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Multi-Center Educational Research Regarding Breastfeeding for Pediatrics Residents in Korea

        Yong Sung Choi,정성훈,김은선,Eun Sun Kim,Eunhee Lee,Euiseok Jung,So-Yeon Lee,이우령,Hye Sun Yoon,Yong Joo Kim,Ji Kyoung Park,Son Moon Shin,Ellen Ai-Rhan Kim 대한신생아학회 2022 Neonatal medicine Vol.29 No.1

        Purpose: Pediatricians have a significant responsibility to educate mothers about the importance of breastfeeding. However, there have been minimal efforts in the courses of resident training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nge in knowledge and attitude before and after a 4-week breastfeeding educational intervention among multicenter residents. Methods: Prospective interventional educational research was designed for residents at eight training hospitals in Korea. Institutional reviews were obtained in each hospital. The education curriculum consisted of 14 courses regarding breastfeeding theory and practice. These materials were used to teach pediatric residents for 4 weeks. Knowledge-based tests were administered before the course, and re-tests were administered after the course using different test items of similar levels. Test scores and survey response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A total of 73 residents (1st year 20, 2nd year 23, 3rd year 16, and 4th year residents 14) from eight training hospitals completed the intervention. Their average age was 30.3±2.9 years, 17 (23.3%) were male, 22 (30.1%) were married, and eight had more than one child of their own. The mean pre-test score was 61.8±13.4 and the mean post-test score was 78.3±7.5 (P<0.001). The inter-grade difference in the score was significant in the pre-test (P=0.005), but not significant in the post-test (P=0.155). There were more responses of obtaining confidence after the intervention (P<0.001). Conclusion: In our study, pediatric residents showed improvement in their knowledge and confidence level after 4 weeks of the breastfeeding curriculum. This will provide a basis for future policymaking in the training of pediatric residents regarding breastfeedReceived: 6 January 2022 Revised: 15 February 2022 Accepted: 15 February 2022 Correspondence to: Ellen Ai-Rhan Kim, MD Department of Pediatrics,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88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3390 Fax: +82-2-3010-6978 E-mail: arkim@amc.seoul.kr A Multi-Center Educational Research Regarding Breastfeeding for Pediatrics Residents in Korea Yong-Sung Choi, MD,PhD1, Sung-Hoon Chung, MD, PhD2, Eun Sun Kim, MD, PhD3, Eun Hee Lee, MD4, Euiseok Jung, MD5, So Yeon Lee, MD, PhD5, Wooryoung Lee, MD6, Hye Sun Yoon, MD, PhD7, Yong Joo Kim, MD, PhD8, Ji Kyoung Park, MD, PhD9, Son Moon Shin, MD, PhD9, and Ellen Ai-Rhan Kim, MD, PhD5 1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2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Seoul, Korea 3Department of Pediatric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huncheon, Korea 4Department of Pediatrics,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Seoul, Korea 5Department of Pediatrics,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6Department of Pediatrics,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Seoul, Korea 7Department of Pediatrics, Nowon Eulji Medical Center, Eulji University, Seoul, Korea 8Department of Pediatrics, Han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Seoul, Korea 9Department of Pediatrics,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Busan, Korea Neonatal Med 2022 February;29(1):28-35 https://doi.org/10.5385/nm.2022.29.1.28 pISSN 2287-9412 . eISSN 2287-9803 Copyright(c) 2022 By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 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Original Article 29 Neonatal Med 2022 February;29(1):28-35 https://doi.org/10.5385/nm.2022.29.1.28 ing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국립공원 내 파충류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PIT(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 tag과 무선추적방법(radio telemetry)의 적용

