 그리고 학습의 연관성은 실제 매우 복잡하다.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연구결과는 아직 없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평소와는 달리 시험 전날 수면 변화 양상이 집중력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를 이용해 효율적인 수면 관리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동국대 의대 본과 1학년생 중 지원자 30명과 본과 2학년생 10명을 대상으로 평상시 상태와 시험 직후 수면이 부족한 상태에서 각각 K-PES TEST를 실시하여 총 8항목에 걸쳐 암기력, 판단력, 단순반응의 변화정도를 검사하였다. 또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인자들도 파악하였다. 수면량에 대한 부호 숫자 짝짓기(순간 판단력)을 검사한 결과, 인간의 최대 생리학적 기능은 꼭 수면부족에 의해 좌우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수면감소는 피로를 증가시키고, 동기부여를 감소시키나 단, 새로운 사실을 학습하는 데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즉, 수면부족으로 장시간 깨어있는 것은 정확성과 반응성을 떨어뜨린다. 흡연에 대한 부호 숫자 짝짓기(순간 판단력)을 검사한 결과, 니코틴의 수면에 대한 상호관계는 알려지지 않았고, 인간의 감정이나 의식,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고있지만, 장기적은 측면에서 흡연이나 알코올은 인식능력과 무관한 것 같다. 카페인에 대한 숫자 외우기(암기력)검사 결과, 카페인은 spacial selective attention에는 특별한 영향을 주지 않지만 지각과정이나 주의 집중에 큰 효과를 주며, 인간의 의식 수행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 즉 카페인은 활력, 혼란, 피로상태를 변화시키고 visual analog scales에서 휴식상태에 가까운 양상을 나타낸다. 또 48시간 동안 수면을 취하지 않은 사람에게 카페인은 집중력과 장시간의 좋은 기분을 유지하게 하였다. 그러나 규칙적, 비규칙적으로 먹는 사람간에는 인지수행력의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상용자에서는 상당한 내성이 보인다. 수면패턴에 대한 숫자 더하기(순간 판단력)검사 결과, 집중력은 수면패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고, 수면패턴이 바뀌게 되면 순간판단력을 저하시킨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relationship of sleep and attention, and to control sleep effectively. We conducted a K-PES test of 40 medical students. K-PES contains eight elements, for example, simple response, selective response, color pairing, OddEven discrimination, number addition, number-symbol matching, memory, right-tapping, left tapping. Through these, we tested changes of memory, judgement, simple response. And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exclude bias.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s of number-symbol matching test, we know that sleeplessness is not complete responsible for physiologic function for humans. But, decreased sleep increases fatigue and decreases motivation, but no influence on learning new materials. So, long term sleeplessness decreases precision and responsibility. As a results of number-symbol matching test on smoking, a relationship of nicotine and sleep is not certain. A point of view in long term period, smoking and drinking is not related cognition, even if we know that those influence mood, consciousness and cognition. As a results of memory work test on caffeine, caffeine does not influence spacial selective attention, but mainly does perception, attention and consiousness process. Namely caffeine changes energetic activities, chaos, fatigue states and shows resting state in visual analog scales In sleeplessness for 48 hours, caffeine produced attention and good mood for a long time. But, in case of cognitive process no significance shows in regular or irregular diet. Regular diet shows high resistance. As a results of number addition test on sleep patterns, seep patterns influence attention, changes of sleep patterns decrease a moment judgement.

