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에서 식인으로 - 루쉰의 「조인술」 번역과 잠복된 야만의 서사

        서유진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6 中國現代文學 Vol.0 No.78

        This essay examines Lu Xun’s translation of English-language science fiction and the way his criticism of modern science cleared a path for his devotion to literature. Science, as a means of delivering China out of national crisis, eventually led Lu Xun to commit himself to moral and psychological renewal. “Technique for Creating Humans” (1906) demands a reading beyond the transformed body: in Lu Xun’s text, a chemist is overjoyed as if he himself had become God after successfully creating humans. In Louise J. Strong’s original “An Unscientific Story” (1903), however, the scientist becomes fearful after realizing that he actually created monsters devoid of humanity. The created humans practice cannibalism, which testifies to contemporary worries over scientific accomplishments. This motif of cannibalism is further observable in Lu Xun’s first short story “A Madman’s Diary” (1918), which criticizes Chinese civilization and reflects his lifelong mission of renovating the national character.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rise of modern science did not eradicate barbarism. Modern criticisms of distinct cultures for barbaric practices sometimes revealed different forms of barbarism. For example, Meiji Japan’s criticism of Chinese cannibalism emerged from a recognition of domestic cannibalism. In addition, Western concepts of the “Yellow Peril” were accompanied by imperialist invasions and haunted by memories of a medieval past. Lu Xun recognized the widespread barbarism; but he feared that China would use brutality as a means to enhance national pride. Overall, Lu Xun’s translation of science fiction explains his transition from science to literature, which eventually led to his formation of the May Fourth cultural criticism and his criticism of babarism in human civilization.

      • I.E 활동경향과 그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서유진,강호욱,오명진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1979 공업경영논총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roblems of I.E, and solve the problems. Compared with other parts, production-control's theory and practice do not always go hand in hand. But, we must rectify these mistake. In order to grasp the situation, this paper inquire the real condition centering around the Busan's 117 enterprises.

      • KCI등재

        장애학생 상담교과 이수를 통한 예비상담교사들의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역할 수행역량 변화분석

        서유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2

        통합교육 속 장애학생들의 심리적,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시키고자 학교상담의 중요성이 대 두되고 있는 가운데 상담교사들에게 특수교육의 기본 개념과 장애유형별 장애학생의 특징을 이해하며 장애학생을 위해 실질적으로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는 역할 수행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상담교사양성기관에서는 예비상담교사들의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역할 수행역량 강화를 위해 장애학생 상담교과를 필수 또는 선택 이수교과로 지정하여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장애학생 상담교과 이수를 통해 예비상담교사들의 특수교육과 장애에 대한 이해정도, 장애학생 상담교사로서 역할수행 가능성,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인식 과 태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서울과 경기도 소재 교육대학원에서 상담교육을 전공하는 총 107명의 예비상담교사들이 특수아상담 수업 이수 전, 후에 설문지 조사에 참여 하였다. 설문지 조사 결과, 장애학생 상담교과 이수를 통해 예비상담교사들의 특수교육과 장 애에 대한 이해정도, 장애학생 상담교사로서 역할수행 가능성,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장애학생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장애학생 상 담을 제공할 수 있는 역량있는 상담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 장애학생 상담 관련 교과의 내용 과 활동을 어떻게 구성하고 이를 운영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메타버스의 의사소통기능 연구

        서유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23 도시인문학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municative function shown in the metaverse platform, which is a digital space that connects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Most communication in real life is mainly through language. Non-verbal communication such as winks, hand movements, gestures, and poses were regarded as body language, which supports verbal communication. However, when communicating through an avatar not in the real world but in the metaverse, non-verbal communication takes up more weight than verbal communication as a medium that help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human-virtual world. And a sender and a receiver interacting in the metaverse are not in a one-to-one relationship but in a one-to-many relationship. Moreover, what is characteristic of the interactions within the metaverse is that the communication structure is dual and complex. More specifically, there is not only a sender-receiver structure in which individuals, groups, and companies communicate in terms of produc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but also a sender-receiver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receivers who have entered the metaverse space created by very broadly configured operators. Therefore, with a focus on such interactivity, this study analyses the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 metaverse and examines its functions by focusing on the non-verbally communicative elements shown in Roblox or Zepeto.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communication within the metaverse is a process in which non-verbal elements are verbalized. Now we are facing the era of chat GPT. This means that the learning environment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soon change, and it is highly related to the expansion of AI-customized education or educational learning experiences. When used for classes, the metaverse space can serve as a new classroom or a classroom added to an existing classroom. In addition, this study expects that it is a foundation for the various development possibilities of avatars and emoticons as a variety of communication tools between individuals because the metaverse space can be a connection point with games, social bases, and daily life. 본 연구는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연결해 주는 디지털 세계인 메타버스 플랫폼에 나타난 의사소통 기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실제 현실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은 대부분이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으로 이루어지며, 눈짓, 손짓, 제스처, 포즈 등과 같은 비언어적인 요소들은 언어적 의사소통을 할 때 수반되는 신체언어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현실 세계가 아닌 메타버스 안에서 아바타를 통해 의사소통할 경우, 현실-인간-가상 세계 간의 상호작용을 도와주는 매개체는 언어보다는 비언어적인 요소들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메타버스 내에서 상호작용하는 발신자와 수신자는 일대일 관계가 아니라 일대다, 다대일, 다대다 관계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게다가 메타버스 내 상호작용에서 특징적인 것은 의사소통 구조가 이중적이고 복합적이라는 것이다. 즉 개인이나 집단, 기업 등이 생산하고 운영 관리하는 측면에서 소통하는 발신자-수신자 구조와, 매우 폭넓게 구성된 운영자들이 만든 메타버스 공간 내에 입장한 수신자들 사이에 발신자-수신자 관계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상호작용성에 주안점을 두어 메타버스의 의사소통 구조를 분석하고, 이들의 기능을 로블록스나 제페토에 나타난 비언어적인 요소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 내의 의사소통은 비언어적인 요소들이 언어화되는 과정임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는 챗GPT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것은 곧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한 학습환경이 변화할 것을 의미하며, AI 맞춤형 교육이나 교육학습 경험의 확장과도 큰 관련이 있다. 메타버스 공간은 수업에 활용할 경우, 새로운 강의실 혹은 기존 강의실에 추가되는 강의실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메타버스 공간이 게임이나 소셜 기반 및 일상생활과의 연결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가 개인 간의 다양한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인 아바타와 이모티콘의 다양한 개발 가능성을 위한 기본 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