        이정현 ( Jung Hyun Lee ),이헌주 ( Heon Joo Lee ),라남용 ( Nam Yong Ra ),김자경 ( Ja Kyeong Kim ),엄준호 ( Jun Ho Eom ),박대식 ( Dae Sik Park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9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PIT tag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과 무선추적법(radio telemetry)을 오대산국립공원과 월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파충류에 적용한 후, 이를 평가하여 효과적으로 국립공원 내 파충류 자원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PIT tag은 현재까지 알려진 파충류 개체표시법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2006년 3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오대산국립공원과 월악산국립공원의 조사지역에 출현한 모든 137마리의 뱀류를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무선추적 연구는 월악산국립공원에서 서식하고 있는 황구렁이(Elaphe schrenckii anomala) 2마리를 대상으로 2007년 9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두 곳의 국립공원 지역에서 연구기간 동안 17마리가 재 포획되어 평균 12.40%의 재포획률을 보였으며, 재 포획된 개체들의 자료를 통하여 누룩뱀(Elaphe dione)과 쇠살모사(Gloydius ussuriensis) 성체의 SVL 증가를 성공적으로 확인하였다. 무선추적을 통하여 확인된 황구렁이 수컷의 행동권 면적은 MCP=389,600 m2, Kernel 95%=471,800 m2, 암컷은 MCP=162,500 m2, Kernel 95%=208,700 m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립공원 내에서 보호와 관리가 필요한 종 혹은 멸종위기대상 종인 파충류를 대상으로 PIT tag과 무선추적을 적용한다면 공원 내 파충류의 효율적인 관리 및 보존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o suggest effective ways of the management of reptiles in Korea national parks, we applied PIT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 tag and radio telemetry research methods in the monitoring of reptiles in Odaesan and Woraksan national parks. We implanted PIT tags into 137 snakes (six species) captured in both the national parks between March 2006 and October 2008 and also radio-tracked two Korean rat snakes (Elaphe schrenckii anomala) from September 2007 to November 2008 in the Woraksan national park. Of total 137 snakes which we had inserted the PIT tag, 17 snakes (12.40%) were recaptured. Based on the PIT tag data of the recapture, we successfully obtained the annual growth rate of Korean cat snakes (Elaphe dione) and Red-tongue pit-viper (Gloydius ussuriensis). Home range of the Korean rat snakes based on the data of radio-tracking was estimated as 389,600 m2 (MCP: Minimum convex polygon) and 471,800 m2 (Kernel 95%) for males and 162,500m2 and 208,700m2 for fema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f we apply PIT tag and radio telemetry research methods to manage reptiles in Korea national parks, it could greatly increase our understanding about their basic ecology and as the result, it could allow us to develop bette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ways of reptiles in Korea national parks.

