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수석교사의 의견을 중심으로

        이남주,백성혜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예비교사(사범대학생)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117명의 수석교사들이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활용한 토의활동을 통해 사범대학생 선발 기준 개선, 사범대학 교육과정 개선, 교육실습생 체계개선, 임용고사 체제개선이라는 4개의 ‘핵심문제’와 이에 따른 15개의 ‘토의문제’를 도출하고, 문제해결 방안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연구에 참여한 수석교사 중 21명을 선발하여 온라인 설문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추가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음의 4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사범대학에서 학생을 선발할 때 교직적성이 잘 반영되고 창의적 사고와 융합적 사고능력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미래 사회 변화에 잘 대비할 수 있으며, 현장의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교사로서의 인성을 충분히 함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이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우수 교원 중심의 교사 협의체 속에서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형태로 교육실습체계가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교사 선발 과정에서 인턴제도 경력과 학교 도우미 활동 참여 여부 등에 따른 가산점을 부여하여 실질적인 학생 지도 역량을 갖춘 교사를 선발해야 한다. 이러한 예비교사교육의 개선 방안을 반영한다면 사범대학 교육과정이 교육현장과 괴리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수업, 생활지도, 교직실습 등의 영역에서 전문성을 갖춘 교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looked into problems in pre-service teacher(teachers’colleges students) education. To improve them, 117 advanced skills teachers drew four(4) ‘essential issues’and related 15 ‘discussion items’through discussion using facilitation skill _ Four essential issues are improvement of selection standards for teachers’colleges students, improvement of educational curriculum in teachers’colleges, improvement of system for student teachers, and improvement of system for employment examination. Finally, they tried to find solutions for the issues. And additional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lphi method with on-line questionnaire. To this end, 21 teachers among advanced skills teachers who attended this research were selected. As the study results, 4(four) conclusions were found as follows. First, When teachers’colleges select students, they should prepare standards to select qualified students with creative and fusion based thinking. And the standards should reflect aptitude needed in a teacher. Second, Educational curriculum in teachers’colleges should be improved towards direction to cultivate personality as a teacher who can address social change in the future and can adapt to various environment at the educational field. Third, Teaching practicum system should be improved in the form where student teachers can grow in the midst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mainly composed of excellent teachers together. Fourth, In the selecting process of teachers, teachers with capacity to instruct student well should be selected, providing extra points for career of intern, school helper activity etc.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would contribute to solving the problem that educational curriculum in teachers’colleges has gap with educational site. And this could bring cultivation of professional teachers in classroom lecture, school life guidance, teaching practicum etc.

      • KCI등재

        다차원 분석모형을 적용한 학부교육 선도대학 정책분석

        강미영(Kang Mi Yo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대학 재정지원정책과 관련된 제반 문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차원 분석모형을 적용하여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이하 ACE사업)에 대한 정책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ACE사업은 대학의 책무성을 바탕으로 자율성과 효율성을 추구한 교육역량강화사업의 가치를 계승하며, 각 대학마다의 특성화된 모델과 발전계획을 통해 다양성과 효과성을 추구해왔고, 정책 성숙기인 현재 창의성 추구를 통한 고등교육 혁신을 추진 중이다. 둘째, ACE사업은 정부 재정지원 사업정책으로서 대학구조개혁 정책과정에서 대학 교육역량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 수단으로서 의미를 가지며, 학부교육 선도모델 창출의 목표가 핵심이라는 점에서 대학구조개혁과 연계되면서도 구분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ACE사업은 학부교육 선진화를 위한 효율적인 정책으로 평가되지만, 비선정대학들은 재정지원 사업이 심화시킨 교육 양극화의 그늘에서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며 진보된 성과확산을 요구하고 있다. 넷째, ACE사업은 재정실적 면에서 교육과정 및 교육환경개선에 집중 지원되어 대학 교육역량 강화의 성과를 정책 의도에 부합되게 달성하였고, 특히 비교과 교육의 전문성과 효율성이 강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ACE사업의 과제는 첫째, ACE사업의 미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준비하는 의미가 포함되어야 하며, 고등교육의 역할과 기능을 보다 창의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육방법과 교육환경 혁신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ACE사업의 결실인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정부 행정 관료나 대학 구성원들의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향후에는 선택과 집중의 원칙을 유지하되 평등성의 가치도 보다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problems related to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olicy, this study applied policy analysis of ACE project by applying multidimensional analysis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CE project inherits the value of the educational capacity building project that pursues autonomy and efficiency based on the university s accountability. It has pursued diversity and effectiveness through specialized models and development plans for each university. Currently, we are pursuing innovation in higher education through pursuing creativity. Second, the ACE project has a meaning as a policy tool to raise the quality level of university education capacity in the university reform policy process as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roject policy.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m. Third, although the ACE program is evaluated as an effective policy for the advancement of undergraduate education, the non-selected universities are facing various difficulties in the shadow of the educational polarization that has deepened financial support projects and demand progressive achievement. Fourth, the ACE project has been focused on improving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 terms of financial performance, so that the accomplishment of the university education capacity has been achieved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intention. Especially, the expertise and efficiency of non-curriculum education are strengthened. The future of the ACE project should be as follows: First, the future of the ACE project should include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ocusing on education method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novation that can more creatively carry out roles and functions of higher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government administrative bureaucrats and university members on the non-curriculum education that is fruitful of the ACE business. Third, in the future, the principle of selection and concentration should be maintained, but the value of equality should also be considered.

