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남 서북부지역 여성의 질세포진 검사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석민,선우재근,장경택,서수형,김민관,배동한 순천향의학연구소 1996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2 No.2

        Pap smear were performed to 30,294 women living in the north-west of Chung-nam. The result are summarized below 1. Positive vaginal cytology was 1.09 percent. 2. 72 percents women in their 30's and 40's experienced vaginal cytology. 3. Vaginal cytology was performed at a decreasing rate as age increases. 4. Positive cytology rate is 2.42% higher than average for elderly women over the age of 65. The present date indicates that pap smear is being widely recognized to be important but they needs to be continued advocacy for pap smear.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성취 수준 실태 분석 연구

        김형관,신현석,서민원,황기우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1 敎育問題硏究 Vol.15 No.-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을 사전에 선정된 사회 문화적 배경요인에 따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그 실태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연구주제와 관련된 선행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대학생의 학업성취를 인지적 측면에서 ① 실제 학점 평균과 ② 지각된 성취수준(전공지식 습득, 교양지식 습득, 논리·분석적 사고력, 창의력) 등 두 가지로 개념화하였다. 그리고 학업성취와 관련된 사회 문화적 배경요인은 크게 대학생의 ① 개인적 배경요인, ② 가정배경요인, ③ 대학배경요인 등 세 가지로 구별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서 표집된 6개 종합대학 1,781명의 대학생들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학업성취요인과 사회 문화적 배경요인들을 설문화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개인적 배경변인에서는 계열별, 거주형태, 일일 평균 공부시간 등의 변인은 학업성취에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배경변인에서는 출신지역과 부모의 학력 정도에 따라 학업성취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한편, 대학 배경변인 별로는 대학설립 유형, 학교 소재지, 입학전형 방식 등의 변인들이 학업성취 수준의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밝혀졌다.

      • 유세포 측정을 통한 CD34^(+)세포의 정량방법 비교

        양형모,서영훈,엄현석,민창기,김희제,정대철,이종욱,진종율,한치화,김춘추,김학주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8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3 No.2

        본 연구소에서는 현재 CD34^(+) 세포의 정량에 사용되고 있는 4가지 서로 다른 방법을 가지고 골수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각각의 방법들이 편리한 점과 불리한 점들을 가지고 있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 CD34-PE/CD45-FITC 방법13(ISHAGE: International Society of Hematotherapy and Graft Engineering), 2) CD34-PE/CD14-FITC 방법, 3) CD34-PE/CD14-FITC/CD45-PerCP 방법, 4) DNA dye/CD34-PE/CD45-PerCP4(Becton Dickinson) 등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CD34^(+) 세포의 농도는 다음과 같았다. 1) 0.473±0.345, (%Mean±SD, N=70) 2) 0.663±0.519, (N=20), 3) 0.543±0.381 (N=46), 4) 0.624±0.341, (N=32). 시료로는 여의도 성모병원 카톨릭 조혈모세포이식 센터에서 채혈한 골수를 이용하였다. Four different methods for flow cytometric quantitation of CD34+ cell were compared using bone marrow samples (n=168). Following combination of antibod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 A) CD45-FITC/CD34-PE (n=70), B) CD14-FITC/CD34-PE (n=20), C) CD14-FITC /CD34-PE /CD45-PerCP(n=46), D) DNA dye/CD34-PE/CD45-PerCP (n=32). Each metho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P=0.126, ANOVA test, SPSS Version 7.5). When we compare these methods using same samples (n=12), the P value became 0.832. The mean % of CD34+ cells calculated in this experiment were A) 0.474%, B) 0.663%, C) 0.548%, D) 0.624% respectively. In our laboratory, we decided to use CD45-FITC/CD34-PE methods as a routine protocol.