      • 발달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인식 및 학업성취 실태조사

        박성우,김용욱,김은숙,이대식,우정한,정주영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13

        오늘 날 장애 학생들의 학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로의 질적 통합이 강조됨에 따라 지식과 기능의 양자 모두를 동시에 고려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으나, 기능 습득에 대한 관심에 비해 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직ㆍ간접적으로 평가하는 데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미온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 다행히 지난 3년간 국립특수교육원에서는 시각장애와 청각장애 및 지체부자유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관련된 검사 조정방법이나 이와 관련된 변인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장애학생들의 학습권과 평가 기회의 공정성을 합리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이에 반해 발달 장애학생들의 경우 여전히 평가의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가 모든 장애인들의 학습권과 공평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어떤 이유로든 학생들이 자신의 학업성취도를 점검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하고, 학교 또한 국가의 정책에 부응하여 학생들이 공평하고도 적절한 평가기회나 방법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야할 의무가 있다. 특히 발달장애학생들의 경우 지적인 장애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편적인 평가는 무의미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이런 이유로 이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점검할 수 있는 기회가 박탈되어서는 안 되며, 개인의 욕구와 장애 특성에 따른 다양한 평가 방법이 지속적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본 전제하에 이 연구에서는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관련인들의 인식 수준을 우선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대안적 접근을 위한 연구 설계를 구안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고, 7차 기본교육과정에 대한 발달장애학생들의 수준별 단계에 따른 학업성취 수준을 점검함으로써 협의로는 기존의 서술식 형태의 주관적 평가에서 벗어나 객관적으로 계량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고, 광의로는 모든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점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향후 8차 교육과정 개정시 목표 달성도에 따른 과제 난이도를 조정하는데 유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연구는 크게 두 개의 영역으로 즉, 인식조사와 학력성취 실태 조사로 구분되며, 직접적인 상관관계보다는 간접적이고 독립적인 성격을 띄고 있다. 먼저 인식 조사는 다시 발달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일반적 평가 실태와 검사조정 형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참여, 검사조정의 필요성과 결과 기대의 5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국 단위의 초ㆍ중ㆍ고 특수학급과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일반교사 560명, 특수교사 753명, 일반학생 부모 543명, 장애 학생 부모 749명, 일반학생 547명 총 3,152명이 참여하였다. 또한 기본교육과정을 통한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는 전국의 정신지체와 정서장애 특수학교 79개교가 참여하였고, 평가 문항은 7차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의 교과서 체계에 따라 제작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학업성취도 평가실태 발달장애학생들의 일반적인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에 대한 설문분석 결과 먼저 평가 경험에 있어 발달장애학생들에게 부분적 혹은 모든 과정에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선호하는 평가 방법은 관찰에 의한 것으로 매 수업시간 마다 수시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평가시 발달장애학생들의 다양한 반응과 평가 기준의 모호함에 따른 애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교사들의 경우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현재 학급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평가도구의 적합성에도 문제를 제기하였다. 평가 책임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사 및 교과담당 교사를 포함한 협력 팀 접근이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교사보다는 부모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평가에 대한 기술방법은 생활기록부에 서술적 표현이 가장 많았고, 결과는 생활통지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을 뿐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알림장이나 가정통신문의 활용은 상대적으로 빈약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가정과의 협력체제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기는 어려우며, 평가 결과 또한 장애 학생의 독특한 개인차에 따른 해석의 부적절성으로 인해 개인의 교육적 성취 정도를 그다지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검사조정 발달장애학생들의 공평한 평가 기회의 제공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검사조정에 대한 설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제시형태에 있어서는 초등부의 경우 제시형태지시문의 구조화와 특정 단어에 대한 단서 제시가 효과적인 것으로 고려하고 있는데 반해, 중학부와 고등부는 대독을 통한 제시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반응형태에 있어서도 초등부는 오지 선다형을 사지선다형과 같은 반응양식의 조절을 통해 발달장애학생들의 평가반응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보고 있는데 반해 중학부와 고등부의 경우 구두응답(대필)을 통한 평가형태가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검사시간 조정에 있어서도 초등부의 경우 평가시간을 분할하여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난데 반해 중학부와 고등부의 경우 평가의 분할실시보다는 평가 기술에 대한 사전 교수를 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하고 있었고, 검사환경에서도 초등부는 평가도우미의 배치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데 반해 중학부와 고등부의 경우 도우미 배치보다는 독립공간에서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나 과정에 따른 검사조정에 대한 인식이 다소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유의할 점은 연구결과에도 제시한 바 있듯이 검사조정에 대한 반응은 복수응답의 양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몇 가지 하위 영역은 가장 우선순위와는 응답률에서 다소 차이가 나고 있으나, 그다지 확연한 차이로 보기에는 힘들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통계적 유의성을 별도로 검증하지 않는 이상 어떤 검사 조정 방법이 효율적이라고 명백하게 구명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검사조정에 대한 현재의 결과들은 향후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의 유용성을 위한 대안적 평가를 설계하는데 있어 매우중요한 정보원이 될 수 있으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3.