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인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경상북도 농업인을 중심으로 -

        구준회,최돈우,권지혜,김태균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5 No.4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농업인들의 직업에 대한 만족은 필수조건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인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시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해 경상북도농업기술원에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실시한 생산자 패널 농업경영성과와 농촌생활만족도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모형은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패널 순위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농업인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농업소득, 가격경쟁력, 정책만족도, 영농기술만족도 등으로 나타났다. 농업소득이 높을수록, 가격경쟁력, 정책만족도, 영농기술만족도가 높을 수록 농업인의 직업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농업인 직업만족도 제고 방안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Satisfaction with farmers' jobs is a prerequisite to ensure sustainability in agri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tha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farmers. For the analysis, the agricultural management performance and rural life satisfaction survey data of producer panels conducted by the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from 2016 to 2018 were utilized. The panel ordered probit model was estimated by the nature of the data. The results indicate that factors that affect farmers' job satisfaction are agricultural income, price competitiveness, policy satisfaction, and agricultural technology satisfaction. The higher the agricultural income, price competitiveness, policy satisfaction or agricultural technology satisfaction wa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w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measures to enhance job satisfaction for farmers.

      • KCI등재

        지속가능농업 수용의 경제적 저해 요인

        한재환,김선애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5 No.4

        집약적 농업시스템으로 특징되는 관행농업은 생산성 증대를 이루었으나, 토질과 수질의 악화 등 농업환경을 오염시키며 농업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인의 지속가능농업에 대한 관점과 태도를 파악하고, 새로운 영농방식 실천에 장애가 되는 경제적 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아울러 농업인들이 인식하는 경제적 장애요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실증적으로 추적하는 데 연구의 추가적인 목적이 있다. 농업인들은 지속가능농업이 당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로 수익성 유지를 지적하면서 이를 최우선적으로 중점을 두고 해결할 것을 주문하였다. 지속가능농업 채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경제적 동기와 인센티브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과거에 비해 향후 지속가능성을 높게 전망했다. 관행농업인이거나 관행농업에서 지속가능농업으로 전환중인 농업인, 그리고 과거에 지속가능농업을 들어 본 적이 있는 농업인이 주목하는 경제적 장애요인은 관행농업에서 지속가능농업으로 전환 시 초래되는 비용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농업 시스템이 구축되었을 때,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농업인이 주도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농업인에게는 새로운 영농방식의 불확실성은 큰 장애가 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n intensive agricultural system has achieved productivity increases, but it adversely affects the agricultural ecosystem.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viewpoint and attitude of farmers about sustainable agriculture as well as to analyze economic factors impeding a new farming method. Farmers indicate profit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issue that sustainable agriculture faces. They emphasize both economic motives and incentives for enhancing the adoption rate of sustainable agriculture. The results display that traditional farmers, farmers converting to sustainable agriculture from conventional agriculture and farmers who have heard about it are more likely to indicate transition cost as a major economic obstacle. Lastly, the uncertainty of a new farming method is not a big issue for farmers who think that they should take lead for efficient operation as a sustainable agricultural system is established.

      • KCI등재

        저탄소농업 지원정책 참여 요인 분석

        정학균,임영아,강경수,한재환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5 No.5

        정부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함에 따라 농업 분야도 많은 양의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저탄소농업 지원정책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저탄소농업 지원정책 참여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빗모형을 이용하여 저탄소농업 지원정책 참여요인을 분석하였다. 2019년 기준 농업분야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률을 평가한 결과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프로빗 모형분석 결과, 경지 규모가 클수록, 농업 교육 프로그램 참여도가 높을수록, 저탄소농업 지원정책에 참여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 필요성과 2030 감축로드맵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영농경력이 많을수록, 지원정책 참여 확률이 높았다. 따라서 저탄소농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저탄소농업 지원정책에 대한 인지도를 높여야 하며, 이를 위해 차별화 전략과 타켓팅 전략이 필요하다. As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a carbon-neutral target by 2050, the agricultural sector also must try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sharp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tatus of low-carbon agriculture and to identify factors participating in the low-carbon agriculture policy. A survey was conducted to quantitatively analyze factors that participate in the low-carbon agriculture policy. Probit model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the performance of greenhouse reduction was very low as of 2019 when the achievement of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in the agricultural sector was assessed. In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farmers who have larger acreage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business. As they participate in the agricultural education program, they recognize the necessity of greenhouse gas reduction in agriculture and the government’s greenhouse reduction roadmap by 2030, and their agricultural careers increase, they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low-carbon agriculture policy. Therefore, to activate low-carbon agriculture,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policy should be enhanced. Furthermore, differentiation and targeting strategies are needed.

