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에 나타난 공동연구 네트워크의 구조에 관한 연구
한혁,권오진,강혜진,심위,노경란,Hahn, Hyuk,Kwon, Oh-Jin,Kang, Hye-Jin,Shim, We,Noh, Kyung-Ra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5
전 세계적으로 공동연구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공동연구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를 통해서 나타나는 공동연구 네트워크가 어떤 구조를 보이는지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3년 2월까지 한국전자통신학회지에 게재된 공동연구 논문을 분석한다.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에 게재된 논문의 저자들을 12개의 서브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분석한 결과, 서브 네트워크는 주로 지역성에 기반한 공동연구 네트워크임을 밝혀내었다. The rise of collaboration in science or technology has increased the need to understand collaboration network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collaboration research network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have collected and analysed the data from co-authored papers published from 2006 to 2013 in this journal. It shows that there are 12 collaboration sub-networks based on the locality of authors in this journal.
김종기(Jong-Ki Kim) 한국전자통신학회 202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7 No.2
철도 교통시스템은 최근 들어 각 구성 요소의 자동화 단계를 넘어 지능화를 추구하는 스마트 철도로 발전하고 있다. IoT(: Internet of Things), 빅데이터, 딥러닝, AI(: Artificial Intelligence), 블록체인 등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기술에 기반한 스마트 철도는 국내외 철도 기술에 많은 발전적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스마트 철도 시스템(SRS: Smart Railway System)의 근간을 이루는 철도 통신 기술의 국내외 표준화 동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향후 우리나라 철도교통시스템에서의 열차제어 기술(CBTC)이 세계 철도산업에서의 선도 기술이 되기 위한 지향점(UBTC)에 관하여 논한다. The rail transport system is developing into a smart railroad that pursues intelligence beyond the automation stage of each component in recent years. Smart railways based on ICT (: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technologies such as IoT (: Internet of Things), big data, deep learning, AI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lock chain are expected to cause many developmental changes in domestic and foreign railway technologies. In this paper, we look at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trends of railway communication technology, which forms the basis of such smart railway system, and discuss the direction for train control technology(CBTC) in Korea s railway transportation system to become a leading technology(UBTC) in the world railway industry in the future.
한글의 정보처리 및 통신용 부호 최적화를 위한 한국어 분석
홍완표,Hong, Wan-Pyo 한국전자통신학회 2015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3
본 논문은 정보처리 및 전송용으로 사용되는 한글의 부호화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한국어를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어 구성하고 있는 한글의 구성현황과 그 한글들에 대한 각각의 사용빈도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본 연구결과 분석된 한글의 구성현황을 한국 KS 문자 표준과 국제 문자표준인 유니코드로 부호화되어 있는 한글 문자와 비교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된 한국어는 국립국어원의 "현대국어사용빈도조사결과"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보고서에 수록된 한국어는 총 58.437개이다. 분석결과 한국어 총58,437국어를 구성하고 있는 한글은 총1,540개였다. 이 총1,540개 한국어 중에서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글자는 "다"로서 전체 사용빈도의 15%였다. 사용빈도가 가장 낮은 글자는 "휫"으로서 전체사용빈도의 0.00003%였다. 한국어를 구성하고 있는 한글 글자수는 유니코드 한글문자 부호를 구성하고 있는 한글 수 보다 약 7.2배, KS X 1001 한글문자 부호를 구성하고 있는 한글 수보다 약 1.5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s studied the Korean language to optimize the Hangul character coding for information processing i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transmission in network. The paper analyzed Hangul character in Korean language and use frequency of each character. The paper also compared the analysis result to Hangul characters which are coded in standard in Korean character and Unicode. This study referred "Modern Korean Use Frequency Rate Survey Result" issu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here are total 58,437 Korean words in the report. As a result of this paper, the Korean word 58,437ea are consisted of Hangul character total 1,540ea. The highest use frequency character is "다" and its use frequency to total use frequency rate is 15%. The lowest use character is "휫"and its use frequency to total use frequency rate is 0.00003%. The number of analyzed Hangul character 1,540 is less 7.2 times and 1.5 times than Korean and Unicode standard respectively.
김석(Seok Kim),김대익(Dae-Ik Kim) 한국전자통신학회 2019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4 No.1
전관방송 시스템은 위급상황 및 비상상황에서도 누구나 손쉬운 조작과 운영, 그리고 장비의 안정적 동작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선 통신 기반 전관방송 시스템 사용자에게 편리성과 효율성을 제공하기 위해, 전관방송 시스템의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제어기와 UI(User Interface) 그리고 PLC 제어기와 PLC 스피커 간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펌웨어를 구현하였고, 사용자가 컴퓨터 화면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UI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The public address system should be easily operated and managed by the users, and guaranteed to serve stable working in an emergency and a crisis. In this paper, In this paper, to provide power line communication based public address system users with convenience and efficiency, we implement a firmware to control communication between 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controller of the public address system and UI(: User Interface) and between a PLC controller of the public address system and PLC speakers, and develop a UI software.