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발달장애학생들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집단간 설문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달장애학생들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평가시 필요한 교과로는 국어와 수학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초등부의 경우 교과 외 필요한 영역으로 의사소통능력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는데 반해 중학부와 고등부의 경우 사회성 영역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 과정 모두 평가 시기는 2학기말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고려하고 있었고, 모든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는 것에는 동의 하고 있었으나, 평가활용에 있어서는 과정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초등부와 고등부의 경우 평가 활용을 발달장애학생의 교육수준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보고 있는데 반해 중학부의 경우 성취도 평가의 목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 외에 전 과정 모두 평가 접근 시 일반학교 교육과정과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공통요소를 추출하여 문항을 구성한 뒤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가장 용이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평가 후 공개 정보에 있어서도 학생들의 과목별 흥미도나 선호도에 대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발달장애학생들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있어 대부분의 교사나 부모 및 일반학생들이 그 필요성에 대해 공감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결과를 앞서 논의한 평가의 일반적 실태와 관련지어 종합해 보면 이는 반응확인 형태 즉, 설문지의 특성에서 귀인한 것으로 추론해 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필요성에 대한 응답 결과와 평가의 부적절성, 평가활용, 평가 빈도, 평가의 동등 비교 불가 등을 연관시켜 종합하여 볼 때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필요성에 대한 응답은 응답자의 신념보다는 보편적인 윤리적 측면이 개입되었을 가능성이 맡으며, 따라서 발달장애학생들의 경우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참여에 대한 지속적인 탐색과 더불어 이들 학생들의 공평한 평가 기회의 제공을 위한 여러 가지 대안적 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동시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4. 검사조정의 필요성 발달장애학생들의 검사조정의 필요성에 대한 설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에 상세히 영역별로 기술되어 있듯이 발달장애학생들의 검사조정의 필요성에 있어 전 과정별로 유사한 반응 양식이 나타났다. 다시 말해 과정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검사조정의 공평성과 타당성, 검사조정에 대한 기회제공, IEP내 검사조정 내용의 포함, IEP 회의시 부모와 장애학생 참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검사조정의 결정 주체는 특수교사의 단독 결정보다는 IEP 팀에서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조정된 점수에 대한 편견 또한 그다지 높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정 점수를 일반학생들의 원점수와 함께 비교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대부분 회의적이었고 특히 검사조정과 성취목표와의 일치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발달장애학생들에게 유용한 검사조정의 제공에 대해서는 우호적임을 알 수 있으나, 이러한 결과가 곧 발달장애 학생들의 공평한 평가 기회의 제공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리라 기대하기는 어렵다. 다시 말해 대다수의 교사나 부모 및 일반학생들이 발달장애학생들의 검사조정의 본질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윤리적인 측면에서 피상적으로 동의하고는 있으나, 이러한 검사조정을 통해 나타난 평가 결과에 대해 그다지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발달장애학생들의 개인적 능력을 고려한 보다 실제적 인 접근이 필요함을 반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5. 검사조정을 통한 결과 기대 발달장애학생들의 검사조정을 통해 나타날 수 있는 결과 기대에 대한 설문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사조정의 필요성에 대한 응답 경향과 마찬가지로 검사조정을 통해 나타날 수 있는 결과 기대에 대한 반응 또한 전 과정에 걸쳐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발달장애학생들에게 적절한 검사 방법의 조정을 통해 학생들이 평가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하고, 현재보다 평가에 대한 흥미와 용이성을 통해 좌절감을 극복할 수 있으며, 평가결과나 문제이해력, 문제해결력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가시간의 단축과 더불어 도움 청하기의 빈도 향상으로 인해 평가에 보다 적극적으로 임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또한 높게 나타남으로써 향후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시 검사조정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6. 학업성취 실태 전국의 정서장애 및 정신지체 특수학교 79개교를 대상으로 기본교육과정에 대한 학업성취 실태를 분석한 결과 발달장애학생들이라 할지라도 학년이 올라 갈수록 학업수행능력이 점차적으로 향상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은 지능 외에도 생활연령이나 개인의 학습에 대한 직ㆍ간접적 경험과도 밀접한관계가 있음을 신빙성 있게 지지해주고 있다. 즉, 수행상황 평가의 그래프에서도 쉽게 알 수 있듯이 초등부 저학년과 초등부 고학년, 그리고 중학부와 고등부의 과정별 차이가 매우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초등부 3학년과 초등부 4학년, 초등부 6학년과 중학부 1학년, 중학부 3학년과 고등부 1학년 사이에서 학업성취도의 향상 정도가 동일한 과정내의 학년간 차에 비해 뚜렷하게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성은 발달장애학생들의 생활연령 증가에 따른 경험 기회의 확장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들이 적잖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쉽게 추론해볼 수 있다. 또한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의 경향성을 전체적인 맥락에서 살펴보았을 때 대부분 기본 교육과정에서의 학업성취도의 경향성은 50%정도를 선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학생들의 학업성취 또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향성은 위에서 진술한 바와 같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은 학교 교육 외에도 개인의 외적 환경과 경험의 정도 그리고 적절한 교수의 제공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추론되며, 이에 발달장애학생들이 보다 손쉽게 그리고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과제 제공과 더불어 검사조정 등과 같은 대안적 평가를 통해 기본교육과정에서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재점검할 경우 현재보다 유익한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점검을 위한 체계적인 평가도구조차 제대로 마련되지 않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관찰이나 자작 검사지, 체크리스트, IEP 등을 통해 발달장애학생의 학업 성취도 점검을 위한 현장의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노력과 열정에 비해 그다지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실적으로 발달장애학생 개개인의 학업성취도를 보편적인 입장에서 접근한다는 것이 모순적일 수 있으나 이들이 장차 지역사회에서 동등한 시민권을 가진 성인으로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기능과 학습 중 어느 하나도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접근은 평가 기회의 공평성과 더불어 이들이 장차 성인기 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데 필요한 그리고 개인의 능력에 부합된 최소한의 학업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노력의 일환으로 고려되어야할 것이다. 이에 전술된 내용들을 기초로 하여 향후 발달장애학생들의 효율적인 학업성취도 점검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경우 이미 연구의 제한점에서도 밝혔듯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에 대한 인식과 학력 실태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성은 살펴볼 수 있으나, 이러한 결과들이 장애 개개인의 독특한 교육적 욕구를 반영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기는 어렵다. 