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망막전위도의 전력 산출

        원철호,조진호,김상하,임정훈 경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9 경북대학교병원의학연구소논문집 Vol.3 No.1

        주파수영역에서 망막전위도의 총전력을 계산하고, 시간영역에서 망막전위도의 면적을계산할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전기생리학적 진단의 효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총전력은 망막전위도 신호를 Fourier 변환을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바꾼 다음 스펙트럼의 제곱을 적분함으로써 구하였다. 우세전력은 우세주파수의 전력으로 이부분의 전압을 제곱후 적분하여 얻은 값이다. 원하는 부분은 수동입력하여 구간주파수의 제곱적분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이 소프트웨어는 시간 영역에서 진동양소파의 진폭의 합 및 면적도 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졌으며, 사용자에게 편리하도록 그래픽 환경 하에서 마우스와 팝업 메뉴에 의하여 각 기능들이 작동되며, UTAS-E2000 시스템과도 상호 호환성을 갖고 있다(한안지 38:817∼823, 1997). The Calculation of the Electroretinographic Power Chul Ho Won*, Jin Ho Cho, Ph.D.**, Sang Ha Kim, M. D., Jung Hoon Lim, M. D. To promote the electrophysiologic diagnostic efficiency, the program for calculation of the total power in the frequency domain and of the area in the time domain of the electroretinogram was designed. The total power is calculated by integration of the squared power spectrum obtained by Fourier transform (Parseval theorem) in the time domain. The dominant power is the power of the dominant frequency in power spectrum and is calculated by integration of the squared peak area spectrum. The sectional integration of the square power spectrum can be established by manual input. The implemented software also has the functions that calculate the summed amplitude and area of the oscillatory potentials in the time domain. And it performs each functions by selection of pop-up menu with mouse to use conveniently under graphic interface, compatible with UTAS-E2000 system (J Korean Ophthalmol Soc 38:817∼823, 1997).

      • KCI등재

        한국 정신장애의 역학 조사 연구[I] : 각 정신장애의 유병률

        조맹제,함봉진,김장규,박강규,정은기,서동우,김선욱,조성진,이준영,홍진표,최용성,박종익,이동우,이기철,배재남,신정호,정인원,박종한,배안,이충경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4 신경정신의학 Vol.43 No.4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the DSM-IV psychiatric disorders in Korean population using the Korean version of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K-CIDI). Methods : Subjects were selected by taking multi-stage, cluster samples of 7,867 adult household residents, 18 to 64 years of age, in ten catchment areas. Total 78 trained interviewers administered the K-CIDI to the selected respondents, from June 1 to November30,2001. Results : Total 6,275 respondents completed the interview. Some 33.5% of respondents reported at least one lifetime disorder, 20.6% reported at least one-year disorder, and 16.7% reported at least one-month disorder. The most common lifetime disorders were alcohol abuse/dependence (17.24%), nicotine dependence/withdrawal (11.19%), specific phobia (5.16%),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4.25%). The lifetime prevalence of substance abuse/dependence (0.25%) and schizophrenia (0.16%) was very low. Nicotine and alcohol use disorder showed very high male/female ratio. Mood disorder and anxiety disorder were more prevalent among female than male.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psychiatric disorders was high. In comparison with other studies, remarkable differences in distributions of psychiatric disorders across the areas and times were observed.

      • KCI등재

        야뇨증 환아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대한 다기관 연구 : 행동 및 정서 문제를 중심으로

        조수철,김재원,신민섭,황준원,한상원,박관현,이상돈,김경도,김건석,서홍진,이유식,정재용,김영균,문두건,남궁미경,한창희,조원열,김영식,배기수,이종국,정우영,신의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5 신경정신의학 Vol.44 No.6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associated with nocturnal enuresis in Korean children. Methods : Three hundred eighteen children with nocturnal enuresis, together with their parents, completed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Disruptive Behavior Disorder Scale according to DSM-IV (DBD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STAIC), and Piers-Harris Children's Self-Concept Scale (PHCSC). Ninety-three normal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Results :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the mean scores with regard to the withdrawn, social problems, attention problems, delinquent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profi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cturnal enuresis group according to the CBCL results. The nocturnal enuresis group also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DHD and ODD profiles of the DBDS. The nocturnal enuresis group was more depressed and anxious than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DI and STAI. The mean score of the PHCSC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nocturnal enuresis group when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ildren with nocturnal enuresis in Korea have clinically relevant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The findings support the link between nocturnal enuresis and psychopathology in Korean children.

