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 변화궤적 연구

        전동일,서정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2 장애와 고용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vertical effect of wages, work-site accommodation and ages on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trajectory. To the end, the trajectories of change in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was explained through a latent growth model based on disabilities panel surveys using 3year data and the effects of wages, work-site accommodation and ages on the trajectories of change of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was reviewed. The imputation of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Job satisfaction has been changed over years and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in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were statically significant. Predicting factors for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were reviewe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wages and work-site accommodation significantly affected both initial level of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and change rate. On the other hand, it was indicated ages significantly affected initial level of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hange rate of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effect wages, work-site accommodation are relatively more important to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than ages. 임금근로 장애인의 연차별 직무만족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직무만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임금과 배려 그리고 연령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잠재변화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직무만족도의 변화궤적을 살펴보기 위해 무조건 모델과 선형 모델을 비교하여 선형모델을 선택하여 분석한 결과,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 수준의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직무만족도는 모두 증가하되 격차는 시간에 따라 간격이 좁혀졌다. 둘째, 임금의 초기치와 변화율, 배려의 초기치와 변화율, 연령의 초기가 직무만족도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과 배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증가하고, 변화율은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효과는 초기의 직무만족도 수준은 차이가 있었으나, 시간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임금근로 장애인에게 단순한 일자리의 제공으로 주어지는 임금 보다는 전문 직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임금 보존 정책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SCOPUSKCI등재
      • 볼링선수의 체격·체조성·운동능력과 경기력 비교

        최민동,박세환,이영춘,박일규 한국스포츠리서치 2003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20 No.1

        1. Comparison between man and woman bowling player's bodyshape, motor ability, body composition and game score. 1) Generally, man's physique was better than woman's. 2) Man's grip strength, back strength, vertical jump, standing long jump, game score are better than woman's. 3) Woman has higher percent body fat, man has higher percent of total body water and lean body mass. 2. Comparison between man and woman bowling player's bodyshape, motor ability, body composition and game score from their difference of age. 1) Comparison of man's bodyshape has shown this result that 19years old bowling player had better ability of upper limb length and lower length than 17, 18 years. 2) Comparison of man's motor ability have shown this result that 17, 18, 19 years old player have the highest grip strength and motor ability in regular sequence,17 years old player has the best ability at zigzag run, 18 years old player has best ability at twist and touch. 3) Comparison of Woman's motor ability has shown this result that in order to 17, 18, 19 years old player has highest grip strength, back strength vertical jump, standing long jump, sit-ups, block transfer. 4) Comparison of capacity of a game score has shown this result that man and woman player who are in 17, 18, 19 years old have the highest ability in regular sequence.

      • 각종 난치성 혈액 질환에서의 비혈연간 골수이식

        김동욱,한훈,김정아,김희제,민창기,엄현석,최정현,이종욱,한치화,홍영선,최일봉,신완식,민우성,김학기,김춘추,김원일,김동집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7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2 No.1

