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 교육행정사(敎育行政史) 연구의 성과와 과제

        박수정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1

        이 연구는 한국의 교육행정학 분야에서 지금까지 수행된 역사적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고, 교육행정사 연구의 접근방법과 영역을 분석하며, 향후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교육행정사 연구의 전개과정에 초점을 두어, 지금까지 교육행정학의 관점에서 역사적 연구를 수행한 강길수, 안기성, 정태수, 조동섭, 박수정의 연구 성과를 중점적으로 정리하였다. 교육행정사 연구의 접근방법은 역사적 연구방법을 통한 기술과 교육행정학적 관점의 분석이 요구되고, 당시의 교육행정 환경에서 해석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교육행정사 연구의 영역은 교육행정의 실제, 이론, 교육의 역사로 크게 구분할 수 있고, 구체적인 세부 영역에 대한 역사적 접근이 요구된다. 교육행정사 연구를 위한 과제로 현재의 교육행정 개념으로부터 출발, 개별 교육제도와 행정의 변천과정에 대한 역사적 연구, 교육행정의 학문과 교육의 역사에 대한 관심, 교육행정의 역사를 다루는 타 학문분야의 연구와 연계 등이 필요하고, 이러한 토대를 구축하기 위하여 교육행정학 연구자 집단의 교육행정사 학습과 연구 기회의 제공이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the historical research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HREA) in Korea, to analyze the approaches and areas of the HREA, to present the directions and tasks of HREA. To this end,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HREA, the research results of Kanggilsu, Angiseong, Jeongtaesu, Chodongseop, Parksoojung was summarized as a historical research done so far in term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approaches of the HREA are the description through the historical research method and the analysis through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perspective and research methods, and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position in term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environment at the time. The area of the HREA are divided into the practice, the theory, and the education, and the historical approach should be made to the specific area. Tasks for the HREA are 1) departure from the current educational administration concept, 2) historical research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individual education institution and administration, 3) interest in the history of science and education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4) educational and research associated with such other disciplines dealing with the history of the administration. To build a foundation for the HREA, providing learning and research opportunity for the HREA is important.

