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정시설 수용자의 우울 잠재집단 유형과 설명 요인

        전동일,오봉욱 한국교정복지학회 2019 교정복지연구 Vol.0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pressive profile of the prisoners in the correctional facilities and to analyze the explanatory factors of the potential group. We analyzed the potential profile of 926 respondents who answered all 11 items of the CES-D11 scale of 'Health Care Status of Detention Facilities in 2016'.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42.6% of the detainees were suspected to be depressed and were depressed. Second, when analyzing the potential group of depressed people, it is classified into non depressed group, low depressed group, and high depressed group. Third, factors that explain depression potential group type were eating and sleeping proble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of the correctional facility is required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depression in the correctional facility. 본 연구는 교정시설 수용자의 우울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우울 잠재집단을 도출하고 그 설명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6년 구금시설 건강권 실태조사’ 중 우울척도(CES-D11) 11개 문항을 모두 응답한 926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자의 42.6%가 우울증으로 의심되어 우울증 취약 집단이었다. 둘째, 수용자의 우울 잠재 집단을 분석하면, 비우울 집단, 저우울 집단, 고우울 집단으로 구분된다. 셋째, 우울 잠재 집단 유형을 설명하는 요인은 식사와 수면문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정시설 수용자의 우울 예방 프로그램 확대와 함께, 교정시설의 환경 개선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여성 누드 다시보기

        전동호(錢東?) 한국미술연구소 2008 美術史論壇 Vol.- No.26

        누드(nude)라는 장르는 고대 그리스 이후 조각이나 회화 등 다양한 매체로 무수히 많이 제작되어 왔다. 특히 여성 누드는 고대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끊임없는 찬사, 혹은 비난 및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렇다면 우리가 누드를 만들고 본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과연 인간의 마음속에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이상적인 미(ideal beauty)’에 대한 관념이 존재하며 이는 우리가 벌거벗은 인간의 신체를 보거나 평가할 때에도 은연중에 작동하는 것일까? 아니면 누드란 항상 누군가에게 보여지기 위한 신체이며 따라서 누드란 본질적으로 여성의 신체를 대상화하여 이를 남성 시선에 종속시키는 시각적 메커니즘인가? 본 논문은 특정 누드에 대한 미시적인 분석에 앞서 누드에 대한 거시적 조망을 해보려는 시도로, 서양 미술사에서 본격적인 누드 연구의 고전이라 할 수 있는 영국의 미술사학자 클라크(Kenneth Clark)의 『The Nude』와 이에 대한 페미니즘적 반론의 대표작인 니드(Lynda Nead)의 『Female Nude』를 중심으로 누드의 정의와 간략한 역사, 그리고 여성 누드 연구가 제기하는 몇몇 문제를 살펴본다. Those who have ever cared to survey the history of western art must have been struck by prevalent images of the naked human body. Framed images of naked human bodies, especially, female, dot the walls of major art galleries in Europe and America, and they are widely regarded as an icon of westem culture and thus a sign of civilization and artistic accomplishment. Nude is a term specifically employed to refer to the depiction of such naked human figures in visual arts, As a subject for art, it is basically a western invention, emerging in ancient Greece around the fifth century B.C. Religious prohibitions prevented the nude from appealing in quantity from the lise of Christianity in the third century until the Renaissance, when it began to dominate the depiction of the human figure in high art. Attitudes to the subject of the nude mirror the boundaries of what is acceptable and what is not in a given society and culture. Despite a varying degree of self-censorship by artists, it has often been subjugated to moral condemnation, willie it has also been considered to be the visual embodiment of virtue and truth, revealing the sense of the ideal beauty lodged deeply at the back of the human mind. This essay is all attempt to revisit the female nude in western art, reviewing its definition, its history, and the recent feminist interventions in the subject. In doing so, it calls for more historically grounded and conceptually sophisticated approaches to the subject than those metaphysical and dogmatic formulations, advanced by Kenneth Clark and Lynda Nead.