      • Si₃N₄/SiC 복합체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Y₂O₃-Al₂O₃계 소결조제의 영향

        이홍림,서유석,이형직 연세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2 논문집 Vol.24 No.2

        Si₃N₄/SiC composites were prepared by mixing Si₃N₄powder with SiC powders of 0, 10, 20, 30 vol%. To these composites were added the powders of Y₂O₃-Al₂O₃system as sintering aids. These samples were hot-pressed at 1850℃ for 60min under a pressure of 30 MPa in N₂. Some of the samples were annealed at 1400℃ for 4 hr under N₂ before the measur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β-Si₃N₄ phase is starting powder was all transformed to β-Sic phase remained unchanged. The fracture toughness of the composites increased more or less with the increase of SiC content. The room temperature strength decrease was observed around 10-30 vol% of SiC content. For the sample in which grain boundary crystallization occurred after annealing, fracture toughness increased while roon-temperature strength decreased.

      • 백혈병 마우스 모델의 동종골수이식에서 활성화된 자연살해세포들의 보충이 이식편대백혈병효과와 이식편대숙주반응에 미치는 영향

        엄현석,한치화,박수정,김소연,정낙균,정대철,진종률,최일봉,양형모,서영훈,송현근,최인표,민우성,김춘추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1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6 No.1

        배경: 백혈병에서 동종골수이식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의 성공적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식편대숙주반응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발생의 극복과 재발의 방지가 중요한 과제이다. 골수를 역류원심성 세포분리 (counterflow centrifugal elutriation, CCE) 방법으로 분리하여 얻은 rotor off (R/O) 세포분획은 T 세포의 수는 적지만 조혈모세포들을 다량 포함하고 있어 동종골수이식에서 주조직적합복합체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차이를 극복할 수 있고, 이식편의 생착 성공과 GVHD 발생 예방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골수로부터 T 세포를 제거하면 백혈병세포를 공격하는 이식편대백혈병 (graft-versus-leukemia, GVL) 효과가 감소되기 때문에 백혈병 재발의 빈도가 높다. 자연살해세포 (natural killer cell, NK cell)의 보충 첨가는 동종골수이식 후 GVHD 발생을 줄이면서 충분한 GVL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따라서 저자는 분리 후 IL-2로 활성화시킨 NK 세포들을 골수 R/O 세포분획과 함께 백혈병 마우스 모델에 동종이식함으로써 GVHD와 GVL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방법: Balb/c (H-2^(d)) 마우스에서 유래된 A20 (murine B-lymphoma/leukemia cell line, H-2^(d)) 백혈병 세포를 이식 2 일 전에 Balb/c 마우스에 주입하고, 치사량의 전신 방사선을 조사한 직후에 Balb/c 또는 C57BL/6 (H-2^(b)) 마우스의 골수 R/O 세포분획을 꼬리정맥을 통하여 주입하였다. 이들은 모두 이식 후 6-8 주 이내에 사망하였다. 동종이식의 대조군 (n=9)에는 1 × 10^(7)의 R/O 세포분획만을 주입하였고, 실험군 (n=9)에는 C57BL/6 마우스의 비장세포들로부터 단클론항체들을 이용한 negative selection방법으로 분리한 후 IL-2로 활성화된 5 × 10^(5)의 NK 세포분획을 1 × 10^(7)의 R/O 세포분획과 함께 주입하였다. GVL 효과의 판정은 이식 후 14 일과 28 일 째 되는 날 마우스에서 골수, 비장, 간 등을 얻어 백혈병 세포들의 침윤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으며, GVHD의 정도는 육안적 관찰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R/O 세포분획만을 이식한 대조군의 골수, 비장, 그리고 간 조직에서는 A20 백혈병 세포의 침윤이 각각 89% (8/9), 78% (7/9)와 22% (2/9)에서 관찰되었고, R/O 세포분획과 NK 세포분획을 함께 이식한 실험군에서는 비장과 간을 제외한 골수에서만 89% (8/9)에서 A20 백혈병 세포의 침윤이 관찰되어 두 군 사이에 장기별 분포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P= 0.0001). 한편 GVHD는 두 군 모두에서 경하게 나타나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생착 부전으로 사망한 마우스는 없었다. 결론: CCE를 이용하여 T 세포를 제거한 동종골수이식에서 NK 세포의 보충은 GVHD의 악화는 일으키지 않으면서, 백혈병의 진행을 억제하는 GVL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Background: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with T cell-depleted marrow accompanies engraftment failure and relapse of leukemia by a loss of the graft-versus-leukemia (GVL) effect frequently, while it can prevent GVHD. Supplement of NK cells could prevent GVHD and enhance GVL effect in several murine allogeneis BMT models Roter off (R/O) cell fraction obtained by counterflow centriation elutriatio (CCO) contains small number of T cells and many hematopoietic stem cel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R/O cell fraction supplemented with IL-2 activated NK cells on GVL and GVHD within the leukemic mouse BMT model. Methods: Inoculation of A20 (H-2d, murine B-lymphoma/leukemia, Balb/c origin) cells into Balb/c mice via the tail vein 2 days prior to lethal total body irradiation (TBI) and infusion of the Balb/c BM or C57BL/6 (H-2b) R/O fraction were performed. It resulted in 100% mortality within 6 to 8 weeks. The irradiated mice in the control group were injected with 1 × 107 R/O cell fraction alone (n=9) 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mice were injected with 1 × 107 R/O cell fraction plus 5 × 105 negatively selected IL-2 activated NK cell fractions of the spleens via the tail vein (n=9). On day 14 and 28 after BMT, the bone marrows, spleens, and livers of mice were harvested for histopathologic analysis of the infiltrations of leukemic cells. We then evaluated the GVHD within the mice. Results: A histopathologic study of the recipients receiving R/O fraction alone showed infiltration of leukemic cells, 89% (8/9) in bone marrows, 78% (7/8) in spleens, and 22% (2/9) in livers. The experimental group of mice showed only the infiltration of leukemic cells 89% (8/9) in bone marrows, not in spleens and livers. There were the organ differences of the leukemic cells infiltr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P=0.0001). There were no obvious differences in the GVHD scores between these two groups, and severe GVHD was not observed. There was no engraftment failure among groups. Conclusion: Thus, our findings suggest that R/O cell fraction obtained by CCE and supplemented with NK cells can promote GVL effect without mediating clinically overt GVHD in allogeneic BMT of mouse leukemia.

