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직포 터널 피복이 과채류의 초기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문지혜,정순진,김경미,이재욱,이상미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4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부직포 피복이 과채류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2010년에는 고추, 방울토마토, 가지, 오이, 단호박 등 5종의 과채류 모종을 5월 5일에 정식하고 부직포터널재배를 16일간 한 결과, 과채류 5종 모두 초장,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이 월등히 증가하였다. 고추와 방울토마토의 경우, 엽면적은 105~119%, 생체중은 119~120% 증가하였는데 비해 가지, 수박, 오이, 단호박은 엽면적이 153~162%, 생체중은 160~166% 증가하여 작물 간에 부직포 터널재배 효과의 폭이 달라짐을 알 수있었다. 2011년에는 고추 정식시기별 부직포 피복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4월 20일부터 5월 4일까지 1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포장에 정식하고 1개월간 부직포를 터널 피복하여 재배하였을 때 부직포 피복구의 활착이 월등히 촉진됨을 알 수 있었다. 7월 하순까지 재배하면서 풋고추 수량을 조사한 결과, 4월 20일 정식 시 무피복구의 주당 11개에 비해 부직포 터널구는 49개, 4월 27일 정식 시에는 무피복 35개, 부직포 터널 67개로 풋고추 수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5월 4일 정식 시에는 부직포 피복에 의한 수량 증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5월 4일 무피복과 4월 27일 부직포 재배구를 비교해 볼 때, 전체수량은 4월 27일 부직포 재배구가 5월 4일 무피복구에 비해 20% 정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7월 6일까지의 조기 수량은 무피복 24개, 부직포 터널 36개로 4월 27일 부직포 재배구에서 50% 더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4월 중 ․ 하순경에 풋고추를 정식할 경우에는 정식 후 1개월간 부직포 터널 피복으로 활착과 초기 생육이 촉진되어 전체 수량, 특히 조기 수량이 월등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w cover with non-woven cloth on the growth and yield of fruit vegetables. All five kinds of fruit vegetables such as red pepper, tomato, eggplant, cucumber, and squash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plant height, leaf area, and fresh weight, when they were planted on May 5 and were cultivated under non-wooven fabric tunnel during 26 days. In the case of pepper and tomato, leaf area was increased by 105-119% and fresh weight was increased by 119-120%. Otherwise, in the case of watermelon, cucumber, and pumpkin, leaf area was increased by 153-162%, fresh weight was increased by 160-166% in the non-woven fabric tunnel, which showed that response of growth was varied according to crop species. In 2011, the effect of row cover according to planting dates on pepper growth and yield was investigated. When planting date was set at intervals of one week for three times from April 20 to May 4 and then plants were cultivated under row cover, extent of taking roots was accelerated under row cover. Pepper plants were grown by the end of July and the yield of green peppers had been surveyed. The fruit number per plant was 11 in control and 49 in row cover when seedlings were planted on April 20 and it was 35 in control and 67 in row cover when seedlings were planted on April 27. However, when seedlings were planted on May 4, fruit number was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s. The total yield was rather increased by 20% in row cover with planting date of April 27 comparing to that in control with planting date of May 4. However, until July 6, the early yield was increased by 50% in row cover with 36 fruit number when planted on April 27 comparing to that in control with 24 fruit number when planted on May 4. These results showed that when seedling were planted during middle or late April, row cover for 1 month would be of help to increase total yield especially early yield by promoting root taking and early growth of pepper plants.

