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通經四物湯이 Endotoxin으로 誘發된 흰쥐의 血栓症에 미치는 影響

        吳明澤,嚴賢燮 대한동의병리학회 1997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11 No.1

        最近 飮食 및 生活上의 變化로 心臟, 腦, 動脈, 靜脈 등에 血栓으로 誘發된 成人病들이 增加하는 趨勢이다. 血栓症은 韓醫學的 理論에 依據하여 瘀血에 屬한 것으로 보고, 血虛나 瘀血로 인한 月經不順에 使用하는 通經四物湯을 이용하여 血栓症 實驗을 하기도 하였다. 本 硏究가 臨床에서 血栓症 治療에 應用할 수 있는지를 考察하고 이를 韓醫學的 理論에 뒷받침되었으면 하여 實驗硏究를 施行하였다. 通經四物湯은 經口投與한 후, 흰쥐의 尾靜脈에 endotoxin을 注入하여 血栓症을 誘發시키고, 血小板數, 血中 fibrinogen量, prothrombin time 및 血中 FDP(fibrin degradation product)를 測定하여 通經四物湯의 抗血栓 作用을 觀察하였다. 그결과 血小板數는 Control에 比하여 SampleⅡ에서 增加의 有意性이 認定되었고, Fibrinogen 量은 Control에 比하여 SampleⅠ 과 SampleⅡ에서 모두 增加의 有意性이 認定되었으며, FDP 濃度는 Control에 比하여 SampleⅠ과 SampleⅡ에서 모두 減少의 有意性이 認定되었으나 prothrombin time에서는 有意性이 認定되지 않았다. 結論的으로 通經四物湯은 血栓生成을 抑制하여, endotoxin으로 誘發한 흰쥐의 血栓症에 미치는 影響은 有意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瘀血性疾患에 臨床的으로 應用하면 보다 높은 治療 效果가 기대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onggyungsamultang on the intravascular Coagulation induced by Endotoxin in rats, This intravascular Coagulation induced by injecting endotoxin in the caudal vein of rats. And these rats were treated with extract of Tonggyungsamultang 1.0㎖/200㎎(SampleⅠ) and Tonggyungsamultang 2.0㎖/200㎎(sampleⅡ), which were administered orally. Then the number of Platelets, concentration of fibrinogen, prothrombin time and FDP(fibrin-fibrinogen degradation product) were measu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number of platelets showed significantly in the SampleⅠ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2. The concentration of fibrinogen showed significantly in the Sample Ⅰ and Sample Ⅱ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3. Prothrombin time showed significantly in the SampleⅠ and SampleⅡ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4.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f FDP showed significantly in the SampleⅠ and SampleⅡ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通經西物湯이 Endotoxin으로 誘發된 흰쥐의 血栓症에 미치는 影響

        吳明澤,嚴賢燮 대한동의병리학회 1996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10 No.1

        最近 飮食 및 生活上의 變化로 心臟, 腦, 動脈, 靜脈 등에 血栓으로 誘發된 成人病들이 增加하는 趨勢이다. 血栓症은 韓醫學的 理論에 依據하여 瘀血에 屬한 것으로 보고, 血虛나 瘀血로 인한 月經不順에 使用하는 通經四物湯을 이용하여 血栓症 實驗을 하기도 하였다. 本 硏究가 臨床에서 血栓症 治療에 應用할 수 있는지를 考察하고 이를 韓醫學的 理論에 뒷받침되었으면 하여 實驗硏究를 施行하였다. 通經四物湯은 經口投與한 후, 흰쥐의 尾靜脈에 endotoxin을 注入하여 血栓症을 誘發시키고, 血小板數, 血中 fibrinogen量, prothrombin time 및 血中 FDP(fibrin degradation product)를 測定하여 通經四物湯의 抗血栓 作用을 觀察하였다. 血小板數는 Control에 比하여 Sample Ⅱ에서 增加의 有意性이 認定되었고,. Fibrinogen 量은 Control에 比하여 SampleⅠ 과 SampleⅡ에서 모두 增加의 有意性이 認定되었으며, FDP 濃度는 Control에 比하여 SampleⅠ과 SampleⅡ에서 모두 減少의 有意性이 認定되었으나 prothrombin time에서는 有意性이 認定되지 않았다. 結論的으로 通經四物湯은 血栓生成을 抑制하여, endotoxin으로 誘發한 흰쥐의 血栓症에 미치는 影響은 有意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瘀血性疾患에 臨床的으로 應用하면보다 높은 治療效果가 기대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onggyungsamultang on the intravascular Coagulation induced. by Endotoxin in rats, This intravascular Coagulation induced by injecting endotoxin in the caudal vein of rats. And these rats were treated with extract of Tonggyungsamultang 1.0㎖/200㎎(SampleⅠ) and Tonggyungsamultang 2.0㎖/200㎎(sampleⅡ), which were administered orally. Then the number of Platelets, concentration of fibrinogen, prothrombin time and concentration of FDP(fibrin-fibrinogen degradation product) were measu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number of platelets showed significantly in the SampleⅠ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2. The concentration of fibrinogen showed significantly in the Sample Ⅰ and Sample Ⅱ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3. Prothrombin time showed significantly in the SampleⅠ and SampleⅡ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4.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f FDP showed significantly in the SampleⅠ and SampleⅡ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발열을 동반한 호중구감소증에서 Cefepime 단독투여와 Ceftazidime 및 Tobramycin 병합투여의 효능비교