      • In vitro Mammalian Chromosomal Aberration Test of Fullerene-C60

        Soo Jin Kim(김수진),Kyung Taek Rim(임경택),Hae Won Cho(조해원),Jeong Hee Han(한정희),Hyeon Yeong Kim(김현영),Jeong Sun Yang(양정선) 환경독성보건학회 2009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24 No.1

        Fullerene의 유전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Chinese hamster유래의 난소유아세포(CHO-K1 cell)를 이용하여 직접법(-S9)과 대사활성화법(+S9 mix)의 염색체이상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물질은 1% CMC 나트륨염의 현탁액(l% CMC 용액)에 희석하여 조제하였다. 대사활성화를 시키지 않은 직접법의 염색체이상시험에서 24시간 투여군은 8단계의 농도(0.078, 0.156, 0.313, 0.625, 1.25, 2.5, 5, 10mM)로 투여하여 실시하였다. 투여 농도 증가에 따른 염색체이상의 빈도가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48시간의 투여군에서는 8단계의 농도(0.078, 0.156, 0.313, 0.625, 1.25, 2.5, 5, 10mM)로 투여하여 실시하였는데 투여 농도 증가에 따른 염색체이상의 빈도가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배수체의 염색체이상은 직접법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대사활성화법을 이용하여 6시간 시험물질을 투여한 시험에 있어서는 8단계의 용량단계 (0.078, 0.156, 0.313, 0.625, 1.25, 2.5, 5, 10mM)를 설정하였는데 투여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염색체이상빈도의 증가양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본 시험물질은 본 시험 조건하에서 CHO-K1세포에서 대사활성화를 시켰을 때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연구보문 : 식물환경 ; 폐가축사체의 농업적 재활용을 위한 가축사체 액상부산물의 액비화 조건 구명

        서영진 ( Young Jin Seo ),서동철 ( Dong Cheol Seo ),강세원 ( Se Won Kang ),이상규 ( Sang Gyu Lee ),박주왕 ( Ju Wang Park ),최익원 ( Ik Won Choi ),성환후 ( Hwan Hoo Sung ),강석진 ( Seog Jin Kang ),조주식 ( Ju Sik Cho1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2 No.4

