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코로나19 시기 노인의 우울감은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 영향을 미쳤는가?: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이석환,전용호 한국노인복지학회 2022 노인복지연구 Vol.7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epression during COVID-19 aff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bility(ADL)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household type of the elderly. To determine the purpose, the mediating effect based on Baron&Kenny(1986) was verified on 3,395 elderly living alone and 6,960 elderly non-living alone using data from the 2020 Senior Surve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DL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both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non-living alone during the COVID-19. Second,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non-living alone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ADL of the non-living alone elderly ha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but ADL of the elderly living alon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Finally, in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L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non-living alone elderly, but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not shown in the living alone. Theoretical and policy sugges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이 경험한 우울이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하고 그 차이를 확인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노인실태조사 원데이터를 활용하여 독거노인 3,395명, 비독거노인 6,960명을 대상으로 Baron&Kenny(1986)의 이론에 근거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시기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모두에서 ADL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우울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비독거노인의 ADL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독거노인의 ADL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 분석에서 비독거노인은 ADL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우울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나 독거노인에서는 우울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EEG 측정을 통하여 물류 시스템 야간 육체노동자의 피로도와 향에 관한 연구
이석환,곽승현,서상혁,여선구,송치영,민병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
기업들은 경쟁사회에서 더 많은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수요와 공급의 일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물류리드타임과 고객주문 사이클에 의해 수요예측이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야간 육체 근로자들의 투입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업무 강도 또한 높이 지고 있다. 본 실험은 밤샘 작업을 하는 육체노동자에게 노동을 수행한 후 피로도를 측정하고 아로마향의 제시가 피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20대~50대의 신체건강한 남녀 21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충분한 휴식 후 출근시간인 20시에 1차 뇌파측정을 하였고, 아로마향을 제시하면서 2차 뇌파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육체노동을 6시간 수행한 후 새벽 03시에 3차 뇌파측정을 하고, 아로마향을 제시하면서 4차 뇌파측정을 실시하였다. 각성의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향의 제시가 피로도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뇌파측정 후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작업전 vs 육체노동 수행 후”, “육체노동 수행 후 vs 향제시 후”의 뇌파 변화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Companies are aiming to match demand and supply in order to generate more profits in a competitive society. However, demand forecasting is difficult due to logistics lead times and customer order cycles. In order to overcome this, it is increasing the input of the nighttime manual worker and the work intensity is also increasing.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fatigue after performing work for the night worker and to see if the presentation of aroma had a positive effect on fatigue. The subjects were healthy men and women in their 20’s ~ 50’s. The subject performed the first EEG at 20 o'clock, and the second EEG was performed while presenting the aroma. After 6 hours of physical labor, the third EEG was measured at 03:00 am and the fourth EEG was measured while presenting the aroma.After analyzing brain waves, we conducted t-test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the presentation of aroma incentives had an effect on fatigue or stres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EEG changes after "before work vs manual work" and "after manual work" vs “after odor presented”.
이석환,황현수,남홍수,이학태 한국항행학회 2023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7 No.2
Because there exist a region in the rotational speed and torque map that the a particular combination of a motor and an ESC (Electronic Speed Control) can maintain its peak efficiency, identifying this region is important for designing an efficient system. Firstly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device is verified using the published propeller measurement data. And then, the combined motor-ESC efficiencies of an individual propeller are measured at a wide range of rotational speeds. With measurements obtained from a large number of different propellers, efficiency contours are obtained. It is shown that there exis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combined efficiency and the motor efficiency computed using a simple model. In addition, with the same motor, the combined efficiency can have a meaningful variation depending on the model of the ESC. The efficiency contours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the design and optimization of electric propulsion systems of an aircraft where propulsion efficiency is critical. 모터와 ESC (Electronic Speed Control)는 높은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회전 속도 및 토크의 범위가 존재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시스템 설계를 위해서는 이 범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측정 장비 대한 정확성을 프로펠러 측정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넓은 회전 속도 범위에서의 정적 측정을 통해 각 프로펠러에 대한 통합 효율을 측정하고, 이를 다수의 프로펠러에서 반복하여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효율 등치선도를 도출하였다. 측정된 모터-ESC 통합 효율은 단순한 모터 모델로 도출한 모터 자체의 효율과 비교할 때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동일한 모터라도 ESC에 따라 달라지는 효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모터-ESC 통합 효율 등치선도는 추진 효율이 중요한 항공기의 전기 추진 시스템을 설계하고 최적화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저항형 금속산화물 센서의 인쇄공정 최적화에 관한 연구
이석환,구지은,이문진,정정열,장지호,Lee, Seokhwan,Koo, Jieun,Lee, Moonjin,Jung, Jung-Yeul,Chang, Jiho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6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9 No.6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about the optimum fabrication condition of the printed Indium Tin Oxide (ITO) layers for the electrical resistance-type sensor application. We have investigated on the substrates surface treatments, mixing ratio of organic binder/ITO powder, and viscosity of the printing paste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 of the screen printed ITO layer. Also, we found that the printing condi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sensor performance. To know the feasibility of printed ITO layer as an electrical resistance-type sensor, we have fabricated the ITO sensors with a printed and sputtered ITO layers. The printed ITO films revealed $10^2$ times higher sensitivity than the sputtered ITO layer. Also, the sputtered ITO layer exhibited an operating temperature of $127^{\circ}C$ at the operating voltage of 5 V. While, in case of the printed ITO layer showed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27.6^{\circ}C$ in high operating voltage of 30 V. We found that the printed ITO layer is suitable for the various sensor applications.
기하학적 구조 및 위치 보간기를 이용한3D 애니메이션 워터마킹
이석환,권기룡 대한전자공학회 2006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3 No.6
For real-time animation, keyframe animation that consists of translation, rotation, scaling transform nodes is used widely in 3D graphics. This paper presents geometrical watermarking using vertex coordinates in CoordIndex node and interpolator watermarking using keyvalues in PositionInterpolator node for 3D keyframe animation based on VRML.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s the robustness against geometrical attacks and timeline attacks as well as the invisibility. 3D 그래픽에서는 실시간 애니메이션을 위하여 이동, 회전, 스케일링 변환 노드로 구성되는 키프레임 애니메이션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VRML 기반의 3D 애니메이션 상에서 CoordIndex 노드 내에 꼭지점 좌표를 이용한 기하학적 워터미킹 기법과 PositionInterpolator 노드 내에 키 값을 이용한 보간기 워터마킹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방법이 각종 기하학적 공격 및 타임라인 공격에 대한 강인성 및 비가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