      • KCI등재

        한국형 번아웃 증후군 문제해결을 위한 국가사회구조적 개입전략의 우선순위 산정

        박수정,김민규,이훈재,박봉섭,정지현,김도윤,박정열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eights in terms of policy factors as socio-structural approach and prioritize between levels to deal with Korean Burnout Syndrome using an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For this, the prioritization was done using policy factors to deal with Korean Burnout Syndrome studied by Park Soojung et al. (2020). The mai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iority between factors of government, government-academia, private sector, government-private sector and private sector in Level 1 was assessed and results showed that the priority was determined in the order of private sector, government-academia, government, academia, and government-private sector approaches. So, it was analyzed that the private sector approach should be considered first. Second, the priority between the factors in six sub-levels of ‘private-sector’ approach was assess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iority was determined in the order of operation of stress control program, supporting a program for mutual cooperation work environment, supporting company club activity, operation of mentoring program, settlement of flexible working hours system, and settlement of block scheduling system for vacation. So, it was analyzed that the operation of stress control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first. Third, the priority between the factors in five sub-levels of the ‘government-academia’ approach was assess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iority was determined in the order of introduction and amendment of the bill about burnout syndrome,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service delivery system between relevant organizations, statistical investigation of burnout syndrome such as investigation of baseline data, international exchange to secure advanced cases, and cultivation of relevant expertise. So, it was analyzed that the introduction and amendment of the bill about burnout syndrome should be considered first. Fourth, the priority between the factors in nine sub-levels of the ‘government’ approach was assess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iority was determined in the order of intervention of central government and relevant ministries/departments, relevant organization’s intervention for burnout syndrome treatment (improvement) program, intervention of local self-government, campaign with culture contents (such as broadcasting), operation of counselling center for burnout syndrome, campaign with celebrities, creating a community within region, hosting a festival (such as campaign), slogans and videos, and contest exhibition. So, it was analyzed that the intervention of central government and relevant ministries/departments should be considered first. Fifth, the priority between the factors in five sub-levels of the ‘academia’ approach was assess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iority was determined in the order of development of burnout syndrome treatment (improvement) program, development of burnout syndrome prevention program for managers and non-managerial employees,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for burnout syndrome program, development of burnout syndrome measurement tool, and development of alternative program for burnout syndrome. So, it was analyzed that the development of burnout syndrome treatment (improvement)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first. Sixth, the priority between the factors in two sub-levels of ‘government-private sector’ approach was assess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iority was determined in the order of operation of burnout syndrome preventive program and production of video advertising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improvement) of burnout syndrome. So, it was analyzed that the operation of burnout syndrome preventive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beneficial for developing policy and its application to deal with Korean burnout syndrome. 본 연구는 계층화분석을 활용하여 한국형 번아웃 증후군 문제해결을 위한 국가사회구조적 접근이 가능한 정책요인에대해서 가중치를 도출하고, 계층 간 우선순위화를 산정하여 제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박수정 외(2020)가연구한 한국형 번아웃 증후군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요인등을 활용하여 우선순위 산정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주요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층 1의 관⋅관학⋅학⋅관민⋅민 요인의 우선순위는 민의 접근, 관⋅학의 접근, 관의접근, 학의 접근, 관⋅민의 접근 순으로 산정되어 민의 접근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민’ 접근의 6가지 하위계층 요인 간 우선순위는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운영, 상호협력 직무환경 변화 프로그램지원, 조직 내 동호회 지원, 멘토 프로그램 운영, 유연근무제 문화 정착, 휴가 블록제의 정착 순으로 산정되어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 운영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관⋅학’ 접근의 5가지 하위계층 요인간 우선순위는 번아웃 증후군 관련 법안 제⋅개정, 관련 기관 간 서비스전달체계 개발 및 구축, 기초자료조사 등의번아웃 증후군 관련 통계조사, 선진사례 확보를 위한 국제교류, 관련 전문인력 양성 순으로 산정되어 번아웃 증후군관련 법안 제⋅개정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관’ 접근의 9가지 하위계층 요인 간 우선순위는중앙정부 및 관련 범부처의 개입, 관련 기관 및 유관기관의 번아웃 증후군 치료(개선) 프로그램 개입, 지방자치단체의개입, (방송 등의) 문화콘텐츠와 함께하는 캠페인, 번아웃 증후군 상담센터 운영, Celebrity와 함께하는 캠페인, 지역내 공동체 조성, (캠페인 등의) 행사개최, 슬로건 및 동영상, 사례 공모전 순으로 산정되어 중앙정부 및 관련 범부처의개입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학’ 접근의 5가지 하위계층 요인 간 우선순위는 번아웃증후군 치료(개선) 프로그램 개발, 관리자와 일반근로자용 번아웃 증후군 예방 프로그램 개발, 번아웃 증후군 프로그램평가도구 개발, 번아웃 증후군 판정도구 개발, 번아웃 증후군 대체 프로그램 개발 순으로 산정되어 번아웃 증후군치료(개선) 프로그램 개발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관⋅민’ 접근의 2가지 하위계층간 우선순위는 번아웃 증후군 예방 프로그램 운영, 번아웃 증후군 예방⋅치료(개선) 홍보 동영상 제작 순으로 산정되어번아웃 증후군 예방 프로그램 운영을 먼저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형 번아웃 증후군문제해결을 위한 정책개발 및 적용에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교육지원청 개편에 대한 정책집행자의 대응과 인식

        박수정,나민주 한국교육정치학회 2014 敎育政治學硏究 Vol.21 No.4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ses and perception of policy implementers in regards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DOE). This study also aims to present the tasks of DOE and the implications on policy processes. In 2010, the Ministry of Education changed the name of the DOE and promoted the policies that emphasized the DOE’s function to support education fields and that enhanced the consulting supervision. For this study, supervisors and officials from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MPOE) and DOE were interview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The name and structure of DOE has changed, but the policy implementers who performed their tasks and worked are the same as in the past. They expressed strong dissatisfaction with the centralized policy and the implementation of plans which were considered poor the distinctive nature of education and schooling. The supervisors and officials showed somewhat negative reactions, but some positive outcomes and spontaneous changes in efforts have been promoted. The educational thinking was confused with the interests of their own.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implementers’behavior and compliance are discussed, and the tasks for DOE and some implications for policy process are presented. 이 연구는 교육지원청 개편에 대한 정책집행자의 대응 양상과 인식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지원청 개편에 대한 과제와 정책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부는 2010년 9월 1일자로 현장지원 강화를 위해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교육지원청의 기능과 조직을 개편하고, 컨설팅장학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교육청 구성원을 면담 조사한 결과, 교육지원청 개편에 대한 교육청의 대응은 구조는 바꾸었지만 업무는 과거와 마찬가지로 수행하면서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은 모습을 보였고, 중앙집권적 추진과 교육의 특성을 배제한 개편에 대하여 강한 거부 반응을 나타냈다. 그러나 현장지원 마인드는 제고되었고, 일부 긍정적인 성과와 자발적인 변화 노력도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교육지원청 개편에 대하여 부정적인 정서가 팽배하였고, 교육적 사고와 이해관계가 혼재된 양상을 보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집행자의 행태와 순응에 대하여 논의하고, 교육지원청 개편에 대한 과제와 정책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Osprey Forming 공정으로 제조된 고강도 저합금강의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수정,최답천,이현규 조선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2004 生産技術硏究 Vol.26 No.1

