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반응시간

        최형식,정범석,김한규,송현주,이재원,김창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5

        연구배경: 주의력은 인지적인 정보처리과정(information processing)의 가장 기본적인 단계이다. 반응시간 (reaction time)은 주의력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검사 중 하나로서, 자극이 제시된 후 반응이 시작되기까지 반응 여부를 결정하는데 걸리는 시간인 판단 시간(decision time)과 반응이 시작되면서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시간인 운동시간(motor time)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기존의 연구결과로는,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반응시간의 수행이 떨어져 있다는 보고는 많이 되어왔으나 차이가 없다는 보고도 있으며, 판단시간과 운동시간 중 어느 부분에 장애가 있는지 명확하지 않다. 또한 반응시간 측정값은 질병의 진단적 유형(diagnostic subtype), 증상, 경과 등의 영향을 받으며 개체간의 변동(inter-individual variation)이 크고, 같은 피험자라도 측정시점이 다를 때마다 차이를 보이는 개체내 변동(intra-individual variation)이 커서 검사결과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는 상태이다. 목적: 환자군은 개체간 변동이 크고 다른 임상적 요소에 의해 영향받는 점을 고려하여, 임상적으로 안정적인 경과에 있는 정신분열병 환자만을 대상으로 정상인 군과 반응시간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반응시간을 판단시간과 운동시간으로 나누어 측정하여 각각을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고, 개체내 변동이 큰점을 고려하여 25회 반복 측정을 실시하고 이에 따른 변동의 경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DSM-Ⅳ에 의해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된 환자로서, 급성기 이후 항정신병약물을 유지하고 있으며BPRS(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30점 이하의 임상적으로 안정적인 상태가 3개월 이상 유지된10명이 환자군으로 포함되었고, 정상인은 자원자 10명이 포함되었다. 검사도구는 비엔나 테스트 시스템 반응유닛(Reation Unit) 파라미터 S8을 이용하였다. 총 6가지의 자극이 무작위로 1측정시기(session) 당 총 32회 주어지고, 피험자는 이중 특정 자극에 8번만 반응하도록 되어 있다. 시작 전 1회 연습 후 총 25측정시기를 5분 간격으로 반복하였다. 반응 시간을 판단시간과 운동시간의 합으로 정의하고 세 가지 모두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동 측정되었다. 반응·판단·운동 시간의 비교에는 반복 측정을 고려한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을 사용하였다. 결과: 환자군은 정상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반응시간의 수행속도가 저하되어 있었다(p<0.01). 판단시간과 운동시간으로 나누어 볼 때, 환자군에서 판단시간이 유의하게 느렸고(p<0.01), 운동시간은 수행저하의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5회 반복측정시 양군 모두 측정시기에 따른 유의한 변화를 보였고(p<0.01), 환자군의 반응시간은 개체간의 차이뿐 아니라 개체내 변동이 큰 경향을 보였다. 옳게 반응한 횟수(correct response)는 환자군에서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고찰: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판단시간이 유의하게 저하된 것은, 반응시간의 저하가 운동요소 보다는 인지적 요소에 의한 것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정보처리과정의 기본적인 단계인 주의력 장애를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비교적 안정적이고 임상적인 특성이 동일한 환자군에서도 반응시간이 대조군에 비해 큰 개체간 차이와 개체내 변동성의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단순한 측정오차라기 보다는 정신분열병 환자군의 인지기능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중심단어:정신분열병·반응시간·판단시간·운동시간·개체간 변동·개체내 변동. The reaction time(RT) has been known to reflect attention that controls the flow of information processing. Extensive research has demonstrated cognitive impairment in schizophr-enia subjects using RT taske. However, little work has been done examining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DT(decision time) and MT(motor time) to slowed RT in schizophrenics. Also, recent investigators have observed that schizophrenic patients exhibit larger intra-individual variability in RT than do normal comparison su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using multi-stimulus convergent RT task, was to explore the speed of RT, relative contribution of decision time(DT) and motor time(MT) to slowed RT, overall sequential profile in 25 repeated-time measurements in 10 schizophrenic out-patients and 10 normal control subjects. Overall reaction time and decision time were slower in schizophrenic subjects than in normal controls. The motor time was not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with 0.05 significance level, although there was some trend indicating schizophrenic subjects were slower consistently in repreated measurements over tim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lower reaction time in schizophrenic subjects was mostly determined by cognitive component, decision time rather than motor time. Sequential profile of repeated measurements showed greater intraindividual and interindividual variations in schizphrenics than in normal contro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igh variabilities are not merely measurement errors but characteristic of schizophrenic psychopathology. KEY WORDS: Schizophrenia·Reaction time·Decision time·Motor time·Inter-individual variation·Intra-individual variation.

