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읽기장애학생의 읽기 특성 연구: 읽기장애의 유형, 읽기 오류 유형 및 글 이해력 분석

        우정한,김상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1 No.3

        읽기는 텍스트를 해독하고 이해하여 사고를 확장시키는 행위로, 읽기장애학생은 이러한 읽기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읽기장애학생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이들의 읽기 어려움 기초한 효과적인 교육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읽기장애의 세부적인 읽기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8명의 초등학교 읽기장애학생 그리고 읽기장애와의 비교를 위해 28명의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읽기진단검사를 통해 읽기능력 수준, 읽기장애의 유형, 읽기오류 유형 및 글의 이해력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 첫째, 읽기능력 수준에서 읽기장애학생이 일반학생에 비해 매우 낮았으며, 읽기장애학생은 4개의 하위 읽기영역에서 대개 좌절적 읽기수준을 보였다. 읽기장애의 유형은 난독증과 혼재읽기장애가 42.9%씩 같은 비율로 나타났고, 특정이해결함과 비특정읽기장애도 있었다. 둘째, 읽기 오류에서는 읽기장애학생이 일반학생보다 10배 이상으로 많았고, 오류 유형에서는 대치오류가 가장 많았다. 셋째, 글의 이해력에서는 읽기이해와 듣기이해 모두에서 읽기장애학생의 수행이 일반학생보다 낮았고, 하위 문항에서는 기억 문항의 정반응율이 이해, 추측 등의 문항보다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읽기장애학생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in reading. So to diagnose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correctly and to provide special education service based on their difficulties in reading is necessar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know reading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such as reading disability type, reading miscue type and text comprehension ability. For this study, 28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28 general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were employed and tested by Reading Diagnosi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ading ability level of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was frustration level in reading accuracy, reading comprehension, listening comprehension and word identification. The reading disability type of most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was dyslexia and mixed reading disability. Second, the number of reading miscue of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was higher than general students and substitution type was most many in reading miscue type. Third, the text comprehension ability of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was lower than general students and a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memory question was most high in sub-questions. Based on this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teaching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에 대한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 비교

        우정한,윤광보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08 시각장애연구 Vol.24 No.3

        To accomplish intended goals of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system,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should be harmonio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ecognition of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roles betwee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For this study, 100 teachers and 146 paraprofessionals were employed and researched by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most important role of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teachers recognized teachingㆍlearning support but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recognized disabled students' needs support. Second, in the most difficult role of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teachers recognized psychological burden about open classes but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recognized disabled students' support itself. Third, in the improvement on roles of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teachers recognized strengthening in-service education, clear roles and cooperation with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but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recognized better recognition and treatment. Based on this results, discussion were provided for better implementation of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system. 특수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특수교육보조원 제도가 의도한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간의 관계가 원만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 수행에 대한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을 보다 심층적으로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교사 100명과 특수교육보조원 146명을 대상으로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 수행에서 중요한 역할, 어려운 점, 개선점에 대하여 자유기술형 질문지와 심층면담을 통하여 인식을 알아보았다. 특수교육보조원의 가장 중요한 역할로 교사는 교수·학습지원, 특수교육보조원은 개인욕구지원으로 나타났고, 가장 어려운 점으로 교사는 수업공개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특수교육보조원은 장애학생지원 역할 수행 자체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개선점으로 교사는 교육당국, 학교, 교사의 측면에서 응답하였고, 특수교육보조원은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역할·처우개선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보조원 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난독증 학생 지원 요구에 대한 이해관계자 집단 간 비교 분석

        우정한,김요섭,김윤옥,강옥려,김소희,허승준 한국학습장애학회 2016 학습장애연구 Vol.13 No.1

        In order to provide more appropriate educational services for students with dyslexia having severe difficulty in reading, it is necessary to survey and analyze their needs, and then to establish proper educational polici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urveyed 141 persons including teachers, education administrators, parents, and specialists who relate directly or indirectly to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yslexia. The survey was composed of three categories and forty-five items including some items for each responding group. The items that every respondents responded included dyslexia student's characteristics, teaching and learning, and support from laws and system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serious problem was lack of specialists teaching students with dyslexia in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area, supply of educational materials required in teaching and learning area for students with dyslexia, and the reinforcement for identificat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for support with professional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area of laws and systems. Second, the most needed support was phonological awareness and decoding to improve reading achievement in the teachers response area. Third, the support needed in a school for children with dyslexia was reading and writing programs in the parents response area. Discussions were provided based on the main results in this study, too. 읽기 학습에 심각한 어려움을 가진 난독증 학생에게 보다 적합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들에게 적합한 교육정책을 수립 및 개선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난독증 학생의 지원에 대한 요구를 조사․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난독증 학생의 교육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는 교사, 교육행정가, 부모 및 전문가 1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공통 응답 문항(학생의 특성, 교수․학습, 법/제도․지원 영역), 교사 응답 문항 및 부모 응답 문항의 3유형, 총 4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첫째, 공통 응답 문항의 난독증 학생 특성 영역에서 난독증 학생의 교육 관련 가장 심각한 문제는 학생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가의 부족이었고, 교수․학습 영역에서 난독증 학생의 학습지도를 위해 우선 필요한 지원사항은 지도자료의 제공이었으며, 법/제도․지원 영역에서 난독증 학생 지원을 위해 가장 필요한 법적 제․개정사항은 학습장애 선정․판별 및 전문적 교수․학습 지원의 강화였다. 둘째, 교사 응답 문항에서 읽기성취도 향상 위해 가장 많은 지원이 필요한 내용은 음운인식 및 해독이었다. 셋째, 부모 응답 문항에서 난독증 자녀를 위해 학교에서 필요한 지원은 읽기, 쓰기 학습프로그램이라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주요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공학 연구동향 분석 : 2005~2014년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우정한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3