      • T1b 병기의 신세포암에서 수술 후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임상 및 병리학적 인자에 대한 연구

        오승용, 김영원, 윤형윤, 서성필, 이상근, 김원태, 윤석중, 이상철, 김원재, 김용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4 忠北醫大學術誌 Vol.24 No.1

        연구목적: T1병기의 국소신세포암(localized clear-cell renal cell carcinoma)은 근치적신적출술이 나 부분신절제술이 표준치료이며 수술 후 타 병기에 비해 양호한 예후를 보인다. 하지만, 많은 수의 환 자에서 추적관찰 중 재발 및 사망이 발생하는데, 이는 T1b 병기에서 더 높게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국소신세포암 중 T1b 병기의 신세포암에서 표준적 치료 후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 임상 및 병리학적 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부터 2011년 까지 5개 기관에서 근치적신적출술이나 부분신제술을 시행 받은 3567명의 국소신세포암 환자들 중 병리학적 병기가 T1b로 확진 된 7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가 가지는 임상 및 병리학적 특성 [연령, 성별, 고혈압, 당뇨, 비만도, European Cooperative Oncology Group(ECOG) 수행도, 증상유무, 수술방법, 종양크기, 분화도, 조직학적 형태 등]을 이용 하여 환자의 예후 [무재발생존율(relapse-free survival), 암특이생존율(cancer-specific survival) 및 전체생존율(overall survival)]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추적 관찰 기간은 34.0개월 (중앙값, 0-152개월)이었으며, 이 기간 중 재발, 사망 및 암특이사 망은 각각 72례 (10.3%), 57례 (8.1%) 및 24례 (3.4%)에서 발생하였다. 단변량 및 다변량 Cox 비례위험회귀분석에서 다양한 인자들이 무재발생존율(당뇨 유무, 종양크기 및 Fuhrman등급), 암특이 생존율(나이, 체질량지수, 당뇨 유무, 종양크기) 및 전체생존율(나이, 체질량지수, ECOG 수행도, 종 양크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독립적 예후인자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국소신세포암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임상 및 병리학적 인자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환자는 보다 적극적인 추적관찰을 통하여 재발을 조기에 발 견한다면 이들의 생존율 향상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비만을 동반한 위암 환자에서 두 병을 같이 수술 치료한 경험(증례)