      • 국산 체외 충격파 쇄석기의 음향학적 특성 평가

        최민주,이종수,김성삼,조성찬,양형석,손종수,천원기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첨단기술연구소 2001 尖端技術硏究所論文集 Vol.12 No.2

        In the study we measured and evaluated the acoustical property of a domestic spark gap type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ESWL). Altering the discharging medium between the electrodes of the shock wave generator (water, 1% an 10% NaCl electrolyte), we measured shock waveforms and sound pressure level (SPL). For the shock waves produced using the discharging medium, water, it was seen that the shock wave peak pressure went up to 70 MPa, and the SPL was in the range of 90 - 100 dB. As the concentration of NaCl increased in the electrolyte. the SPL did not change much and was shown to increase correlation with the discharging voltage. In the case of the discharging medium. 10% NaCl electrolyte, it was found that the shock amplitudes varied in a narrow range when being high in the concentration of NaCl and were large when being high in discharging voltages. While the stone fragmentation was in process, we measured the acoustic emission and compared their spectral properties.

      • 공시체 크기변화에 따른 풍화토의 전단강도특성

        김형주,최종규 국립7개대학공동논문집간행위원회 2004 공업기술연구 Vol.4 No.-

        A weathered granite soil is a very complex particle composition formed with by weathered justice and it was also spread variety. Thus, it was judged that Specimen it one's so small to rule shear stress by direct shear test. This study's purpose want to exactly know slope stability integer of Weathered Granite Soil compare with natural Quantity and comparative problems according with small sample by small direct shear test in domestic, as collapsed weathered granite soil was happen in Ocsan area, to know sherr strength by specimen size to have the large shear test (300×300mm), (Reformation Shear Test)(D=75mm) and (Direct Shear test)(D=60mm) under same clause. As shear transformation, the large shear test happen binding lord at 0.4kgf/cm², 0.8kgf/cm² in interlocking, it is expanded by dilatancy. But, in shear test of another specimen, particle do cultivation rule to de compression. Such like a Developing, it effect to shear strength so the large shear test show more big one a shear strength. Specimen size is smaller, shear contact face rate down, it relevant with stress error and specimen size bigger, show shear strength up. Therefore, in actual applying, when do execute slope stability grade and design, multiple negotiation do for easy multiple public apply of gravel, send better, and it is known to seem to be idealize, this study is particle to be refer a shear strength as refastening

      • KCI등재

        정신분열병과 Neurotensin 수용체 유전자 다형성의 연합 연구

        이유상,김형배,한진희,채영규,이정식,이혜순,주연호,김형섭,최인근,양병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6

        연구목적: Neurotensin(NT)은 NT수용체와 결합하여 그 효과를 나타내는 neuromodulator 혹은 neurotransmitter로서 대뇌에서 도파민의 분비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근래의 연구에 의하면 NT와 그 수용체는 대뇌에서 항정신병 약물의 효과를 매개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약물치료를 받지 않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뇌척수액에서 NT의 양이 적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들은 정신분열병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NT수용체의 유전자의 3`인접영역에서 정보가치가 높은 4 염기반복 다형성이 발견되어 이를 유전 표지자로 하여 정신분열병과의 연합을 알아보았다. 방 법: 서로 혈연관계에 있지 않은 정신분열병 환자 120명(남자 91명, 여자 29명)과 정상 대조군 106명(남자 84명, 여자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PANSS를 사용하여 양성 및 음성을 알아보았다. 말초혈액에서 DNA를 분리한 후에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사용하여 3`인접영역에 있는 4 염기 반복 다형성을 증폭하였고 silver staining한 후에 유전자형을 관찰하였다. chi-square 검증과 Bonferroni`s correction을 사용하여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간의 대립유전자 빈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양성 및 음성 환자군으로 나누어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 과: 총 23개의 대립유전자가 관찰되었으며, 399bp의 대립유전자(A10)의 빈도가 환자군보다 정상대조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χ²=16.49, df=1, p<0.001). 음성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정상대조군 사이의 비교에서는 정상대조군의 A10의 빈도가 환자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χ²=21.33, df=1, p<0.001). 성별 비교에서 남자 정신분열병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A10의 분포가 유의하게 적었다. (χ²=13.71, df=1, p<0.001) 결 론: NT 수용체 유전자와 정신분열병사이에 음성연합이 관찰되었다. NT 수용체 유전자가 일부 정신분열병의 발병과정에서 확실하지는 않지만 어떤 종류의 보호기능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Objectives: Neurotensin(NT), of which functions are evoked by its interaction with neurotensin receptors(NTR), coexists with mesolimbic dopamine and regulates endogenous dopamine release.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NT with NTR exerts neuroleptic-like activity with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and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We have examined the gentic association between schizophrenia and tetranucleotide repeat polymorphism in the 3-flanking region of the NTR gene to investigate the possible contribution of the NTR gene to the schizophrenia susceptibility. Methods: Among 23 alleles identified, the subjects were 120 patients(male 91, female 29)with schizophrenia and 106 normal healthy controls(male 84, female 22). They were unrelated native Korean. PANSS was used to determine positive or negative subgroup in the schizophrenic patients.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etranucleotide repeat polymorphism(CCTT and CTT) in the 3`-flanking region of NTR gene was observed. For a comparison of NTR gene`s allelic frequencies betwee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normal healthy controls, chi-square test and Bonferroni`s correction was performed. Results: The frequency of A10 allele(base pair size=399)was significantly higher in normal healthy controls than schizophrenia(χ²=16.4902, df=1, p<.000). In the comparison between schizophrenic patients with negative symptoms and normal controls, the frequency of A10 alle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ormal healthy control subjects than patients with schizophrenia(χ²=21.33, df=1, p<0.001). In the case of male, the frequency of A10 allele of schizophreni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controls(χ²=13.71, df=1, p<0.001). Conclusions: NTR gen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chizophrenia. NTR gene`s tetranucleotide repeat polymorphism may provide some protective function against schizophrenia.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말초 임파구에서 도파민 수용체 mRNA의 변화