      • KCI등재

        한국 교육문제의 역사적ㆍ인식론적 탐구: 교과지식의 특성과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박의수(Park, Eui-S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5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교육문제를 역사적․인식론적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우리 교육이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의 근원과 본질이 무엇인가를 밝히는데 있다. 인식론적 관점이란 인간형성의 핵심을 이루는 교육의 내용 즉, 어떤 지식을 어떻게 가르치고 배우느냐, 그리고 그것이 삶과 어떻게 연관되느냐 하는 것을 중심 과제로 삼자는 것이다. 교과를 구성하는 지식의 성격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지식의 유형과 현대의 개념들 즉, 권위적 지식, 규범적 지식,경험적 지식, 합리적 지식, 형식지와 암묵지, 방법적 지식, 과정적 지식 등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또한 교과 지식의 성격과 교육방법 및 인식과 실천의 관계 혹은 상호작용을 기준으로 원시 및 고대, 유교적 전통사회, 개화기, 광복 이후의 시기로 구분해 보았다.연구 결과 원시와 고대의 교육은 주로 암묵적 지식에 의존했고 앎과 삶, 교육과 생활이 하나로 통합되었으며, 유교적 전통교육의 기본 교과는 규범적․권위적 지식으로 인식과 실천, 지와 행이 통합되고 조화된 전일적 인격 형성을 이상으로 추구했으나, 과거제도가 정착되면서 인식과 실천이 유리되었다. 서구의 합리적․경험적 교과가 유입되는 개화기에는 서구적 근대교육과 유교적 전통 교육이 병행되는 과도기였으나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전통교육은 급격히 사라지게 되었다. 해방 후 서구의 과학적 교과가 도입되었으나 유교적 규범적 교과를 교육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교육이 진행되었고, 시험위주의 교육이 확산되면서 합리적․경험적 지식조차도 교육현장에서는 권위적 지식으로 둔갑하여 인식과 실천의 괴리는 더욱 심화되었다. 또한 지식교육과 인성교육의 분리는 인성교육은 물론 지식교육의 부실을 가져왔다. 이는 결국 교육력의 약화를 초래하여 지식사회의 교육 경쟁을 약화시키는 근본적 원인으로 귀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ssential problems of Korean contemporary education. In order to that it took a historical and epistemological approach to Korean education problems. Epistemological approach means to study about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how to teach students.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subjects of curriculum, it took the traditional types of knowledge and some modern concepts of knowledge. And in order to historical approach, the historical period was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result of study shows the following; ①primitive education depended on tacit knowledge and education integrated with knowledge and knowing, and living was united. ②Confucian education period was depended on normative․authoritative knowledge and the integration of knowing and living was important but according to establishment of recruit system with examination they were separated. ③The third period was transitional period. ④After liberation the education depended on rational․empirical knowledge but it was accepted as authoritative knowledge in the Korean classroom. The result of study found that knowing and living were originally one thing but they have divided into two and moreover knowledge education was separated from character education. So not only the knowledge education couldn't help the character education but also the knowledge education itself became ineffective and fruitless.

