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대동맥 혈류속도 측정에 의한 후부하 상태의 평가

        손세정,한재진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2

        배경: 심근 수축력과 더불어 전신저항은 개심술 후 적절한 심박출량을 유지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후부하의 변화를 비관혈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지 알아 보고자 대동맥 혈류파형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개흉한 8마리의 잡견에서 연속파형 Doppler 심초음파를 이용하여 nitroprusside 단독 또는 epinephrine과의 병합투여 잔후로 상행 대동맥 혈류를 측정하였다. 결과: Nitroprusside의 투여로 동맥압과 전신저항은 약물의 투여량에 비례하여 감소함으로써(p<0.05 vs 기준치), 대동맥 혈류파형의 최고속도, 평균가속 및 분거리(속도시간적분$\times$심박동수)는 증가하였고, 가속시간은 짧아졌으며(p<0.05 vs 기준치), 가속시간/박출시간의 비는 변화가 없었다. Nitroprusside 투여로 인한 전신저항의 변화는 속도시간적분이나 Doppler 시간간격 지표보다는 최고속도(r=0.60, p=0.001)와 평균가속(r=0.52, p=0.003)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Epinephrine과의 병합투여로 전신저항이 증가하지 않는 한 nitroprusside 단독투여에 비해서 최고속도, 평균가속 및 속도시간적분이 더 크게 증가했으나, 전신저항이 증가되면 이 Doppler 지표들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Doppler 심초음파를 이용하여 상행 대동맥 혈류파형의 최고속도와 평균가속을 연속적으로 측정함으로써 후부하의 변화를 비관혈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제대동맥 도관이 장관 혈류에 미치는 영향

        손세정,최수정,양정안,박은애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0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3 No.5

        Purpose : An umbilical arterial catheter(UAC) in the high position reduces the lumen of the aorta and may thereby impair blood supply to the intestine. Effects of UAC on intestinal blood flow were investigated. Methods : With the measurement of the aortic diameter, pulsed Doppler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in 23 fasting newborns to measure blood flow velocities(peak systolic velocity, end-diastolic velocity, mean velocity, time velocity integral and resistive index) in the celiac trunk(CT) and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SMA) before and after removal of the UAC in the high position. Results : UAC reduce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orta by 3.5-15.0%(mean 7.5%), with the percentage of reduction being inversely related to birth weight(r=-0.86, P<0.0001). Blood flow velocities in the CT and the SMA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fter removal of the UACl left in place for 7 days. There were also no differences in blood flow velocities pre- and postremoval of the UAC which stayed in place for 17.3 days and caused a mean aortic obstruction of 11.7%. However, a longer indwelling time of the UAC may lead to a higher velocity in the CT with UAC in place, as reflected by a correlation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r=0.42, P=0.045). Conclusion : Although UAC remaining in place for up to 2 weeks in fasting newborns does not lead to direct alterations in blood supply to the intestine, the possibility of blood flow impairment to abdominal organs by prolonged use cannot be excluded. 목 적 : 제대동맥 도관(UAC)이 대동맥 내경을 감소시켜 장관의 혈류장애를 유발한다는 가정하에 복강동맥(CT)과 상장간동맥(SMA)에서 UAC 제거 전후의 혈류속도를 각각 측정하여 비교함으로써 UAC에 의한 장관 혈류의 감소 여부 및 UAC의 삽입기간 또는 대동맥 내경의 감소에 따른 장관 혈류의 변화 여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목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고위치로 UAC를 삽입한 공복 상태의 신생아 23명(재태기간 34.5주, 출생체중 2.23 kg)을 대상으로 HP Ultrasound System의 7.5MHz를 이용하여 복부 대동맥의 직경을 측정한 후 CT와 SMA에서 UAC 제거 전과 제거 후 30-60분 이내에 pulsed Doppler 혈류속도(수축기 최고속도, 이완기말 속도, 평균속도, 시간속도적분 및 저항지수)를 각각 측정하였다.결 과 : UAC에 의해 좁아진 대동맥 단면적은 3.5-15.0%(평균 7.5%)였고, 단면적 감소율은 출생체중과 반비례하였다(r=-0.86, P<0.0001). UAC를 7일 동안 삽입한 후 제거했을 때 도관 제거 전후의 CT와 SMA에서의 혈류속도는 차이가 없었다(P>0.1). UAC 삽입기간이 17.3일인 경우와 대동맥 단면적 감소율이 11.7%인 경우에도 각각 삽입기간이 4일과 대동맥 감소율이 6.3%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UAC 제거 전후의 두 혈관의 혈류속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CT에서의 수축기 최고속도와 도관의 삽입기간과는 상관관계가 있어서(r=0.42, P=0.045), 도관의 삽입기간이 길수록 수축기 혈류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SCOPUSKCI등재