      • KCI등재

        음식물·농업폐기물 열분해장치 개발

        송대빈,임기현,정대홍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2 No.6

        본 연구에서는 고수분 음식물 및 농업 폐기물을 재활용한 고형연료 제조에 필요한 열분해장치를 개 발하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건조용량 50kg/hr인 실험실용 열분 해장치를 제작하였다. 건조 처리된 농업폐기물과 음식물 폐기물을 열분해처리용 실험 원료로 사용하 였다. 원료종류, 열분해 온도, 열분해 시간에 따른 농업폐기물과 음식물 폐기물의 열분해 특성을 파악 하였다. 농업폐기물 건조물의 열분해 처리 결과, 열분해 처리능력은 평균 55.35kg/hr, 저위발열량은 평균 3,333kcal/kg으로 측정되었다. 열분해처리 하지 않은 농업폐기물의 고위발열량은 3,400kcal/kg, 저위발열량은 3,090kcal/kg으로 측정되어 열분해처리로 발열량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음식물 폐기 물 건조물의 열분해 처리 결과, 열분해 처리능력은 평균 88.27kg/hr, 저위발열량은 평균 4,016kcal/kg 으로 측정되었다. 열분해처리 하지 않은 음식물 폐기물의 고위발열량은 4,040kcal/kg, 저위발열량은 3,686kcal/kg으로 측정되어 열분해처리로 발열량이 역시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열분해 처리능력은 연구목표치인 50kg/hr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저위발열량은 연구목표치인 4,000kcal/kg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다만 저위발열량 측정 기준 함수율이 습량기준으로 약 10%로 추정되는 바 5%로 조절하 고, 열분해 열풍온도를 상승시키면 발열량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this study, a torrefaction unit with a capacity of 50 kg/hr was developed and experimented to produce of solid fuel by reuse of the food and agricultural wastes. Dried food wastes and agricultural waste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s and the heated-air torrefac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the raw materials, torrefaction air temperature, and torrefaction time. For the dried agricultural wastes, measured torrefaction capacity and lower heating values were 55.35 kg/hr and 3,333 kcal/kg, respectively. As the lower heating values of the treated samples were greater, by around 7.8%, than those of the non-treated samples, torrefaction process was a very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the heating value of the agricultural waste. In case of the dried food waste, torrefaction capacity and lower heating value was measured 88.27 kg/hr and 4,016 kcal/kg, respectively. As the lower heating value of treated ones showed around 9.0% higher than that of non treated ones, torrefaction process is very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the heating value of the agricultural waste also. It will be assumed that the heating value shows more higher as increase the air temperature and decrease the moisture content of torrified matter.

      • KCI등재

        갈색 종피를 가진 cgy1cgy1titi 유전자형 콩 육종

        최상우,채원기,강경영,정종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9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3 No.4