        정현욱,채제욱,강미라,양정채,문치숙,기현균,장현하,오원섭,김기현,백경란,이남용,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6

        목적 : 국내에서 발열을 동반한 호중구감소증이 있는 악성 종양환자에게 경험적 항생제로 베타락탐계 항생제와 아미노배당체의 병합요법의 사용이 일반적이다. Cefepime은 광범위 항균 작용을 가지고 있어, 그람 음성균 뿐만 아니라 그람 양성균에 대해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재료 및 방법: 발열을 동반한 호중구감소증이 있는 악성 종양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공개, 비교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를 무작위로 cefepime 단독요법군과 ceftazidime 및 tobramycin 병합요법군으로 나누어 투여하고 각각의 임상적 효능과 안전성을 비교하였다. 구강및 인후 점막염이 있는 환자에서 분리된 녹색 연쇄알 구균에 대한 항생제 내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 대상환자 89명 중 CA 투여군이 48예(53.9%), CT 투여군이 41예(46.1%)이었다. 발열의 유형별로 MDI는 18예(20.2%), CDI는 9예(10.1%), UF는 62예(69.7%)로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CA 투여군과 CT 투여군의 임상적 호전률은 시험약 투여 후 2-4일째 각각 91.7%, 85.4% (P=0.31), 치료 종료 시 각각 91.7%, 100% (P=0.15)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치료 종료 시 CA 투여군과 CT 투여군의 세균학적 소실률은 모두 100%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78). 점막염이 있는 환자로부터 녹색 연쇄알 구균이 분리된 경우는 25예(28.1%)이었으며, 분리된 녹색 연쇄알 구균은 penicillin, ceftriaxone, cefepime, vancomycin에 모두 감수성을 보였다. 약제 관련 이상 반응의 발생 빈도도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발열을 동반한 호중구감소증이 있는 악성 종양환자의 경험적 항생제로서 cefepime 단독요법은 ceftazidime 및 아미노배당체의 병합요법만큼 효과적이고 안전하였다. Background : Broad-spectrum antibiotic therapy has been recommended as an empirical regimen in cancer patients with febrile neutropenia. Cefepime is a fourth generation cephalosporin with good activity against both gram-positive cocci and gram-negative bacilli. Materials and Methods : To compare the efficacy and safety of cefepime alone with ceftazidime plus tobramycin as empirical regimen for adult cancer patients with febrile neutropenia, a randomized, open label, comparative trial was performed. If the patient showed clinical improvent 72 hours, antibiotic could be changed to oral ciprofloxacin.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responses were determined at 72 hours and at the end of therapy.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of viridans streptococci, swab cultures were obtained from throat in all enrolled patient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were performed by using microdilution method according to the NCCLS. Results : A total of 89 patients were enrolled. Forty-eight patients received cefepime alone (CA), and 41 patients received ceftazidime plus tobramycin (CT). Demographic and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P>0.05). The initial clinical success rate at day 2-4 in group CA (91.7%) was similar with that in CT group (85.4%) (P=0.31). At the end of therapy, the final clinical success rate in CA group (91.7%) was similar to that in CT group (100%) (P=0.15). In 18 patients, with microbiologically defined infections, the eradication rate was 100% in both groups. Adverse events including liver dysfunction (21.3%) and renal dysfunction (2.2%), were similar in both groups (P=0.87). Viridans streptococci were isolated from the throat cultures in 25 cases, and all of these strains were susceptible to penicillin (MIC_(90) 0.12 ㎍/mL), cefepime (1 ㎍/mL), and vancomycin (0.12 ㎍/mL). Conclusion : Efficacy and safety of cefepime monotherapy was comparable to the combination of ceftazidime and tobramycin. It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empirical regimen for treating cancer patients with febrile neutropenia.

