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약물중독에 의한 내원 전 심정지 환자의 특성과 심폐소생술 결과
김윤권,김현,원호경,이권일,오성범,문중범,이강현,황성오,Kim Yun Kwon,Kim Hyun,Won Ho Kyong,Lee Kwon Il,Oh Sung Bum,Moon Joong Bum,Lee Kang Hyun,Hwang Sung Oh 대한임상독성학회 2005 대한임상독성학회지 Vol.3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uscitation outcomes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non-traumatic drug-induced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by analyzing data from a single institution's registry. Method: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795 patients who came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non-traumatic drug-induced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during the period $1991{\~}2004$. Only patients over 18 years of age were included. Clinical characteristics. variables associated with cardiac arrest, and data during resuscitation were obtained from our cardiac arrest databa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rug-induced cardiac arrest (drug group, n=33), and non drug-induced cardiac arrest (non-drug group, n=762). Results: Spontaneous circulation was restored in 23 ($72{\%}$) patients in the drug group and in 314 ($45{\%}$) patients in the non-drug group ($x^2=0.020$). The patients who discharged alive number were 46 ($6{\%}$) in the non-drug group and 0 ($0{\%}$) in the drug group ($x^2=0.005$). The witnessed arrest, the epinephrine doses, and total defibrillation energy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e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rate was higher in the drug group than the non-drug group. However the drug group was lower survival discharge rate than in the non-drug group.
김윤권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6 행정논총 Vol.54 No.3
In advocating the world’s first Government3.0, Korea has executed the core and sub-projects of implementing Government3.0, namely, transparent government, competent government, and service-oriented government. Government3.0 itself, however, has no rigid theory and is currently still confronted with various constraints.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theoretical driving forces and the actual constraints blocking the implementation of Government3.0 and at proposing feasible ways to overcome the constraints. In order to improve the theoretical rigor of Government3.0, it is necessary to make out its origin, concept, and perspective to elaborate the theory of Government3.0 by governments as well as to figure out the context, institutions, and actions related to Government3.0. In addition, the actual constraints of Government3.0 can be overcome by mitigating and improving the essential constraints on transparent government, competent government, and service-oriented government. 2013년부터 우리나라는 최초로 정부3.0을 주창하고, 정부3.0의 핵심 목표인 투명한 정부, 유능한 정부, 서비스 정부의 핵심과제와 세부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정부3.0의 이론에 대한 엄밀성이 취약하며, 추진과정에서 다양한 제약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3.0의 이론적 관점에서 정부3.0이 형성된 이론적 맥락과 정부3.0을 추진하는데 걸림돌로 작용하는 실제적 제약을 분석하고, 실현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정부3.0 이론의 엄밀화를 위해서는 정부3.0의 연원・개념・관점의 분석과 이해, 정부3.0 목표별 동인에 관한 이론적 정교화, 그리고 정부3.0의 맥락・제도・행위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한다. 또한 정부3.0의 실제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투명한 정부, 유능한 정부, 서비스 정부 각각에 존재하는 본질적인 제약들을 완화・개선시켜야 할 것이다.
적극적인 공무원 퇴직 관리를 위한 퇴직공직자 취업제한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윤권,오시영 한국인사행정학회 2013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2 No.1
고령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퇴직공직자의 취업제한제도를 보다 정교하게 설계함과 동시에 퇴직공직자의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국가발전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인 공무원 퇴직 관리의 시각에서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퇴직관리, 공무원 취업제한제도의 실태 및 공무원들의 인식, 그리고 취업제한제도 규정 등에 관한 쟁점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적극적인 공무원 퇴직 관리의 관점에서 공직자윤리법 에 규정된 퇴직공직자 취업제한제도를 보다 건설적인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퇴직공직자의 직종별 취업제한제도의 차등화 둘째, 퇴직공무원의 취업 희망 유형별 퇴직관리 정책 프로그램 도입 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