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절제 불가능한 원발성 간세포암종에 대하여 DC beads(r)를 사용한 반복적인 경동맥 화학색전술 후 간절제술을 시행한 1예

        송정엽 ( Jeong-yeop Song ),김영석 ( Young Seok Kim ),이재명 ( Jae Myeong Lee ),진수지 ( Soo Ji Jin ),최규성 ( Kyu Sung Choi,),이윤나 ( Yun Nah Lee ),김상균 ( Sang Gyune Kim ),정승원 ( Sung Won Jeong ),장재영 ( Jae Young Jang ) 대한간암학회 2013 대한간암학회지 Vol.13 No.1

        In patients with u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and no anti-cancer treatment, the prognosis is quite poor. But in some cases, repeated sessions of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reduce the tumor size even to resectable, and post-TACE resection may prolong the survival time. We present a case of 50-year-old HBV carrier woman with abdominal distension. The diagnosis was huge HCC with intrahepatic metastasis. Repeated intra-arterial injections of adriamycin mixed lipiodol or DC beads(R) (100-300/300-500/500-700 μm, ⓒBIOCOMPATIBLES UK LTD) were instituted through ten sessions for 13 months. The tumor size became reduced with a partial response after 10th TACE and post-TACE resection was performed. No visible HCCs and decreased tumor markers were noted on the examinations 3 months after the resection.

      • 유방암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역전사효소연쇄중합반응을 이용한 Human Mammaglobin 측정의 임상적 유용성

        김재홍,강석윤,송정엽,최태영,임홍석,김선경,김영진,박준성,김현수,최진혁,임호영,김효철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1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6 No.2

        Background: The mammaglobin gene encodes a novel protein that is secreted from the mammalian epithelium of normal breast tissue as well as malignant breast cancer tissues. In order to ascertain the prognostic value of mammaglobin gene in breast cancer patients, we measured the expression of human mammaglobin (hMAM) by RT-PCR method in various stages of breast cancer patients. Methods: Peripheral blood samples from forty healthy volunteers and 114 breast cancer patients were obtained. Peripheral blood stem cells (PBSC) collected for the purpose of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five patients with metastatic breast cancer and ten patient with high risk for relapse and no evidence of disease were used for hMAM assay. Results: All samples from peripheral blood of forty healthy individuals (twenty males and twenty females) were negative for hMAM, whereas 43 of 114 samples (38%) from breast cancer patients were positive for hMAM mRNA. All the normal breast tissues were positive for hMAM mRNA. hMAM mRNA expression was detected in 11 of 42 (26%) in breast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for curative resection and had no evidence of disease, in 8 of 25 (34%) with chemo-sensitive relapsed disease, and in 16 of 32 (53%) with chemo-refractory progressive disease. Eight (53%) samples from peripheral blood of 15 breast cancer patients with metastatic disease at diagnosis were positive for hMAM. Three (20%) samples from peripheral blood stem cells of 15 breast cancer patients for high dose chemotherapy were positive for hMAM. Conclusion : In contrast to healthy volunteers, hMAM transcripts were detected in the peripheral blood of breast cancer patients. The frequency of hMAM expression in peripheral blood was correlated with the clinical stages of disease, but, was not significant. The contamination of hMAM expressing cells in the stem cell pool warrants additional effective purging method before the transplantation. The clinical relevance of hMAM RT-PCR-based tumor cell detection in the peripheral blood of breast cancer patients should be further evaluated in prospective studies.

      • KCI등재

        The Histone Demethylase PHF2 Promotes Fat Cell Differentiation as an Epigenetic Activator of Both C/EBPα and C/EBPδ

        이경화,주욱일,송정엽,전양숙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14 Molecules and cells Vol.37 No.10

        Histone modifications on major transcription factor target genes are one of the major regulatory mechanisms controlling adipogenesis. Plant homeodomain finger 2 (PHF2) is a Jumonji domain-containing protein and is known to demethylate the histone H3K9, a repressive gene marker. To better understand the function of PHF2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we constructed stable PHF2 knock-down cells by using the mouse pre-adipocyte cell line 3T3-L1. When induced with adipogenic media, PHF2 knock-down cells showed reduced lipid accumulation compared to control cells. Differential expression using a cDNA microarray revealed significant reduction of metabolic pathway genes in the PHF2 knock-down cell line after differentiation. The reduced expression of major transcription factors and adipokines was confirmed with reverse transcription-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ting. We further performed co-immunoprecipitation analysis of PHF2 with four major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we found that CCAT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 and C/EBP physically interact with PHF2. In addition, PHF2 binding to target gene promoters was confirmed with a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experiment. Finally, histone H3K9 methylation markers on the PHF2-binding sequences were increased in PHF2 knock-down cells after differentiatio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HF2 histone demethylase controls adipogenic gene expression during differentiation.