        곽용태,최철희,김옥준,주연호,김형섭,강성숙,구민성,선우일남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5

        연구목적 : 정신분열병은 주로 청소년기에 발병하는 정신과에서 가장 흔한 질환 중의 하나이다. 이 질환의 원인이나 병인은 아직 불확실하지만 뇌 도파민계의 기능장애가 중요한 기전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부검없이 뇌 도파민계를 직접 관찰할수 없으므로 많은 혼란이 있어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 발견된 말초 임파구의 도파민 수용체를 이용하여 정신분열병에 있어서 말초 임파구 도파민 수용체가 뇌 도파민계의 기능을 반영하는 말초표식인자일 가능성이 있는지를 규명한다. 방 법 : 3년 이상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약물투약군) 44명, 최근 3개월 이상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환자(약물비투약군) 43명, 정상대조군 31명을 대상으로 말초 임파구의 D3, D5 도파민 수용체를 정량적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quantitative reverse transcritpas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서 정량 비교하였고, 또한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환자들에 있어서 약물 투여 후 도파민 수용체의 변화 및 임상양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 과 : 1) 말초혈액 임파구의 D3R/βA는 약물비투약군에서 정상대조군이나 약물투약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있게 증가되어 있었다. D5R/βA의 경우 약물비투약군이 약물투약군에서만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약물투약군과 정상대조군 간에는 도파민 수용체 mRNA(D3R/βA, D5R/βA)양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다. 2) 항정신병 약물을 새로 투여하는 환자에서 항정신병 약물을 투여 후 임파구 도파민 수용체의 변화를 추적 관찰한 결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약물비투약군을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D3R/βA mRNA가 정상범위에 속하는 군과 높은 군으로 나누어서 임상척도와 비교 분석한 결과 임파구 도파민 수용체가 증가한 군에서 다음과 같은 임상특징을 관찰할 수 있었다. (1) 정신병리증상이(BPRS) 현저하였다. (2) 약물치료에 대해 양성 정신병리증상(pBPRS)의 호전도가 낮았다. (3) 약물치료시 추체외로 부작용이 심하였다. 결 론 : 이상의 연구결과로 말초 임파구에서 발현되는 도파민 수용체는 정신분열병의 소군 분류 및 예후 예측에 있어서 임상적 의의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말초임파구에서 발현되는 도파민 수용체는 비록 이에 상응하는 뇌의 해부학적 위치는 알 수 없지만 중추신경계의 도파민 수용체의 기능을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었다. Objectives : Schizophrenia, commonly developed in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is one of the most common mental diseases in psychiatry. The etiology or pathogenesis of this disease is uncertain yet, but the dysfunction of dopaminergic system in the brain has been proposed. However, there is no direct evidence of dysfunction of brain dopaminergic systems in schizophrenic patients because the direct assessment of brain dopaminergic systems is almost impossible at present. To overcome this problem, recently founded dopamine receptors and their mRNAs in peripheral lymphocytes was u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whether the dopamine receptors of peripheral lymphocytes can be the peripheral markers of schizophrenia or not. Methods : The total numbers of subjects are 87 schizophrenic patients. Among them 44 patients were schizophrenics who had been taking antipsychotic drugs for more than 3 years(medicated patients), 43 schizophrenics who recently are not taken antipsychotic drugs for more than 3 months(drug-free patients). For controls age and sex matched 31 healthy persons were enrolled. Sequential reverse transcription and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of the mRNA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dopamine receptors in peripheral lymphocytes. The gene expression of dopamine receptors were compared in each groups and after starting antipsychotic medicines in drug-free patients, the clinical scales and the dopamine receptors of peripheral lymphocytes were sequentially studied before, 2 weeks after and 8 weeks after medication. Results : 1) In drug-free schizophrenics, D3 dopamine receptor mRNA expression of peripheral lymphocyt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ing with that of controls and drug-medicated schizophrenics and D5 dopamine receptor mRNA expression was increased comparing with only that of drug-medicated schizophrenic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ontrols and drug-medicated schizophrenics. 2) After antipsychotic medication, dopamine receptors of lymphocytes were increased tendency. 3) Drug-fre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dopamine receptor expression in control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increased dopamine receptor expression. The group of patients with increaseddopamine receptor expressio had following clinical characteristics. (1) More severe psychiatric symptoms (2) Poor pharmacological response of pBPRS on medicines (3) Severe extrapyramidal side effects after pharmacological treatment Conculsion : These results revealed that the molecular biologically determined dopamine receptors of peripheral lymphocytes were reactive, and increased expression of dopamine receptor in peripheral lymphocyte had clinical significance for subgrouping and prognosticat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dopamine receptors of peripheral lymphocyte may represent dopamine receptors of the brain, even the location cannot be determined.