        목적: 비혈연간 골수이식은 혈연내에 적절한 골수공여자가 없는 만성골수성백혈병, 고위험군의 급성별혁병, 면역억제치료에 실패한 재생불량성빈혈 및 각종 난치성 조혈모세포질환의 완치를 위한 표준적인 치료방법으로 정착되고 있다. 혈연간 표준적인 동종 이식에 비하여 비혈연간 이식시에는 생착부전, 이식편대숙주반응과 감염이 더 빈번하게 발생하며,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체계적인 임상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없었다. 이에 본 센터에서는 1995년 10월 이후로 약 20개월간 26예의 비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하였으며 3개월 이상의 추적관찰이 가능하여 이식초기 합병증의 관찰 및 분석이 가능하였던 20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식성적 및 문제점을 보고함으로써 새롭게 확대되고 있는 이 분야의 임상연구 및 진료의 활성화를 꾀하고자 한다. 방법: 각종 혈액 종양질환으로 비혈연간 이식을 시행한 총 26예의 환자중 3개월이상의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2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임상경과를 분석한 후 생존 분석을 시행하였고, 환자의 연령, 성별, 질병의 상태, 조식 적합 항원의 일치정도, 이식편대 숙주 반응의 유무와 생존기간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표준위험군과 고위험군으로 나누어 생존율을 비교하였고 이식과 관계된 생착 부전, 이식편대숙주반응, 감염의 발생과 양상 그리고 그 합병증을 관찰하였다. 결과: 1. 환자와 공여자간에 HLA 불일치가 20예 중 4예에서 있었으며, 생착여부의 확인이 가능했던 17예 중 16예에서 생착이 확인되어 94.1%의 생착율을 보였다. 2. 급성이식편대숙주반응은 62.5%(10/16예)에서 발생하였으며 111도 이상의 급성의 이식편대숙주 반응은 25%(4/16예)에서 발생하였다. 만성이식편대숙주반응은 40%(2/5예)의 환자에서 발생하였으며 이들 모두 국소형으로 중증의 진행형 만성이식편대숙주반응이 관찰된 환자는 없었다. 3. 호흡기 합병증은 10예(50%)에서 발생하였으며 감염성 폐렴을 포함한 호흡기 합병증이 가장 흔한 일차적인 사망 원인이었다. 호흡기 합병증이 발생했던 10예중 6예가 감염에 의한 폐렴이 의심되었고 나머지 4예는 특발성 간질성 폐렴이었다. 4. 8.5개월의 중앙추적기간 중 35%의 생존율을 관찰할 수 있었고, 생존기간은0.5개월에서 15개월 (중앙치:4개월)이었다. 한편 고위험군은 25%(3/12예), 표준위험군은 50%(4/8)의 생존율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은 감염성 폐렴을 포함한 호흡기 합병증(6예)이었고, 이외의 사망 원인으로는 급성 이식편대숙주반응과 다장기부전이 각각 2예, 생착 부전, 간정맥 폐쇄, 그리고 재발이 각각 1예였다. Unrelated bone marrow transplantation(UBMT) has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as the standard treatment for cure of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high risk acute leukemia, aplastic failed on immunotherapy, and the variety of refractory hematologic diseases in patients lacking a related donor. However, as compared to HLA identical sibing transplantation, UBMT carries higher incidence of graft failure, graft versus host disease(GVHD), and infection. In our center, 26 patients underwent UMBT between October 1995 and June 1997. The minimum follow-up of 3 months was possible in 20 patients, for whom early complications and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The median age of the 20 patients was 24 years. 8 patients had standard risk disease and 12 patients had high risk disease. All patients received various preparative regimens including total body irradiation according to disease and disease status. 19 patients received CsA + short course MTX for GVHD prophylaxis. One patient received marrow that was depleted of T cells ex vivo using avidinbiotin column. The class I loci were typed by serological methods and HLA-A, HLA-B and HLA-DRB1. 3 additional pairs were one minor mismatched at the HLA-B locus. Another one patients was one major mismatched at the DRBI alleles. 17 patients were evaluable for engraftment. Successful enfraftment was confirmed in 16 patients(94.1%). Only one patient who was performed one major DRBI mismatched transplants experienced graft rejection. 16 patients were evaluable for acute GVHD. The overall incidence of acute GVHD developed in 4 patients(25%). Five patients were evaluable for the development of Ⅳ acute GVHD developed in 4 patients (25%). Five patients were evaluanle for the development of chronic GVHD. 2 patients(40%) developed limited chronic GVHD. Respiratory complications including pulmonary infection developed in 10 patients(50%) and these complications were the most common primary cause of death. Of these 10patients, 6 had pneumonia due to fungus(4 patients), pacterial (1 patient), and CMV infection (1 patient) and 4(20%) had idiopathic interstitial pneumonitis and/or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The duration of median follow- up was 8.5 months and 7 of 20 patients(35%) are alive at the time of this analysis with survival duration of 0.5 to 15 months(median survival duration: 4 months). The overall survival was 25% (3/12 patients) in high risk group and 50%(4/8 patients) in standard group. From these results, we can predict that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GVHD in Korea are lesser than multiracial countries and the long-term survival of patients with standard risk disease can approach that of HLA matched sibling transplants. For the past two years, the performance of UBMT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nd it will be possible to analyze much larger number of patients soon in Korea. In the future the problems of graft failure, GVHD, and infection due to long lasting immunocompromised status will need to be overcome by continued medical research. In addition, the volunteer donor pool will have to be expanded by the promotion of the national awareness of its need.