      • 하우스 장미 切花裁培 技術確立에 관한 硏究 : Ⅰ. 新稍生長 및 開花에 대한 溫度 輔光處理 果와 組織培養 技術을 利用한 幼苗 生産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Supplemental Lighting on Shoot Growth and Flowering of Rose and the Seedling Production used Tissue Culture Technique

        蘇寅燮,權五均,玄海男,康勳,張田益 濟州大學校 亞熱帶農業硏究所 1992 亞熱帶農業硏究 Vol.9 No.-

        本 硏究는 濟州地域의 冬季 장미 切花裁培를 위한 技術開發의 側面에서 栽培的 品種選拔을 위하여 露地裁培에 대한 可能性을 檢定하며, 土壤과 비배관리를 위한 基礎資料와 組織培養技術을 利用한 優良苗生産技術을 確立하기 위하여 修行하였던바 얻어진 結果는 다음과 같다. 晝夜間의 溫度變化가 심한 環境下에서도 잘適應했던 品種은 'Innocencia'와 'Madelon'이었다. 화경장은 無加溫 비닐하우스가 加溫 유리온실보다 좋았으며, 切花量은 약간 적었지만 濟州道의 西歸浦 地域에서 장미의 冬季 生産을 위한 無加溫 비닐하우스 栽培도 可能한 것으로 나타났다. 加溫과 輔光處理는 開花日數를 10-15일 가량 앞당겼으며 花質과 採花量도 向上시켰지만, 經濟的인 側面에서 볼 때 비닐하우스 無加溫 栽培도 비교적 良好한 結果를 보였다. 共試品種中 無加溫 비닐하우스 輔光栽培에 適合한 轢으로는 'Lorena', 'Dallas', 'Golden Madelion', 그리고 'Carl-red'等 이었다. 장미재배 土壤의 物理性은 孔隙率이 크기 때문에 배수성과 통기성이 장미재배에 적절하였으며, 재배 기간동안 유리온실 토양의 pH, 置換性 Ca, Mg 및 K, 有效燐酸의 함량은 비닐과 露土 토양에 비하여 높게 유지되었다. 不定芽 發生에 대한 基本 배지로는 MS배지 보다 WPM배지가 共試된 品種 모두 월등한 結果를 보였다. 生長點 培養時 0.1-1.0mg/l의 NAA와 2.5-5.0mg/l의 BA 混用處理가 苗의 生産과 生體重 向上에 좋은 結果를 나타냈다. 幼苗의 發根과 根數, 根長 그리고 活着率 모두 1㎖/l IBA處理보다 活性炭 2g/l添加 處理에서 良好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useful information for selecting a suitable variety of cultivation for cut flowers of rose. To meet this purpose three different ways of cultivation, such as non-heated and heated cultivations in vinyl house, and outdoor cultivation, were tested in terms of developing cultivation technique for cut flowers of rose during winter period in Cheju island. In addition, the research attempts to obtain basic idea for soil and culture condition and to develop production technique for a superior plantlet by using the technique of tissue culture. After analyzing the results we hav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Inocenia' and 'Madelon' were the most adaptable varieties under the wide temperture changes during day and night. 2. For the flower stem length, the non-heated vinyl house was preferred to the heated glasshouse. 3. It was found that the non-heated vinyl house is possible during winter period in Seogwipo city area. 4. The treatments of heating and supplemental lighting allowed not only to push about 10 to 15 days ahead of the flowering time but also to improve the quality and the amount of flowers. In terms of the economy, however, the treatments of non-heating and supplemental lighting might be preferrable to the one just described. 5. Among the tested cultivars, 'Lorena', 'Madelon', 'Dallas', 'Golden Madelion' and 'Carl-red' were suitable for the cultivation of non-heating and supplemental lighting.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soil in the treatments were suitable for house culture of cut-rose, and pH, available phosphorus, exchangeable Ca, Mg, and K and nitrate concentration of soil in glasshouse were higher than vinylhouse and open field. 7. The results from the test of basic media about the generation of adventitious rooting showed that the WPM medium is better than the MS medium for tested six cultivars. 8. It was identified that the application of 0.1-1.0 mg/l NAA and 2.5-5.0 mg/l BA at the time of meristem culture came out with likable outcomes for plantlet production and improvement of fresh weight. Treatment of 2 g/l activated charcoal is better than 1 mg/l IBA for rooting, root number, root length, and rooting percentage of a plantlet.

