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 혈액질환 환자에서 침습성 아스페르길루스증의 구제치료로서 Voriconazole의 효과와 안전성

        권재철,김시현,최수미,최재기,이동건,박선희,최정현,유진홍,신완식 대한감염학회 2010 감염과 화학요법 Vol.42 No.1

        Background: Invasive aspergillosis (IA) i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voriconazole (VCZ) when used as salvage therapy for IA in Korean adul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who had not responded to prior antifungal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data, collected from January 2007 to October 2008, from patients with proven or probable cases of IA. All were probable IA cases, except for one proven case. All cases were refractory or intolerant to antifungal therapy prior to administration of VCZ. Efficacy and safety were assessed in patients treated with VCZ for more than 3 days and for more than one dose, respectively. A favorable response [complete (CR) or partial (PR)] was defined by significant improvement of all clinical symptoms, signs, and radiologic abnormalities. Results: Fifty patients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enrolled. There were 27 male and 23 female patients with mean age of 44.4 years (range, 15-65 years). Underlying diseases were acute leukemia (35 cases),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4 cases), myelodysplastic syndrome (3 cases), lymphoma (3 cases) and other hematologic diseases (5 cases). Twenty-two patients had received chemotherapy and 13 patients had undergone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The lung was the main infection site (94%) followed by the sinus (6%). Amphotericin B deoxycholate alone was the most frequent previous antifungal therapy. The mean duration of antifungal therapy prior to VCZ therapy was 13.9±8.8 days (2-44 days). The median duration of VCZ therapy was 19 days (interquartile range, 49 days). Sixteen patients (32.0%) showed favorable responses (CR:PR=8:8) at the end of VCZ therapy. The numbers of patients with stable disease, progression and death were, 6 (12%), 6 (12%) and 22 (44%) respectively. Most of those with unfavorable responses had relapsed underlying malignancies or refractory graft versus host diseases. Twelve patients developed drug-related adverse events but only one patient stopped VCZ treatment prematurely. Conclusions: VCZ demonstrated an acceptable level of toxicity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but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prove its efficacy as salvage therapy.

      • 무선 ATM에서의 효율적인 자원할당 알고리즘

        최명렬,조태경,권재우 漢陽大學校 工學技術硏究所 2000 工學技術論文集 Vol.9 No.1

        본 논문에서는 셀을 섹터로 구분하고 이동국이 어느 섹터에 위치하는가를 추정하여 핸드오버할 확률이 가장 높은 최인접셀을 정하므로써 효율적인 대역폭 할당을 할 수 있는 핸드오버 알고리즘을 제안하였고, 서비스 트래픽을 실시간과 비실시간으로 구분하므로써 무선 멀티미디어 환경에 알맞은 대역폭 할당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이에 적합한 무선 MAC프로토콜을 제안하여 구현하고자 하는 무선 ATM환경을 보다 구체적이며 실제적으로 나타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기존의 핸드오버 알고리즘과 SMPL로 비교 시뮬레이션하여 성능을 검증해 보았다. We propose the handover algorithm considering the position of mobile terminal and determining the most adjacent cell with the highest probability of handover. The proposed algorithm can make a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and may be applicable to the condition of wireless multimedia. In addition, the proposed algorithm is considered efficient wireless MAC protocol.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proposed algorithm show better performance in both blocking probability and handover probability than conventional one.