      • KCI등재

        Panipenem을 포함한 Carbapenem 계열 항생제의 몇 가지 임상균주에 대한 시험관내 항균력

        이동건,김명신,강진한,전혜선,최수미,위성헌,김상일,최정현,유진홍,신완식,강문원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2

        목적 : Panipenem은 일본에서 개발된 카바페넴계 항생제로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혐기균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항균력을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국내에서 분리되는 균주에 대한 감수성 검사결과는 아직 없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분리된 E. coli, K. pneumoniae, P. aeruginosa, S. pneumoniae 균주를 대상으로 carbapenem 계열 및 몇 가지 항생제와 감수성을 비교하고, 특히 P. aeruginosa의 경우 carbapenem의 효과를 Muller-Hinton agar (MHA)가 반감시킬 수 있는 특성을 고려하여 감수성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2년 3월부터 6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강남성모병원, 성가병원, 성모자애병원, 성빈센트병원에서 분리된 임상균주 E. coli, K. pneumoniae, P. aeruginosa, S. pneumoniae를 대상으로 하였다. 항생제 감수성 검사는 NCCLS 기준에 따랐고 P. aeruginosa의 경우 MHA 이외에 minimal agar Davis (MAD)를 추가로 사용하였다. 감수성 결과 해석시 panipenem은 imipenem과 같은 기준을 적용하였다. 결과 : E. coli, K. pneumoniae, P. aeruginosa는 각각 100균주였고, S. penumoniae는 134균주였다(PSSP 41, PNSP 93균주). E. coli, K. pneumoniae는 모든 균주가 imipenem, meropenem, panipenem에 대해 감수성을 보였다. P. aeruginosa의 경우 imipenem, meropenem, panipenem, ceftazidime의 MIC_(90)은 각각 16, 8, 32, 64㎍/mL이었다. MHA와 MAD 배지를 이용하여 P. aeruginosa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을 비교해 본 결과 imipenem, panipenem의 MIC_(90)가 각각 16, 32㎍/mL에서 8㎍/mL로 감소하였고, imipenem에 비해 panipenem이 더 많이 감소하였다. S. pneumoniae의 경우 PSSP는 imipenem, meropenem, panipenem에 대해 모두 내성이 없었고 PNSP는 imipenem, meropenem, panipenem에 대한 MIC_(90)가 각각 1, 2, 0.25㎍/mL이었다. 결론 : 결론적으로 panipenem은 E. coli, K. pneumoniae에 대해 기존의 카바페넴계 항생제와 유사한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 P. aeruginosa의 경우 ceftazidime, imipenem과 비슷한 항균력을 보였고 아미노산 함량이 적은 배지를 사용함에 따라 MIC가 낮아졌으며 imipenem보다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 S. pneumoniae의 경우 특히 PNSP에서 기존의 카바페넴계 항생제보다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 Panipenem은 주요 그람음성균 및 폐렴연쇄구균 감염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 Panipenern (PAPM) is a new carbapenern which has an enhanced broad spectrum against both gram-positive and negative organisms. The aim of study was to compare the activities of PAPM with those of imipenern (IMPM), meropenern (MRPM) against several clinical isolates in Korea. Methods : We tested the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APM, IMPM, and MRPM against total 300 clinical isolates of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and Pseudomonas aeruginosa and 134 Streptococcus pneumoniae collected from 5 different university hospitals. Using NCCLS guidelines, MICs of PAPM, IMPM, MRPM, and/or ceftazidime were determined. Results : All isolates of E. coli and K. pneumoniae were susceptible to PAPM, IMPM and MRPM. MIG_(90) of PAPM, IMPM, and MRPM against P. aeruginosa were 32, 16, and 8 ㎍/mL, respectively. Comparing Mueller-Hinton agar (MHA) and minimal agar Davis (MAD), the MIG_(go) of PAPM and IMPM were reduced from 16 and 32 ㎍/mL to 8 and 8 ㎍/mL, respectively. PAPM was more influenced by MAD than IMPM. All isolates of penicillin susceptible S. pneumoniae showed 0% of resistance to the carbapenems tested. MIC_(90) of PAPM, IMPM and PRPM against penicillin non-susceptible S. pneumoniae were 0.25, 1 and 2 ㎍/mL, respectively. Conclusion : Panipenern could be one of the potentially useful drugs for the treatment of infections caused by E. coli, K. pneumoniae, and S. pneumoniae. We also showed that PAPM had good anti-pseudomonal activity when examined in MAD, the amino acid-limited media. Therefore, it could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infections caused by P. aeruginosa.