      • SCOPUSSCIEKCI등재

        파킨슨씨병 환자에 있어서 자가부신수질 이식술

        정상섭,박상근,오성훈,김선호,윤도흠,박정수,양우익,최인준,안영수,김경환,박창일,김진수,이현철 대한신경외과학회 1988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17 No.6

        Recent experimental studies and clinical cases have suggested that grafting tissue from the adrenal medulla into the brain may alleviate the symptoms of Parkinson's disease. Autologous adrenal medullary grafts into the striatum was performed stereotactically in two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Both patients were bedridden preoperatively, but 4 months after the surgery both became ambulatory and one was even capable of returning to his job. Even though the number of cases was small⑵ and the follow-up period was short, this study shows that adrenal medullary transplantation into the striatum may have some beneficial effects in patient with Parkinson's disease. Further experimental and clinical trials are necessary to see whether this procedure will be a recommendable surgical treatment for patients suffering from Parkinson's disease.

      • KCI등재

        노인복지 만족요인분석과 지방정부의 정책방향

        김정헌,오현숙,송건섭 한국정책학회 2004 韓國政策學會報 Vol.13 No.1

        노인복지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 무엇이며, 지방정부는 어떤 역할을 해야하는가?를 분석하였다. 노인복지만족도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는 인구학적 변수중에는 건강수준 및 종교요인, 개인 및 환경요인은 가족관계, 자원봉사, 노인공경, 여가활동 등으로 나타났다. 노인복지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노인의 개인적?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서비스 체계를 연계하는 복합적이며 종합적인 서비스 대책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정부, 지역사회, 노인, 노인 복지 담당기관 및 서비스 전달자, 사회복지사 등이 연계적으로 협력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단기적으로 고립감 해소를 위한 전문상담기관 네트워크 구축, 사회교육, 규칙적인 운동, 종교활동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사교활동을 할 수 있는 문화공간의 마련, 가족관계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정생활교육 프로그램 실시 등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 저소득 노인을 위한 자립지원정책, 지원사업도모, 노인강사은행 구축, 노인복지카드제도 실시 등의 정부차원의 정책적인 노력의 전개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폐렴구균 감염증에서 항생제 내성의 임상적 의미 : Asian Network for Surveillance of Resistant Pathogens(ANSORP) Study

        정숙인,기현균,손준성,고관수,김나영,장현하,오원섭,백경란,이남용,김신우,이혁,--,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5

