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정신장애 평가척도(Psychogeriatric Assessment Scale)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조맹제,박임순,신영민,김무진,정희연,정은기,최용성,조성진,서국희,함봉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치매와 우울증을 다차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인 Psychogeriatric Assessment Scale(PAS)의 한국판(PAS-K)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방 법 : 번역, 역번역, 그리고 세차례의 예비조사를 통하여 PAS-K를 제작하였다. 60세 이상의 노인 291명(임상환자군 : 58명, 지역사회노인군 : 168명, 수용시설 거주자 : 67명)과 그들의 정보제공자들을 대상으로 PAS-K,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HRSD), 그리고 Hachinski Ischemic Score 를 적용하고, Diagnostic Interview chedule(DIS-Ⅲ-R)을 사용하여 치매와 우울증을 진단하였다. PAS-K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고, 예민도와 특이도, Kappa값, 그리고 ROC커브 분석법을 이용하여 PAS-K의 6개의 소척도들(피검자면접 : 인지기능 장애척도, 우울척도, 뇌졸중척도, 정보제공자면접 : 인지기능 저하척도, 행동변화척도, 뇌졸중척도)의 최적 절단점을 구하였다. 결 과 : PAS-K는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였고, 검사자간 신뢰도도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PAS-K의 소척도들을 다른 표준화된 검사도구들과 비교하였을 때 인지기능 장애척도와 인지기능 저하척도는 MMSE-K와, 우울척도는 GDS 및 HRSD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뇌졸중척도는 Hachinski Ischemic Score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최적절단점은 인지기능 장애척도 10점, 인지기능 저하척도 3점, 우울척도 5점, 피검자면접과 정보제공자 뇌졸중척도 모두 1점, 그리고 행동변화척도 2점으로 추정하였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PAS-K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고, 노인정신의학 역학연구나 보건분야에서 치매와 우울증의 임상경과관찰 및 일차 선별도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되었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the Psychogeriatric Assessment Scale(PAS-K), a multidimensional screening tool for the dementia and depression. Methods : Through three times preliminary trials, the authors translated PAS into Korean. The PAS-K, Geriatric Depression Scal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achinski Ischemic Scale and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were administered to 291 subjects over the age of 60 and the same number of their informants(67 subjects were institutionalized, 168 subjects were in community, 58 subjects were psychiatric hospital patients). And the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DSM-Ⅲ-R) was independently administered to exactly diagnose dementia and depress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optimal cut-off point estimation for six each scale and ROC curve analyses were done to investigate the diagnostic validity of PAS-K. Results : Internal consistency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PAS-K were high. Concurrent validity of each scales of PAS-K was good in being measured with other standardized scales. The optimal cut-off points of each scale of the PAS-K were estimated as follows : 1) Stroke Scale of subject interview : 1, 2) Cognitive Impairment Scale of subject interview: 10, 3) Depression Scale of subject interview : 5, 4) Stroke Scale of informant interview : 1, 5) Cognitive Decline Scale of informant interview : 3, and 6) Behavioral Change Scale of informant : 2. conclusions : The PAS-K was valid and reliable screening tools for detecting dementia and depression. Therefore the PAS-K could be widely and extensively used in psychogeriatric epidemiological research or clinical setting of primary screening for dementia and depression.

      • KCI등재

        한국 정신장애의 역학 조사 연구[I] : 각 정신장애의 유병률

        조맹제,함봉진,김장규,박강규,정은기,서동우,김선욱,조성진,이준영,홍진표,최용성,박종익,이동우,이기철,배재남,신정호,정인원,박종한,배안,이충경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4 신경정신의학 Vol.43 No.4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the DSM-IV psychiatric disorders in Korean population using the Korean version of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K-CIDI). Methods : Subjects were selected by taking multi-stage, cluster samples of 7,867 adult household residents, 18 to 64 years of age, in ten catchment areas. Total 78 trained interviewers administered the K-CIDI to the selected respondents, from June 1 to November30,2001. Results : Total 6,275 respondents completed the interview. Some 33.5% of respondents reported at least one lifetime disorder, 20.6% reported at least one-year disorder, and 16.7% reported at least one-month disorder. The most common lifetime disorders were alcohol abuse/dependence (17.24%), nicotine dependence/withdrawal (11.19%), specific phobia (5.16%),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4.25%). The lifetime prevalence of substance abuse/dependence (0.25%) and schizophrenia (0.16%) was very low. Nicotine and alcohol use disorder showed very high male/female ratio. Mood disorder and anxiety disorder were more prevalent among female than male.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psychiatric disorders was high. In comparison with other studies, remarkable differences in distributions of psychiatric disorders across the areas and times were observed.