        특수교육공학은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습을 촉진하고 수행을 유지, 개선하기 위해 제공되는 공학기기, 교수전략 그리고 관련 서비스에 대한 이론과 실제로, 전반적인 공학의 발전을 수용·활용해 나가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선행연구와의 연속선상에서 특수교육공학의 연구동향을 비교하기 위해 지난 10년간(2005~2014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게재된 특수교육공학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공학, 보조공학, 재활공학 등의 검색어를 사용하여 8개 학술지에 게재된 총 274편의 특수교육공학 관련 논문을 수집 후, 연구 형태, 장애영역, 대상 연령, 종속변인, 주제어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도별 특수교육공학 관련 논문 편수가 선행연구에 이어 전체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연구에 비해 연구 형태 및 종속변인, 대상 연령층이 폭 넓게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로봇과 SNS를 주제로 한 연구가 등장한 것도 새로운 변화 중 하나였다. 이를 통해 특수교육대상자의 특수성을 보완하고 대체하기 위한 특수교육공학의 다양한 연구도 필요하지만 특수교육 장면에서 새롭게 채택, 활용되고 있는 공학기기가 특수교육대상자의 특수한 교육적 목표를 성취하는 데 얼마나 기능적으로 작용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 역시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제언하였다. The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is an important means to complement·replace the distinctiveness of the students who have special education needs. Due to the universality of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there is no choice but to accept the overall technology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on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research, published in scholar articles of special education from 2005 to 2014. Key words are used to collect of research are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assistive technology, rehabilitation technology. A total of 274 papers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research. Through this process, for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research status by year, research form, disability area, age, dependent variables and the key word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nual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papers appeared to be rising overall trend followed in previous studies. Second, research form, dependent variables and study the target age group were studied widely then preceding research. And new studies for robots and the SNS had founded. From the results, various studies of the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to facilitate learning and to improve the performance need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but new technology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ther it would be able to achieve special learning objectives of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 통합교육 효율화를 위한 웹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우정한,김성애,윤광보 국립특수교육원 2005 연구보고서 Vol.- No.12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적절하고 충분한 교사교육이 필요하지만 현재 특수교육 관련 연수기관의 부족과 연수제도 및 시간적인 제약 등으로 인하여 통합교육 실행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위한 연수기회가 부족하고, 프로그램의 제한과 체계성 미흡으로 인하여 통합교육에 대한 효과적인 현직 교사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통합교육에 대한 연수기회의 확대와 참여자의 능동적인 연수 참여를 통한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정통적인 연수 방법과는 다른 접근이 필요한데, 웹(web)을 통한 원격교육이 훌륭한 대안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을 담당하거나 자문할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웹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교사 양성 기관의 교과과정 개발과 현직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라는 두 가지 방향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 내용별 주요 결과를 요약해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의 배경 1)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과 관련한 CEC(2004)의 제안과 UNESCO(2001) 및 독일의 통합교사 양성 교과과정 연구의 기초가 된 Feuser(1982)의 이론 등을 고찰해 본 결과 연구의 주요 차이점은 통합교육의 역학적 비중을 특수교육에 두고 있는가 아니면 일반교육에 두고 있는가에 있다. CEC의 제안은 통합교육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서 특수교사의 질을 강조한다. 즉 특수교사는 일반 교육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가져야 한다고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비해 UNESCO의 입장은 통합 교육을 “모든 아동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All)" 차원에서 강조하면서 통합교육에 종사하는 교사는 모든 학습대상자의 특성과 심리를 파악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어야 하고, 통합교육을 위해서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이중적인 행정체제를 ”하나의 교육“ 안에서 재구성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을 행정적으로 지원하도록 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한다. 그러나 Feuser의 이론적 핵심은 통합교육은 특수교육도 아니지만 일반교육도 아니라는 것이다. 통합교육을 수행하는 교사는 인간의 발달에 근거한 일반적인 교육과 장애를 가진 개인이 갖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식을 필요로 한다고 한다. 이는 통합교육이 모든 아동을 위한 교육에서 모든 아동을 위한 학교로 그 개념이 변해가고 있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볼 때 앞으로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은 단기적으로는 특수교사의 역량 개발에 두어야 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을 포함하는 통합교육을 전담하는 교사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2) 웹기반 가상교육과 교사교육 현직 교사교육으로 통합교육을 포함한 특수교육 관련 연수가 이루어지고 있어 통합교육 및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향상되고 있지만 현행 통합교육에 대한 교원연수 프로그램은 제한된 인원수의 교원만을 대상으로 하면서 대부분 출석제도에 의하여 방학 중에 집중되고 있어 시, 공간적인 제약이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그러나 웹기반의 교사교육은 기존의 단방향 매체 전송과는 달리 고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해 주며, 텍스트, 그래픽, 오디오, 비디오, 애니메이션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요소를 통합함으로써 모든 학습자들에게 접근 가능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과 더불어 웹은 사용의 편리성과 용이성, 그리고 실제성을 가지므로 교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계속교육의 차원에서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웹기반 교사교육이 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웹기반 교육환경의 세 가지 특성인 정보, 상호작용, 동기 등을 반영하여 학습자가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과 평가 등에 관하여 자발적으로 계획, 참여, 결정할 수 있어야 하고, 게시판과 전자우편, 질의응답, 토론 등을 통하여 다자간, 집단내, 일대일 등의 다양한 형태로 상호작용 및 대화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2. 