        최경현,윤기영,문형환,신연명,서경원,안수미,송윤미,석정희,정경연,이은하 고신대학교의과대학 2008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3 No.3

        Obesity is growing problem in Korea. We had a case of bariatric surgery during gastric cancer operation. Patient was 29 year old Korean lady with early gastric cancer located in the lesser curvature side of the middle 1/3 of the stomach. Her body weight was 89 kg, height 163 cm, and thus body mass index was 33.5 kg/m2. Preoperative blood pressure was 130/90 mmHg, hemoglobin 12.9 g/dL, total lymphocyte count 3,280/mL, serum albumin 4.3 g/dL, CEA 1.1 ng/mL, CA 19-9 9.1 ng/mL, and alpha fetoprotein 2 ng/mL. Another associated disease was right thyroid follicular neoplasm. The chest X-ray was normal. After IM injection of 2,500 units of heparin 30 minutes before the induction of general anesthesia, she received curative subtotal gastrectomy and Roux en Y gastrojejunostomy when a malabsorption loop of 120 cm jejunum was incorporated between the Treitz ligament and the end to side jejuno-jejunostmy site at May 29th 2006. Her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except a minor wound seroma and the elevations of serum amylase(up to 4 folds) and lipase(up to 2 folds). She lost her body weight 9 kg in 5th, 21 kg in 7th, and 27 kg in 10th postoperative months to became 61.5 kg. On follow up exams in July 2008, she gained 4 kg to overcome her weakness and fatigue. From the above result, the incorporation of a malabsorption loop during reconstruction phase of gastric cancer operation was a good option for obese gastric cancer patients especially in cases of early gastric cancer.

      • KCI등재후보

        전경대원에서 발생한 결핵의 임상 양상

        문창기,박상준,조민구,김영중,김소연,김윤권,정준오,안석진,김은실,서승오,김지훈,최원제,이윤영,박형기,최규영,김현근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6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the incid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tuberculosis (TB) in combat and auxiliary police, living in a group, in Korea where the incidence rate of active TB in a general population is higher than in Western countries. Materials and Methods: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all tuberculosis patients diagnosed at National Police Hospital from January 2002 through December 2004. Results:In 2002-2004, a total of 156 cases of tuberculosis were identified with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ge of 20.6 (±1.0) years. Of these, 134 (85.9%) patients were registered as new cases, 11 (7.1%) as relapse, 2 (1.3%) as failure, 5 (3.1%) as treatment-after-default cases whereas 4 (2.6 %) patients were not included in any categories. Average annual new TB rate and smear-positive TB rate were 86.5/10^(5) and 17.4/10^(5) person-years, respectively. In 12 of 31 smear-positive cases, time from onset of symptoms to diagnosis was more than 30 days. Two multidrug-resistance TB cases were identified and two suspected outbreak episodes of TB had occurred during 3 years. Conclusion: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rate of new cases of TB between the general population aged 20 to 29 years and combat and auxiliary police in Korea. 배경 : 국내 결핵의 발생은 감소 추세에 있으나 여전히 후진국형 발생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집단생활을 하는 젊은이들에서 발생하는 결핵의 유행이 간헐적으로 알려지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전경대원의 결핵 발병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2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3년간 경찰병원에서 결핵 진료를 받은 전경대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연도별 결핵 신환발생률, 도말양성결핵 신환율, 진단 지연, 집단발병, 다제내성결핵을 조사하였다. 결과 : 연도별 결핵 신환자 수(10만명당 발생추정치)는 2002년 50명(83.6명), 2003년 42명(83.7명), 2004년 42명(93.5명)이었고 도말양성 폐결핵 신환자 수는 2002년 10명(16.7명), 2003년 11명(21.9명), 2004년 6명(13.4명)이었다. 3년간 도말양성 폐결핵 환자는 31명이 있었고 그 중 12명은 호흡기 증상 발생 30일이 지나서 진단을 받았다. 다제내성 결핵은 2명이 있었으며 결핵의 집단발병이 의심되는 사례는 2차례 있었다. 결론 : 전경대원과 20-29세 연령군 일반인의 결핵 신환발생률, 도말양성 폐결핵 발생률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