      • KCI등재
      •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양육부담과 사회적 지지

        엄미선,전동일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6 사회복지리뷰 Vol.11 No.-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의 양육부담의 실태와 이러한 양육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를 연구하고자, 한부모가족가 경험하는 양육부담의 수준, 사회적 지지의 수준, 그리고, 양육부담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조사대상인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경제적 특성은 월 소득 수준은 75.5(서울시 저소득층 120.9)만원, 월지출은 71.9(서울시 저소득층 104.6)만원, 부채는 가구당 평균 1,132.4(서울시 저소득층 720.6)만원으로 서울시 저소득층에 비해 경제적으로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부모 가족이 처해 있는 문제 영역은 경제적인 문제(생계비 등), 자녀교육의 문제, 주거 및 주택문제, 건강문제 순이었으며, 양육부담의 정도는 경제, 신체, 정서, 사회적 부담 순으로 나타났으며, 자녀 양육비용, 자녀의 학습지도, 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부족 순으로 높았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수준을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정서적 지지가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며, 긍정적 평가를 제공하는 평가적 지지, 기회를 알려주는 정보적 지지, 물적자원을 제공하는 도구적 지지 순이었며, 사회적 지지와 양육부담과 관련성은 확인되었다. 발견점 중의 하나는 다른 집단과는 달리 저소득 한부모 가족에게 있어서는 사회적 지지 중 도구적 지지만이 신체·정서·경제적 양육부담을 경감시키는 반면, 사회적 양육부담에는 어떠한 하위영역의 사회적 지지도 효과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한부모가족에게는 양육부담을 경감시켜줄 수 있는 도구적 지지가 다른 형태의 지지, 즉, 정서, 정보, 평가적 지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제공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부모 대상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제공해야할 프로그램이 도구적 지지 제공을 고려하면, 양육경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find out the several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caregiving burdens about the low-income families of single parents? Second, what is the social support about the low-income families of single parents? Third, what are the positive elements from the social support that can alleviate the caregiving burde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hown below. It appeared that the burden levels of the lower class families of single parents were, in order of, economical, physical, emotional and at last the social Also when we examine the social support by dividing it into four categories, it appears that emotional support, evaluation support, information support and utility support came up in an order from highest to the lowest. The utility support is the financial aid by giving money and materials, while the evaluation support is the aid by encouraging and praising to make needy people to think themselves as valued ones. Information support is the aid by introducing them the new programs and service benevolences and in addition, the emotional support is the aid by having a conversation with needy, which might be helpful to fill up their desires. And it was shown that the information support has contributed to the downsizing of burden by itsel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social service agency should be designed and supplied the social support program as well as the information of care and education. One of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was that the low-income families of singles parents are the group of people whose aspirations have been ignored. Therefore it appeared that they are the ones who need the support from the society desperately.