        콩[Glycine max (L.) Merr.] 종자에는 수용성 탄수화물 11%, 단백질 40%, 지방 21% 정도의 3대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 되어 있고, 콩 종실 단백질은 양과 질적인 면에서 식물성 단백질 중 가장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성숙 콩 종실에는 Kunitz Trypsin Inhibitor (KTI) 단백질, P34 단백질, 7S 단백질 등 품질과 기능성을 떨어뜨리는 성분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콩 및 콩 제품의 품 질과 기능성을 떨어뜨리는 성분인 7S α' subunit 단백질과 Kunitz Trypsin Inhibitor (KTI) 단백질이 유전적으로 없으면서 (cgy1cgy1titi 유전자형) 갈색종피 색을 가진 콩 계통을 선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 다. 3개의 모본 (장려품종, PI506876, Gaechuck#2)을 이용한 육종집단으로부터 갈색종피, 노란자엽 및 7S α' subunit 단백질과 KTI 단백질이 없는 개체를 선발하였다. 선발개체에 대하여 7S α' subunit 단백질과 KTI 단백질의 유전적 고정과 농업형질 평가를 통하여 갈색 종피를 가지면서 cgy1cgy1titi 유전자형을 가져 7S α' subunit 단백질과 KTI 단백질이 없는 농업형질이 양호한 계통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계통의 초장은 65 cm 정도였으며 백립중은 24.2 g으로 중립이었으며 종피색은 갈색이고 제색은 하얀 색이며 성숙 자엽색은 노란색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선발된 계통은 7S α' subunit 단백질 및 Kunitz Trypsine Inhibitor (KTI) 단백질이 동시에 없는 유색콩 품종 육성을 위한 중간모본으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Soybean [Glycine max (L.) Merr.] protein is excellent nutritional factors and is widely used for human and animal feed in the world. Also, antinutritional factors in the raw mature soybean are exist. The presence of antinutritional proteins requires that soybeans to be heat-treated at high temperature. Kunitz trypsin inhibitor (KTI) protein and β-conglycinin (7S α'-subunit) protein are main antinutritional factors in soybean seed. The genetic removal of the antinutritional factors will improve the nutritional value of soybean seed.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breed new soybean strain (cgy1cgy1titi genotype) with brown seed coat, 7S α' subunit protein free, and KTI protein free. Three parents were used. Presence and absence of 7S α'-subunit and KTI proteins were detected by SDS electrophoresis and Western Blot technique, respectively. One new strain (cgy1cgy1titi genotype) with brown seed coat, lacking of 7S α'-subunit and KTI protein was selected from F4 plant population. New strain has purple flower, brown seed coat, yellow cotyledon, white hilum, 7S α'-subunit protein free, and KTI protein free. Plant height of new strain was 65 cm and 100-seed weight was 24.2 g. New strain selected in this research will be used to improve new cultivar with brown seed coat, 7S α'-subunit and KTI protein free.

      • KCI등재

        한우 선발지수 가중치에 따른 부분육 중량 및 수율의 유전적 개량량 변화

        이재구,박병호,최연호,조충일,고대영,도창희,최태정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5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9 No.5

        본 연구는 한우 능력검정체계에 이용되는 선발형질에 따른 부분육 중량 및 수율의 간접선발반응을 파 악하고 부분육 형질을 선발형질로 포함하였을 경우 선호부위의 유전적 개량량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ZPLAN+를 이용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1996년도부터 2013년까지 농협 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 도 축산연구센터,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육종농가에서 당·후대 검정한 한우 수 소 및 거세우 총 10,351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후보 및 보증씨수소 선발가중치와 동일조건 하에서 등심단면적의 가중치를 각각 1, 3, 6으로 하였을 때 등심수율의 연간 유전적 개량량은 각각 0.222%, 0.282%, 0.328%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현재 선발가중치와 동일한 조건에서 부분육 형질 을 선발형질로 포함하여 등심수율에만 가중치를 주었을 경우 갈비, 채끝수율은 등심수율과 함께 증가하 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심수율의 연간 유전적 개량량의 변화는 미미하였다. 또한 안심, 등심, 채끝 등 의 선호부위에 8가지의 경우의 수(가중치: 1 또는 2)로 그룹별 가중치를 주었을 경우, 가중치가 각각 2:2:2인 그룹에서 선호부위의 연간 유전적 개량량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선호되는 부위의 생산량 증대 를 위해서는 이들 부위에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를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한우의 선발에 효과적인 방법이라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genetic progress of primal cut yields and its percentages when direct selections were made on primal cuts themselves, or when indirect selections were made with currently used as national Hanwoo bull selection traits. Estimations were done using ZPLAN+ simulation program. For simulations were estimated using data sets of a total of 10,351 steers on national progeny testing programs from 1996 to 2013. As a result, When the relative weights on eye muscle area increased from 1 to 3 or 6 while those on other selection index were fixed, genetic gain of loin percentage per year increased from 0.222% to 0.282% or 0.328%, respectively. Primal cut traits was added to current Hanwoo bull selection index and then weights of loin was increased. Positive genetic progress on rib and strip loin percentage was observed along with increase in loin percentag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etic changes observed in percentages of tender loin. Simulation with eight relative weight combinations (1 or 2) on each of tender loin, strip loin and loin showed that 2:2:2 ratio was expected to have the greatest genetic progress on all these three primal cut yields. Therefore, we conclude that to increase the genetic potentials of meat yields of highly preferred cuts, three loin cut traits should be equally and highly weighted in the selection indexes for Hanwoo selection.