        가축사체 액상부산물을 이용하여 액비의 최적조건(미생물, pH, 미생물 주입량)을 조사하였고, 이들 최적 조건하에서 112일간 부숙하여 액비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가축사체 액상 부산물 액비 부숙시 최적 LP 미생물의 주입량은 0.5 mL/100mL이었으며, pH는 7 조건에서 각각 50점으로 완숙판정을 받았다. 최적조건하에서 112일 동안 부숙시킨 액비의 부숙도 는 부숙 후 28일에 50점을 받아 완숙판정을 받았으며, 부숙기 간이 길어짐에 따라 부숙 56일에는 온도가 60℃를 넘어 최고 점인 55점을 받았고, 이후 온도가 조금씩 낮아져 부숙 후 112 일에는 실온조건에 이르렀다. 완숙된 가축사체 액상부산물 액 비의 품질을 평가해본 결과, 최적조건하에서 부숙시킨 액비의 경우에는 T-N, P2O5 및 K2O의 함량이 28일에 가장 높았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유해성분(As, Cd, Cu, Cr, Hg, Ni, Pb 및 Zn)의 함량은 28일, 56일 및 112일 부숙시킨 액비에서 모두 비료공정규격 기 준치에 적합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가축사체 액상부산물을 농업적 재활용을 위한 액비화 조건은 pH 7조건 에서 LP 미생물을 0.5 mL/100 mL 주입한 경우이다. 하지 만 본 연구에서 비교된 가축분뇨 발효액은 공시재료(가축사체)가 상이하여 향후 가축사체를 이용한 액비의 부숙도 기준이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Globally, concern about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of livestock is growing. For the disposal of the animal carcass, it is necessary to recycle the carcass into an agriculturally usable produ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osting conditions of liquid by-product obtained from degradation of animal carcass. METHODS AND RESULTS: Optimum conditions of liquid fertilizer were investigated using different microorganisms, pHs, and volumes of microorganisms (Lactobacillus rhamnosus + Pichia deserticola).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optimum conditions, compost maturity and quality of liquid fertilizer were evaluated for 112 days. The compost maturity of liquid fertilizer were higher in the order of LP(Lactobacillus rhamnosus + Pichia deserticola) > BC(Bacillus cereus) > BS (Bacillus subtilis). The optimum condition under different volumes of LP was injection of 0.5 mL/100 mL. The compost maturity under different pHs were higher in the order of pH 7 > 5 ≥ 9 ÷ 11. The liquid by-product at 56 days after composting was completely decomposed. The concentrations of T-N, T-P and K2O in liquid fertilizer at 56 days were 0.94, 0.17 and 3.78%, respectively, and the sum of those concentrations was 4.89%. CONCLUSION(S): Liquid fertilizer of by-product using pig carcass was decomposed with optimum conditions(LP, pH 7, injection of 0.5 mL/100 mL) in 56 days after composting, and was suitable for official standard of commercial fertilizer.

      • KCI등재후보

        알레르기 ; 알레르기 환자에서 한방 이외의 대체 요법의 사용 현황에 대한 다기관 조사

        이현정 ( Hyun Jung Lee ),이재현 ( Jae Hyun Lee ),이용원 ( Yong Won Lee ),김철우 ( Cheol Woo Kim ),동헌종 ( Hun Jong Dhong ),박해심 ( Hae Sim Park ),조영주 ( Young Joo Cho ),조진희 ( Jin Hee Cho ),조상헌 ( Sang Heon Cho ),편복양 (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0 No.1

        목적: 한국에서 알레르기 질환 치료를 위한 한방 치료뿐만 아니라 대체 요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그 현황에 대하여 다기관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법: 10개의 대학병원 외래로 내원한 647명의 알레르기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이 중 510명이 한방 이외의 대체 요법에 응답하였다. 이환되어 있는 알레르기 질환은 천식(50.0%), 알레르기 비염(36.0%), 아토피 피부염(36.0%), 그리고 두드러기(9.3%)였다. 각각 환자들에게 12 문항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한방 이외의 대체 요법의 사용 빈도 및 종류, 대체 요법에 의지하게 된 이유, 비용, 그리고 치료효과에 대한 의견을 물어 보았다. 결과: 16.7%의 알레르기 환자에서 한방 이외의 다른 대체 요법을 받았으며, 평균 1.6종의 한방 이외의 대체 요법을 받았다. 가장 많이 의지하는 대체 요법은 민간 식이요법 (48.6%)이었고, 그 다음이 아로마 요법(23.8%), 지압(14.3%), 건강 호흡법(7.6%), 마인드 컨트롤(5.7%), 목욕요법(5.7%) 순이었다. 대체 요법을 받은 환자 중 마인드 컨트롤(50%), 식이요법(50%), 그리고 건강 호흡법(75%)의 경우 치료 효과가 만족스럽다는 응답이 높았으며, 목욕요법, 아로마 요법, 그리고 지압은 만족도가 각각 33.3%, 28.0%, 26.7%로 저조하였다. 대체 요법 사용자의 63.6%가 5회 미만의 대체 요법을 받았고, 91.8%가 1년 이내로 치료받았으며, 1인당 평균 연 37 만원을 지출하였다. 대체 요법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체질이 개선될 수 있을까 해서(44.2%)였으며, 대체 요법이 몸에 부담이 없어서(31.4%), 면역기능이 강화되어서(22.9%) 순으로 나타났고, 15.7%는 양약치료가 도움이 되지 않아서 대체 요법을 선택하였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한국에서 알레르기 환자의 상당수가 한방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의 대체 요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체 요법의 사용 빈도가 증가하고 그 종류가 다양함을 고려할 때, 의료진은 대체 요법의 현황에 대하여 정확히 인지하고 이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환자를 대하여야 하며 올바른 알레르기 질환 치료법에 대해 환자뿐만 아니라 의료인에게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Background/Aims: The use of unproven complementary/alternative medicine (CAM) to treat allergies is popular in Korea. We conducted a multicenter survey of the current use of CAM other than herbal medication in Korean allergy patients. Methods: This study enrolled 510 adults with allergic diseases, including asthma, allergic rhinitis, atopic dermatitis, and chronic urticaria, from ten hospitals. They underwent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terview and clinical assessment of the prevalence, motivation, costs, and subjective assessment of CAM. Results: Of the patients, 16.7% used at least one type of CAM to treat their allergic diseases. Common types of CAM were diet (48.6%), aroma therapy (23.8%), massage (14.3%), breathing exercises (7.6%), baths (5.7%), and mind control (5.7%). The therapeutic effects of CAM included improved in patients using mind control (50%), diet (50%), breathing exercises (75%), and baths (33.3%), but worse in patients using aroma therapy (28%), and massage (26.7%). About 36.4% of the patients used CAM more than four times per year, and the average cost per CAM user was 370,000 won/year. The main reason for trying CAM was `hope to improve my constitution`. Conclusions: CAM is used widely for treating allergic diseases in Korea. Detailed knowledge of CAM and patient education are important. Further studies of the clinical efficacy of CAM are needed. (Korean J Med 2011;80:68-77)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隣接한 表面龜裂의 干涉效果에 관한 硏究(Ⅱ) : 2個의 上下平行 表面龜裂 Two Parallel Surface Cracks