특히 발달 장애학생들의 경우 개개인의 능력과 선호가 다르기 때문에 집단 내에서의 성취 정도가 곧 장애 개개인의 성취정도나 기대의 척도가 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연구의 결과는 발달장애학생들의 성취도 점검을 위한 기본 통계자료로서 고려될 때 보다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발달장애학생들에게 평가의 기회를 보다 공정하게 제공해주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평가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 전환이 우선되어야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도 이미 드러나 있듯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해 많은 응답자들이 긍정적인 것으로 고려하고 있는데 반해 평가의 가치에 대해서는 여전히 부정적인 경향이 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물론 발달장애학생 개개인에게 어떤 평가가 유용한지를 명확하게 구명해 주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발달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업성취도 평가 자체에 대해 회의적일 수도 있으나, 보다 중요한 사실은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발달장애학생들의 공평한 평가권은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이를 위해 어떠한 방식으로든 발달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들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점검을 위한 노력은 특정 계층이나 부류에 의해 한정적으로 논의되거나 결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민주주의의 평등권과 인본주의적 철학에 기초하여 국가 차원에서 이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협력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평가의 목적 재정립과 제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평가에 대한 대부분의 인식이 개인간 차를 명료화시키는데 적용되어 왔음을 부인할 수 없으며, 이러한 개인간 차의 분류를 위한 평가는 발달장애학생들에게는 전혀 무익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발달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평가적 접근은 개인내차에 초점을 두고 학생의 능력과 욕구에 근거한 학습기회를 제공해 주는데 그 목적을 두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발달장애학생들의 평가 기회의 공정성을 제공해주기 위해서는 반드시 장애 개인의 능력에 적합한 검사 조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에 어떠한 검사 조정의 제공이 장애 개개인에게 적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더불어 현장에서의 역동적인 실천 또한 협력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어떠한 평가 체제를 적용한다손 치더라도 모든 발달장애학생들의 평가 욕구를 충족시키지는 못하며, 아무리 효과적 인 평가 도구로 판명이 나도 어떤 개인에게는 부적절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발달장애학생들의 경우 기존의 평가 체제로서는 자신들의 학업성취 정도를 긍정적으로 평가 받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따라서 학생들의 평가기회의 공평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평가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경우 비록 그 타당성이나 신뢰도에 있어서는 적지 않는 도전을 받을 수도 있으나, 기존의 기술식 또는 서술적 평가 접근에서 벗어나 교육과정 중심의 평가를 통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계량화하였다는데 그 의미를 부여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발달장애학생들에게도 적절한 평가적 접근이 이루어질 경우 그들의 학업 성취 수준을 누가적으로 점검할 수 있음을 반증하고 있으며, 이에 교육과정 중심 평가 등과 같은 대안적 평가 접근이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대안적 평가의 결과 또한 발달장애 개개인의 독특성을 전적으로 보상하리라 기대하기 힘들지만 어떠한 대안적 평가가 효과적인지를 밝힘으로써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적 접근에 대한 질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차후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대안적 평가를 중심으로 발달장애학생들의 평가적 접근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과 탐색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parents, teachers and peers on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participation in academic achievement tests and to examine the levels of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curriculum achievement tes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erception survey most respon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about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participation in academic achievement tests. However, due to obscurity of test standards, discord between educational achievements, school factors, absence of appropriate tests, assessing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remain still superficial and perfunctory. The respondents presented negative opinion about using general test method for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however, showed positive responses about using modified tes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Second, in the overall context, the tendency of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alls at about 50% of basic curriculum. As they proceed to higher grades their academic achievement also increased.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hat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make improvement in their academic achievement when more accessible and motivating tasks, test modifications, and alternate tests are provided. Through this study perceptions of parents, teachers and peers on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participation in academic achievement tests and the levels of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curriculum achievement tests were investigated.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participation in academic achievement tests should lead to the consideration of accountability on school education and individual student's right to learning. Despite there is no appropriate systematic tests to evaluate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t was found that teachers of the field has been exerting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through observation, teacher made tests, checklists, IEP and so on. There can be contradictions in approaching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general perspectives, however, they need compulsory basic academic ability as well as functional skills in order to live in community as an independent adult citizen. In the same context,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should focus not only on providing th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he tests but also on improving compulsory academic ability appropriate for individual student's ability.

