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와 취업 스트레스 및 취업불안과의 관계

        조미경 ( Mi Kyoung Cho ),최은지 ( Eun Ji Choi ),이지원 ( Ji Won Lee ),이유나 ( Yu Na Lee ),채지영 ( Ji Young Cha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만족도, 외모관심도, 면접에서의 외모비중, 취업 스트레스, 취업불안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남녀 대학생 각 85명씩, 총 17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모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적 특성에서 종교와 외모관리 여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이것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에 대한 만족정도가 낮고 더 많은 갈등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14)의 결과와 일치하였고,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를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대중매체를 통해 주입된 외모지상주의의 영향이 크며, 외모를 개인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풍조와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결과, 외모만족도가 낮은 여학생에서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된 결과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고, 특히 외모관리여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Song15)과 Mellor 등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외모관심도는 연령이 어릴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 평균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과 다소 일치하지만, Lee18)와 Kim17)에서 나온 결과인 연령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본 연구가 대학교 3, 4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본 연구의 4학년 학생들 중 21%는 간호대 학생으로서 이미 취업을 한 상태이므로, 취업을 위한 외모관심도는 한창 취업불안이 높은 3학년 학생들이 더 높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은 요즘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취업으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고, 그 결과 선배들의 취업 준비와 취업 현황을 지켜보고 있는 하위학년이 취업과 관련 있는 외모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에서는 취업과 관련된 외모관심도가 연령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취업여부가 결정되기 전에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취업불안으로 인해 외모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미취업 학생들과 취업한 선배들 간에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면접에서의 외모비중은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면접관들이 주의 깊게 보는 사항에 관한 설문에서 1위가 외적 이미지가 83%를 차지하고 그 외 입사열정, 인성, 설득력 있는 답변 및 상황대처 능력, 눈 마주침 순으로 나온 연구결과19)와 면접에서의 외모 효과에 대한 내용은 일맥상통하지만,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비교 논문이 없어서 성별과 면접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른 비교는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MBA 면접상황에서 외모의 효과를 실험한 연구에서는 비록 외모가 직접적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외모와 의사소통능력의 상호작용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20)도 있어서 면접자와 피면접자의 면접 평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최근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행동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Suk과 Choi21)에 의하면 취업을 위한 준비행동으로 학생들이 대부분 자격증 획득을, Park과 Ban22)에 의하면 대학생의 절반 이상이 재학 중에 외국어 시험을 준비하고 응시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취업준비행동과 외모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그 관계를 알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외모관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취업을 위해 긍정적인 외적 이미지 확립과 취업에서 필요한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이 취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적 특성에서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었던 결과는 Kim23)의 연구와는 일치하였으나, Suk과 Choi21)의 연구에서는 남학생의 72%가 학교의 위상이 취업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여 취업 스트레스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와 Shin과 Chang24)의 연구에서 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취업 스트레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계열 3학년 학생비율이 높고 4학년 학생의 58%가 취업이 된 상태였기 때문에 취업 스트레스는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Kim23)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일반대학 학생들로 남학생과 4학년 학생 비율이 높았고, 자료수집기간에 취업 준비의 막바지에 있는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취업 스트레스를 보고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3학년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 4학년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학년과 성별 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인 여학생은 전수가 간호대 학생이었고, 남학생의 경우는 간호대학생과 다른 학과 학생이 섞여 있음으로 여학생에서는 선배들의 취업준비와 결과를 지켜보면서 얼마 남지 않은 취업준비기간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남학생에서는 대부분이 간호학과가 아닌 다른 보건계열 학생들로서 본격적인 취업준비기간이 아니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결과, 취업불안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외모관리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여학생에서는 3학년이, 남학생에서는 4학년이 취업불안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Kim과 Choi25)의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학년에 비해 4학년에서 취업불안을 더 많이 느낀다는 결과와 다소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취업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학생의 취업불안이 전체 평균 66.51±23.22, 남학생이 70.19±21.80로 남학생의 취업불안의 평균이 높았던 것에 반해 남자보다 여자가 취업불안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결과26)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하였듯, 여학생의 경우가 남학생보다 취업이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취업불안, 우울, 자살생각을 본 연구25)에서 같은 척도로 측정된 취업불안의 평균이 평균 75.6±22.4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의 취업불안이 조금 낮은 평균을 보여주고 있는 데, 이는 연구대상자들이 보건계열학과의 학생들로 비교적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취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취업불안이 약간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업여부에 따라 취업한 학생들에 비해 미취업 학생들이 취업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 전에 취업불안이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 취업 불안이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에서는 외모 관심도가 높을수록, 여학생에게서는 면접 시 외모비중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취업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녀 대학생의 취업 불안에 외모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취업에 있어 면접 시 외모에 대한 평가로 취업유무가 좌우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Shin27)의 연구에서 면접관이 지원자의 용모를 면접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외모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취업 스트레스로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Cho28)의 비서전공자 대상의 취업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에서 졸업생들이 취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중요도의 순서는 인성, 자격증 순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외국어, 학력, 외모는 동일한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Yang 등29)의 지원자와 면접관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승무원 채용을 위한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에서 승무원 채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양한 면접관과 다양한 면접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채용과정에서 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항공사별 승무원 채용 기준으로 단정한 이미지와 용모를 인재 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취업면접시의 이미지가 면접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현상4-7,27-29)에 따라 취업불안과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사람들은 취업 면접 시 취업하기 위한 기관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므로 취업기관별 어떠한 이미지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cern regarding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the influence appearance has on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under the ever-increasing pressure on students to secure employment so that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an be provided to undergraduat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0 third and fourth year undergraduates in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31st to September 6th, 2012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gend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ile concerns regarding appearance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2. For the concerns in appea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Stress and anxiety from job-seek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but there were common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der and grades, gender and employ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3.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job-seeking stress a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nd in female students who placed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Conclusion: As female students perceived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s important more than male student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while male students who showe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ls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job-seeking. A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stress was also higher according to the entire participants, based on this result, methods to decrease job-seeking anxiety should be suggested.