      • KCI등재

        이공계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대학 연구인력의 역량모델 및 교육훈련로드맵 개발

        유덕현 ( Duk Hyun Yoo ),유기원 ( Ki Won Yoo ),김민희 ( Min Hee Kim ),신준석 ( Joon Seok Shin ),김부현 ( Boo Hyun Kim ),윤세훈 ( Sei Hoon Yu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3 HRD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이공계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대학 연구인력의 전문성향상을 위한 역량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량모델과 교육훈련로드맵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이공계 분야에서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대학의 연구인력으로, 연구대상은 석박사 연구인력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직무전문가와 국가연구개발사업 전문가 8명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 수주비 상위 5개 대학에 재학 중인 연구인력 14명을 대상으로 총 2회에 워크숍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결과가 도출되는 시점에서 국가연구개발사업 전문가 4명에게 2회에 걸쳐 자문을 받았다. 한편 본 연구에서 진행된 연구결과는 크게 5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직무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 이공계분야의 역량을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넷째, 교육훈련과정을 도출하고 과정의 내용을 설계하였다. 다섯째, 교육훈련과정의 특징, 난이도, 계속성과 계열성을 고려하여 교육 훈련로드맵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이공계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대학 연구인력의 역량모델 및 교육훈련로드맵은 향후 이들의 역량진단과 평가, 교육요구분석 및 교육훈련을 위한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what core competencies are necessary for the researchers to conduct national R&D projects, and develop a competency model and training roadmap in Sciences and Engineering fiel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students studying for a master or doctoral degree in Sciences and Engineering fields. All of them have some experiences of national R&D projects with their academic advisors. Interviews and workshops were conducted with the selected subjects and professors who also had conducted national R&D projects. Then two workshops were conducted with 14 subjects studying at top five universities in terms of winning research funds from national R&D program. The Professors with experiences of national R&D projects reviewed our data analysis process and resul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five outcomes are as in the following - job analysis on national R&D project, competencies identification by sciences and engineering fields,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training courses and modules design and establishment of training roadmap. The results could not only provide a foundation for diagnosing and assessing researchers` competency, but also become basic standards for training needs analysis and training itself.

      • KCI등재후보

        폐암의 표지자로써 Cyfra 21 - 1 의 유용성

        박현덕(Hyun Duk Park),정현식(Hyun Sik Jeong),박정식(Jeung Sik Park),임성호(Sung Ho Lim),이은정(Eun Jung Lee),윤중원(Jung Won Yun),정수석(Su Suk Jung),신호철(Ho Cheol Shin),이승세(Seung Sei Lee)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2 No.4

        목적 : 폐암에 대한 종양표지자로서는 암태아성 항원 (CEA), 편평세포암 항원 (SCC Ag), 신경원 특이성 에놀라제 (NSE) 등이 있으나 Cyfra 21-1은 최근에 발견된 종양표지자로서 비소세포성 폐암에 민감도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암에서 Cyfra 21-1의 민감도를 알아보고 폐암의 병기와의 관계를 알아 보았다. 대상과 방법 : 환자는 강북삼성병원에 입원하여 조직학적 및 세포병리검사상 확진된 폐암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고 환자의 혈청에서 CEA, SCC Ag, NSE, Cyfra 21-1을 측정하였다. 결과 : 전체 폐암 환자에서 종양표지자의 민감도는 Cyfra 21-1이 51.8%였다. Cyfra 21-1의 양성율은 선암에서 63.2%, 편평세포암에서 54.1%, 소세포암에서 40.0%였고, 소세포암에 비해 선암과 편평세포암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p<0.05) 높게 측정되었다. 병기에 따른 Cyfra 21-1의 민감도는 다른 종양표지자보다 양성율이 높고 T 병기가 진행하면서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고 림프절의 전이와 타장기로의 전이 유무에 따른 Cyfra 21-1의 양성율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선암과 편평세포암에서 병기에 따른 Cyfra 21-1의 평균치는 병소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고 림프절 침범과 타장기로의 전이 유무에 따른 Cyfra 21-1의 농도의 변화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Cyfra 21-1은 폐암에서 기존의 종양표지자와 비교해 볼 때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양성율을 보이며 특히 비세포암에서 선별검사시 기존의 종양표지자와 함께 사용하면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종양의 크기에 따라서 Cyfra 21-1 측정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고 조직학적인 아형에 따라서는 선암의 경우가 편평세포암의 경우보다 높게 나와 다른 기관의 연구와 상의한 결과를 보였다. Background : Cytokeratins are epithelial markers whose expressions are not lost during malignant transformation. The utility of cytokeratin fragment (Cyfra) 21-1, a new tumor marker, was investigated in 110 patients with lung cancer.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confirm sensitivity of Cyfra 21-1 in detecting non-small cell cancer, to assess the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Cyfra 21-1 and disease stage of the lung cancer. Methods : We measured serum levels of four tumor marker (NSE, CEA, SCC Ag, Cyfra 21-1) in 110 patients with lung cancer. The measurement of serum level of Cyfra 21-1 was performed with a cut off value of 3.3 ng/mL. An immunoradiometric assay was used to detect a fragment of the cytokeratin 19. The patie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stage of the disease and tumor type. Results : Overall sensitivity of Cyfra 21-1 was relatively high (51.8%) than others tumor markers. Sensitivity of this marker was especially high for adenocarcinoma (63.2%) and squamous cell carcinoma (54.1%). In contrast, sensitiviy of Cyfra 21-1 was relatively low for small cell lung carcinoma (40.0%). Serum levels of Cyfra 21-1 were higher in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than early stage disease.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Cyfra 21-1 is a sensitive tumor marker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especially adenocarcinoma and also may be a useful adjunctive marker for disease monitoring.(Korean J Med 62:415-421, 2002)

