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경과학의 정서연구를 통한 수(受) 고찰

        권정현 한국불교학회 2023 韓國佛敎學 Vol.105 No.-

        Vedanā in Buddhism is a subjective response to the stimuli and initial building block of affective dimension that arises depending on the contact of the three factors of sense organs, object, and consciousness. Vedanā tells about ‘how’ the object is when sañña does ‘what’ it is. Vedanā arises involuntarily regardless of one’s intention, and its arise does not necessarily presuppose the affirmation of sañña. When contacting the object, the experience of vedanā is unavoidable. And it transfers the object to the one of greed, aversion, and ignorance. Vedanā has a strong conditioning impact not only on full-blown emotions but also on conscious contents with underlying tendency of craving and hatred. Vedanā transforms external stimuli into internal information with subjective quality. Vedanā is a universal experience of all mankind. “Affect” in emotion research is the term similar to vedanā. It differs from ‘emotion’ and ‘feeling’ and is a much simpler feeling with two features of valence and arousal. It is the concept explained in terms of the impact and role of verification that provide the basi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ncept of ‘self’ and ‘reality’.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examine the Buddhist vedanā through the findings of emotion research in the Neuroscience. To do so, I inspect the meaning of different terms that refer emotion, the denial of presupposing the essential categories of emotion, and the process of neural transmission of emotion.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reflect vedanā through the neuroscientific findings on emotion not only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vedanā but also to guide daily experiences related to it. 수는 근-경-식의 삼사화합인 촉으로부터 받아들여지는 낙, 고, 불고불락의경험으로 이는 인식작용의 시작점이 되는 일차적 감수작용이다. 수가 대상이‘어떠하다’라는 평가라면 상은 ‘무엇이다’라는 판단이라 할 수 있다. 수는 나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자동적으로 감수되어지는 것으로 상의 발생을 반드시전제로 하지는 않는다. 대상과의 접촉에서 낙, 고 불고불락의 수는 반드시생기게 되며 나아가 대상을 탐, 진, 치의 대상으로 전환한다. 상·행·식은 언제나 수의 영향 아래 있게 되는데 수가 초래하는 의도의 능동적 개입은 인식과정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외적 대상에 대한 내적 평가로 객관의 주관화를 결정하여 집착의 이유는 물론 ‘자아’의 개념이 확고히 되는 과정이기도하다. 수는 불교와 상관없이 인류의 보편적 경험이다. 현대 신경과학의 정서연구에서 불교의 수와 비교될 수 있는 개념은 “affect”이다. affect는 신경과학에서 emotion이나 feeling의 개념과는 구분된다. affect는 좀 더 단순하고 일차원적인 정서로 ‘자아’와 ‘실재’라는 개념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검증의 역할과 영향력의 차원에서도 설명되어 진다. 이 글에서는 불교의 수와 현대 신경과학의 정서연구를 비교하여 고찰하는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정서를 표현하는 여러 가지 단어들의 의미, 수의 객관적 본질의 부정, 수 발생의 신호전달과정에서 촉과 수의 차제 발생의 문제를 차례로 살펴본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신경과학적 발견들을 통해 수를 재조명하여 수의 이해는 물론 수와 관련된 일상적 경험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에서 그 의의를 찾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권정현,이종연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2 초등상담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하는 것이었다. 초등학교 교사인 연구자가 대학원에서 교육상담을 전공한 경험이 다른 초등학교 교사들도 경험하는 공통적인 현상인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비롯된 세 가지 연구퍼즐을 구성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에서 교육상담 전공 석사를 졸업하고 박사전공 경험이 있는 초등학 교 교사들이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를 면담을 통 해 수집하여 현장텍스트를 구성하였고, 연구제목, 연구목적, 연구퍼즐을 다시 검토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연구자는 현장텍스트를 내러티브 탐구의 세 가지 축인 시간성, 공간(장소)성, 사회성을 기준으로 연구텍스 트로 변환하기 위한 중간텍스트로 가공하였다. 현장텍스트로부터 재구성된 중간텍스트를 다양한 근거자료 를 토대로 해석하고 분석하여 연구텍스트로 제시하였다. 학술지의 특성상 본 연구는 연구테스트만을 제시 하고 있다.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의미를 세 가지 차원(‘개인적 의미’, ‘실제적 의미’, ‘사 회적 의미’)으로 분류하여 도출하였다. 첫 번째 차원인 ‘개인적 의미’는 ‘자기탐색과 자기이해를 통한 치유 와 성장’, ‘새로운 배움, 진로, 과업으로 나아가기’, ‘관계를 다시 바라보고, 함께 살아가며’로 도출되었다. 두 번째 차원인 ‘실제적 의미’는 ‘교육적 배려와 존중을 실천하는 교사’, ‘자신을 성찰하는 교사’, ‘배움공 동체를 실현하는 교사’, ‘창의적 생활지도를 실천하는 교사’, ‘진정한 만남으로 존재하는 교사’의 모습으로 도출되었다. 세 번째 차원인 ‘사회적 의미’는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과정’과 ‘예비교사 교육과 현직교사 연 수’에 대한 시사점으로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narrative inquiry to understand in-dep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Three research puzzles were constructed out of the curiosity about whether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er’s experience on educational counseling major in graduate school is a common phenomenon that oth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To solve these puzzles in this study,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completed or graduated from both the master's and doctoral courses in educational counseling. Through interviewing them about their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on their narratives, constructed them as field text, and reconstructed them as research text. Through the process of reviewing research titles, research objectives, and research puzzles based on field text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the researchers processed field text as an intermediate text to be converted into research text based on three narrative inquiry axes such as temporality, place, and sociality. The narratives of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described in this way were interpreted and analyzed based on various corroborative evidence to present a research text. The first dimension, ‘personal meanings' were derived as ’healing and growth through self-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moving on to a new learning, career, or task’, and ‘rethinking the relationship, living together’. The second dimension of ‘practical meanings’ were derived as ‘teachers who practice educational consideration and respect’, ‘teachers who reflect on themselves’, ‘teachers who actualize learning communities’, ‘teachers who practice creative guidance’, and ‘teachers who co-exist through true encounter’. The third dimension, ‘social meanings’ were derived as implications for education counseling major in graduate school, and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 KCI등재