도심환경에서 통신 단절 예방을 위한 RRPS(RSU Request Priority Scheduling)설계
박석규(Seok-Gyu Park),안희학(Heui-Hak Ahn),정이나(Yi-Na Jeuong)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16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9 No.6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도심환경에서 통신 단절 예방을 위한 RRPS(Priority Scheduling and Multi Path Routing Protocol)”에서는 밀집도에 따라 통신의 단절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도심환경의 V2I 및 V2V통신의 단절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RSU의 관리 영역인 Start Line, End Line을 이용하여 End Line에 도달하기 전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요청데이터를 먼저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RRPS(RSU Request Priority Scheduling)알고리즘을 설계를 제안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RRPS는 RSU내에 정보를 요청한 차량의 메시지에 대하여 우선순위 스케줄링을 적용하여 V2I의 처리효율을 향상하고, 통신 단절을 예방하여 전송 성공확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This paper proposed "Priority Scheduling and MultiPath Routing Protocol (RRPS) for preventing communication disruption in the urban environment" to minimize the disconnection or disruption of V2I and V2V communication in the urban environment where communication is frequently disconnected according to density. The flow of the RRPS is explained as follows. RSU Request Priority Scheduling (RRPS) is used to apply the priority of the request message prior to reaching the end line by using the Start Line and End Line, which are the management areas of the RSU). This paper also proposed MPRP (Multi Path Routing Protocol) design to set up the multipath to the destination. As a result, the proposed RRPS improves the processing efficiency of V2I by applying priority scheduling to the message of the vehicle requesting the information in the RSU, and can prevent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Thereby, it is improved the transmission success probability.
기준 자세 맵핑을 이용한 드론의 동작 제어에 관한 연구
김장원(Jang-Won Kim)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21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6
드론의 제어는 가까운 거리의 경우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방법으로 제어가 가능하고, 원거리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서 제어가 가능하다. 특히 활동범위가 원거리인 경우는 GPS를 이용하여 좌표를 설정하고 네트워크 통신과 영상통신을 이용하여 드론을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네트워크 통신이나 영상통신에 문제가 발생하여 드론이 제어권한 영역 밖으로 이탈했을 경우, 이를 적절하게 대응하여 제어권한을 강제로 받아서 드론을 조종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상호 약속된 단순 동작으로 드론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드론이 제어권한 밖으로 이탈 했을 경우에도 제안한 방법으로 드론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안한 상호 약속된 단순 동작 알고리즘은 기준자세를 설정하고, 드론이 이를 인식했을 경우 자동으로 드론의 제어권한을 기준자세를 취하는 사람에게도 넘어가게 하였다. 그리고 모든 명령의 시작은 기준자세(드론의 호버링 자세)로부터 출발하여 드론의 모든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드론의 제어권한은 목적 달성 이후 반드시 돌려주고, 드론 스스로 다음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구현하였고, 맵핑된 명령에 의해 드론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Drone can be controlled by the method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for close distance and can be controlled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for long distance. Especially, the coordinate is set using GPS and drone is controlled using network communication and video communication when the activity range is long distance. However, the drone should be controlled by receiving control authority accordingly in response about it appropriately when the drone leaves the control area after arriving at the destination if there is a problem with network communication and video communication. So,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control a drone with a simple mutually promised simple gesture and the drone can be controlled in the proposed method even if the drone leaves from the control authority in above situation. The reference posture was established for mutually promised simple gesture algorithm and automatically handed over the control authority of drone to a person who takes the reference posture when the drone recognizes it to implement this. And all the movements of the drone could be controlled by starting the beginning of all commands from the reference posture (The hovering posture of the drone). Lastly,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drone should be returned after achieving the purpose, and the algorithm was implemented to make the drone can perform next action of its ow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rone was operating normally by the mapped instruction.