      • 통계청 근무자를 위한 한국판 직무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윤현주(Hyun Ju Yun),윤보현(Bo-Hyun Yoon),정유란(Yu Ran Jeong),임형문(Hyung-Moon Lim),백수정(Soo Jung Baek),오수정(Soo Jung Oh),조성덕(Sung-Duk Jo),최고은(Ko-Eun Choi),정숙인(Suk-In Jung),강다영(Da Yung Kang),시영화(Yung-Hwa Sea),송제헌(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6 사회정신의학 Vol.21 No.2

        목 적 : 본 연구는 통계청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통계청의 직무에 특이적인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방 법 : 호남 지역 통계청에 근무하는 남·여 4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기본으로 하고, 예비연구를 통해 문항이 새롭게 보강된 ‘통계청 근무자를 위한 한국판 직무스트레스 척도’(이하 통계청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단축형 일반건강척도(GHQ-12),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삶의 만족도 척도(SWLS)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통계청 직무스트레스 척도 문항에 대한 내적 일치도, 탐색적 요인분석 및 정신건강관련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모든 분석은 SPSS 21.0을이용하였다. 결 과 : 개발된 척도의 문항 내적 일치도는 우수한 편이었다(Cronbach’s alpha=0.56-0.79). 통계청 직무스트레스 척도의 요인분석 결과 직무특성 및 감정노동, 직무적성 및 만족, 조직문화, 상사리더십, 조직 내 관계, 업무부담, 공정한 대우, 급여 및 복지 등 8개의 요인이 선택되었다. 최종적으로 구성된 통계청 직무스트레스 척도와 정신건강관련 척도와의 상관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5). 결 론 : 본 연구에서 개발된 통계청 직무스트레스 척도는 통계청 업무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어 통계청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 평가 및정신건강 증진에 유용할 것이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Workers (KOSS-NSOW) an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job-specific stress scale. Methods : A total of 480 subjects who were working at the Honam National Statistics Office were included. They completed the preliminary KOSS-NSOW, the 12-item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GHQ-12),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CL-90-R), Satisfaction with the life scale (SWLS). The Data were analyzed for internal consistency, factor structure and correlations using SPSS 21.0 (p<0.05). Results : KOSS-NSOW’s internal consistency using Cronbach’s alpha was superior (Cronbach’s alpha=0.56-0.79). The factor analysis revealed eight-factor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labor, Occupational aptitude and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ulture, Leadership of superior, Relationship in organization, Workload, Fair treatment, Salary and welfare were. A good validity was clearly shown b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KOSS-NSOW and GHQ-12, SCL-90-R, SWLS (p<0.05). Conclusion : This newly developed KOSS-NSOW might be useful instrument for the evaluation of occupational stress in the statistics workers and for improving menta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