        지불제도와 요양병원의 진료행위 변화 연구

        권정현 한국응용경제학회 2018 응용경제 Vol.20 No.4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incentives of a payment system, hospitals may change treatment behaviors. In 2008, per diem prospective payment system(PPS) was adopted for long-term care hospitals(LTCHs), which was intended to deter the medical care expenditure growth. This study identifies economic incentives of the PPS and investigates how the PPS affects the treatment intensity and types of patients of LTCHs using LTCH admissions dataset. Results indicate that the length-of-stay(LOS) per discharge increases, while average daily payment decreases. The change in the LOS varies by characteristics of illness and the LOS increases more among the low-severity patients. The probability of admissions for low-severity patients also increases. This suggests that patient selection may occur within the hospital because of insufficient differences in the payment level by severity of illness. The intensity for fee-for-services(FFS) applied treatment increases which suggest that spillover effects exist from the PPS adoption. The economic incentives of the PPS induce these unexpected and distorted utilizations of LTCHs. It is necessary to redesign payment system to offer economic incentives to strengthen medical functioning of LTCHs. 본 연구는 진료비 지불제도의 변화가 의료서비스 공급자의 진료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요양병원에 일당정액수가제가 도입된 이후 입원환자에 대한 진료행위 변화를 분석하였다. 일당정액제의 경제적 유인 하에서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는 병원은 “경증 환자를 장기입원”시키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분석 결과는 지불제도 변화 후 특정 질환 및 경증환자의 입원이 증가하고 재원일수가 증가하는 환자선별이 발생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지불제도의 변화는 지불제도가 바뀌지 않은 진료행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요양병원 내 행위별수가제가 적용되는 질환 환자의 재원기간은 감소하나 행위별 진료 가짓수는 증가하는 방식으로 진료행위 강도가 강화되는 양상을 보여 지불제도 변화의 누출효과(spillover effect)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방과후학교 바이올린수업 실태조사 연구

        권정현,오유진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9 음악교육공학 Vol.0 No.4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after-school violin classes by conducting a survey and interviews with 9 violin teachers and 218 violin-class students affiliated with 7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Jeollabuk-do Province and considered ways to improve the after-school violin classes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investiation results. The findings from the investigation with stud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udents chose violin classes out of their own will and showed interest in improving their performance, enjoying music, and being with friends. They had high satisfaction for violin classes and preferred lessons in group playing and individual instruction. Most of the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for positive self-fulfillment through violin classes. According to the findings from the investigation with teachers, satisfaction for the violin classes was generally high, whereas satisfaction for the class environment was low for many teachers. The teachers pointed out the ensemble-style lesson as an advantage of the classes and the difficulties in individual instruction as a disadvantag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afterschool violin classes; limit the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to 10; improve the class environment; provide teacher training program or distribute teaching manuals; open field-type related courses at universities; and construct networking system for the teachers. 본 연구는 전북 소재 7개 초등학교의 바이올린 지도교사 9명, 수강학생 21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인터뷰를 통해 수업의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바이올린수업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먼저 수업 실태에 대한 기본조사 및 학생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고 마지막으로 교사들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학생 조사의 결과를 요약하면 자발적 참여와 음악의 높은 선호도, 친구들과 공동 참여, 지속적인 수업 유지, 수업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단체연주와 개별지도방식 수업을 선호하였다. 약 80%의 학생은 수업을 통한 긍정적 자아성취 만족도가 높았다. 교사 대상 조사 결과로는 약70%의 교사에서 수업 만족도는 높으나 수업 환경은 불만족인 경우가 많았다. 수업의 장점으로 합주 식 수업을, 단점으로는 개개인 지도의 어려움을 지적하였다. 교사 인터뷰를 통한 심층 조사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전반적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10명 선의 수업인원 제한, 수업환경 개선, 교사연수프로그램이나 교수법 매뉴얼 배포, 대학에서 현장 형 관련강좌개설,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메타버스(Metarverse) 기반 초등학교 생활지도 및 상담 요소 추출을 위한 델파이 연구