      • 한국개비자(Cephalotaxus koreana)의 Harringtonine 과 Homoharringtonine에 관한 연구

        이연,박두천,박호일,주우홍,이현채,신동수 昌原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6 基礎科學硏究所論文集 Vol.8 No.-

        한국산 개비자로부터 alkaloid계통의 성분인 harringtonine과 homoharringtonine의 혼합물을 추출하여 한국산 개비자의 잎, 줄기, 뿌리에서의 harringtonine과 homoharringtonine의 함량은 고속 액체 크래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하였다. 두물질의 함량은 서식지, 식물의 부위에 따라 상이하였다. Harringtonine의 함량은 줄기보다 잎과 뿌리에서 높았고, homoharringtonine의 함량은 harringtonin 함량보다 낮았다. 팔공산, 덕유산, 백양산, 지리산 및 남해에서의 잎의 homoharringtonine 함량은 줄기와 뿌리에서 높게 나왔으며, 조계산과 진도에서는 잎의 함량이 뿌리와 줄기에서 보다 낮았다. Harringtonine and homoharringtonine known as anti-cancer agents were isolated from Korean native plumyew (Cephalotaxus koreana). The contents of harringtonine and homoharringtonine in the needles, stems, and roots of Korean native plumyew were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contents of both compounds varied with the site of location and the part of plant. The content of harringtonine was higher in needles and roots than in stems, whereas the content of homoharringtonine was lower than harringtonine. Homoharringtonine contents in needles at Mt. Palgong, Mt. Dukyu, Mt. Baekyang, Mt. Jiri, and Namhae were higher than in stems and roots. But homoharringtonine contents in needles at Mt. Jokye and Jindo were lower than in stems and roots.

      • 사상체질론의 정신의학적 타당성에 대한 연구

        민성길,김동기,박진균,전세일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3

        연구목적 : 건간한 의대상 312명과 신경증적 장애를 가진 환자 2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상체질의 구별은 노정우 및 김달래 두 전문가에 의한 판정, 그리고 경희의대 사상체질 설문지(QSCC Ⅱ)에 의한 판정 등 3가지 방법에 의하였다. 연구 대상에게 정신과적 증상척도(SCL-90), 체질특성척도 및 성격척도를 사용하여 자가 평가하게 하였다. 각종 척도들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입증되었다. 이 척도들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고전적 설명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 지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 1) 3가지 분류방법간에 차이가 컸었다. 그 중 전문가의 직접적 면담에 의한 감별보다 QSCCⅡ 설문지형이 비교적 감별력이 컸다. 3) QSCCⅡ가 감별력이 비교적 크다고 하더라도 그 결과가 소음군의 대인공포-강박증, 불면-식용상실, 무력-예민-소화기-한기-피부증후군 그리고 정력부족등 신경증적 증상과 소극-비사교적, 내향형 성격 및 이성적 성격특징 등 몇가지 특징을 감별하는 데에만 비교적 유의하였고, 태음군의 특정인 독특한 신념, 온기, 활달-사교적 성격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그 특징을 감별하였다. 또한 소양군의 활달-사교형 성격과 감정형 성격의 특징 등은 극히 부분적으로 감별하였다. 결 론 : 이러한 결과는 현존하는 사상체질 구분방법에 일치점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 각종척도를 사용한 결과는 사상체질에 관한 고전적 설명을 부분적으로만 입증하고 있다는 것, 따라서 사상체질구분에 대한 향후보다 객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constitutional classification of Sa-sang medical theory. This theory classifies the human constitution to 4 types according to classical oriental philosophy on yin and yang. Subjects and Method : Subjects were 312 medical students and 288 neurotic patients with diagnosis of neurotic, stress related and somatoform disorders and minor depressive episodes according to ICD-10. Medical students were classified to 4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QSCCⅡ). For assessmnent of symptoms and signs, Korean version of SCL-90, a constitution scale and personality scale which were designed for this study were used. These instruments were found to be reliable and vali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Subjects were asked to rate these scales. The data were analysed with factor analysis and factor scores were compared among 4 Sa-sang constitutions by ANOVA and t-test. The data from patient group were analysed with factor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Sa-sang medical theory. Results : Results of classification by 3 ways were inconsistent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Among them, QSCCⅡ was most reliable. In QSCC Ⅱ, only the factor scores of factors of homophobia-obsession, weakness-sensitiveness-indigestion-chillness-skin syndrome, sexual weakness, passive-unsociable personality, introverted personality and rational, personality, were significantly high in So-um (small yin) group of medical students. A factor of warmnes and active-sociable personality were significantly high in Tae-um(big yin)group. Also active-sociable and effective pesonality was partly related with So-yang(small yang)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ose present classification methods inconsistent, that these methods are proving only parts of Sa-sang medical theory, and that objective and scientific studies are need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a-sang medical theory.