      • 간 내에 암종이 보이지 않는 황달형(icteric type) 간세포암 1예

        신일상,김영석,이윤나,송정엽,장희윤,최현종,김상균,문종호,김부성,최규성,이태희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3 No.1

        황달형 간세포암종은 암종이 간에서 담도계로 직접 침범하거나 간문맥주변에서 발생하여 담도를 압박하는 경우, 또는 담도 내에서 일차적으로 암종이 발생하여 담도를 폐쇄시키는 경우 발생한다. 대부분의 황달형 간세포암종은 간내 종괴가 함께 존재하며, 간 종괴 없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54세 남자 환자가 내원 3일 전 시작된 전신의 황달로 내원하였다. 술은 거의 마시지 않으며 10갑년의 흡연력 있는 분으로 다른 과거력은 없었다.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11,680/mm3, 혈색소 14.3 g/dL, 혈소판 214000/mm3, 일반 화학 검사에서 AST 281 IU/L, 알부민 3.5 g/dL, 총 빌리루빈 9.82 mg/dL, 직접 빌리루빈 7.82 mg/dL, BUN 17.3 mg/dL, 크레아티닌 0.8 mg/dL, gamma-GT 1612 IU/L, ALP 1429 IU/L CRP 4.38 mg/dL이었다. HBsAg (+), anti-HBs (-), HBeAg (+), anti-HBe (-), HBV DNA 26323 Copies/mL이었다. Carbohydrate antigen 19-9 324.4 U/mL, 알파태아단백 4.1 ng/mL, PIVKA 22 mAU/mL이었다. 복부초음파검사에서 총담관 및 좌측 간내담도의 확장과 함께 총담관내 고에코종괴가 있었으며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총담관에서 총간관의 근위부까지 종괴가 이어져 있었으나 담관주위 간실질내 뚜렷한 종괴는 보이지 않았다. 내시경성 역행 췌담관조영술에서 바터 팽대부를 통해 혈액을 포함한 담즙이 배액되고 있었으며 총간관 협착 및 총간관내음영 결손이 있었다. 관강내 초음파에서 우측 간내담관에서 원위부 총간관까지 이어진 고에코 용종성 종괴가 내강을 채우고 있었다. 혈액담즙증이 동반되어 용종성 종괴에 대한 조직검사는 시행하지 않았으며 내시경적 담도배액술을 시행하여 황달이 개선된 후 확장성 좌측 편측간엽절제술, 꼬리엽절제 및 Roux-en-Y 간공장문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절제조직의 검사에서 겉모습은 울퉁불퉁한 결절성 변화를 보였고 담관은 심하게 확장되어 있었으며 회색의 용종성 종괴가 총담관부터 3.5 cm 지점에서 담관을 채우고 있었다. 현미경 소견에서 절제연 및 림프절의 전이는 없었으며 종괴 괴사 및 출혈 소견이 보였다. 조직형으로 간세포암종이 최종 확인되었고 분화형정도는 E-S 등급에서 Worst Grade lV, Major Grade lll였으며 미세혈관성 침입은 없었다. 간내 종괴가 보이지 않는 황달형 간세포암종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고주파열치료 후 발생한 간세포암종 파종의 수술적 치료

        김규형,김영석,이윤나,송정엽,장희윤,김상균,최규성,이민희,김희경,김부성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3 No.1

        고주파 열치료는 원발 또는 전이성 간내 악성 신생물의 근치적 치료에 정립된 방법으로 치료 성적도 환자 선별에 따라 수술적 절제와 유사하다. 고주파 열치료의 합병증으로는 통증, 출혈, 감염 등이 있으며 고주파열치료를 시행한 0.5-3%에서 간세포 암종의 파종이 발생한다. 고주파열치료 후 간세포 암종의 파종을 치료하기 위해 방사선치료, 항암색전술 등도 이용되나 수술적 절제가 가장 유용한 근치적 치료법으로 알려져있다. 저자 등은 고주파 열치료 후 발생한 간세포암종 파종을 수술적 절제로 치료하여 이를 보고한다. 증례1: 66세 남자 환자가 고주파열치료 후 발생한 우측 복벽의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15년 전 만성 B형 간염을 진단 받았으나 특별한 치료 받지 않던 분으로 내원 3년전 S4, 2년 전 S5, S6에 위치의 간세포암종에 대해 고주파열치료를 시행받은 과거력이 있었다. 이후 내원 2년 전 전산화단층촬영 검사에서 S7에 1 cm의 조영증강 되는 조양이 발견되어 간조직검사와 함께 고주파열치료를 시행하였다. 이후 추적관찰 중 S4에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새로운 간세포암종 발견되어 간동맥항암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추적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우측 복벽에 조영 증강되는 소견의 병변이 관찰되어 광범위 절제술과 복강경하 복막부분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조직검사에서 전이성 간세포암종 소견을 보였으며 이후 2년 동안의 추적 관찰기간동안 재발 없어 경과 관찰중이다. 증례2: 70세 남자 환자가 고주파 열치료 6개월째 추적 검사한 전산화단층촬영 검사에서 간표면에 종양이발생하여 내원하였다. 15년 전 만성 C형 간염을 진단 받았으나 특별한 치료 받고 있지 않던 분으로 내원 1년 전 전산화 단층촬영 검사에서 발견 된 S8에 위치한 간세포암종에 대해 3회에 걸쳐 고주파열치료 시행하였다. 추적 전산화단층촬영에서 S8 간표면에 종양 발견되어 전방부분엽절제술과 횡경막 쐐기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조직 검사에서 간세포암종 소견 보였으며, 이후 3개월 동안의 추적관찰 동안 재발에 없어 경과 관찰 중이다.