        목적 : 전 세계적으로 폐렴구균의 페니실린을 포함한 β-lactam과 마크로라이드 및 퀴놀론 계열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급격히 증가하여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나, 시험관내 내성이 실제 임상적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폐렴구균의 항생제 내성률이 높은 아시아 지역에서 항생제 내성이 폐렴구균 감염증의 임상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 ANSORP에서 주관한 전향적 임상 연구로서 1999년 11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아시아 지역 11개국의 14개 기관에서 진단된 침습성 폐럼구균 감염증 환자를 대상으로 내성 균주 감염의 위험요인, 임상양상, 예후 등의 임상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총 646명 환자의 평균연령은 30.1세(6일-89세)였고, 이전 3개월 내에 항생제 사용력이 있는 환자는 159명(32.4%)이었다. 질환별로는 폐렴이 377예(58.4%)로 가장 많았고, 중이염 67예, 뇌수막염 66예(10.2%), 일차성 균혈증 65예(10.1%)였다. 총 646균주 중 347균주(53.7%)가 페니실린 비감수성(중등도 내성 23.1%, 고도 내성 23.1%)이었고, 페니실린에 대한 MIC_(90)은 0.03㎍/mL에서 4㎍/mL까지의 분포를 보였다. 페니실린 비감수성 균주에 의한 감염증과 차이가 없었다. 페니실린 내성 폐렴구균 폐렴에 의한 사망률은 페니실린 감수성 폐렴구균 폐렴에 의한 사망률과 차이가 없었다(p=0.846). Erythromycin에 대한 고도 내성을 보이는 균주의 비율이 매우 높았으나, 실제 임상상이나 치사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92). 페니실린 비감수성 폐렴구균에 의한 뇌수막염의 치사률도 감수성 균주에 의한 사망률과 차이가 없었다(p=0.059).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페니실린 및 베타 락탐 제제에 대한 시험관 내성은 폐렴구균 폐렴이나 뇌수막염의 임상상이나 치사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내성의 정도와 연관될 것으로 생각되므로, 향후 고도 내성 균주가 증가할 때 추가 검증을 요한다. 아울러 macrolide 및 퀴놀론계 항생제 내성의 임상적 의미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Despite the widespread emergence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mong pneumococcal strains worldwide, clinical implications of in vitro resistance still remain an open question. To evaluate the clinical impact of pneumococcal resistance in Asian countries where the prevalence of pneumococcal resistance was reported to be highest in the world, ANSORP has performed a prospective, multinational surveillance study with cases with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s in Asian countries. Methods : In vitro susceptibility of pneumococcal isolates was determined by broth microdilution tests with 16 antimicrobial agents. All enrolled cases of pneumococcal infections were analyzed with regard to demographic data, clinical features, risk factors and mortality. Results : A total of 646 patients with pneumococcal infections were enrolled from 14 centers in 12 countries between the period from November 1999 to August 2001. Pneumonia (58.4%) was the most common clinical disease followed by bacteremia (33.4%), otitis media (10.4%), and meningitis (10.2%). Among 646 isolates, 347 (53.7%) were penicillin non-susceptible (intermediate 23.1%, resistant 30.7%). MIG_(90)s for penicillin ranged from 0.03 (India) to 4.0 ㎍/mL (Korea, Taiwan, Vietnam, and Hong Kong). Overall mortality from pneumococcal diseases by penicillin non-susceptible strains was not different from that by susceptible strains. Pneumococcal pneumonia caused by penicillin- or erythromycin-resistant strains showed similar mortality, severity of illness, or complications to that by susceptible strains. Mortality from pneumococcal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 non-susceptible strains was also similar to that by susceptible strains. Conclusion : Data suggest that current situation of in vitro resistance to penicillin or macrolides may not affect the mortality from pneumococal pneumonia or meningitis caused by antibiotic-resistant strains.

      • KCI등재후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람 브루셀라증의 임상적 특성

        김연숙,최영실,오원섭,권기태,이혁,이선희,손준성,김신우,장현하,정숙인,고관수,박미연,백경란,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6

