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에 대한 연구

        배영권,고대곤 한국정보교육학회 200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2 No.3

        최근 교육현장에서는 사교육비 절감과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복지 효과를 위해 교육 정책적으로 사이버가정학습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시 교육청 산하의 초, 중등학교의 학생, 사이버교사를 상대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해 전반적인 만족도와 효과성은 높은 것으로 들어났으며 보다 효과적인 사이버가정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단위학교 학습을 확대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교사 연수 강화와 사이버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홍보 강화, 다양한 교육정보 및 콘텐츠 제공이 필요하고 커뮤니티, 쪽지, 채팅 등의 다양한 활동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사이버가정학습이 정착되도록 하는데 작은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Recently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is executed throughout the country as a part of educational policies to reduce expenditure on private education and to promote educational welfare for alienated classes. Thu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we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ith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cyber teachers under the ○○ Office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and its effectiveness were found high. In addition, what were required for more effective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were expanding the execution of unit school learning, strengthening teacher training, increasing incentives for cyber teachers, intensifying campaigns for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provid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contents of education, and activating learning activities such as community, message and chatt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steppingstone to the settlement of more effective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 KCI등재

        교육대학원 AI교육과정 개발 탐색

        배영권,유인환,장준혁,김대유,유원진,김우열 한국정보교육학회 202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4 No.5

        지능정보사회의 도래와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이 교육계의 주목을 받으며 교원의 인공지능 대학원 과정 또한 개설, 운영 중이며 올해 신설된 AI교육 대학원의 교육과정은 각 대학의 여건을 고려하여 자 체적으로 편성되어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에서 보다 효과적이고 교육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AI 교육과정이 향후 개발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대학원 AI교육과정은 Backward 설계를 토대로 Bloom의 디지털 텍사노미, Bruner의 나선형 교육과정 구성 원리를 포 함하여 ‘내용영역’, ‘수준’, ‘교수학습방법’ 등 3가지의 요소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제시한 AI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토대로 국내 교육대학원의 AI교육과정이 좀 더 내실화되길 바라며,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 육과정을 수정ㆍ보완하여 초ㆍ중등학교의 AI교육과정 구성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advent of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fostering future talents is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education community, and the AI graduate course for teachers is also being opened and operated. The curriculum of the AI education graduate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this year, is self-contained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each university. Are organized.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so that AI curriculum that can be more effective and enhance educational value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an be developed in the future.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the AI curriculum proposed in this study includes Bloom's digital taxonomy, Bruner's spiral curriculum composition principle, and three elements such as 'content domain', 'level', and 'teacher learning method'. It was intended to consist of. Based on the direction of AI curriculum development suggested in the study, we hope that the AI curriculum of domestic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ill be more substantial, and this framework will be revised and supplemented in the future to be used in the composition of the AI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KCI등재

        STAD 학습모형에 기반한 대학 프로그래밍 수업모형 개발

        배영권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7 교육과학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대학교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한STAD 학습모형에 기반한 프로그래밍 수업모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대학수업에서 프로그래밍 수업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대학의 프로그래밍 수업은 단순한 예제를따라하는 방식이나 프로그래밍의 단순한 형식과 구조를 배우는 등 교육 내용과 방법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프로그래밍 수업모형에서는 프로그래밍 학습경험에 기초한 그룹형성과 동료 교수, 교수자의 지속적인 평가와 피드백을강조하여 모형을 제시하였고 궁극적으로는 제시된 수업모형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업모형을 대학교에서 1학기 동안 적용하여 본 결과 제시된 수업모형이 기존 프로그래밍 수업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purposed to propose a programming instruction model based onSTAD learning model in order to enhance university students’ problem solvingabilities in programming class.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the meanings ofprogramming instruction in university, and examined problems in programminginstruc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existing programminginstruction in university have problems i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following simple exercises, learning simple forms and structures of programming,etc. Thus, we proposed a programming instruction model that forms groups basedon experience in programming learning and emphasizes continuous evaluation andfeedback by peer teaching and teachers,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the modelin enhancing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What is more, when theproposed instruction model was applied to students at University for asemester, it was found helpful to overcome problems in existing programminginstruction.

      • KCI등재

        스토리라인(Storyline)을 활용한 스마트 러닝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배영권,도재춘 한국정보교육학회 2013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7 No.2

        최근 학교 현장에서는 스마트 러닝을 교육 현장에 도입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현장에서의 스마트 러닝 정착과 관련하여 스마트 러닝 콘텐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앱 저작 도구 중 스토리라인을 활용하여 스마트 러닝 콘텐츠를 개발하는 부분에 대하여 연구를 추진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 러닝과 관련하여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스토리라인의 특징과 콘텐츠의 개발 과정을 제시하였으며, 초등학교 정보생활 6학년의 숫자 정렬 부분의 콘텐츠를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교육의 실효성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전통적인 활동 수업과 스마트 러닝 콘텐츠 활용 수업의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평균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즉각적인 피드백과 반복 조작활동 등은 스마트 러닝 콘텐츠의 활용이 학습에 대한 이해, 만족, 흥미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Smart Learning has been introduced in the educational field recently and it has been used in various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is research is focused on smart 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for settlement in the educational field. It has carried forward studying in smart 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using storyline, which is a kind of application authoring tool. We analyz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mart learning and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storyline and the process of content development. Furthermore, we developed the content of digit sorting in Information Life for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applied it to the field to evaluat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experimental results,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activities instruction and instruction using smart learning content was not significant. Nevertheless it has been found the immediate feedback and repeating of activities using smart learning has had positive impacts for understand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interest.