      • 압력비에 따른 2차원 초음속 터빈의 유동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조종재,김귀순,김진한,이은석 朝鮮大學校 機械技術硏究所 2005 機械技術硏究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초음속 충동형 터빈의 유동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소형 초음속 풍동을 설계 하였으며 Single pass Schlieren system을 이용하여 유통을 가시화하였다. 실험은 2차원 초음속 노즐과 익렬을 조합하여 압력비에 따라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해 충격파를 포함한 복잡한 유동 형태와 노즐-익렬, 충격파-경계층 상호작용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a small supersonic wind tunnel is designed and built to study the flow characteristics of a supersonic impulse turbine. The flow is visualized by means of a single pass Schlieren system. The supersonic cascade with 2-dimensional supersonic nozzle was tested over a wide range of pressure ratio. Highly complicated flow patterns including shocks, nozzle-cascade interaction and shock boundary layer interactions are observed.

      • 길안천(경북 안동)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변동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조희욱,김경호,노상은,박진영,서을원,이종은 7개 국립대학교 환경연구 논문집 공동발행 위원회 2004 공업기술연구 Vol.4 No.-

        A biological assessment of water quality was carried out in Giran stream from May 203 to January 2004.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llected seasonally from 5 field sites were identified mostly up to species level.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llected from the surveyed sites were composed of 88 species, 68 genera,42 families, 14 orders, 5 class and 4 phyla. The dominance index (DI) showed the high-est as 0.802 at site 5 and the lowest as 1.643 at site 3.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ESB) showed the highest as 103 at site 2 and the lowest as 63 at site 3. All surveyed sites were Oligosaprobic that the water quality estimated by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c community.

      • 소아에서의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의 임상적 고찰

        조수진,박은애,유은선,김혜순,손세정,서정완,이승주,한후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2003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6 No.2

        목적: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은 감염이나 예방 접종 후 발생하는 중추 신경계의 급성 자가 면역 염증성 질환으로 탈수초를 일으킨다. 신경학적인 증상으로 발현되고 대부분 환전히 회복되지만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기거나 사망 할 수도 있다. 이에 저자들은 본원에서 발생 한 14명을 분석하여 조기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이대목동병원에서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으로 진단 받은 14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발생 연령은 5±7.8개월이였고, 특정계절이나 연도에 집중되어서 나타나지는 않았다. 선행질환은 주로 비특이적인 상기도 감염이 가장 많았고, 초기증상으로는 경련이 가장 많았다. 그 외에 의식저하나 운동장애도 있었다. 뇌척수액 검사에서 백혈구 증가증이 발견된 경우는 있었으나 단백이 증가된 경우는 없었다. 뇌 자기공명 촬영에서 T2 증강시 뇌백질과 기저핵에 고음영의 다발성 병소가 발견되었고 추적 촬영에서 대부분에서 소실되었다. 뇌파 검사가 시행되었던 경우 전반적인 서파가 가장 많았고 국소적인 극파가 나온 경우도 한 명 있었다. 환자들은 정맥 면역 글로블린과 메틸프레드니졸론으로 치료하였고 치료 시작 후 3~7일내 증상이 호전되었다. 모든 환자를 2달 이상 추적 관찰하였고 항경련제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정도의 경련성 질환이 두 명, 신경아교증이 남아잇는 경우가 한 명, 외래에서 다발성 경화증이 의심되는 경우가 한 명 있었다. 결론: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은 침범 부위에 따라서 다양한 임상 상으로 나타나며 면역 글로블린과 메틸프레드니졸론이 치료에 효과적이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환자수가 적어 신경학적 후유증의 위험요소는 밝힐 수는 없으나, 예후는 검사소견과 연관되어 있지는 않았고, 대부분에서 양호하여 완전히 회복되었으나, 신경학적 후유증이 남은 경우도 있었다. Objective: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ADEM) is an acute demyelinating autoimmune inflammatory disease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which develops after infection of vaccination. It may be fatal, and produce a permanent residual static disability or fully recover. We retrospec-tively studied 14 case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indings and outcome of ADEM. Methods : 14cases of ADEM diagnosed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from 1998 to 2003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 The age of onset was 5years±7.8 months and no seasonal clustering was found. The time of onset of symptoms was between 3 to 30 days. The preceding events were nonspecific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in 9 cases, aseptic meningitis in 4 cases, and gastroenteritis in one case..The initial symptoms were seizure, altered consciousness, hemiparesis, fever, headache, and vomiting. Brain MRI showed multifocal high signal intensity lesions on T2 weighted image mainly in the cerebral whith matter, basal ganglia and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EEG was performed in some cases and showed generalized or focal slow waves and only one case showed focal spikes. Patients were treated with IV globulin and methylprednisolone and the symptoms improved within 3-7 days after treatment.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2 months and most of them fully recovered except two. Conclusion : ADEM presents in various clinical manifestations depending on its involvement of the brain lesions. Most cases recovered fully but in some cases, residual permanent neurologic sequelae remained.