      • 흰쥐 척수 및 등뿌리신경절에서 Tyrosine Hydroxylase 함유구조물의 분포

        박매자,배용철,조희중,김지윤,김용주,김지윤 경북대학교 병원 1998 경북대학교병원의학연구소논문집 Vol.2 No.1

        정상 흰쥐의 각 분절별 척수 및 등뿌리신경절에서 catecholamine 함유구조물의 분포를 알아보고자 tyrosine hydroxylase(TH)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TH 함유신경세포는 목척수분절과 엉치척수분절에서 관찰되었다. 목척수분절의 TH 함유신경세포는 첫째와 둘째 목척수분절에서만 관찰되었으며 신경돌기가 잘 발달된 다각형의 세포인 것으로 보아 이들은 뇌줄기의 TH 함유신경세포군이 목척수분절로 연장된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엉치척수분절에서 관찰되는 대부분의 TH 함유신경세포는 세포돌기가 보이지 않고 세포체부분만 면역염색되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퇴화단계의 세포인 것으로 생각된다. TH 함유신경섬유는 척수의 모든 분절에서 관찰되었으며 이들 TH 함유신경섬유가 각 척수분절의 등뿔보다 배쪽뿔과 중간뿔에서 훨씬 높은 밀도로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catecholamine은 척수에서 체성감각뿐만 아니라 자율신경계 및 운동신경계의 조절에 관여하리라 생각된다. 등뿌리신경절에서 관찰되는 TH 함유신경세포는 척수의 엉치분절에서 관찰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세포돌기가 거의 보이지 않고 세포체부분만 염색되어 보였다. 또한 등뿌리 신경절의 TH 함유신경섬유는 혈관의 벽을 나선형으로 감고 돌아가는 형태로 관찰되었으며 어느 것도 등뿌리신경절의 신경세포와 연관되어 관찰되지는 않았다. 이로 보아 정상 쥐의 등뿌리신경절에서 catecholamine은 신경세포 사이의 신경전달이나 졸절보다는 신경절 내의 혈류조절과 관계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With the aim of gaining more insight into the catecholaminergic system in the nervous system of the rat, we have studied the precis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tyrosine hydroxylase immunoreactive (TH-IR) fibers and soma in the spinal cord and dorsal root ganglion. In the dorsal root ganglion (DRG) TH-IR fibers were observed to run along the vessel wall, spirally and not found in the neural tissue itself. A few TH-IR fibers were found in the spinal nerve, not in the ventral root. Many TH-IR neurons were distributed in the L3, 4, 5, and 6 DRG but none of them were found in the other DRG segments. In the spinal cord, TH-IR fibers have shown sparse distribution all over spinal cord but relatively dense distribution in the ventral hom, intermediolateral column, lamina I of the dorsal horn of the cervical, lumbar, sacral, and coccygeal segment. TH-IR neurons were found in the interrmediolateral column, dorsal gray commissure, dorsal horn of the C1 and C2 segments and S1-4 segments. TH-IR neurons in the cervical segments were polygonal or spindle shaped with well developed processes. In contrast to this, TH-IR neurons in the sacral segments were oval or spindle shaped withe no processes. In conclusion, neurons in the DRG were not influenced by catecholaminergic nervous input. Intrinsic catecholaminergic nervous systems were found in both of spinal cord and DRG.