      • 장애자녀를 둔 가족의 행복한 삶에 대한 연구

        전동일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2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자녀를 둔 가족의 행복을 종단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장애자녀를 둔 가족을 대상으로 행복한 삶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횡단적 자료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장애인 가족의 행복에 대한 해석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행복에 대해 종단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는 탐색적 시도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자녀를 둔 가족 유형별 분포와 종단적 행복 수준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 과, 장애인 가구 유형은 단독가구(1인가구)의 급격한 증가(15.5%p 증가)와 2세대(6.2%p감소)와 3세대(5.6%p감소)의 감소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또한, 가구유형별 행복 수준은 단독가구가 일관되게 행복 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가족구성별 행복 수준은 초기 조부모의 행복 수준이 낮았으나 최근 가족구성원간 행복 수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애 자녀를 둔 가족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그를 통해 장애인 가족지원 사업이 진행되기를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ally explore the well-being of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There were limitations in interpreting the happiness of disabled families, given that most studies of happy lives for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were based on transversal data.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happiness of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through a final analysis.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distribution by type of family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level of ultimate happiness. The study showed that the types of disabled households showed a rapid increase (15.5%p increase) in single households, a decrease in second generation (6.2%p reduction) and third generation (5.6%p reduction). In addition, the level of happiness for each type of household was consistently low for single households. The level of happiness among family members was low in early grandparents, but the level of happiness among family members has not shown any difference in recent years. We hope to find a factor that affects the well-being of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and to carry out a family support project for the disabled through him.

      • KCI등재후보

        정보통신산업기술분야 지체장애인 친화적 직종 개발 연구

        전동일,오봉욱,임재현,홍현근 한국장애인개발원 2018 장애인복지연구 Vol.9 No.2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new types of occupations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sector suitable for the disabled and discovering job tasks. The method was carried out to draw disabled-friendly occupations to use a literature search,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e disabled workers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sector and those responsible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had a high demand on field-type training, project-type training, and online technical training as well as on introduction of coordinators in charge of such training. And they requested the system that provides field-type training within the company so that it can lead them to employment later on for further career, rather than establishing a separate institution. And, by AHP for drawing the disabled-friendly occupations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sector, IT & knowledged-based, suitability to perform, and availability of employment, and possibility of continuous work were selected as the components of the disabled-friendly occupations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and 111 disabled-friendly occupations were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discussion in this study proposed plans to develop training course and contents, plans to provide career information and publicize, and plans. 본 연구는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장애인에게 적합한 정보통신산업기술분야의 직종을 개발하고 근속가능성이 큰 직무를 발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표적집단 면접조사(FGI), 계층분석법(AHP)을 통해 장애인 친화적 직종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보통신산업기술분야에서 근무 중인 근로장애인과 직업재활 실무자들은 현장형 교육, 프로젝트형 교육, 온라인 기술교육 및 이와 관련된 코디네이터 도입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고, 교육훈련을 위한 별도의 기관 설립보다는 기업체내 현장형 교육이 실시되어 차후 채용으로 연결되어 경력을 쌓을 수 있는 방식을 요구하였다. 또한 정보통신산업기술분야 장애인 친화적 직종의 구성 요소는 IT·지식기반성, 수행적합성, 취업용이성, 근무지속성이 선정되었으며, 장애인 친화적 직종으로는 111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교육과정 및 콘텐츠 개발 방안, 진로정보 제공 및 홍보방안, 활용을 위한 법제도 정비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장애노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전동일,양숙미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and present the political and practical plan for the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y. We analyzed the raw data of the old people life actual condition which executes from 200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subjects for the study was the elderly with disability at the age of 65 and over. and comparative group was the elderly without disability at the age of 65 and over. Th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are the function and healthy and productive activity, and family. The results appeared that the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the family factors influenced highly the quality of life. ADL and the chronic disease didn't affected in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y and affected in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ithout disability. Economic activity and Caring their grandchildren didn't affected in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y and did affected negatively for the elderly without disability. We proposed the implication for the political and practical improvement plan as follows : will have to provide the service of culture and leisure life participation reinforcement, family support, and employment service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y. 본 연구는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이들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애노인복지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8년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노인생활실태 및 욕구조사 자료를 2차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65세 이상 장애노인이며 비교 집단으로 비 장애노인을 설정하였다.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인구학적 특성, 기능 및 건강, 생산적 활동, 가족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장애노인과 비 장애노인 모두 생산적 활동 요인 중 사회활동 참여와 가족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높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노인은 ADL과 만성질환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 장애노인은 건강요인이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과 돌봄활동의 생산적 활동요인이 장애노인에게는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비 장애노인에게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비 장애노인과 같은 서비스가 제공됨과 동시에 문화와 여가생활 참여 강화, 가족지원정책 강화, 그리고 장애노인에게 일자리사업의 우선적 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관계법령 체계화 방안-장애인기본법 제정 방안을 중심으로-