      • KCI등재

        부산·울산·경남지역 직업병 감시체계

        김정일,김병권,김정원,채창호,이철호,강동묵,김지홍,김진하,김영욱,이영하,이지호,김정호,윤형렬,유철인,정백근,장태원,김운규,윤동영,강진욱,김종은,안진홍,이동준,장준호,이광영,송혜란,최영희,이용환,조병만,최홍렬,고상백,김은아,이유진,홍영습,정갑열,김정만,김준연 大韓産業醫學會 2004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6 No.1

        Objective: Occupational medicine specialists in the Busan, Ulsan and Kyung-Nam areas established an area-based occupational disease surveillance system and used this system to collected case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ccupational diseases Methods: l l hospital participated in this system. The authors selected five main diseases, which were hand-arm vibration syndrome (HAV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WRMSD), occupational asthma, occupational skin disease and occupational and occupational lung cancer and established their case definitions. All cases were reported on the web, and real time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Between April 2001 and April 2003, 192 cases of HAVS, 118 cases of WRMSD, 33 cases of occupational asthma, 17 cases of occupational skin disease and 17 cases of occupational lung cancer (for a total of 377 cases of these five main diseases) were reported. most of the HAVS cases came from shipbuilding, and 172 of them (92.7%) were associated with grinding. Of the four main types of WRMSD, carpal tunnel syndrome (CTS) was the most prevalent with 46 cases and shipbuilding was also the main industry involved (83.9%). The ergonomic risk factors involved mainly associated with the hand. In 19 (57.6%) and 4 (12.1%) cases of occupational asthma, the agents involved. The causative agents of occupational lung cancer included Cr, welding fume, PAH, Ni, etc. 10(58.8%) of the cases were diagnosed as squamous cell carcinoma and 5(29.4%) as adenoma. Conclusion: This result showed that an area-based occupational disease surveillance system might provide an effective method of evaluating the prevalence of such diseases, however the Busan, Ulsan and Kyung-Nam provinces are too large to be treated as individual areas. Therefore, the authors suggest that each province should establish its own surveillance system.