      • KCI등재

        대학생의 일상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탐구

        김윤지,김정섭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4 敎育問題硏究 Vol.37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일상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하여 대학생들이 일상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변화와 그것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이상의 대학생 14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구성주의적 근거이론의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일상문제해결 과정은 ‘일상문제 마주하기: 대학생이 인식하는 일상문제의 의미’, ‘문제해결과정 수행하기: 문제해결자로서의 변화 주도’, ‘문제 상황 종료하기: 변화 체감 및 성장 확인’ 의 총 3개 범주와 10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일상 경험을 그들의 목소리로 담아내어 대학생의 일상문제해결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대학생의 인식 및 태도 변화에 따른 일상문제해결 과정의 다양한 종결 형태를 제시하였다. 이는 대학생이 일상문제해결 과정을 통해 문제 상황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자로서 긍정적 변화를 통해 성장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일상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정책 개발을 통한 교육적 개입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university students’ everyday problem solving process, their changes and mean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4 students in second grade or higher who attending universities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ructive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The university students’ everyday problem solving process was derived a total of 3 categories and 10 subcategories: 'perception of everyday problem', 'performing of problem-solving process', and 'termination of a problem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ed to in-depth understanding of university students’ everyday problem solving because the study included their voices from the real experiences of everyday. Also, It suggested that various forms of termination of the everyday problem solving process according to changes i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that university students not only eliminate problem situations through the everyday problem solving process, but also experience growth through positive changes as problem solvers. Through thi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everyday problem solving skills and lay the groundwork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through related policy development.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문제은행 활용 방안

        김명화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0 敎育問題硏究 Vol.13 No.-

        본고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문제은행을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려 한다. 먼저 문제은행의 의미와 본질을 간단히 논의하고, 실제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문제은행을 활용하여 출제하고 있는 시험에 대해서 논의하고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문제은행식으로 출제할 때 예상되는 문제점을 보안의 문제, 문항제작상의 문제, 많은 수의 양질의 문항을 확보하는데 따른 어려움, 문항의 저장 및 보관 관리의 문제, 사회문화적 인식의 문제 등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문제은행식의 출제여부는 이제는 결단의 문제이다. 문제은행체제의 구축에 의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는 양질의 문항을 출제할 수 있으며, 여러 번 시험을 보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몇 년간의 시험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만을 위해 고등학교 전학년과 몇몇 학생들은 몇 년 동안 준비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이제는 교육외적인 문제나 사회 문화적인 요인보다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르는 피험자의 입장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그 자료를 활용하는 대학의 입장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과 교육법규의 관련성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관련 교육법규를 중심으로

        이승미(Lee, Seung-Mi),홍후조(Hong, Hoo-J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敎育問題硏究 Vol.0 No.37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고시와 관련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이 교육과정 관련 교육 법규의 규정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더불어 교육과정 관련 교육법규가 교육과정의 구성 영역별로 국가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한 교육법규의 윤리적․규범적 성격, 수단적·기술적 성격, 조장적·지원적 성격을 갖추고 있는지 검토함으로서 국가 교육과정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그 구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학교 급별 교육목표, 학습윤리의 확립에 관한 내용, 부진아 교육에 대한 규정 등이 교육법규의 규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교육과정 관련 교육법규에서는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권과 국가 교육과정의 개정과 관련하여 변화된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을 교육현장에 구현하기 위한 직접적인 규정 등이 미흡하고, 초·중등학교의 교과를 전반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교육법규와 특정 교과 및 교육내용을 규정하고 있는 교육법규가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충돌될 여지가 있다는 점 등이 발견되었다. 앞으로 교육법규가 학교교육의 교육과정을 통하여 구현되기 위해서는, 현재의 국가 교육과정이 교육법규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국가 교육과정의 구현을 위한 바람직한 교육법규의 규정 방안과 더불어 교육법규의 규정을 국가 교육과정으로 구현해내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cure the legitimacy and to seek the legal realization of 2009 National Curriculum. To fulfill this, this study reorganizes the educational laws and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component areas of curriculum, and examines the roles of the educational laws and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general guideline of national curriculum and the traits of the educational laws and regulations. As a result, 2009 National Curriculum does not reflect the educational laws and regulations in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school levels, moral principles in learning, the regulations about the retarded, and so on. And the educational laws and regulations do not regulate the right of school's role in curricular decision, and it is possible to come into confliction among the subject matters' interest in the educational laws and regulations. To make adequate connections between them, I suggest the follow-up research which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laws and regulations in the light of curriculum, to make the desirable ways to revise them, and to make the appropriate methods to realize the educational laws and regulations into the curriculum.