      • 천연항균성 물질을 이용한 Vibrio vulnificus의 살균 및 독소생성 억제효과

        조성환,서일원,최종덕,전상수,라택균,정수근,강동훈 國立統營水産專門大學 附設 水産科學硏究所 1993 수산과학연구소보고 Vol.4 No.-

        생선회용 해산물에 오염되어, 생식한 경우 발생되는 패혈병의 원인균주인 Vibrio vulnificus의 생육 및 독성생성을 억제할 목적으로 천연 항균제인 Grapefruit종자추출물(GPSE)을 이용하여 그 항균효과를 검토하였다. In vitro 시험결과, Vibrio vulnificus에 대한 GFSE의 생육최소저해농도는 50~100 ppm 정도이었으며, Vibrio vulnificus 균체세포틀 100 ppm 농도의 GFSE 용액으로 처리하고 전자현미경 촬영시료로 조제하여 촬영한 후, 미생물형태을 무처리대조구와 비교, 검토한 결과, GFSE 처리로 세포막 기능이 파괴되어 세포내용물이 균체외부로 유출되어 균체의 생육이 억제되고 균체내부가 빈 ghost 형태의 균체수가 증대되어 GFSE의 항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생선회용 해산물에 GFSE를 근육주사하고 Vibrio vulnificus를 접종한 수조내에서 사육하여 채취한 어육부를 마쇄하여 일정량씩을 표준사료에 첨가해서 통닭용 병아리를 실험동물로 하여 사양실험을 실시한 결과. 체중증가율, 단백질이용효율, 혈청내 효소활성, 혈청의 주요성분함량 등에 있어서, GFSE 처리수조내에서 사육한 해산물을 첨가한 시료시험구의 경우, 무첨가사료처리구와 비교할 때 뚜렷한 차이를 목격할 수 없었으며, GFSE 첨가에 따른 실험동물의 성장저해 또는 독성현상을 유발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각 처리구에서 사양한 해산물의 어육부에 오염된 Vibrio vulnificus의 균수를 측정한 결과, 250ppm 이상의 GFSE 처리구에서는 Vibrio vulnificus를 전혀 검출할 수 없었다. To prevent food-poisoning outbreaks by Vibrio vulnificus the antimicrobial efficacy of grapefruit seed extract (GFSE) was examined.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n vitro) for the microorganism was found to be 50~100 ppm.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s of Vibrio vulnificus showed the biocidal action of this natural antimicrobial agent would be related to specific respiratory effect coupled with the destruction of permeable function of microbial cell membrane. After Anguilla japonia GFSE-injected to the body was incubated in the seawater contaminated by Vibrio vulnficus the fish meats were taken up, mixed with control diet and used as a diet in the feeding experiment. In this experiment the effect of GFSE treated with fish muscle on body weight protein efficiency ratio, serum enzymes and serum blood component of broiler chicks was investigated. It is proved from this study that there is neither Vibriosis nor toxicity associated with GFSE itself and fish meats treated with it when it is injected to the fish body at a level of 250 ppm or l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