      • KCI등재

        산청군 산림지가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권철현,이상태,신현철,최재채,정영관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0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산청군 남부와 북부지역 361개소의 공시지가와 일반시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지가 형성요인에 대하여 단계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부지역에 대한 공시지가와 관련된 5변수 모형에 의한 추정식은 Y = 332.1973 +0.0099X_26 - 0.3577 X_8+ 0.0291X_24 - 2.6768X_2 - 26.1452X_3 이며, 회귀식에 대한 설명력은 90%로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시가에 대한 추정식은 Y = 1035.7976 -185.8280X_21 -3.3937X_1 + 405.6658X_19 -0.4703X_8 이며, 추정식에 대한 설명력은 92%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북부지역에 대한 지가 형성요인에 의한 공시지가 추정모형은 Y = 176.7875 + 0.0205X_25 -0.1168X_8 + 0.0015X_26 -46.3447X_21 로 추정되었으며, 회귀식에 대한 설명력은 96%, 일반시가의 추정 모형은 Y = 203.0697 + 0.0430X_25 + 0.0027X_26 -28.8276X_4 -46.7856X_21 -0.0007X_23 으로 추정되었으며, 회귀식에 대한 설명력은 90%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접근요인은 부의 영향을, 그 외 다른 요인들은 지가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publicly announced land price and actual land price compared to the northern and southern region of 361 forest land place in Sanchung county. To decipher factors for making forest land price it used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 of analysis are followings; Y = 332.1973 +0.0099X_26 - 0.3577 X_8+ 0.0291X_24 - 2.6768X_2 - 26.1452X_3 (R^2=90%) and the estimation equation of actual price analyze the publicly announced and actual price compared to the northern and southern regions of Sanchung county of price was obtained as Y = 1035.7976 -185.8280X_21 -3.3937X_1 + 405.6658X_19 -0.4703X_8(R^2=92%). In the northern region, the estimation equation of publicly announced land price by the factors for making forest land price was obtained Y = 176.7875 + 0.0205X_25 -0.1168X_8 + 0.0015X_26 -46.3447X_21(R^2=96%) and the estimation equation of actual price was obtained as Y = 203.0697 + 0.0430X_25 + 0.0027X_26 -28.8276X_4 -46.7856X_21 -0.0007X_23(R^2=90%). In the result of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t was a showed negative effect of the proximity factor and the positive effect between others factor and land price.

      • 무선랜용 Q-대역 0.25㎛ pHEMT MMIC 저잡음증폭기 설계

        최우성,이원조,권태운,최재하 울산대학교 2002 공학연구논문집 Vol.33 No.1

        본 논문에서는 무선랜용 수신 시스템의 첫 단에 쓰이는 Q-대역 2단 MMIC 저잡음 증폭기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증폭기의 이득은 10.312±0.5㏈, 잡음지수는 2.677㏈이다. 입력 정재파비 VSWR_in = 1.072이고, 출력 정재파비 VSWR_out = 1.055이며, 1㏈ 이득압축점은 5.824㏈m IIP9는 13㏈m이다. 이번 저잡음 증폭기 설계에 사용된 pHEMT는 HP-EEsof사의 각각 0.25㎛×50㎛ 크기의 2-finger 루트모델이다. 제작을 위한 레이아웃은 칩사이즈가 1,800×1,500㎛이다 칩사이즈를 고려해서 바이어스딘의 λ/4 라인은 구부려서 구성하였으며 1단과 2단은 50Ω 정합을 하였다. In this paper, the design of Q-band 0.25㎛ pHEMT MMIC 2-Stage Low Noise Amplifier for Wireless LAN is discussed. The LNA has a gain of 10.312±0.5㏈ and a noise figure of 2.677㏈. An input VSWR of the LNA is 1.072 and an output VSWR of the LNA is 1.055. 1㏈ gain compression point of the LNA is 5.824㏈m and IIP of the LNA is 13㏈m. In this paper, HP EEsof's pHEMT 2-finger ROOT Model of 0.25㎛×50㎛ is used. The layout chip size for manufacturing is 1,800㎛×1,500㎛. To reduce the size, a curved shape is adapted for λ/4-line realization. The first and second stage are matched to 50Ω.

      • KCI등재

        [18F]FDG PET을 이용한 강박증 환자에서 뇌 포도당 대사의 이상에 관한 연구

        권준수,이동우,이재성,최정임,이동수,정준기,조맹제,이명철,류인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2