      • KCI등재

        세계화 시대에 한국농업의 경쟁력 제고방안

        이정환,오세익,김수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0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36 No.3

        ○ 우리나라의 농업, 농촌은 앞으로 DDA협상 여하에 따라 상당히 어려운 국면에 처할 것이 예상됨. 어떠한 형태로이던지 농산물 시장의 확대개방은 불가피할 것이고 이에 다라 경쟁력이 취약한 품목은 위축될 수밖에 없을 것임. 그러나 DDA협상은 기회일 수도 있음. 품질의 우수성을 앞세어 가격차별화 전략으로 일본시장을 공략할 수 있기 때문임. 이 연구는 우리 농산물의 품목별 경쟁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경쟁력 제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행되었음. ○ 분석 결과 쌀, 고추, 마늘, 감귤, 사과, 복숭아, 참깨, 쇠고기, 돼지고기 등은 내수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음. 특히 마늘, 사과, 참깨, 복숭아, 쇠고기, 돼지고기 등은 관세를 부과한 후에도 국내가격보다 저렴하였음. ○ 반면에, 일본시장에서 수출경쟁력을 발휘하는 품목도 있음. 신선과채류(풋고추, 토마토, 오이, 가지), 과실류(사과, 배, 감귤), 절화류(국화, 장미, 백합), 인삼, 밤, 돼지고기 등은 품질면에서는 중국보다 우수하고 가격 면에서는 선진국보다 유리하기 때문에 우리의 전략여하에 따라 앞으로 수출량을 확대할 수도 있을것임. ○ DDA협상 후의 내수시장 경쟁력을 전망해 본 결과 쌀은 어느 정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즉, 초기 관세율을 400% 내외, 감축율을 20% 이내로 축소하고, 국내산 가격을 매년 3~5%씩 절감할 수 있다면 중국쌀과 충분히 경쟁할 수 있을 것임. 앞으로 중국의 쌀값은 10% 내외, 국제미가는 30% 정도 상승할 것이 예상되어 우리 쌀의 생산비 절감, 품질제고를 통한 가격차별화, 유통의 효율화 등을 꾸준히 추진한다면 내수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임. ○ 그러나 쇠고기, 사과, 감귤은 가격 면에서 수입산과의 경쟁력이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음. 쇠고기는 미국산보다 60~70% 비싸고, 사과와 감귤은 중국산 및 칠레산보다 30~40% 정도 가격이 높음. 식물검역 문제로 당분간 중국으로부터의 과실수입은 금지되겠지만 2005년 이후를 대비하여 품질제고, 생산비 절감 등 경쟁력 제고대책을 신속히 마련해야 할 것임. ○ DDA협상 추진일정을 감안해 볼 때 수입개방이 본격화되는 시기는 2006년부터일 것으로 판단됨. 따라서 앞으로 남은 3년 동안 수입산 농산물과 경쟁할 대비책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할 것임. 이러한 대책으로는 가격경쟁력, 품질경쟁력, 마케팅경쟁력 및 수출지원 강화 정책이 있고, DDA협상력을 제고하여 우리나라 농산물시장의 개방폭을 최대한 축소하는 것도 매우 중요함. ○ 생산비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 제고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 가장 많은 노력과 투자가 필요한 부문은 품질경쟁력일 것임. 품질제고를 통한 브랜드화와 이를 토대로 한 가격차별화 전략은 수입 농산물과 경쟁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일 것임. 신토불이를 앞세워 우리 농산물의 우수성과 안전성을 적극 홍보하고 수입 농산물의 농약잔류, 검역문제를 철저히 감시할 것이며 원산지표시제 강력 시행 및 부정유통 단속을 강화해야 할 것임. ○ 이와 동시에 마케팅 경쟁력도 제고해야 함. 최근에는 대형소매업체가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는 신유통체계가 발전하고 있으며 이들이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증가하여 2005년에는 전체 유통량의 약 절반을 차지할 전망임. 이러한 유통업체는 대량의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해 주기를 원하고 품질의 고급화와 신뢰성을 요구하고 있음. 따라서 생산농가, 작목반, 영농회 등 생산주체를 계열화, 조직화하여 지역별 산지유통 전문조직을 육성하며 이를 토대로 품질제고와 브랜드화에 주력해야 함. ○ 또한 틈새시장 공략전술도 유효함. 유기농축산물과 소량 생산물은 품질의 우수성과 안전성을 내세워 부유층 공략, 수출시장 개발 전략을 개발해야 함. 참깨->부유층 및 고급식당 공급, 씨감자->중국 수출, 칡분말->일본 수출 등은 좋은 예임. ○ 마지막으로, 수출지원체계를 강화하여야 함. 고품질 농산물의 수출기반을 구축하고 수출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 설치 및 금융지원을 강화해야 함.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 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상호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유도하는 것도 매우 중요함.