유재덕(Jae-duck Yoo),나성훈(Sung-hun Rha),김익순(Ik-soon Kim) 한국전자통신학회 2009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4 No.1
유비쿼터스 정보사회로 발전하고 있는 우리사회에서 정보통신망이 무엇보다 중요한 사회기반 시설이 되었으며, 이를 설계하고 시공하는 기술에 대한 감리는 국가 기간산업의 초석을 다지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정보사회에서 통신망시설에 심각한 결함이나 문제점이 발생 하면 국민생활의 불편함은 물론 국가 경제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정보통신시설의 설계와 공사가 기술기준에 의해 체계적으로 시행되고 있는지를 허가 받은 통신전문가에 의해 감리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시설에 대한 현행 감리제도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품질확보를 위한 정보통신시설의 설계, 시공, 감리 및 운용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인 보완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Now society has been extending to ubiquitous information society under the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So it is impotance to install and design those for the core business. If there is a serious problem on the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infra-facility, it could be seriously effected to the life of the people and the national economy. To prevent the those problems,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infra-facilities have been installed and supervised due to the proper telecommunication specialists. In this paper, firstly invested the current supervision system and then proposed how to upgrade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the proposed supervision system for the telecommunication infra-facilities.
한국형 수중로봇시스템의 기술개발연구 - 시나리오플래닝 적용으로 -
이상윤,윤홍주,Lee, Sang-Yun,Yoon, Hong-Joo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1
This study is about development of technology system for an advanced deep-sea unmanned underwater robot of S. Korea analysed by the application of scenario planning. It was developed a 6000m class next-generation deep-sea unmanned underwater vehicle(or robot, UUV) system, soonly ROV 'Hemire' and Depressor 'Henuvy' in 2006 at S. Korea and motion control, adaptive control algolithm, a work-space manipulator control algolithm, especially the underwater inertial-acoustic navigation system robust to initial errors and sensor failures. But there are remained matters on position tracking of the USBL, inertial-acoustic navigation system, attitude sensor, designed sonar sensors. So this study suggest the new idea for settle the matters and then this idea help the development of the underwater inertial-acoustic navigation system robust to initial errors and sensor failures, such as acoustic signal drop-out, by modifying the error covariance of the failed sonar signal when drop-out occurs. As a result, the future policy for deep-sea unmanned underwater robot of S. Korea is to further spur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and more improvement of the technology level for deep-sea unmanned underwater robot system with indicator and imaginary wall as external device. 본 연구는 미래예측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시나리오플래닝 방법론을 적용하여 2006년에 개발된 한국형 수중로봇시스템(심해무인잠수정시스템)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도출하였다. 한국이 개발한 이 심해무인잠수정의 설계심도는 6000미터이며, 그 구성을 보면, '해미래'는 실질적인 심해탐사작업을 실행하고, 이 '해미래'를 지원하는 '해누비'는 심해에서 시료채취나 탐사가 가능하다. 한편 이 한국형 심해무인잠수정시스템은 수중복합항법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지만, 6000m심해에서 5m이내의 항법오차가 있고 50cm이내의 상대 위치오차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이를 보완하여 관련 분야에서 기술 선도국이 될 수 있는 한국정부가 추진해야 할 바람직한 미래전략방향을 고찰했다. 그 결과 인디케이터와 가상벽을 갖춘 외부장치를 구비한 심해무인잠수정 시스템 개발이 한국에 있어 미래지향적인 정책추진방안이었다.
광대역 전력선통신 기반 풍력발전기 너셀 내부 화재예방시스템 구현
김현식,주우진,강석근 한국전자통신학회 2018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3 No.6
본 논문에서는 풍력발전기 너셀 내부에서 발생 가능한 화재를 예방하거나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광대역 전력선통신시스템 기반 화재예방시스템을 구현하고 실증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고속 전력선통신용 주파수 대역에서 우수한 손실 특성을 가지는 유도성 통신연결장치도 제작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터빈 너셀에 설치된 온도, 불꽃, 연기센서 등 다양한 센서와 열화상 이미지를 전력선통신시스템을 통하여 지상관제소에 고속 전송함으로써 너셀 내부의 환경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구현된 시스템은 이미 설치된 기존 안전시스템과 연동하여 풍력발전기 화재감시 및 예방체계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a fire prevention system based on a broadband powerline communication (PLC) system is implemented and a demonstration experiment is carried out to prevent from or promptly deal with possible fires within the nacelle of a wind turbine generator system (WTGS). For this purpose, an inductive coupler having satisfactory attenuation characteristic in the frequency region for high-speed PLC is also manufactured. It is confirmed that the implemented system can monitor the environmental change inside the nacelle in real time by transmitting various sensors such as temperature, flame, and smoke sensor installed in the nacelle and thermal image recorded by a thermal camera to the ground control center through the PLC system. It is, therefore, considered that the implemented system will improve significantly the reliability of the fire monitoring and prevention system of the WTGS in conjunction with the existing safety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