      • KCI등재

        정책 환경의 변화에 비추어본 문재인 정부 고등교육정책의 혁신 방향 분석 및 과제의 탐색

        신현석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敎育問題硏究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cy implications of future higher education according to environment change and the direction of innovation of higher education policy in Moon Jae-in Administration. As a result of the school-age population decline due to the low fertility rate and the arrival of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the previous government proposed the reform measures of higher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government's higher education policy is so innovative that the term 'reform' policy is more appropriate rather than a simple ‘policy’. This research analyzed the issues of the present government’s innovative directions toward reforming higher education, regarding (1) ensuring the consistency of policies by reducing the gap between the demand for the policy and the political need, (2) reflecting the possibility of balancing between the achievement of competitiveness and the publicity in higher education through the state-led approach, (3) devising the method for guaranteeing ‘self-initiated active autonomy’ of college. In conclusion, the reform of Moon Jae-in Administration’s higher education policy should take the following tasks as: (1) securing the policy leadership stressing communication and governance, (2) clarifying the ranges of the state’s roles in higher education policy, (3) reflecting on-the-spot approach containing philosophy on the policy, (4) readjusting the policy measures in priority through reviewing their financial sources and affordability. 문재인 정부의 고등교육정책은 고등교육의 공공성과 경쟁력 제고를 동시에 추구하고 재정지원사업의 개편과 규제 혁파를 통해 대학의 자율성을 보장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재인 정부의 고등교육 혁신 방향에 대한 쟁점 분석을 통해 ①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정책의 합리적 수요와 정치적 필요 사이의 간극을 줄여 정책의 일관성을 확보해야 하고, ② 국가 주도의 방식이 과연 고등교육의 경쟁력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지 반성적 점검을 통한 성찰이 요구되며, ③ 국가가 책임지는 고등교육으로부터 대학의 ‘자기주도적인 능동적 자율’을 담보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문재인 정부의 고등교육 개혁을 위한 주요 과제로 ① 소통과 거버넌스를 강조하는 정책 리더십의 발휘, ② 국가의 역할 범위의 명확한 설정, ③ 철학이 담겨있는 현장적 접근, ④ 재정확보 가능성의 검토를 통한 정책과제 재조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제1차 조선교육령기 조선총독부의 전문학교 입학시험정책과 전문학교의 대응

        김자중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敎育問題硏究 Vol.34 No.4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lleges entrance examination policy of the Governor General of Korea(the GGK) and the response of colleges during the First Joseon Educational Oridina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GGK implemented the colleges entrance examination policy during the First Joseon Educational Oridinance which later became the basic framework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entrance examination policy. This was an indirect control policy. In other words, the GGK set all specialized schools as the subject of control, but the method of control was to exercise the right to authorize the school regulations stipulated by each college. Secondly, Under these indirect control policies, government schools and private colleges responded in different ways. Government colleges imposed Japanese tests and did not impose English tests, and “three schools” except for Gyeongseong Law School excluded the Korean test. Basically, this was consistent with the education policy of the GGK. On the other hand, Chosen Christian College did not impose Japanese test, and both Severance Union Medical College and Chosen Christian College imposed English tests. This was consistent with the educational purpose of each private college. 본 논문은 제1차 조선교육령기(1911 1922) 조선총독부의 전문학교 입학시험정책과 이에 대한 각 전문학교의 대응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차 조선교육령기에 조선총독부는 이후 일제 식민지기 고등교육기관 입학시험정책의 기본적인 틀이 되는 전문학교 입학시험정책을 실시했다. 이는 간접적 통제정책이었다. 즉 조선총독부는 관사립을 막론하고 모든 전문학교를 통제의 대상으로 설정했으나 다만 그 통제의 방식은 각 전문학교에 대해 개별적으로 시험과목을 결정하도록 하고 그것을 규정해놓은 학칙의 인가권을 행사하는 방식이었다. 이는 조선총독부가 학칙 인가권을 근거로 각 전문학교의 입학시험에 대해 특정 과목의 부과나 배제를 압박할 수 있는 실로 교묘한 형태의 입학시험정책이었다. 둘째 이와 같은 간접적 통제정책 하에서 관립전문학교와 사립전문학교는 각각 다른 방식으로 대응했다. 먼저 관립전문학교는 일어시험을 부과하고 영어시험을 부과하지 않았으며 경성전수학교(전문학교)를 제외한 ‘3교’는 조선어시험을 배제했다. 기본적으로 이는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에 부합하는 것이었다. 반면 사립전문학교는 연희전문학교의 경우 일어시험을 부과하지 않기도 했으며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와 연희전문학교는 모두 영어시험을 부과했다. 이는 각 사립전문학교의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것이었다. 이를 보면 제1차 조선교육령기에 조선총독부는 이전 시기 조선 정부와는 달리 전문학교 입학시험정책의 통제 범위를 사립전문학교로까지 확대했으나 그 통제의 강도는 그다지 강하지 않았으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사립전문학교는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에 부합하기보다는 그 자체의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입학시험을 실시하는 경향이 강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다만 이는 입학시험을 둘러싸고 조선총독부와 사립전문학교 간의 갈등이 본격화되기 시작됐다는 점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 KCI등재

