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행 설화 연구 - 『삼국사기』,『삼국유사』에 나타나는 효행 양상을 중심으로

        강성숙 동양고전학회 2012 東洋古典硏究 Vol.0 No.48

        조선시대 교화서와 달리 초기 ‘역사서’에 실린 기사는 교화적 효과만을 위해 수집, 편찬된 것이 아니어서 효행설화라 하더라도 각각의 서사가 효행을 드러내는 방식에 조금씩 차이가 있으며, 효에 대한 자세가 천편일률적이거나 무비판적이지 않다. 『삼국사기』 「列傳)」과 『삼국유사』 「孝善」편 효행설화에는 (1)처절한 효행과 그 포상에 서사의 초점이 놓여 부모의 존재가 드러나지 않는 설화에서부터 (2)부모 자식 간의 관계가 효행의 완성에 영향을 주는 가능성의 서사, (3)부모가 적극적으로 자식의 삶에 관여하며 목소리를 드러내 자식의 자아실현을 촉발하는 효행 서사까지 두루 나타난다. 여기서는 후대 효행설화에서는 좀처럼 보이지 않는, 자식에게 진정한 효가 무엇인지 깨닫고 행동하게 하는 부/모의 모습이 나타난다. 『삼국사기』 「列傳」과 『삼국유사』 「孝善」편 효행 설화는 전형화된 효행중심 서사뿐 아니라 가족 관계 속에서 소통하고, 변화하여 깨달음을 얻게 되는 모습까지 보여주고 있다. 갈등과 소통의 과정을 거치는 경우 윤리적 효의 성격과 그 실천에 대한 궁극적 해답이 분명해지는 반면, 타고난 효자의 효행 기록은 하기 힘든 어려운 행위에 대한 감탄이 주조를 이루게 된다. 삼국시대의 효행설화는 효행의 대상이 되는 부모가 그 존재감을 드러냄으로써 효자/녀가 진정한 효를 행하게 되는 과정을 체험하게 하는데, 이를 통해 효자/녀는 자연스럽게 孝 자체에 대한 깊이 있는 깨달음을 얻게 된다. This study is prepared to understand the filial story's communicative meaning from the aspects of Character's behavior. The filial story have typically didactic theme and it is not have enough room for another interpretations. But if we carefully analyze the filial story from the point of view of (1)the target of the filial duty[father/ mother]. (2) the actor of the filial duty[son/ daughter]. (3) the evaluator of the filial duty[witness/ recorder], we can understand the filial story's connotation. In 『三國遺事』(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and 『三國史記』(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the target of the filial duty plays an important part and communicates with the actor of the filial duty but there's no more communication in 『高麗史』(History of Corea). As the character's communication is lessened, the meaning of edification is emphasized.

      • KCI등재

        풍수발복설화에 나타난 발복의 양상과 그 의미

        강성숙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문학회 1999 이화어문논집 Vol.17 No.-

        Poong-Soo Bal-Bok folk tales(風水發福說話) indicate the stories that people get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by securing a propitious site for a grave.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classify works of Poong-soo Bal-Bok narratives into several type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fortune, and draw the sex roles of masculine and feminine from the method of solving the problems. Poong-Soo Bal-Bok narratives show the androcentric desires and the realization in the rigorous patriarchy society. However, the positive and realistic women characters, very reverse to the men, play the subject of solving problems men caused. Therefore, women’ in the stories face up to the reality and improve their own lot, which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plan of the masculinism.

      • KCI등재

        조선후기(19세기) 일상생활의 장에서 남/녀 젠더 차이의 간극과 교섭-가장의 역할을 한 여성의 생활사 서술을 중심으로-

        강성숙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여성문학연구 Vol.30 No.-

        필자는 이 논문에서 조선후기, 특히 19세기 여성 관련 자료를 대상으로 가장의 역할을 한 여성의 행위와 그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다. 가장은 가산 관리와 가족 통솔의 책임을 맡은 사람이지만, 사대부 남성 가장은 성정의 우활함이나 청렴한 덕을 강조하면서 가정의 살림을 돌보지 못한 회한을 토로할 뿐이다. 남성 가장을 대신해 여성은 실제로 생계를 책임지는 주체가 될 수밖에 없었다. 19세기 여성 생활사 자료에서는 여성 노동의 가치와 치산 능력, 인력 관리 능력이 적극적으로 평가되는데, 이 때, 여성 가장의 미덕이 전통적 부덕(婦德)의 양상과는 배치되는 지점이 생겨난다. 남자, 군자(君子), 성인(聖人)과 비교되는 여성 가장의 치산 행위는 근대적 가치인 계획성, 정확성, 효율성의 가치와 접목되면서 여성 성역할의 영역을 긍정적으로 확장시켰다 하겠다. I have considered the aspects of women's behavior as a matriarch on the 19th century women's daily life history materials. The patriarch is responsible for managing the family property and leading the household members, but the noble patriarch has donenothing but repenting of his own irresponsibility as a patriarch standing on the thoughtlessness(迂闊), the integrity(淸廉). In place of the noble patriarch, the mistress of a house becomes the matriarch who bears the responsibility for living. In the 19th century women's daily life history materials, the value of women's labor and women's ability that manages the property and people are estimated positively. Therefore the matriarch's virtues in the 19th century have been in discord with the traditional womanly virtues(婦德). The matriarch's management of the property that is compared with a man, a man of honor(君子), a sage(聖人) is characteristic of the planning, the correctness, the efficiency as the modern virtue, that positively expanded the category of the women's gender role.