      • KCI등재후보

        컴퓨터 교과교육의 과제와 역할 연구

        배영권,이태욱,김도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6 No.2

        This study attempts to discover the task and role of computer education by understanding the nature of ICT education and computer education. For this, the features of the computer lesson were examined. Also, in order to find suggestions against inattentive and unsystematic problems in learning knowledge, principle, and structure of computers, it was compared to how systematically the scientific knowledge related with information process competence, which was proposed by AAAS of U.S.A.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is reflected in the Korean computer curriculum.I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computer education should be moved in the direction to not only acquire the skill of ICT but also to display and improve high dimensional recognition abilities such as problem solving power, originality, thinking power, decision power, etc., by integrating ICT with the process of problem-solving. Moreover,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that the role of computer education is to cultivate ICP competence and to develop various ICT application methods. Lastly, it suggests a systematization plan to construct computer education content. 본 연구는 ICT 교육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컴퓨터 교과교육에 대한 이해를 통해 컴퓨터 교과교육의 과제와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컴퓨터 교과의 특징을 규명하였으며 컴퓨터에 관한 지식, 원리, 구조의 습득에 소홀하고 체계적이지 못한 문제점에 대한 시사점을 찾기 위해 미국의 AAAS에서 학교급에 따라 제시한 정보처리소양과 관련된 과학적 지식들이 우리나라의 컴퓨터 교육과정에 얼마나 체계적으로 잘 반영되어 있는지 비교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단순히 ICT의 사용 기술의 습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ICT를 문제해결 과정과 통합하여 문제해결력, 창의력, 사고력, 판단력 등 고차원적인 인지적 능력을 발휘하고 신장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컴퓨터교육이 나아가야 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컴퓨터 교과교육의 역할은 ICT 소양 함양과 다양한 ICT활용 방법 개발임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컴퓨터 교육내용 구성의 계열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사칙연산을 이용한 알고리즘 원리 학습 방안

        배영권,문교식 한국정보교육학회 200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2 No.3

        최근에 중시되고 있는 컴퓨터 원리 학습에 대한 교육적 요구에 부응하여,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사칙연산의 과정을 통하여 초등학생의 수준에서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흥미를 갖도록 효과적인 교육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unplugged 방식의 컴퓨터 학습자료를 제작하여 활동을 통해 컴퓨터가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방법을 알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학생들에게 애니메이션 자료를 제작하여 배열과 연결리스트에 의한 수식 표현과 알고리즘에 대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의 교육적 실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OO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 5학년 한 반을 대상으로 논문에서 제시한 교육내용과 방법을 통하여 실험연구를 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컴퓨터의 계산방식과 사람이 계산하는 방식에 있어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로 인해 알고리즘과 자료구조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가 가능하였으며 알고리즘과 자료구조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알고리즘의 원리학습은 눈높이 맞게 제시된다면 초등학생에게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correspondence to the educational demand on study of computer principles that is recently being focused, this study promotes basic understanding on data structure and algorithm at the elementary student level through the process of simple numerical expressions and proposes effective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For this, an unplugged type computer education material was produced to understand the method of the computers for receiving data through activities. Also, we proposed students to create animation data to learn numerical expressions and algorithm through arrangements and linked lists. To examin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is study, an experiment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education content and method to the subject of one class in the fifth-grade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OO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the student learn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calculation method between computers and people; and this enabled basic understanding on algorithm and data structure and presented positive responses to algorithm and data structure. In conclusion, it i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effective education for students if the principle study of algorithm is proposed to proper levels.

      • KCI등재

        3D 프린터를 활용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과 만족도 분석

        배영권,박판우,문교식,유인환,김우열,이효녕,신승기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터를 활용한 STEAM기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효과성과 만족도를 검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3D 프린터를 활용한 차시대체형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상황 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의 학습준거틀을 활용하였고, 초등학교 3∼4학년군 및 5∼6학년군으로 구분하여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험적용 결과 효과성에 대해 ‘흥미’, ‘배려와 소통’, ‘자기주도적 학습’, ‘이공계 진로 선택’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학습자의 만족도를 설문 및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대체로 흥미있다는 응답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기존 수업과 비교하였을 때 여러 과목을 관련지어 배울 수 있고, 만들기와 체험 활동이 많다는 점을 응답하였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STEAM programs using the 3D printer and applied the progra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to draw implications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In order to design the alternative instruction utilizing the 3D printer, we used the learning standards of 'presenting the situation',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experience for the 3rd to 4th grade and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about 'interest', 'care and communication', 'self-directed learning', 'career choice for science and engineering'. As a result of the students’ satisfaction survey,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are interested in general, and that they can learn various subjects in relation to existing the regular classes, and that they have lots of making and experiencing activities.

      • KCI등재후보

        스마트 기기 기반의 학습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배영권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29 No.2

        본 연구는 최근 도입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할 수 있는 학습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로서, 기존의 학습관리시스템과 달리 교수자와 학습자 중심에서 학부모 참여를 유도하는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습관리시스템과 관련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스마트 기기 기반의 학습관리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해 보았다. 이를 통해 시간적·공간적 제약이 없는 학습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함으로써 기존의 교사-학생 위주의 학습관리시스템에서 학부모까지 연계함으로, 교사-학부모-학생의 관계로 학생의 보다 자발적인 학습 참여와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기틀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