        유가적 전통에서의 인성교육

        박의수(Park Eui-S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7 敎育問題硏究 Vol.0 No.28

          이 논문은 교육의 핵심 과제의 하나인 인성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한국전통 교육의 주류를 형성해 온 유가적 전통에서의 인성교육의 개념 및 인성교육의 원리와 방법상의 특징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BR>  먼저 몇 가지 대립적인 견해를 지닌 인성교육관을 고찰하고 그에 따른 인성교육의 원리와 방법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인성에 대한 관점에는 크게 성선설, 성악설 및 중도적 입장의 세 부류가 있으나 유가적 전통에서는 성선설을 바탕으로 한 인성교육론이 주류를 형성해 왔음을 알 수 있다.<BR>  결국 타고난 본성을 인의예지의 천리에 합당하도록 형성해 가는 과정이 인성교육이며, 이는 수기(수신)로 요약될 수 있다. 수기는 곧 격물치지와 성의정심으로 이루어지는데 격물치지는 인식론에 속하고 성의정심은 수양론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현대 교육에서는 이 둘을 분리하여 접근하려는 경향이 강하여 수양론만을 인성교육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유가적 전통에서는 인식론과 수양론은 결코 분리될 수 없으며 지식교육과 인격교육은 하나로 통합되어야 온전한 인간교육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concepts, principles and methodologies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Confucianism tradi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ight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Because the Confucianism had various influences on the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for a long time till Choson Dynasty closed, it will give many suggestions for us to study the direction of future character education. So this study was proceeded as follows.<BR>  Some controversial viewpoints of traditional character education and their principles and methodologies were investigated. There were three main viewpoints of fundamental human nature; ①good, ②evil, ③neither good nor evil. The main stream of them is the Confucian viewpoint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BR>  Finally, the process of being one"s inborn human nature in accordance with natural laws, that is, human-heartedness, righteousness, propriety, wisdom is character education. It can be summarized in cultivating one"s own self. Cultivating one"s own self consists of four concepts; investigating things, knowledge extension, absolute sincerity, rectifying minds. The former two concepts are theory of knowledge and the latter concepts are moral theory. They were originally one in the Confucianism tradition. But modern education made them devide in two. So integrating four concepts into one and harmonizing knowledge education with moral education is the important for the future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지리적 여건을 고려한 중학교 의무교육의 순차적 실시는 헌법에 위반되는가?

        손희권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1 敎育問題硏究 Vol.14 No.-

        헌법재판소는 7-2로 지리적 여건을 고려한 중학교 의무교육의 순차적 실시가 헌법에 위반되지 아니한다고 판시하였다. 그리고 재판관 2명의 반대의견은 이에 대한 위헌 주장과 헌법불합치 주장으로 그 견해가 갈리었다. 연구자는 국민 권리의 적극적인 보호 차원에서 위헌 주장이 설득력이 있다고 본다. 또한 지리적 여건을 고려한 중학교 의무교육을 위헌으로 보는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의 세입 초과분이나 공적 자금 등을 고려할 때 국가 재정여건이 중학교 의무교육의 전면적 실시를 유보할 정도라고 보기 어렵다. 둘째, 중학교 의무교육의 순차적 실시는 중학교 의무교육에 대한 국민의 법률상의 권리를 하위법인 명령으로 제한하고 수정 · 변경시킨다. 끝으로, 중학교 의무교육의 순차적 실시의 기준으로서 지리적 여건은 부의 역분배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상을 종합하건데 중학교 의무교육의 순차적 실시는 위헌이다. 그리고 만약 중학교 의무교육의 순차적 실시가 불가피하다면 그 기준은 지리적 여건이 아니라 학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여야 하며 이 기준과 실시 방법 등을 대통령령이 아닌 법률에 명시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