        배경 : 2002년 내국인에서의 첫 사람 브루셀라증의 증례 보고 이후 국내에서 사람 브루셀라증이 빠른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국내에서 발생하는 브루셀라증의 임상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3년부터 2006년 7월까지 7개 대학병원에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WHO의 진단기준에 의하여 확진된 브루셀라증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분석 하였다. 배양된 균은 삼성서울병원에 의뢰하여 16S rRNA 유전자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종을 확인하였고, 표준시험관응집검사는 국립보건원에 의뢰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 34예의 환자들이 브루셀라증으로 확진되었고, 31명이 남자였다. 혈액에서 B. abortus가 증명된 경우가 8예, 표준시험관 응집검사상 의미 있는 항체가 상승을 보인경우가 26예이었다. 환자들은 대부분 축산업관련 종사자였고, 추후 브루셀라증으로 확진된 소와의 직접 접촉을 통해 감염된 것으로 여겨진다. 국내 사람 브루셀라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발열이었고, 위장관계 합병증이 가장 흔히 동반되었다. 치료로는 doxycycline/rifampicin이 24예의 환자에서 doxycycline/aminoglycoside (streptomycin 혹은 gentamicin)이 10예의 환자에서 6주 이상의 기간 동안 투여되었다.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환자는 없었고, 재발이 1예 있었다. 결론 : 국내에서 발생하는 사람 브루셀라증의 원인균으로 현재까지 분리 동정된 것은 B. abortus이며, 소 브루셀라증의 증가로 인해 인체감염사례가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위험 직업군 종사자들에서 감염된 소와의 직접 접촉을 통해 주로 발생하고 있는 브루셀라증의 임상종상은 국외에서 발생하는 경우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치료에 대한 반응은 비교적 좋은 편이긴 하나, 추후 보다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사람 브루셀라증의 조절을 위해서는 소 브루셀라증의 조절이 필수적이며, 브루셀라증의 조절에 성공한 선진국의 사례를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Since the first Korean case of human brucellosis was reported in 2002, the incidence of human brucellosi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brucellosis occurring in South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Demographic features,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herapeutic outcomes of cases confirmed as brucellosis according to WHO diagnostic criteria were evaluated. Species of Brucella isolates were identified with 16S rRNA gene sequencing method. Serologic diagnosis was performed with standard tube agglutination test (STA). Results : A total of 34 cases were enrolled from 2003 to 2006 in six hospitals. Eight cases were confirmed with the isolation of Brucella from blood and 26 cases were confirmed with titer of antibodies ≥1:160 by STA. Male (31) was predominant and most of the patients were cattle farmers. The most common transmission route was direct contact with infected or their cattle byproducts. Fever was the most prominent symptom and fatigue followed. Gastrointestinal and musculoskeletal systems were commonly complicated. Patients were treated with doxycycline and rifampin or aminoglycosides for more than 6 weeks. All patients responded well to the therapeutic regimens, but one patient relapsed 10 months after treatment. Conclusion : Brucellosis occurring in Korea has been caused by B. abortus, whose preferred natural host animals are cattle. Korean patients were infected through direct contact with bovine brucellosis. Clinical manifestations of brucellosis were similar to those occurring worldwide. Therapeutic outcomes were good among patients with brucellosis in Korea. In order to prevent human brucellosis, measures to eradicate bovine brucellosis should precede.

      • KCI등재후보

        폐렴 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에 의한 척수 경막외 농양 1예

        이지영,위유미,손경목,기현균,문치숙,오원섭,백경란,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6

        폐렴구균은 보통 폐렴이나 뇌막염을 일으키는 균으로 척수 경막외 농양을 일으키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본 저자들은 폐렴 구균에 의한 척수 경막 외 농양을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과거 건강했던 36세 남자 환자로 사다리에서 낙상한 후 요통 및 고열, 신경학적 이상으로 내원하여 자기 공명 촬영 결과 척수 경막 외 농양으로 진단받고 항균제 투여와 함께 응급 수술을 시행하였다. 농 배양 결과 페니실린 감수성인 폐렴 구균이 분리 되었고, 수술 요법과 항생제 투여 후 농양은 치유되었으나 신경학적 이상은 호전 없는 상태로 타원으로 전원되었다. Pneumonia and meningitis are the most frequent manifestations of pneumococcal infections. Pneumococcal spinal epidural abscesses have been rarely reported. Spinal epidural abscess by Streptococcus pneumoniae has been diagnosed among the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lcoholism, corticosteroid therapy, intravenous drug use, chronic renal failure, AIDS, and history of spinal surgery.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pneumococcal spinal epidural abscess after spinal trauma. A 36-year-old male patient was admitted with back pain, fever, and paraplegia which occurred 5 days after the trauma. Spine MRI revealed spinal epidural abscess at the level from T2 to T9. He was treated with antimicrobial agents and surgical exploration for spinal epidural abscess. Pus culture grew S. pneumoniae which was susceptible to penicillin. Despite early surgical treatment, neurologic sequelae remained. Considering the high mortality and morbidity of pneumococcal spinal epidural abscess, early diagnosis and aggressive treatment including surgical intervention and antibiotics therapy should be implemented immedia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