        연구목적: 강박증에 대한 기능적 뇌영상 연구들에서 강박증 환자들의 안와전두엽과 미상핵의 대사율 증가 소견이 비교적 일과되게 발표되어 왔으며, 전두-피질하 회로의 이상이라는 이론이 수립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강박증의 유병기간에 따른 구분없이 시행된 연구였고, 영상분석 방법에 있어서도 관심영역 방법을 이용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강박증의 유병기간에 따라 환자군을 구분하여 PET 영상소견을 분석함으로써 유병 기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으며, 둘째, 강바증 환자의 포도당 양전자방출 단층촬영(18-Fluor-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FDG-PET) 영상분석에 통계적 매개변수 지도법(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 SPM)을 이용함으로써 강박증의 병인기전 및 강박증상과 뇌기능 간의 관계를 명확히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구조적 면담도구(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 : SCID-IV)를 적용하여 진단된 12명의 강박증 환자들과 10명의 정상 대조군에 대해 FDG-PET을 촬영하여 SPM으로 분석하였다. PET 촬영 전 적어도 4주 동안에는 약물복용을 하지 않은 상태였다. 결과: 1) 환자군과 대조군의 비교 : 강박증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양측 두정 영역의 대사율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으며(P<0.01). 대사증가를 보인 영역은 없었다. 강박증의 유병기간이 10년 이상인 만성강박증 환자 4명은 양측 안와전두엽에서 유의한 대사증가 소견을 보였으며(P<0.01), 양측 두정영역에서 유의한 대사감소 소견을 보였다 (P<0.01), 유병기간이 10년 이하인 환자에서는 전체 환자군의 분석에서와 마찬가지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대사증가 소견을 보인 영역은 없었으며, 양측 두정엽 부위에서 유 의한 대사 감소 소견을 보였다.(P<0.01). 2) 강박증상의 심각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 우측 두정엽의 대사율은 강박장애 척도 점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1), 양측 시상 영역의 대사율은 예일-브라운 강박장애 척도의 강박장애척도 점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결과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보고된 안와전두엽의 대사 증가 소견이 강박증의 만성화로 인해 나타나는 2차적 장애이며, 두정엽의 대사 저하가 보다 1차적인 장애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Baxter가 수립한 전두-피질하 회로 이론은 두정엽의 이상을 포함하는 전두-두정엽 복합체 이론으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Functional imaging studies o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OCD) subjects have repeatedly reported increased metabolism in orbitofrontal lobes and caudate nucleus, resulting in the "frontal-subcortical" circuit abnormality theory. Limitations of the previous studies to date include little consideration for the duration of illness, and the use of regions of interest methods, as an image analysis method. Our study objectives are 1) to include the duration of illness as an important study variable, and 2) to use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SPM) method in order to tap relations between the brain function and the psychopathology and symptoms of OCD. Methods: The [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FDG-PET) scans of OCD subjects and normal comparison subjects, as diagnosed by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SCID-IV), were analyzed using SPM. Results: 1) Comparison of OCD and control groups : OCD subjects had significantly decreased metabolism in both parietal lobes and didn't have any areas of increased metabolism in comparison to comparison subjects(p.<0.01). four OCD subjects with the illness duration of 10 years or longer, had significantly increased metabolism in both orbitofrontal lobes<p<0.01). OCD subjects whose illness duration is shorter than 10 years didn't have any areas of increased metabolism and had significantly decreased parietal lobe metabolism, as in the analyses of all subjects(p<0.01). 2)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reas and symptom severity : Metabolism of both thalamic srea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Yale-Brown Obsessive-Compulsive Scale(Y-BOCS) scores(p<0.01). Metabolism of right parietal area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 lation with Y-BOCS scores(p<0.01). Conclusions: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increased metabolism in orbitofrontal lobe, previously rported, may be a secondary phenomenon due to the extended illness dur- ation and that decreased metabolism in the parietal lobes are primary abnormality in OCD subjects. Thus Baxter's fronto-subcortical circuit theory should be extended into "fronto-pari-etal" complex theory, which includes the parietal lobes.

      • 冷間押出用 헬리컬기어 金型의 强度解析

        崔載燦,權赫洪,辛榮柱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1992 工大論文集 Vol.44 No.-

        In forging die design, pre-stressing is useful in preventing excessive tensile circumferential stresses which may cause die failure during forming. The finite element analysis (F.E.A.) package ANSYS reversion 4.4 A was used to this study. F.E.A., that is, static analysis was accomplished for insert-dies of helical gear. Die model was constructed with 8 node isoparametric solid finite elements. Static load analysis was performed for internal and outer pressure. Also, stress distribution and deformed shapes are shown. To assure durability and reliability, failure analysis was calculated by maximum normal stress theory and distortion energy theory. Results of the F.E. analysis and failure analysis for Samanta and new process dies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F.E. Analysi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at of experimental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designing various kinds of extrusion gear die.