      • KCI등재

        남강 중권역의 수자원 부존량과 용수 수요량의 비교 평가

        최영완,김용완,박정원,박태양,장민원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남강 하류의 중장기 물이용 계획을 위하여 기초적인 용수 수요와 공급가능성을 검토하는 것 이다. 중장기 물이용 계획을 담고 있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이나 낙동강유역조사보고서를 바탕으로 수자원단위지 도의 표준유역별 자료를 생성하여 목적별 용수 수요와 수자원 부존량을 추정하였다. 수자원 부존량은 단순 3단 TANK모형을 이용하고 표준유역별 용수 수요는 농업용수, 공업용수, 생활용수, 기타 용수 등으로 나누고 원단위 기법으로 계산하였다. 남강 하류 10개 표준유역에서의 총유출량은 925,414천 ㎥/년이고, 총 용수 수요량은 연 462,988천 ㎥인데 이중 농업용수와 생활용수가 각각 243,194천 ㎥, 105,493천 ㎥이고 공업용수가 32,686천 ㎥, 기타 81,615천 ㎥이었다. 남가람 진주혁신도시 건설을 영향을 고려한 경우는 수자원 부존량의 변화는 미미하나 신규 인구의 유입에 의한 생활용 수 수요로 17,156천 ㎥의 추가 용수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Water demand and resource at a watershed scale were investigated to prepare for long-term water planning of the Namgang sub-basin. The quantity of water resource was defined as average annual runoff by a simple Tank model with three serial tanks, and water demand for public, industrial, agricultural and the other uses was determined using the per-unit method employed in the Water Vision 2020,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otal amount of water resources in the Namgang sub-basin was estimated as about 935,414×10 3 ㎥/yr for a 10-year period from 2000 to 2009 and the water withdrawals in public, industrial, agricultural and other sector were derived as 105,493×10 3 ㎥/yr, 32,686×10 3 ㎥/yr, 243,194×10 3 ㎥/yr, and 81,615×10 3 ㎥/yr,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Namgaram Inno-city project could increase the overall water demand by 17,156×10 3 ㎥/yr due to the population influx.