      • KCI등재

        2.5-헥산디온에 노출된 근로자에게서 발생한 말초 신경병증

        조성용,장용석,최은경,김진석,유재영,우극현,최태성 대한산업의학회 2007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9 No.1

        목적: 영상음향장비 제조업체에서 2,5-헥산디온을 취급한 근로자에게서 발생한 다발성 말초 신경병증 환례를 보고하고, 동일 공정근로자들의 말초 신경기능을 조사하고 자 한다. 방법: 환례에 대해 방사선학적 검사, 소변 및 혈액 검사, 신경전달속도 검사, 작업환경 측정을 하였으며, 2,5-헥산디온의 노출을 중단시킨 후 5개월 후에 다시 신경전달속도 검사를 하였다. 동일공정 근로자들의 영향평가에서는 2,5-헥산디온에 노출된 13명의 남자 근로자를 노출 군으로, 해당 물질에 노출된 적이 없는 5명의 남자 근로자를 비노출군으로 선정하여 검사를 하였다. 결과: 환례의 신경전도 검사결과 양측 척골신경과 정중 신경에 이상소견을 보였으며, 호전여부를 관찰하기 위하여 5개월 후 추적검사를 실시한 결과 증상 및 신경전달속도 검사결과가 호전되었다. 동일공정 근로자들의 영향평가에서 노출군의 정중 신경과 척골신경이 비노출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감각 신경의 진폭의 경우, 노출군의 정중 신경과 비복 신경이 감소되었으며, 운동 신경 전도속도에서는 노출군의 비골신경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말단 잠복기에서는 노출군의 정중신경, 척골신경, 비골신경, 경골신경이 비노출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연장되어 있었다. 결론: 환례의 증상과 신경전달속도 검사의 이상소견은 2,5-헥산디온에 의한 말초신경병증에 부합되었다. 동일공정 근로자 건강영향평가에서 신경전달속도 검사결과 노출 군과 비노출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를 통해 2,5-헥산디온이 근로자들의 신경독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 case report of 2,5-hexanedione induced occupational peripheral polyneuropathy. We also investigated the peripheral nerve function of all workers who had been exposed to 2,5-hexanedione in the same process. Methods: In June, 2006, a 2,5-hexanedione exposed worker complained of both hand numbness. He received neurologic, radiologic, laboratorial and electrophysiologic evaluation, including measurements of workplace environment. Five months after cessation of exposure to 2,5-hexanedione, a follow-up electrophysiologic examination was done. We evaluated the peripheral nerve function of 2,5-hexanedione exposed workers by comparing 13 male 2,5-hexanedione exposed workers who were in same company with the patient and 5 male workers who had not been exposed to 2,5-hexanedione. Results: Under electrophysiologic examination, there were abnormalities in sensory and motor nerve velocity, terminal latency, and F-latency of both median nerve and ulnar nerve. After 5 months, the patient symptoms and the results of follow-up electrophysiologic examinations were improved. Comparing the 2,5-hexanedione exposed group with the unexposed group, the sensory nerve velocity of the median and ulnar nerves in the exposed group was decreased. The motor nerve velocity of the peroneal nerve, and sensory nerve velocity of the median and sural nerves were decreased. Terminal latency of median, ulnar, peroneal, and tibial nerves in the exposed group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the unexposed group(<0.05). Conclusions: 2.5-hexandione can induce peripheral polyneuropathy in male workers.

      • KCI등재

        Goldman's Algorithm을 이용한 비외상성 흉통 환자의 분석

        조석진,유진현,김찬웅,어은경,정구영 대한응급의학회 1999 대한응급의학회지 Vol.10 No.4

        Back ground :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patient presenting with non-traumatic chest pain in emergency department, and it is also difficult to classify appropri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probability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AMI) and assess the group for low probability of AMI that is target for observation-unit of chest pain in emergency department. Methods : A prospective, clinical study was performed from March 1998 to August 1998 at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We classified high-probability group and low-probability group of AMI according to Goldman's algorithm and then compared with the final diagnosis. Results : The study included 218 patients. 84 patients(39%) was the high-probability group and 134 patients(61%) was the low-probability group of AMI. As compared with final diagnosis, AMI was 47 patients(56%) among the high-probability group and 1 patient(0.7%) among the low-probability group. We observed sensitivity of 98%, specificity of 78% in predicting AMI. Conclusion :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Goldman's algorithm may be useful predictor of AMI and improve triage for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with chest pain. It is also helpful for management of observation-unit of chest pain in emergency department.