      •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지식 성취 수준 추이 분석을 위한 종단적 연구

        권재술,최병순,권치순,양일호,이경호,김지나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9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9 No.1

        학생의 과학 지식 성취도에 대한 장기간의 경향성은 과학 교육 정책의 효율성을 점검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 나라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의 경향성을 이해해보려는 진지한 노력이 현실적으로 거의 없었다. 최근까지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에서는 전국에 있는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과학 지식 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시켜왔다. 연구의 첫 단계에서는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개발된 문항을 전국적으로 투입하고 그 결과를 수집하여 2년간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으로써, 이 논문은 두 번째 단계에 관한 내용을 담고있다. 이 연구에서는 권재술 등(1998)이 개발한 국가 수준의 과학 지식 평가 도구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1997년에는 전국적으로 8,766명의 학생을, 1999년에는 4,398명의 학생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대상은 지역별, 성별 등을 고려하여 우리 나라 전체 학생의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으로 선정되었다. 연구 결과, 2년 동안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지식 성취 수준의 서로 다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경우는 성취도가 감소하였으나, 고등학생의 경우는 증가하였고 중학생의 경우는 두 시기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과학 지식 영역의 하위 영역별 분석 결과를 보면, 초등학생의 경우 개념 체계에 대한 지식 수준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사실과 원리에 관한 지식 수준은 낮아졌다. 반면 고등학생의 경우는 지식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사실 영역에서 크게 향상 되었다. 연구에서는 이 자료를 성별, 지역별, 행동 목표 수준 그리고 검사 문항의 상황 등으로도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에서 개발한 과학 성취 수준 점검 시스템은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과학성취도를 점검하는데 효과적인 도구가 될 것이다. The long term trend of studensts' science achievement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educational policy. However, up to date no such effort to understand the trend of Korea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has been put into action. Recently,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s been attempted to collect nation wide data for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The first part of the effort was to develop item pools. This study was the second part to collect nation wide data and to check any change during the two year time interval. In this study, the item pools developed by Kwon et. al.(1998) were used with some modific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two times; February 1997 and March 1999. The subjects collected nationally were 8,766 students in 1997 and were 4,398 in 1999. The subjects were collected randomly but stratified by region and sex. As the results, the trends of achievement change during the two years were different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The achievement scores were decreased in elementary schools and increased in high school. In case of middle schools, the change was not significant. However, even in elementary schools the knowledge on theory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knowledge on facts and principles were decreased. In contrast, the knowledge on fact showed the most increase in high schools.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sed in light of region, sex, behavioral objective levels(ability) and context of test items. The science achievement monitoring system developed by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monitoring students' achievement on the national level.

      • ATM망에서 축약 분산 기억 장치를 사용한 호 수락 제어(II)

        권희용,송승준,최재우,이인행,황희융 안양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8 自然科學硏究 Vol.5 No.1

        본 논문에서는 축약 분산 기억 장치(Sparse Distributed Memory, SDM)를 사용한 신경망 호 수락 제어(Call Admission Control, CAC)를 제시한다. 호 수락 제어는 ATM 망 트래픽 제어의 핵심 요소이다. 이것은 ATM 네트워크 환경의 다양한 변화와 빠른 변화에 적응적이어야 한다. 기존의 ATM 호 수락 제어 방식은 가능한 모든 망 분석을 요구한다. 따라서 최적의 설계는 어렵다. 최근 신경망 방식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것 역시 적응적 제어를 제공하지 않았다. 이것은 부가적인 학습 데이터 테이블과 학습 기간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우리는 CAC 기능 구현에 더 현실적인 SDM을 기반으로 한 신경망 호 수락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 이것을 기존의 신경망 호 수락 제어 방법과 비교했다. 제안된 방식은 급격한 변화에 적응적인 호 수락 제어를 제공한다. 실험 결과 SDM은 별도의 학습 테이블과 싸이클을 필요로 하지 않아, 빠른 적응력과 안정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ural Call Admission Control(CAC) method using a Sparse Distributed Memory(SDM). CAC is a key technology of ATM network traffic control. It should be adaptable to the rapid and various changes of the ATM network environment. Conventional approach to the ATM CAC requires network analysis in detail in all cases. So, the optimal implementation is said to be very difficult. Therefore, neural approach have recently been employed. However, it does not meet the adaptability requirements. Because it requires additional learning data tagles and learning phase during CAC operation. We have proposed a neural network CAC method based on SDM that is more actual than conventional approach to apply it to CAC. We compared it with previous neural network CAC method. It provides CAC with good adaptability to manage chang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it has rapid adaptbility and stability without additional learning table or learning phase.