      • KCI등재후보

        15세기 文獻 笑話 연구 - ?太平閑話滑稽傳????齋叢話?의 서사구조를 중심으로 -

        강성숙 한국구비문학회 2003 口碑文學硏究 Vol.0 No.16

        A study on humorous story in literary works of 15 century- the narrative structure of <Taepyonhanwhagolgyejeon>, <Yongjaechongwha> -Kang, Sung-Sook(Ewha Womans University)The humorous story in literary works showed up in 15 century. The experience of the actual person is mainly showed in the story, and the story is fragmentary. Sometimes it is humorous related with the situation of outside story. Therefore, according to the form and substance, the humorous story in literary works is regarded as an area including the form and substance of folktale or anecdote.In the humorous story of the Plot of Presentation, the narrator is satisfied with his surroundings and has the positive attitude to human's desire. And he has the descending status toward characters and surroundings of the different social level from him, through the objective distance. The Plot of Presentation can be based on the positive views in that it keeps the decided condition and relationship. This positive view presents the direction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break through them through the plot of settlement. The plot of settlement, which presents the direction to settle the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characters,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late humorous story comes to have a unique descriptive plot, beyond being a story as an anecdote. The humorous story in this times can carry not only individual and inner world but also real and social problems. This may come from the price and responsibility of 15 century literacy men, who tried to find right the ways to rule the nation. 15세기에 본격적으로 출현하는 문헌소화는 실제 인물들의 경험적 사건을 주로 다루고 있어서 이야기가 단편적이고 일회적이며, 작품 외적인 상황과 연관되어 웃음이 유발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시기 소화는 민담이나 일화의 형식과 내용을 포괄적으로 수용하는 대상이다.제시적 구조의 소화는, 주어진 조건에 만족하면서 인간의 욕망을 긍정하는 태도를 보여주거나 객관적 거리를 통해 하강적 위상을 보여주고 있다. 제시적 구조는 이미 정해진 조건이나 관계가 변화하지 않고 유지된다는 점에서 긍정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형성된 것이라 하겠다. 인물간의 대립과 갈등의 해결 방향이 모색되는 해결의 구조는 후대 소화가 일화적 성격에서 벗어나 특유의 서사구조를 갖추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 소화가 개인적이고 내면적인 즐거움에 만족하지 않고 현실적이고 대사회적인 문제까지 거론할 수 있는 것은 역시 올바른 치자의 길을 다양하게 모색하고자 했던 15세기 관인 문학자들의 자부심과 책임감에서 나온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어머니의 신체와 연결성 – 구비설화에 나타난 ‘어머니’의 용인과 배제 양상을 중심으로

        강성숙 한국여성문학학회 2023 여성문학연구 Vol.58 No.-

        In an attempt to explore and develop theories of the connected body, in this study, I focus on the mother’s body as represented in folk literature. The legitimate body of the mother is one that gives birth to and raises a good son. It is for this purpose only that the mother’s body may deviate from the norms of femininity as in the folktale known as “Son-byeongsa’s mother”. Another legitimate form of the mother’s body is the sickly mother, whose ailing body serves as an instrument for training her son to becoming a good son. The ailing mother’s body, which serves to reinforce the ideology of filial piety, is often used to test the authenticity and intensity of sons’ loyalty and the affection for their elders. There is also the mother who presents a threat to familism, as in “The Good Gravesite Lost Due to the Mother’s Exposure.” This mother is thus publicly shamed and excluded for her deeds. It is thought that the plan to perpetuate the paternal lineage, which restricts the mother’s body in a violent and barbaric way, has already been challenged by the very existence of these tales. The solution in the folktale, which breaks away from narrow-minded familism and seeks a new connection, can be seen as opening up new possibilities by cutting off the planning of patriarchy. 본고는 연결신체 이론을 모색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구비설화에 보이는 어머니의 신체에 주목해 모성 또는 모성성의 의미를 재해석하고자 했다. 구비설화에서 어머니–신체는 다음과 같은 양상으로 구현됨을 확인했다. ‘손병사 모친’ 설화에서처럼 훌륭한 아들을 낳고 기르는 어머니일 때, 규범적 모성(여성)성의 틀을 벗어나는 형태까지 허용된다. 효자 아들을 만들어내는 도구적 신체로서의 병든 어머니는 제한적으로 용인되는데, 효 이데올로기의 강화를 위해 존재하는 병든 어머니 신체는 딜레마 상황에서 효성의 진위, 정도를 규명하는 도구가 된다. ‘어머니 폭로로 잃은 명당’에서 보이는 어머니–신체는 가족주의에 위협이 되는어머니의 존재에 대한 비난과 배제의 방식으로 드러난다. 어머니의 신체를 아들 낳는 도구로만 인정하는 태도나 돌보는 대상으로서만제한하는 것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폭력적이고 야만적인 방식으로 어머니의 몸을 제한하는 부계 혈통 영속의 기획은 이러한 설화의 존재 자체로 이미 도전받고있었다고 생각된다. 편협한 가족주의에서 벗어나 가족의 경계를 해체하고 새로운 연결성을 모색하는 설화의 해결 방식은 가부장제의 기획을 단절함으로써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