      • 광주전남지역 정상 신생아의 코의 형태와 계측치에 대한 연구

        이유진,양정열,이승찬,천지선,박상기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2003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8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Cleft lip and palate are common defects in congenital deformity. They are the most frequent deformity in the face. Nose deformity is most common among various facial deformity at the center of face. So we must operate to correct the deformity at the earliest stage to give a patient and parent spiritual relief from anxiety, and it is the trend of the treatment recently. We must know the facial anthropometry in newborn to try at the early stage, but there is a lack of literature and research on newborns. So we carried out this research to form base data for operations. Materials and Methods : The noses of 90 newborns in Gwangju-Cheonnam area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based on 10 nasal measuring points and 13 anthropometric values taken directly from the face of newbor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sal measurements were studied in 11 proportion indices. Results : Following are our mean values in newborn. Width of the nasal root was 13. 9mm. Width of the nose was 22. lrnm, Width of the columella was 4. 5mm. Height of the nose was 22.6mm. Length of the nasal bridge was 20.1mm. Nasal tip protrusion was 8.9mm. Width of the nostril floor was 6.4mm. Thickness of the nasal ala and length of the nasal ala were 4.0mm, 15.4mm. Length of the columella was 3.9mm. The most common nostril shape was Type II (0-45 degrees in inclination of the nostril axis from the horizontal). Nasal index was 97.8. Columella-nasal tip protrusion length index was 43.9. Conclusion : The development of the columella was relatively incomplete in the case of newborn and was the result to appear. The normal indicies could be used clinically in identifying the it's normality as well as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craniofacial structures. They also could be used in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the morphologically similar congenital craniofacial anomalies. In preoperative design, in setting the criteria of the postoperative results, and assessing the effect of the operation, Finally, they supply the plastic surgeon and the other specialists in the craniofacial surgery with basic normal population data.

      • 석탄 비산재로부터 제올라이트의 합성 및 중금속 흡착능 평가

        이창훈,유지호,신형상,정일래 서울産業大學校 2005 논문집 Vol.54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영동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석탄 비산재(coal fly ash)로부터 KOH 용액을 사용한 수열반응을 통하여 제올라이트를 합성하고 중금속 흡착능을 평가하였다. 수열 합성 실험은 일정온도 조건 (100 ℃)에서 알칼리농도([KOH]:1 ~ 4 N), 고액비(S/L: 1/2 ~ 1/20 g/cm³) 및 반응시간 (1 ~ 96 hrs) 등의 합성조건을 달리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KOH] = 3 ~ 4 N, 고액비(S:L) = 1:5 ~ 1:10, 반응시간 48 ~ 96 hr에서 200 ~ 240meq/100g의 CEC 값을 가진 제올라이트 생성물을 얻었다. XRD 분석결과 주요 결정상은 K-Chabazite이었으며 약 40%의 결정도를 보였다. 혼합 중금속(Cu, Cd, Cr, Pb)용액 (개별 중금속 농도 100mg/L, pH 5.0)을 대상으로 한 제올라이트 생성물의 중금속 흡착능르 평가한 결과, 제올라이트 첨가량 3g/200ml 이상에서 모든 중금속에 대하여 95% 이상의 제거율을 보였으며, 타 흡착제(천연제올라이트, 상업용 이온교환수지 등)와의 비교에서도 우수한 흡착능을 보였다.

      •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 스테로이드 유발성 골다공증의 관리 상태에 대한 분석

        유민아,이지수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2005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8 No.1

        Objectives : To examine the management status of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RA) taking glucocorticoids treated at a tertiary hospital rheumatology Practice. Methods :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on 114 RA patients who were noted to be taking glucocorticoids during the period of 2000.7 to 2003.7, and who had been followed up for at least one year period. Use of bone densitometry and use of prescription medication for osteoporosis management were assessed. Results : Thirty one % of patients underwent bone densitometry, and 34% of patients received prescription medication for osteoporosis management. Sixty-six percent of patents who underwent bone densitometry showed osteoporosis with T score of less than 2.5, Osteoporosis medication was prescribed most often in the prednisolone exposure group of at least 7.5㎎/d for at least 6 months. Factors associated with not receiving management for osteoporosis included male sex, young age, and premenopausal woman. Conclusion : The use of bone densitometry and prescription medication for osteoporosis were suboptimal. Interventions to improve detection and prevention of glucocorticoid induced osteoporosis are necessary.