      • KCI등재후보

        Starter 및 멸치액젓 첨가가 김치양념 및 겉절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최택권,박소희,유진현,임호수,조재선,황성연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3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8 No.2

        양념에 Leu. mesenteroides, Lac plantarum의 젖산균과 멸치액젓 첨가가 김치 양념의 대장균군 제어, 속성촉진여부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Leu. mesenteroides과 젓갈을 첨가한 경우 초기 숙성이 촉진되나 후기 산패는 완만하였으며 Lac. plantarum의 첨가시에는 초기 숙성에는 큰 차이가 없고 후기 산패가 현저하게 진행되었다. 대장균군은 산도 0.80% 이상에서 사멸되었는데 leu. mesenteroides의 경우가 숙성이 촉진되어 보다 신속히 사멸시켰다.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초기에 starter 첨가구는 10^6CFU/mL 정도인데 반해서 starter를 첨가하지 않은 않은 처리구에서 총균수는 10^6CFU/mL , 젖산균수가 10^4CFU/mL 이었고 숙성 후에는 첨가균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스타터의 첨가가 숙성 및 대장균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경향으로 동일하게 나왔다. 관능적 특성에서는 Leu. mesenteroides 첨가구가 Lac. plantarum의 경우보다 우수하였다. 한편, 시판 겉절이 김치는 산도가 0.09~0.18%, ph 5.46~5.89, 총균수 2.2×10^6~3.1×10^7CFU/mL, 젖산균수는 2.1×10^4~6.6×10^5CFU/mL, 대장균수는 1.8×10^4~7.1×10^5CFU/mL, 염분 1.89%~2.51%으로 스타터 첨가 겉절이에 비해 ph와 염도를 제외한 품질 특성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salt fermented anchovy extracts on Kimchi sauce. The sauce was fermented more rapidly by addition of Leu. mesenteroids or salt fermented anchovy extracts on the early fermentation stage than the control, but it was fermented slowly on the late fermentation stage. When L. plantarum was added to the Kimchi on the early fermentation stage, the acidity of Kimchi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but acidity was remarkably increased on the late stage. Coliform group was disappeared when acidity of sauce was higher than 0.8% during fermentation. It was controlled by Leu. mesenteroides but not by L. plantarum. Total count and lactic acid bacterial count of the sauces with starter were 6.30×10^6~1.0×10^7 CFU/mL and 1.04~2.04×10^6 CFU/mL, respectively, but those of the control sauce were 10^6 CFU/mL and 10^4 CFU/mL, respectively. Those count of the sauce with starter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sauce on the later stage of fermentation. Organoleptic quality of the sauce with Leu. mesenteroides was superior to that with L. plantarum.