        Fallot 4징 교정수술후의 생존 및 문제점

        손세정,한재진,이영탁,김성호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3

        배경: Fallot 4징 (TOF) 교정수술후의 장기 추적 결과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양호한 편이지만 일부에서는 재수술이 필요하거나 또는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지난 13년간의 TOF 교정수술에 대한 수술후의 생존 및 문제점과 이로 인한 재수술 등을 중심으로 수술후의 결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3년부터 1995년까지 부천세종병원에서 교정수술을 받은 775명의 TOF 환자들중 임상적 관찰이 가능했던 569명을 대상으로 임상기록과 여러가지 검사소견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환자 569명중 조기사망자 (수술후 1개월이내의 사망)는 28명 (4.9%)으로 그중 1세 이하는 12명 (42.9%)이었고 그들의 수술 사망률은 15.4%였다. 조기사망자를 제외한 541명 (2.8개월에서 43.4세, 중앙값 23개월)을 1개월에서 12.6년 (중앙값 35개월)동안 추적관찰을 하였다. 수술후 기능상태 및 우심실 기능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양호하였다. 우심방-폐동맥을 통한 교정술과 우심실을 통한 교정술을 비교했을 때 의미있는 폐동맥 폐쇄부전 (P<0.001)과 우심실 기능부전의 빈도 (P<0.05)는 전자에서 더 낮았다. 10명 (1.8%)이 추적관찰중에 사망하였고 그중 6명의 사망은 재수술 또는 심실 기능부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었다. 10년 생존률은 96.7%였다. 재수술은 39명 (7.2%)에서 44회 (8.1%) 시행하였고, 재수술의 주요원인은 잔존 심실중격결손 (n=6), 폐동맥 협착 (n=11), 심실중격결손과 폐동맥 협착 (n=17), 폐동맥 폐쇄부전 (n=7) 및 삼첨판 폐쇄부전 (n=2)이었다. 재수술의 수술 사망률은 10.3%였고, 5년 및 10년 재수술이 없을 확률은 각각 89.4% 및 76.1%였다. 결론: TOF 교정수술후 대부분의 환자는 높은 생존률을 보이고 임상적으로도 양호한 편을 보이지만 약 7%의 환자에서는 재수술을 요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수술시기를 결정하여 세심한 교정수술을 함으로써 가능한 한 재수술이 필요없도록 하고, 또한 유병률 및 장기 생존에 영향을 주는 교정수술후의 문제들을 조기발견하기 위해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The late results of repair of tetralogy of Fallot(TOF) are favorable in most patients. Some portion of the patients with tetralogy, however, require reoperation for residual lesions or result in late death. The outcome of patients after tetralogy repair performed during the past 13 years was studied, with an emphasis on postrepair survival and problems including reoperations. Material and Method: A retrospective review of clinical, echocardiographic and catheterization data was performed in 569 of 775 patients with TOF who underwent corrective repair between 1983 and 1995 at Sejong General Hospital, Buchon, Korea. Result: Of 28(4.9%) early deaths(defined as 30 days postrepair), 12 deaths(42.9%) were <1 year of age, with an operative mortality of 15.4%. The surviving 541 patients(age 2.8 months to 43.4 years, median 23 months) have been followed up from 1 month to 12.6 years(median 35 months) postoperatively. Most patients were in good functional class and had normal right ventricular(RV) function. Postrepair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he transatrial-transpulmonary approach and the conventional right ventriculotomy. The former technique provided a lesser incidence of significant pulmonary regurgitation(P<0.001) and alesser degree of RV dysfunction(P<0.05) compared with those in the latter. There were 10(1.8%) late deaths during the follow-up period and 6 of the deaths were directly related to reoperation or ventricular dysfunction. The 10-year actuarial survival rate was 96.7%. There were 44 reoperations(8.1%) in 39 patients(7.2%), with an operative mortality of 10.3%. The main indications or reoperation included residual ventricular septal defect(VSD) (n=6), pulmonary stenosis(PS) (n=11), VSD with PS(n=17), pulmonary regurgitation(n=7), and tricuspid regurgitation(n=2). The 5- and 10-year freedom from reoperation were 89.4% and 76.1%, respectively. Conclusion: Although the majority of patients with repaired TOF are clinically well, with a high rate of survival, approximately 7% of patients have residual lesions that require surgical therapy. Therefore, the timely and meticulous corrective repair is mandatory to avoid reoperation, and continued close surveillance is also needed for the early detection of residual problem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COVID-19) 백신 부스터 샷 미접종자의 경험

        손세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3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 백신 부스터 샷 미접종자의 현상의 본질과 경험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시도된 질적연구이다. 방법 코로나 백신 부스터 샷 미접종자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관찰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 가 제시한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는 코로나 백신 부스터 샷 미접종의 이유로 부정확한 백신 정보와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인정받기 어려운 백신부작용 등 아쉬운 사후관리로 나타났다. 그러나 백신 접종 후 직장생활과 일상생활의 복귀는 백신 접종의 보상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백신 부스터 샷 미접종자를 이해하고 코로나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한 백신 접종의 효과와백신 안전성에 대한 인식개선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백신 부작용에 대한 맞춤형 사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