      • Comparison of Two Early Childhood Models : Montessori vs. Distar

        조은진 서울여자대학교 2006 아동연구 Vol.12 No.-

        Montessori 프로그램과 Distar 프로그램은 둘 다 혜택 받지 못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이지만, 그 이후 다양한 사회경제적 배경을 가진 장애, 비장애 아동을 포함하는 일반 유아교육 분야에 영향을 미쳐왔다. 두 프로그램은 모두 인지영역에 초점을 둔 학업 지향적인 성격(strong orientation to pre-academic and early academic skill development)을 가지고 있고 구조화된 특성이 있어서, 일부 외형적으로 드러나는 공통점으로 인해 유사한 프로그램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그러나 두 프로그램은 학습과정에 대한 가정에서부터 다르다. 이미 두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프로그램을 자세히 소개하기보다는 주요 프로그램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이론적 가정, 프로그램 구성원리, 교수-학습 과정, 교사 역할, 물리적 환경, 평가 등) 두 프로그램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한다. 그리고 두 프로그램의 시대적인 역할과 변화에 대해 논의한다. 끝으로, 현재 운영되고 있는 두 프로그램의 교육 실제에 대해 평가하고 각 프로그램의 강점과 약점을 좀더 면밀하게 분석하는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한다.

      • 선택된 식물자원에서 추출조건에 따른 Phytosterol과 Tocopherol의 함량분석 및 추출유로부터 재구성지질의 합성

        조은진,이기택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 2003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0 No.3

        식물유자원 중 참깨, 호두, 통밀, 미강을 원료로 하여 35℃ 조건에서는100rpm 의 항온교반수조에서 1, 3, 6시간 단위로 추출하고, 80℃조건에서는 soxhlet extractor에서 1, 3, 6시간 단위로 각각 추출하여 추출방법 및 시간에 따른 최적추출조건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온도에서의 추출시간에 따른 추출율과 추출온도에 따른 추출방법의 변화는 추출율에 다소 형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원료별로는 호두가 최고 3.07%로 가장 높은 유지추출율을 나타냈으며 그 뒤로 참깨, 미강 등이 각각 최고 39.28, 15.62% 등의 추출율을 나타내었다. GC에 의한 지방산 조성분석 결과, 추출된 식물유지 모두 linoleic acid, oleic acid 등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Phytosterol 분석 결과, 식물성 유지 4종 중 통밀의 전체 sterol 함량이 최고 2.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마강, 호두, 참깨 등이 각각 최고 2.03, 1.57, 0.44% 등이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HPLC에 의한 tocopherol 함량 분석 결과 전체 tocopherol의 함량은 참깨, 통밀 등이 각각 최고 3.42, 2.92% 등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뒤로 호두, 미강 등이 각각 최고 0.16, 0.07% 등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식물성 유지와 CLA를 각각 1:3 mol의 비율로 혼합한 후 IM 60을 이용, 합성하여 재구성지질을 생성하고 GC에 의해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반응시간이 길수록 재구성지질 중의 CLA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종 24시간 동안 반응시 총 CLA의 함량이 가장 많은 것은 통밀로써, 23.75mol%를 나타내었고, 그 뒤로 미강, 참깨, 호두 등이 각각 19.15, 16.46, 16.28mol% 등을 나타내었다. To obtain the oil sesame, walnut, whole wheat, and rice bran were extracted for 1, 3, or 6 hr by a shanking water bath(35℃ and 100 rpm), and by soxhlet extractor(80℃) for 1, 3, or 6 hr, respectively. The highest yield of extracted oil was obtained from the walnut(63.07% weight) and the whole whet showed the lowest extraction yield of oil(1.13% weight). Major fatty acids from the extracted oils were linoleic, oleic, and palmitic acid. The maximum contents of total phytosterol in sesame, walnut, whole, wheat, and rice bran were 0.44, 1.57, 2.25, and 0.08(% weight), respectively. Besides, total tocopherol contents in sesame, walnut, whole wheat, and rice bran were maxima 3.45, 0.16, 2.92, and 0.07(% weight), respectively. From the extracted oils, structured lipids(SL) were synthesized by the interesterification reaction with conjugated linoleic acid(CLA) in a shanking water bath at 55℃. when the reactions(1:3 substrate molar ratio, extracted oil:CLA) were conducted for 24 hr, maxima 23.75 ㏖% of CLA incorporation was obtained from walnut oil and, in other cases, 16.28 - 19.15 ㏖% of CLA was found in the produced SL triacylglycerol molecu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