      • KCI등재

        E-초등학교 어린이의 영구치 맹출시기 및 순서

        권정현,최병재,이제호,김성오,손흥규,최형준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2

        치아 맹출은 나이, 성별, 인종, 시대에 따라 시기 및 순서의 차이가 있으나, 교과서에 인용되어 임상에서 사용되는 영구치 맹출 및 치근 형성에 대한 자료는 1933년 Logan과 Kronfeld가 발표한 것이므로 현재 한국 어린이의 영구치 맹출 경향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한국 어린이의 영구치 맹출연령을 구하고, 이를 근거로 맹출순서를 알아보며, 이전 국내외 연구자료와 비교하여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구강검진을 시행한 E-초등학교의 어린이 중 만 6세에서 만 12세의 2,619명 (남자 1,307명, 여자 1,31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영구치의 맹출시기 및 순서에 대해 연구 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의 영구치 맹출시기는 중절치는 남자 만 6.81세, 여자 만 6.73세, 측절치는 남자 만7.78세, 여자 만7.65세, 견치는 남자 만10.48세, 여자 만9.92세, 제1소구치는 남자 만9.76세, 여자 만9.63세, 제2소구치는 남자 만10.66세, 여자 만10.49세, 제1대구치는 남자 만6.39세, 여자 만6.26세, 제2대구치는 남자 만12.13세, 여자 만 12.03세로 나타났다. 2. 하악의 영구치 맹출시기는 중절치는 남녀 모두 정확한 시기의 측정은 불가능하였지만, 만 6.08세 이전에 맹출한다는 것을 추정 할 수 있었고, 측절치는 남자 만6.78세, 여자 만6.65세, 견치는 남자 만9.76세, 여자 만9.05세, 제1소구치는 남자 만9.82세, 여자 만9.59세, 제2소구치는 남자 만10.67세, 여자 만10.52세, 제1대구치는 남자 만6.22세, 여자 만6.12세, 제2대구치는 남자 만11.58세, 여자 만 11.14세로 나타났다. 3. 맹출순서는 상악은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제1소구치, 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순이었고, 하악은 중절치, 제1대구치, 측절치, 견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순이었다. 4. 모든 영구치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빨리 맹출하였으며, 상악은 약 0.19세, 하악은 약 0.29세 먼저 맹출하였다. 5. 남녀 모두 상악은 측절치와 제1소구치 사이, 하악은 측절치와 견치 사이에 휴지기가 있었고, 남자의 휴지기는 상악 1.98년, 하악 2.98년, 여자는 상악 1.98년, 하악 2.40년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new data on the timing and sequence of permanent teeth emergence and to compare these findings with the results of earlier studies. The dental examinations had been performed to E-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visited the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between 1998 and 2005; 1,307 boys and 1,312 girls with the age ranging from 6 to 12 years old. The followings were concluded. 1. Eruption time of the maxillary permanent teeth is as follows, It was 6.81 years in male and 6.73 years in female for the central incisor, 7.78 years in male and 7.65 years in female for the lateral incisor, 10.48 years in male and 9.92 years in female for the canine, 9.76 years in male and 9.63 years in female for the first premolar, 10.66 years in male and 10.49 years in female for the second premolar, 6.39 years in male and 6.26 years in female for the first permanent molar, and 12.13 years in male and 12.03 years in female for the second permanent molar. 2. Eruption time of the mandibular permanent teeth is as follows. The central incisor could not be determined in this study, but it is assumed to erupt before the age of 6.08. In the mandible, eruption time was 6.78 years in male and 6.65 years in female for the lateral incisor, 9.76 years in male and 9.05 years in female for the canine, 9.82 years in male and 9.59 years in female for the first premolar, 10.67 years in male and 10.52 years in female for the second premolar, 6.22 years in male and 6.12 years in female for the first permanent molar, and 11.58 years in male and 11.14 years in female for the second permanent molar. 3. The eruption sequence is as follows. In the maxilla, the first permanent molar erupted first, followed by the central incisor, the lateral incisor, the first premolar, the canine, the second premolar, and the second permanent molar. In the mandible, the central incisor erupted first, followed by the first permanent molar, the lateral incisor, the canine, the first premolar, the second premolar, and the second permanent molar. 4. Tooth eruption occurred earlier in female compared to male by average of 0.19 year in the maxilla and 0.29 year in the mandible. 5. In both male and female, the hiatus (interval of rest) occurred between the emergence of lateral incisor and first premolar in the maxilla while it was observed between the lateral incisor and canine in the mandible. Male had a hiatus of 1.98 years in the maxilla and 2.90 years in the mandible, while the female's were 1.98 years and 2.40 years,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