      • KCI등재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관계에서 조절초점의 매개역할

        문지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0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relation of regulatory focus between social inhibition and depression. To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from 155 high school students(75 men, 80 women) in two high schools in Busan.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Social Inhibition scale(one of subscales of D type Personality Inventory), regulatory Focus Scale,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CES-D) scale. Basic analysis of the data was on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reliability by using SPSS, and mediation effect was conducted by using PROCESS, developed by Hay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inhibi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evention focus and depression and promotion focu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Second, prevention focus was partially mediated between social inhibition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social inhibition was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depression via prevention focus. This result suggested that designing intervention program for assistance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pression, it would be focused on not only one’s personality traits but also one’s goal orientation. Finally, implication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on these results, and future research was suggested. 본 논문의 목적은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관계가 조절초점(향상초점, 예방초점)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확인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부산에 위치한 두 곳의 고등학교 재학생 155명(남 75, 여 80)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설문지는 D유형 성격척도의 하위 척도인 사회적 위축(social inhibition) 척도 및 조절초점(regulatory focus) 척도, 역학연구우울 척도(CES-D) 등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신뢰도,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은 SPSS 23.0으로 이루어졌고 매개분석은 Hayes의 SPSS macro을 사용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적 위축과 우울, 사회적 위축과 예방초점, 예방초점과 우울은 정적 상관이 유의하였고 향상초점과 우울은 부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둘째, 예방초점만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사회적 위축이 우울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예방초점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는 우울로 고생하는 청소년을 돕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고등학생의 성격특성과 함께 지향하는 목표방향도 고려해야 함을 제안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시사점, 추후 연구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후보

        New records of terrestrial and freshwater ciliates (Protozoa: Ciliophora) from Korea: Brief descriptions with notes

        문지혜,박미현,정재호 국립생물자원관 2017 Journal of species research Vol.0 No.-

        Eight samples, collected from six moss-covered soil and two freshwater samples, were examined to determine ciliate diversity in Korea. Based on the morphology of living and stained specimens, thirteen ciliate species, previously unrecorded in Korea, were identified. These specimens were classified to four classes, seven orders, ten families, and twelve genera. Of these genera, the following six were first records in Korea: Bresslauides, Dexiotricha, Glaucoma, Paragastrostyla, Sathrophilus, and Trithigmostoma. Here, we provide a brief description of the morphology of these 13 taxa along with microphotographs and notes.