      • KCI등재

        농업기계화사업의 전망과 정책과제

        강정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0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37 No.4

        이 연구는 한국의 농업기계화정책과 사업의 추진 실태 및 효과, 그리고 향후 농업 및 농촌전망 등을 분석·검토하여, 농업기계화사업의 전망과 정책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농업기계화사업의 문제점은 1998년 이후 농업기계화사업에 대한 정부 지원이 감소로 야기된 농기계 수요 정체, 농기계 기업 및 대리점의 경영 악화, 사후 봉사 미흡 등이다. 농업기계화사업의 목표는 고능률 저비용 농업기계화, 농기계의 효율적 이용, 농기계산업의 성장 발전에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농업기계화의 정책과제는 첫째로, 정부는 고품질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농업기계화의 지속적인 지원과 농기계 유통체계를 개선하여야 하고, 둘째로, 농가는 농기계이용 면적과 이용시간을 확대하고, 셋째로, 농기계산업은 농기계 품질을 고급화하고, 농기계의 수출을 확대하는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make an outlook on farm mechanization projects in Korea and policy directions. Main issues of farm mechanization projects in Korea are a low cost mechanization, an efficient use of farm machinery, the development of the agricultural machinery industry and an export of agricultural machineries. Therefore, (1) the government subsidies for farm-mechanization is still necessary, in a while, (2) the marketing system should be improved, (3) annual working days and working area per agricultural machinery has to be extended, (4) the quality improvement of farm machinery is required.

      • KCI등재

        트랙터 장착형 일관작업 평두둑 복합기의 개념설계 및 후방전도 안정성 분석

        심성보,남영조,구영모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2 No.3

        최근 안전하고 질 좋은 ‘로컬푸드’에 대한 생산과 소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역 밭농업의 기계화와 생력화를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밭농업을 생력화하기 위한 일관화 작업 평두 둑 복합기의 개념을 설계하고 후방전도 안정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일관화 작업 복합기는 경운·정지, 휴립, 방제, 멀칭 및 파종·정식의 다섯 단계별 작업기를 통합하여 트랙터 부착 견인형으로 일관작업 체계의 개념으로 설계하였다. 기존의 개별 작업기들를 참고하여 복합기의 자중과 소비동력을 추정하고 국내 농가에서 사용하는 트랙터에 적용 할 수 있는지를 동력 공학적으로 검토하였다. 방제용액을 포함한 작업기의 추정 자중은 1,270kgf으로 예상 총소비 동력 33.5kW을 제공할 트랙터를 검토한 바, 45PS(33.6kW)급 트랙터는 히치 상승능력과 총동력에 있어 적절한 한계선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복합작업기의 자중에 의한 후방전도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설계한 복합 작업기를 카테고리 I(<48kW) 트랙터에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트랙터 전면 평형추(ballast)로서 전방 버켓로더를 부가하여 후방전도 안정성을 유지해야 한다. Recently, as interest i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safe and high quality 'local food' has increased, the labor-saving mechanization of local upland field agriculture have also become urgently needed.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sign the concept of an integrated tractor implement and to analyze the rearward overturn stability. The concept of a tractor-attached integrated implement system was setup by combining the five operations, such as tilling, ridge forming, spraying, mulching and seeding in the upland farming. Dead-weight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integrated implement were estimated with the specifications of conventional attachments, and then the feasibility was reviewed in the aspect of power engineering. The capability of 33.6 kW(45 PS) tractor reaches the marginal limit, as to apply the designed implement with the estimated weight and total power of 1,270 kgf and 33.5 kW. The stationary and mobile st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implement are theoretically analyzed and discussed. In terms of operational stability, it is recommended to install a front loader to prevent rearward overturn when attached to category I(<48 kW) tr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