특수교사 양성 대학(원)의 교과과정 개발 국내ㆍ외의 통합교육 및 특수교사 양성 대학(원)의 교과과정에 대한 조사ㆍ분석과 특수교사 양성 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요구조사 결과로 도출된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교과과정 편성ㆍ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기초로 본 연구에서는 교과과정 개발을 대학과 대학원의 교과과정에 포함될 교과를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대학의 교과과정은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에게 공통으로 요구되는 교과목으로 통합교육의 철학적 배경과 관련되는 교과목외 6개의 교과군을 제안하였으며, 특수교사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으로는 국어, 수학, 과학, 사회 등과 같은 일반 핵심 교과목의 교수법외 3개의 교과군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통합학급 교사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으로는 통합학급경영론 외 5개 교과군을 제안하였다. 대학원 차원의 통합교육 전문교사 양성과정의 교과과정에 포함할 교과로는 공통필수과목으로 통합교육의 당위성 및 중요성에 관한 철학적 기초 외 5개 교과를 제안하고, 전공필수교과로 통합 교육에서의 상호작용 외 15개 교과를 제안하였다. 3. 교원 연수기관 통합교육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통화교육 효율화를 위한 웹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월 연수기관의 연수 프로그램 분석과 문헌 연구, 그리고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들의 수행능력 및 요구 조사에 근거하여 웹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과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한 웹기반 통합교육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연수의 목표를 “장애학생 이해 및 통합교육 수행능력의 함양”으로 설정하고,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 및 지식 함양하기,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 및 수행능력 함양하기, 그리고 장애학생의 적응을 우한 생활지도 능력 함양하기 등을 하위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은 특수교육의 이해, 통합교육의 이해와 실천,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ㆍ학습, 생활지도 및 행동중재 등의 네 가지 주제 영역에서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였다.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웹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연수의 목표를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수행능력의 함양”으로 설정하고,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 및 지식 함양하기, 통합교육을 위한 자문 및 실천적 수행능력 함양하기, 장애학생의 적응을 위한 생활지도 능력 함양하기 등을 하위 목표로 설정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이러한 목표에 기초하여 일반교육의 이해, 특수교육의 전문성, 통합교육의 이해와 실천,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ㆍ학습, 그리고 생활지도 및 행동중재 등의 다섯 가지 주제영역에서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였다. For providing effective inclusion service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eparation and quality of inclusion is very important. However, lack of knowledge and competency about inclusio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had difficulty in implementing effective inclusive education in practice. So teachers training curriculum at university and inservice education program are needed for effective i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ggestions for developing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training curriculum at university and to develop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service program for effective inclusion. The method of study to achieve this purpose was as follows. First, literature research on inclusion, curriculum of teacher inservice education agency and web-based education was conducted. Second, investigation research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raining curriculum of Korea, America and European Community, and on competency and needs of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as conducted.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were as follows. First, for effective inclusion, common curriculum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university include subjects such as philosophic foundation of inclusion, theory of inclusion, support of inclusion, teaching and learning of inclusi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clusion, instructional technology of inclusion,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method of inclusion, and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understan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for effective inclusion,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university include subjects such as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method of inclusion, instructional technology of inclusion, management of inclusive class, appling individual education program of inclusion,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understan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mmunity support and inclusion, inclusion and transitional education, inclusion and constructivism, behavior intervention of inclus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multidisciplinary aspects, inclusion and full inclusion, inclusion and accessibility, and discrimination in inclusion. Third, the contents of web-base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program on inclusion was developed through contents analysis, purpose establishment and contents organization, The web-base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program on inclusion was consisted of 4 domains such as understanding special education, understanding inclusion and practice, teaching and learning for inclusion, and guidance and behavior intervention. Fourth, the contents of web-bas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program on inclusion was developed through contents analysis, purpose establishment and contents organization. The web-bas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program on inclusion was consisted of 5 domains such as understanding general education, professionalism on special education, understanding inclusion and practice, teaching and learning for inclusion, and guidance and behavior inter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