      • 간농양으로 발현된 간세포암종의 1예

        명준호,김영석,이윤나,송정엽,장희윤,김상균,김부성,최규성,이민희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3 No.1

        간농양은 영상의학적으로 역동성 조영증강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동맥기와 문맥기-지연기 모두에서 저음영으로 보이는 반면 간세포암종은 동맥기에서 조기에 조영증강되며 문맥기-지연기에서 조영감소(wash-out)의 특징적인 소견을 보여 전산화단층촬영으로 간농양과 간세포암종을 감별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간세포암종에서는 비전형적인 영상 소견을 보여 감별에 어려움을 주는 경우가 있다. 48세 남자 환자 내원 당일새벽에 갑자기 발생한 우측 옆구리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30갑년의 흡연력과 맥주 2병을 30년간 주당 3-4회 마셨으며 그 외 다른 내과적 과거력은 없었다.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8760/mm3, 혈색소 14.7 g/dL, 혈소판 146,000/mm3, AST 54 IU/L, ALT 34 IU/L, 총 단백 7.6 g/dL, Albumin 4.0 g/dL, 총 bilirubin 1.31 mg/dL 직접 bilirubin 0.51 mg/dL, BUN 16.4 mg/dL, Creatinine 0.8 mg/dL, LDH 307 IU/L, CRP 5.24 mg/dL,aFP 6.5 ng/mL, PIVKA II 21 mAU/mL, HBs항원 양성, HBe항원 양성, 항HBe항체 음성, HBV DNA 역가는 70,526.4 IU/mL였다. 환자는 내원4개월 전 우측 옆구리통증 주소로 응급실 내원하여 시행한 복부 전산화단층활영에서 간의 6번 구역에 동맥기와 문맥기-지연기 모두에서 저음영으로 보이는 25×21 mm의 병변이 관찰되었다. 병변은 조영증강 초음파에서 조영증강되지 않아 간농양으로 진단하였고 항생제 치료 후임상적으로 호전되어 퇴원 후 외래에서 경과관찰하였다. 이번 입원하여 시행한 역동성 조영증강 간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간의 6번 구역에동맥기에서 조기에 조영증강되며 문맥기-지연기에서 조영감소(wash-out)를 보이는 병변이 있었고 이는 조영증강 초음파에서 병변 전체가 비교적 균일하게 조영증강되어 이전과 조영 양상에 변화가 있었다. 이에 간의 6번 구역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조직검사에서 중등도의 분화도를 보이는 간세포암종(Edmondson-Steiner grade 3)으로 확인 되었으며 약 95% 이상의 광범위한 괴사를 동반하고 있었다. 이에 간농양을 동반하여 영상의학적으로 진단에 혼동을 줄 수 있는 간세포암종에 대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단회 Widal 검사의 임상적 가치

        임영애,전희선,곽연식,송정엽 아주대학교 의과학연구소 1996 아주의학 Vol.1 No.1

        Introduction: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Widal test requested only once during the clinical episode(single Widal test) in diagnosing typhoid fever, results of culture for Salmonella typhi were compared to the results of single Widal test. Materials and Methods: Widal tests were performed by rapid slide melhod(stained Salmonella suspensions, Murex, England) and the cutoff values of Widal test liter were ≤ 1:160 for 0 antigen, ≤ 1:320 for H antigen. After reviewing culture results of S.typhi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efficiency of the single Widal test were computed. Results: Culture results of S.typhi in positive Widal test were 7.1%(9/126) for 0 antigen, 7.6% (11/134) for H antigen, 10.9%(6/55) for 0 & H, therefore false positive results were 92.9% for 0, 92.4% for H, 89.1% for 0 & H combined and false negative results were 0.7%(7/1022) for 0, 0.5% (5/1003) for H, 0.2%(2/1093) for 0 & H.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efficiency of single Widal test were 56.3% (9/16), 89.7%(1015/1132) and 89.3%(1026/1148) for 0; 68.8%(l 1/16), 88.2% (998/1132) and 87.8%(1009/1148) for H; 37.5%(6/16), 95.7%(1083/1132) and 94.9%(1089/1148) for O & H, respectively. Also, Widal test results were positive on many occasions when group D Salmonella was isolated even if isolates were not S.typhi and some group B Salmonella isolates, Conclusion: The outcome of single Widal test showed more than a 90% false positive rate for both 0 and H antigens. Furthermore, Widal tests were positive when patients were infected with Salmonella groups other than S.typhi.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single Widal test is not a good diagnostic test for typhoid fe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