        전동일,임재현,원종필 사회복지법제학회 2018 사회복지법제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systemize disability related laws through the Basic Act on the disabled and includes the basic principles, directions and spirit of the law so that the state can effectively manage the social risks of disability. The results of study first, It is appropriate to accommodate the Basic Law system in systematizing disability related laws because that the Basic Law announces the direction of the major institutions and policies of the state, has a legal nature that directs the revision guidelines of individual laws. Second, It divided into narrow and broad disability related laws, described status and systematization of disability-related laws. Third, By analyzing the constitution system of the Basic Law, the Basic Law for the Disabled was composed Article 47, Chapter 6, and to have a higher legal character covering the disability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under the Constitution. Last, as a measure to improve disability related law, the basic legal nature of the contents of the Welfare Act for the Disabled is transferred to the Basic Law for the Disabled or reclassify to disability related laws. The remaining provisions, it proposes to enact the 「Act on Supporting the Independence for the Disabled」 and the 「Act on Advocating the Rights for the Disabled」. The meaning of the study, first,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Basic Act for the Disabled, it can be presented of the systematization of disability related laws and the directions and criteria of individual disability related laws. Second, it clearly cla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rough a un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Basic Law for the Disabled. Third, the Basic Law for Disabled will help to eliminate the barriers to the disabled in society, and to participate in society and to realize independence living for the disabled as an equal entitlement to the non-disabled. 본 연구목적은 「장애인기본법」 마련을 통해 장애관계법령을 체계화하고 국가가 장애라는 사회적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대응할 수 있도록 법의 기본원칙과 방향, 정신을 담는데 있다. 연구결과 첫째, 기본법은 국가의 주요한 제도 및 정책의 방향성을 천명하고, 개별법의 제⋅ 개정 지침을 지시하는 법적 성격을 갖고 있어 장애관계법령 체계화에 기본법 체계를 수용하는것이 적합하다. 둘째, 장애관계법령을 좁은 의미의 장애관계법령과 넓은 의미의 장애관계법령으로 구분하고, 장애관계법령의 현황 및 체계화를 기술하였다. 셋째, 기본법의 구성 체계 분석을 통해 「장애인기본법」을 제6장 제47조 구성하였고, 헌법 아래 장애관계법령을 아우르는 상위법적 성격을 갖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장애인기본법」 제정에 따른 장애관계법령 정비 방안으로 「장애인복지법」의 내용 중 기본법적 성격은 「장애인기본법」으로 이동하거나 장애관련개별법으로 재분류하고, 나머지 조항들은 「장애인자립지원법」과 「장애인권익옹호법」을 대체입법으로 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장애인기본법」의 제정을 통해 장애관계법령의 체계화와 장애관련개별법의 제⋅개정 방향과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둘째, 「장애인기본법」을 토대로 한 일원화체계를 통해 장애관계법령 간의 관계를 명료하게 정리하였다. 셋째, 「장애인기본법」을 통해사회전반에 걸친 장애인에 대한 장벽 제거 및 비장애인과 동등한 권리주체자로서 장애인 당사자의 사회참여와 이를 통한 자립생활 구현에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발달장애인 부모의 대리 의사표시의 정합도와 편향에 관한 연구

        전동일,전지혜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부모가 발달장애인의 의사를 잘 대리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 자료는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발달장애인 본인이 응답한 내용과 발달장애인을 대신하여 부모가 응답대리한 항목 의 값의 일치도를 통해 부모 대리응답자의 의사표시의 정합성과 편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 대리응답자는 발달장애인에 대해 삶의 만족도와 같은 실태에 대해 잘 응답대리하고 있으나 비용 항목은 심하게 과대 계상하는 긍정편향 을, 차별 인식은 부정 편향 대리가 나타났다. 둘째, 자립과 관련되어 다수의 발달장애인 부모 대리응답자는 발달장애인 본인과 의사표시 정합성이 높았다. 다만, 약 5~10% 정도의 부모 대리응답자가 발달장애인과 의견과 달리 시설 형태의 비일반주택을 선호하여 자립정책을 왜곡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향후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욕구 및 자립의향 연구조사시 가능한 당사자의 응답을 받을 수 있어야 함을 제안하였고, 대리응답의 정합도 연구가 다차원 적으로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well represented by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alysis data is based on the data from the Survey on Disability Survey in 2014. We analyzed the consistency and biases of the parent's proxy respondents' opinions by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contents of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value of items that the parents answered on behalf of the development disabled. First, the parents' proxy respondents responded well to the actual situation such as life satisfaction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while the parental proxy respondents showed the positive bias to overestimate the cost items and the negative bias to recognize the discrimination. Second, in relation to independent living, the majority of the parents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respondents had a high agreement with the developmental disabled person. However, about 5 ~ 10% of the parents' proxy respondents seem to have a tendency to distort the independent living policy by preferring non-standard housing types, unlike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is, it was proposed that the respondents should be able to receive the answers of the possible parties in the future research on desire and independent living related intention toward the developmental disabled, and the research on the matching of the proxy response is needed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