        High strength low alloy steel was fabricated by Osprey forming process. The billet have been characterized by optical mic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hardness test. tensile test and impact test. High strength low alloy steel is bainite structure. Hardness range of billets was about 300 kgf/㎟ without a part of horizontal and vertical about spray angle. After hot rolling, aged specimen was tensile test in results, meas yield strength 858MPa, tensile strength 985MPa, and elongation ratio was 20.3%. TO absorption energies hot rolling specimen were 17.8J, 32.8J at -90℃, -50℃. energy of respectively but it was very high 92.7J at ambient temperature. after hot rolling, absorbed aged specimen were 102J.

      • KCI등재

        珍閣省의 역사적 변천

        박수정 신라사학회 2022 新羅史學報 Vol.- No.55

        egungjeon(穢宮典) was renamed Jingakseong(珍閣省) during the period of King Gyeongdeok, and it is understood as a name related to "Yewangin(濊王印)", and played a role in managing royal treasures and warehouses. It is believed that King Gyeongdeok established Yegungjeon, which manages royal family's rare private collection, as a separate government office and gave the name of "Seong(省)" at the time is because the state and the royal family were closely connected through these treasures. The name of Jingakseong has also appeared during the period of King Munseong, indicating that this government has continued to maintain its role and status even when the system has changed due to the promotion and separation of Eoryongseong(御龍省) during the period of King Aejang. In the system of Majin, which was established in 904, Muljangseong(物藏省) was seen instead of Jingakseong. In 918, ryeong(令) has been set up in Muljangseong, Naecheonbu(內泉府), and Jingakseong, which we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royal finances during the founding of the Goryeo Dynasty. Muljangseong is believed to have been in charge of the most comprehensive tasks, including the management of warehouses. Jingakseong and Naecheonbu are also seen in the Seogyeong system,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5th year of King Taejo's reign, and the subsequent abolition of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s in the 6th and 9th years of King Taejo's reign may be related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Jingakseong which was installed in Seogyeong, would have been in charge of the construction of the Seogyeong area and the royal consecration, the artifacts and treasures. And it can be seen that Silla's control was inherited to Goryeo in that Bojo(寶曹) was established, which seems to have been inherited by Jingakseong during the period of King Injong(仁宗). 진각성은 예궁전의 경덕왕대 개칭명으로 ‘예왕인’과 관련된 명칭으로 이해되며, 왕실 보물 및 창고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였다. 예왕지인이나 천사옥대, 만파식적 등은 국가를 상징하는 보물로 여겨졌으므로 공적인 의미가 없지 않았겠지만, 실제 소용되는 것이 아니었다는 점에서 왕실의 진귀한 사적 수장품에 가깝다고 할 것이다. 경덕왕이 이들을 관리하는 예궁전을 내성 하에 별도의 관부로 설정하고 관제개혁 당시 ‘성’의 명칭을 부여했던 것은 국가와 왕실이 이 보물들을 매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음을 드러내고자 했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이후 문성왕대에도 진각성의 명칭이 등장하는 것은, 이 관부가 애장왕대 어룡성의 승격・분리로 인해 내성의 체제가 변했던 상황에서도 변함없이 그 역할과 위상을 지켜왔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궁예의 관제에서는 진각성 대신 물장성이 보이며, 918년 고려 건국 당시의 왕실 재정 관련 관부로 나타나는 물장성, 내천부, 진각성 중에서는 물장성이 궁예 설관 때부터 궁중 재화와 공장, 보물을 포괄적으로 관장해 왔던 것으로 이해된다. 진각성은 그보다 중요도가 적긴 해도 왕실을 상징하는 보물이나 완호물을 관리했을 것이며, 관원과 장수, 외국 사신에게 내리는 물품의 출납 같은 일 역시 여기에서 담당했을 듯하다. 태조 5년 두어진 서경 분사에도 진각성과 내천부의 이름이 보이는데, 태조 6년과 9년 관련 관부의 치폐가 연이어 이루어지는 것은 중앙 관부의 개편과 관련 있을 수 있다. 서경에 설치된 진각성은 서경 지역의 百工皮巧와 왕실 봉헌을 담당했을 것이다. 이후 인종대 서경에 ‘寶曹’가 설치되었던 사실은 신라 관제가 고려로 계승되었던 면모를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