        권정현,이시훈,이재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3 초등상담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기반 초등학교 생활지도 및 상담을 위한 요소를 추출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의 3 회에 걸친 협의를 통해 합의점을 도출하는 델파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메타버스 기반 초등학교 생활지도 및 상담 요소는 상위범주 3개, 하위범주 15개, 내용영역 42개로 추출되었다. 추출된 상위범주는 ‘메타버스 생활지도 및 상담 환경요소’, ‘메타버스 생활지도 및 상담 인적요소’, ‘메타버스 생활지도 및 상 담 내용요소’이다. ‘환경요소’의 하위범주는 ‘메타버스 공간 구축’, ‘플랫폼 활용’, ‘프로그램 구성’으로 나 타났고, ‘인적요소’의 하위범주는 ‘상담자 구성’, ‘상담자 역량’, ‘내담자 구성’, ‘내담자 역량’으로 도출되었 으며, ‘내용요소’의 하위범주는 ‘개인영역과 학교영역의 상담주제’, ‘상담만족도와 상담효과의 상담평가’, ‘비밀보장, 기록 및 관리, 격차해소, 정보윤리의 상담윤리’로 추출되었다. 전문가 집단의 협의과정을 통해 내용영역별 CVR수치와 평균점수를 통해 다음의 연구결론 및 연구 시사점에 도달하였다. 첫째, 사회적 변 화 따라 메타버스를 생활지도와 상담에 활용하는 것이 요구되고, 초등학교 관련 연구가 없어 본 연구는 최초의 연구로써 의미가 있다. 둘째, ‘메타버스 생활지도 및 상담 환경요소’에서 메타버스 기반 초등학교 생활지도 및 상담 환경 구축을 위하여 해결해야할 과제와 신중하게 접근할 영역을 확인하였다. 셋째, ‘메 타버스 생활지도 및 상담 인적요소’에서 상담자의 구성과 역량, 내담자의 구성과 태도 요소의 중요도를 평 가하였다. 넷째, ‘메타버스 생활지도 및 상담 내용요소’에서 필요한 상담주제들, 상담 평가를 위한 노력, 고 려할 상담윤리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시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온라인 상호작용을 통해 초등학교 생활지도와 상담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 기대되었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extract guidance and counseling elements for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based on the metaverse, a Delphi study was conducted to reach an agreement through consultations of expert groups three times. As a result of the study, elementary school guidance and counseling elements based on the metaverse were extracted into 3 upper categories, 15 lower categories, and 42 content areas. The extracted upper categories are ‘metaverse counseling environmental factors’, ‘metaverse guidance and ounseling human factors’, and ‘metaverse guidance and counseling content factors’. The subcategories of ‘Metaverse guidance and counseling Environmental Factors’ were ‘Establishment of Metaverse Space’, ‘Platform Utilization’, and ‘Program Composition’. And The subcategories of ‘metaverse counseling human factors’ were derived as ‘counselor composition’, ‘counselor competency’, ‘client composition’, and ‘client competency’. The subcategories of ‘metaverse counseling content elements’ are ‘counseling topics in personal area and school area’, ‘counseling satisfaction level and counseling evaluation of counseling effect’, and ‘secret Counseling ethics of assurance’, record and management, closing the access gap, and information ethics were extracted. Through the consultation process of the expert group, the following research conclusions and research implications were reached through the CVR values and average scores for each content area. First, it is required to use the metaverse for counseling according to social changes,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 first study because there are no studi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Second, in the ‘Metaverse guidance and counseling Environment Elements’, tasks to be solved and areas to be approached carefully were identified in order to build a metaverse-based elementary school guidance and counseling environment. Third, the importance of the counselor’s composition and competency, and the client’s composition and attitude in ‘Human Factors of Metaverse Guidance and Counseling’ was evaluated. Fourth, necessary counseling topics, efforts for counseling evaluation, and counseling ethics to be considered were confirmed in the ‘Metaverse Counseling Content Elements’. Lastly, it wa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elementary school life guidance and counseling through online interaction.

      • KCI등재

        유기소자의 신뢰성에 영향을 주는 유해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ALD기반 기능성 브래그반사경 구조

        권정현,김현우,이형준,장승미,윤형준,이도균,이용민,박상연,정지훈,임석준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23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22 No.4

        To solve the reliability problem of organic devices that are often used outdoors, multifunctional gas barriers that block reactive gases such as moisture and oxygen and reflect harmful light such as ultraviolet rays are needed. In this study, ALD nanolaminate-based optically functional DBR was developed to overcome the poor gas permeability of polymer substrates and protect organic devices from harmful light. n-DBR not only achieved a WVTR of 8.76 × 10−6 g·m-2·day-1, but also showed a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f 94.3% and an ultraviolet ray blocking ability of 2.67%. In particular, n-DBR based on a nanolaminate structure maintained its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even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despite being used as a layer of Al2O3. This functional thin film can not only be used as a functional encapsulation barrier for the reliability of organic devices, but can also be used as a tinting film for vehic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