      • KCI등재

        소비 공간으로서 카페의 의미 분석 연구

        문지혜,이준영,라선아,김지호,김소연 한국소비문화학회 2019 소비문화연구 Vol.22 No.4

        소비 공간은 소비를 매개로 여러 가지 현상이 나타나는 ‘상품 소비’의 장(場)일 뿐만 아니라 공간에 대한 의미와 해석이 포함된 ‘공간 자체로의 소비’를 동시에 의미한다. 최근 많은 소비 공간들이 심리적인 안정과 편함을 느낄 수 있는 ‘제3의 공간’에 관심을 갖고 있다. 카페는 소비자들에게 집처럼 안락하고 편안한 장소뿐만 아니라 만남의 장소로서 이용되면서 그 역할을 해내고 있다. 카페 공간은 소비자들에게 주관적 요소에 따라 이용되는 공간으로 그 공간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된 카페 사용 연령층인20대 소비자들이 소비 공간인 카페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투사기법을 적용한 심층면접과 이미지 연상법을 실시하였다. 이는 질적 연구와 양적연구를 동시에 진행하는 동시적 통합방법으로 각각의 연구결과는 상호보완적 방식으로 분석되었다. 투사기법을 적용한 심층면접 결과, 카페는 ‘몰입의 공간, 힐링의 공간, 과시의 공간, 모순의 공간’ 4가지로 표현되었다. ‘몰입의 공간’에서는 한정된 장소에서 일과 과제 혹은 사람에 집중 하는 공간으로 나타났다. ‘힐링의 공간’에서는 카페를 안식처로 느끼며 심리적 안정을 느끼는 공간으로 나타났다. ‘과시의 공간’에서는 예쁜 카페를 타인과 공유하며 자신이 알고 있는 공간을 자랑하는 것으로나타났다. ‘모순의 공간’에서는 고독과 교류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이러한 감정을 즐기는 모습이 나타났다. 또한, 이미지 연상법을 통해 공간을 구체적인 이미지로 확인하고, 공간의 의미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카페공간은 휴식의 공간(33,3%), 업무의 공간(17.5%), 만남의 공간(15%), 관찰의 공간(11.3%), 과시의 공간(9.16%), 전환의 공간(6.66%), 자극의 공간(3.75%), 충전의 공간(3.33%) 총 8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소비자들은 카페 공간에 대해 뚜렷한 내면적 인식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카페 공간은 커피 마시는 곳으로만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의도를 가지고 이용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가치와 욕구를 반영하는 차별화된 소비 공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의의를 갖는다. Consumption space not only refers to a place for “product consumption”, where a variety of consumption-related phenomena appear, but also means “consumption of the space itself”, which contains the consumers’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space. Recently, many owners of consumption spaces have expressed interest in a “third space” where consumers can feel psychologically relaxed and comfortable. Coffee shops are playing the role of this third space, as the consumers use the coffee shop as a cozy and comfortable space like home as well as a meeting place. The coffee shop space is a place used by consumers according to subjective rather than objective factor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aning that the coffee shop space possesses. This study examined how consumers in their twenties, who are the major coffee shop users, perceive the consumption space of coffee shops. For this purpose, the study implemented in-depth interviews that applied the projective technique and the image association technique. The study used a simultaneous mixed method design that combin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The results for the projection technique and the image association technique of each study were analyzed in a way that compensated the other.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that used the projective technique showed that the coffee shops were expressed as four spaces: 1) space for immersion, 2) space for healing, 3) space for showing off, and 4) space for contradiction. In a space for immersion, the consumers focused on their work, tasks, or person they were meeting in a restricted space. In a space for healing, consumers regarded the coffee shop as a place to find relief, and they felt psychologically relaxed there. In a space for showing off, the consumers tended to show off their secret places by sharing fancy coffee shops, which only they knew, with others. In a space for contradiction, the consumers felt a contradictory feeling in a space where loneliness and interaction coexist. Through the image association technique, specific images of the space were checked, and the meaning of the space was quantitatively analyzed. The coffee shop space was classified into eight categories of space: 1) space for resting (33.3%), 2) space for work (17.5%), 3) space for meeting (15%), 4) space for observation (11.3%), 5) space for showing off (9.16%), 6) space for switching (6.66%), 7) space for stimulation (3.75%), and 8) space for recharging (3.33%). This study’s results proved that consumers possess clear internal perceptions of the coffee shop space. Furthermore,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coffee shop space is not only perceived as a place for drinking coffee but also is used with diverse inten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oposes implications for the differentiated consumption space that can reflect the consumers’ values and needs.

      • KCI등재

        자기개념 명확성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조절초점과 자기구실전략의 역할

        문지혜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8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indirect effect of regulatory focus by self-concept clarity on college adjustment through self-handicapping strategy. The data were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 from 140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as analysed by correlation, moderation regression, and mediated moderation model by SPSS and SPSS macro, PROCESS (Hayes, 2013).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On moderation regression analysis, moderating effects of promotion focus on self-concept clarity learning adjustment and self-concept clarity and self-handicapping strategy were significant. On the analysis of mediated moderation, the indirect effect of promotion focus by self-concept clarity on learning adjustment through self-handicapping strateg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zero. Finally, Implications for studying the interplay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regulatory focus are discussed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 적응(학업적응, 전공만족, 대인관계 만족)에 대한 자기개념 명확성의 영향이 조절초점에 따라 다르며 이 상호효과가 자기구실전략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지로 수집한 대학생 140명(남 76, 여 51, 무응답 13)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절차는 상관분석과 조절회귀분석, 매개된 조절분석 순으로 이루어졌다. 중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응에 대해 자기개념 명확성의 영향은 향상초점 수준에 따라 달랐다. 둘째, 자기구실전략에 대해 자기개념 명확성의 영향이 향상초점의 수준에 따라 달라졌다. 셋째, 학업적응에 대해 자기개념 명확성과 향상초점의 상호작용 효과는 자기구실전략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개념 명확성이 높고 향상초점수준이 높은 사람이 자기개념 명확성이 높고 향상초점이 낮은 사람에 비해 자기구실전략을 덜 사용함으로써 학업적응 수준이 높았다. 끝으로 본 논문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에서 고려해야 할 점과 논문의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임계 추출 Lard를 이용한 Maillard 반응생성물 유래 육류향미제의 향기패턴 및 관능적 특성