      • 통계적 실험계획에 의한 PECVD로 증착된 실리콘 산화막의 특성 분석

        李晟準,金洸範,崔鑛泉,漢秀一,尹知原,金劉邏,朴宰賢,洪尙眞 명지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6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5 No.-

        According as the current needs of low temperature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PECVD using low temperature and high deposition rate is becoming more of a concern. However, PECVD equipment has the defect possibility on the interface between substrates and gate oxide layer, because ions or electrons with much high energy clash the interface. In this study, we embarked on the experiment with Statistical Design of Experiment and then also analyze which parameters influence on the characteristic of silicon dioxide filems. We finally made a constructive proposal for process optimization conditions.

      • 역행성 심정지 도관 삽입을 위한 술 중 경식도심초음파의 유용성

        유미숙;최원주;김정원;박장수;김경태;김지연;어상일 인제대학교 2011 仁濟醫學 Vol.32 No.-

        Background: Retrograde cardioplegia catheter (RCC) insertion is one of methods for administration of cardioplegics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CPB). However its success rate depends on only surgeon's experience. We thought the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TEE) can guide the R CC insertion, because TEE is commonly used for monitoring status of heart during cardiac surgery.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RC C insertion time by TEE guidance versus conventional method without T EE guidance. Methods: Sixty patients who were scheduled to undergo electiv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were divided into groups as follows: group T [RCC insertion into coronary sinus (CS) by TEE guidance, n=30] and group C [RCC insertion into CS by conventional method, n=30]. We recorded the time of insertion of RCC in to CS in two groups. RCC insertion was done by TEE guidance in case that time was over two minutes by conventional methods in group C. Results: The overall time of RCC insertion into CS was 63.8 ± 23.6 seconds in the Group T and 102.3 ±55.7 seconds in the Group C, respectively (p=0.001). There were no complications during RCC into CS by T EE guidance. Conclusions: TEE guidance for RCC insertion into CS is shorten the time of insertion.

      • 저소득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 관련요인

        강지연,전만중,유병철,이용환 고신대학교의과대학 2008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3 No.4

        Background : To access the influential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in low-income and living alone old people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estranged elderly. Method :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during the period from June 2007 till September 2007. Investigation subjects were 152 elderly people registered in two welfare centers in Busan. We measured life satisfaction of low-income and living alone old people and analyzed with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dummy variab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ver 12.0k) program. Result : The mean score of life satisfaction in low-income and living alone old people was 2.52 ± 0.56. Life satisfaction in low-income and living alone old people was relatively high in groups of 65-69 years old, elementary school graduates, subjectively healthy, exercise, hobby or leasure activity, regular repast, 3 times repast per day and incom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in low-income and living alone old people was influenced by age, religion, satisfaction of incom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and regular repast. Conclusion : From the result, we can concluded that life satisfaction in low-income and living alone old people was low and influenced by various social and economic factors. Therefore, methods for improving life satisfaction level of low income and living alone old people are required for discerning our society's equality and healthiness.

      • KCI등재

        대학생 복식 현상에 나타난 상징성 연구

        이성희,유지현,한명숙 服飾文化學會 1994 服飾文化硏究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assification and meaning of symbols, of the clothes of the college students by sex-roll theory and identity theory. The clothe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photographs which were taken in the campus (240 out of 1,000 pictures) of the sev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Seoul form fall in 1993 to summer in 199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nalysis as a symbol of sexuality. The phenomenon of the visual inconsistency and consistency of sexual image in dress were showed simultaneously. The clothes of male students were generally becoming feminine style in materials and colors of clothes. These suggested that sex-roll theory be applied to their clothes. 2. Analysis as symbols of identification or individuality. The identification of shoes, bags, accessories, and hair styles were prominent than that of clothes. When it was analyzed as a symbol of individuality, the college students seemed to act as fashion leaders, who accepted new fashions and tried them on first. Theses suggested that Erikson's theory on identity be applied to their clothes. 3. Analysis as a symbol of emblem. The dissimilarities of between the college students and other groups in the same generation were bright and casual attire with files, books, and sack. 4. Analysis as a symbol of campus ceremony. The clothes of college students on campus ceremonies were more casual and flexible than those of other groups in the same generation. It was known that the symbols showed above were reflected on their clothes as "one's expressions" which are sex-roll,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