      • KCI등재
      • KCI등재

        터보코딩 및 고차변조를 적용하는 3GPP GERAN 진화 시스템

        오형주(Hyeong-Joo Oh),최병조(Byoungjo Choi),황승훈(Seung-Hoon Hwang),최종수(Jongsoo Choi) 한국통신학회 2008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3 No.6A

        본 논문에서는 터보코딩 및 고차변조를 적용하는 3GPP GERAN 진화 시스템 물리계층에 비트 신뢰도 기반의 심볼 매핑 방법(Symbol Mapping based on Priority: SMP)을 최초로 적용하여 그 성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SMP는 터보코딩에서 정보비트(systematic bits)의 중요성을 이용하여 정보비트를 신뢰도 높은 비트에 매핑시키는 기술로서 본 기술을 GERAN 진화 시스템에 적용시켰을 때, 링크 레벨 시뮬레이션을 통해 16QAM(DAS-8)과 32QAM(DAS-11)의 변조/코딩 방식에 대해서 성능이득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SMP-assisted 3GPP GERAN evolution system employing high order modulation and turbo coding. When applying the SMP which maps systematic bits into highly reliable bit positions,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the performance gain for th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s of 16QAM(DAS-8) as well as 32QAM(DAS-11) by link level simulation.

      • Pneumatosis intestinalis and portal venous gas secondary to gefitinib therapy for lung adenocarcinoma

        ( Joo Young Lee ),( Hye Suk Han ),( Sung Nam Lim ),( Young Kwang Shim ),( Yong Hyeok Choi ),( Ok Jun Lee ),( Ki Hyeong Lee ),( Seung Taik Kim )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1 No.1

        Pneumatosis intestinalis (PI), and portal venous gas (PVG) are relatively rare radiological findings. Although several chemotherapeutic agents and anti-vascular endothelial-growth-factor-agents have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PI and PVG, no previous report has described an association with anti-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agents. The present report describes a case of PI and PVG secondary to an EGFR tyrosine kinase inhibitor. A 66-year-old women who had been diagnosed metastatic lung adenocarcinoma presented with nausea, vomiting, and abdominal distension 2 months after commencing gefitinib. A computed tomography scan (CT) of the abdomen revealed PI extending from the ascending colon to the rectum, hepatic PVG, and infarction of the liver. Gefitinib therapy was discontinued immediately and the patient was managed conservatively. A follow-up CT scan 2 weeks later revealed that the PI and hepatic PVG had completely resolved. This is the first report to be issued regarding PI and PVG caused by EGFR tyrosine kinase inhibitor. Although these complications are extremely rare, clinicians should be aware of the risk of PI and PVG in patients undergoing targeted molecular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