        문지혜,최인욱,최희돈,김윤숙,Moon, Ji-Hye,Choi, In-Wook,Choi, Hee-Don,Kim, Yoon-Sook 한국축산식품학회 2012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2 No.5

        MRP유래 육류 향미제의 향미 증강을 위하여 리보오스와 저 Glu 소맥글루텐 산 가수분해물을 기본 기질로 한 향미 조성물에 온도와 압력 조건별로 추출한 lard SC-$CO_2$ 분획을 첨가하여 향미제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육류 향미제의 SMart nose를 이용한 향기패턴과 관능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향 특성이 우수한 육류 향미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Lard SC-$CO_2$분획 추출시 $4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추출 수율이 증가하지 않았으며, 추출온도를 $40^{\circ}C$로 고정하여 30-60 MPa의 압력에서 추출하였을 때 40 MPa 이상에서 추출효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추출된 lard SC-$CO_2$ 분획들의 SMart nose를 이용한 향기패턴 분석을 실시한 결과, $40^{\circ}C$에서 원료 lard와 30 MPa에서 추출한 lard SC-$CO_2$ 분획의 향기패턴은 40 MPa 이상의 압력에서 추출한 분획들과 구별되었으나 40 MPa 이상의 압력에서 추출한 분획들은 서로 유사한 향기패턴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40 MPa 이상 압력 추출 lard SC-$CO_2$ 분획은 다른 flavor전구체와 반응시켰을 때 다른 전구체들과의 상호반응을 통해 뚜렷한 향기패턴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MRP based 육류향미제의 전체적 기호도는 $40^{\circ}C$, 50 MPa에서 추출한 lard SC-$CO_2$ 분획을 첨가한 MRP based meat flavor과 $40^{\circ}C$, 60 MPa에서 추출한 lard SC-$CO_2$ 분획첨가 MRP based meat flavor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육류 향 증강 MRP based meat flavor의 전구체로 lard를 초임계 추출하기 위한 최적 조건은 $40^{\circ}C$에서 압력을 50 및 60 MPa로 이 조건에서 추출시 높은 경제성과 관능적 우수성이 확보된 육류 향미제 생산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lard fraction extracted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CO_2$) on the flavor enhancement of maillard reaction product (MRP) based meat flavors. MRP based meat flavors were prepared with low glutamic acid (Glu) hydrolyzed wheat gluten (NaCl concentration: 7.61%(w/v)), ribose, cysteine, garlic juice powder, protease-digested Lentinus edodes powder and lard fractions extracted with SC-$CO_2$. Lard was extracted with SC-$CO_2$ at each of three temperatures (40, 60, and $80^{\circ}C$) and at each of four pressures (30, 40, 50, and 60 MPa). Obtained lard SC-$CO_2$ fractions and MRP based meat flavors with those fractions were analyzed for their total yield, aroma pattern by SMart nose system, and sensorial properties. The extraction yield had no difference as temperature increased from $40^{\circ}C$ to $60^{\circ}C$ and even decreased at $80^{\circ}C$. However, increase in pressure level at $40^{\circ}C$ drastically increased the extraction yield. The aroma patterns of raw lard and lard SC-$CO_2$ fractions with 30 MPa were significantly discriminated from those of SC-$CO_2$ lard fractions extracted with higher pressure by SMart nose system. Aroma pattern of MRP based meat flavors with higher pressure extracted lard fractions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rough pattern analysis by the SMart nose system. The MRP based meat flavor with lard SC-$CO_2$ fractions at 50 and 60 MPa were described as less sulfuric, less pungent, and more balanced in roasted meat and sweet attributes from sensory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