      • 오원천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대한 연구

        주현수,김진,박종천,정원석,송현철,이용탁,이우범 國立麗水大學校 環境問題硏究所 2004 環境硏究論文集 Vol.6 No.-

        We carried out a study on phytoplankton community at Owon stream, Jeollabukdo, Korea. The author have examined 83 taxa of the phytoplankton from researched area. These were composed of 5 classes, 11 orders, 21 families, 44 genera, 79 species, and 9 varieties. The composition of occurrence species were as follows: green algae are 48.2%, diatoms are 33.7%, blue green algae are 10.8% and etc(7.3%). Dominant species were Chlamydomonas angulosa, Pandorina morum, Coelastrum microporum, Scenedesmus quadricauda, Staurastrum gracile, Melosira varians, Me. italica, Synedra ulna, Sy. acus, Cocconeis placentula, and Cymbella tumida. The standing crops varied from 1,650cells/ℓ to 47,000cells/ℓ. Phytoplankton density of Owon stream were lower about 8.6 times to a 1,531 times than those of other lakes and rivers in Korea. So, to preserve the water quality in Owon stream we have to manage continuously on the nitrogen and phosphorus.

      • 韓國人 學生의 腦機能 優勢(Cerebral Dominance)와 손잡이(Handedness)의 傾向

        박창근,김은희,박매자,배용철,홍해숙,조희중,주강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0 慶北醫大誌 Vol.31 No.4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pecialization of brain functions, the distribution of handednes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erebral dominance and handedness. This was surveyed with the samples of 1,302 Korean boys and girls attending in junior high school and senior high school, residing in Taegu city. In this study, Alfred W. Munzert's questionnaire and Tames Bliss & Joseph Morella's questionnaire were used as the instrument for assessing the thend of cerebral dominance and handednes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Out of the total number of 1,302 examined, 73.7% of them were regarded as right hemisphere dominant type and 12.6% of them were regarded as left hemisphere dominant type. In right hemisphere dominant type, students of junior high school were higher incidence than senior high School. In bilateral and left hemisphere dominant type, students of senior high school were higher incidence than junior high school. In right handers most of them were right hemisphere dominant type. In left handers, most of them were right hemisphere dominant type and the incidence of boys were higher than girls.

      • KCI등재후보

        국내 의료종사자에서 HHV-8의 항체양성률에 대한 연구

        주우철,최용준,박재은,이혜명,이진수,정문현,김수미,문지혜 대한감염학회 2008 감염과 화학요법 Vol.40 No.4

        HHV-8 virus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Kaposi's sarcoma (KS) in HIV seropositive patients and its seroprevalence has geographic difference, In South Korea, incidence of KS is low not only in general population but also in HIV patient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It is speculated that low seroprevalence of HHV-8 has contributed to the low incidence of KS in South Korea. We examined the seroprevalence of anti HHV-8 IgG of HIV seronegative health care workers in one University hospital.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was used for diagnosis. One person (0.6% 1/164) was seropositive, six were equivocal (3.7%,6/164) and 157 people were seronegative (95.73%, 157/164). This study revealed that seroprevalence of HHV-8 in general population was. low in South Kore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b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low HHV-8 seroprevalence in Korea.

      • 디지탈 영상처리를 위한 데이타 취득 시스템에 관한 연구

        박규태,진용옥,김장복,박명구,신태민,김한주 연세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83 논문집 Vol.15 No.2

        A computer vision system for recognition and processing any visible objects is designed. Analog video images are digitized and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of a microcomputer system and these digitized data are output through a bit-image printer. The kirsch edge operator is used for the processing. In order to compare the result of Kirsch edge enhancement, two images "a Man" and "a figure" are tested.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he speed of A/D converter and the capacity of internal memory, the operation of the system is a still-picture mode. Upper 4 bit date of the memory are used for printing out the image, so as to the gray levels are sixteen. The output size of the bit-image printer is 120x120, and 2 horizontal lines are printed simultaneously per 1 carriage return because the printer has a 8 pin head. The system is designed to have compatibility with any microcomputer system which has a S-100 bus structure.

      • 一部 産業場 勤勞者의 安全 및 保健에 關한 KAP 硏究

        朴龍周,車喆煥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1980 고려대 의대 잡지 Vol.17 No.3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references for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health education programme for the workers,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survey was carried out on 1,220 workers of some manufacturing industries in UI San, Po Hang and Goo Mi Industrial Coplexes. It was revealed by the majority of sampled workers that their attitude concerning with health behaviors in working environment was strongly positive. They also showed their strong will to be participated in maintaining safe working processes. The effect of health education including safety was remarkable for positive attitude and knowledge refreshment on the prevention of occupation-related accidents and diseases. No objection was found for the continuation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