        曺永鎭,梁源鎬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2 論文集 Vol.43 No.2

        A study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two parallel surface cracks in a plate was performed. The stress intensity factor K_I of adjacent surface cracks in a finite plate was analyzed by 3-dimenional finite element method. Mode I stress intensity factors were calculated by using crack opening displacement (COD) method proposed by Ingraffea and Manu. A mesh of 20-node quadratic isoparametric elements was used in this study. In order to satisfy the crack tip singularity, 15-node quarter point singular elements were arranged near the crack front region. And following conclusions are made. 1) When the spacing ratio(c/d) is greater than 1.5, the interaction of the two parallel surface cracks in a plate can be neglected. 2) The interaction effect has no relation with the location of the crack front. 3) When the crack spacing ratio(c/d) is smaller than 1.5, the interaction factor r* is rapidly decreased with decrease of the spacing ratio(c/d), and the decreasing rate of interaction factor r* is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crack aspect ratio(a/b).

      • KCI등재
      • 隣接한 表面龜裂의 干涉效果에 관한 硏究(Ⅰ) : 2個의 左右對稱 表面龜裂 Collinear Twin Surface Cracks

        曺永鎭,梁源鎬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2 論文集 Vol.43 No.1

        Surface cracks are common problems in industrial structures. However, little study has been carried out about these cracks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experimental variables and the difficulty of numerical analysis. In this study, the interaction effect of adjacent surface cracks in a finite plate was analyzed by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Mode I stress intensity factors were calculated by using crack opening displacement (COD) method proposed by Ingraffea and Mann. Finite element models were composed of quarter-point singular elements around the crack front and quadratic isoparametric elements of elsewhere. Numerical analysis of single surface crack in plate was followed by a study on collinear twin surface cracks in plate. And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1) The S.I.F. K_I values of collinear twin surface cracks are greater than that of single surface crack. 2) At the far side of the crack front(2Ø/π = 0∼1.0), the interaction effect is negligible. And at the near side of the crack front(2Ø/π = 1.0∼2.0) the interaction correction factor(4) is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crack aspect ratio(a/b) and with decrease of the crack spacing ratio(d/b). 3) At the nearest point(π/Ø = 2.0), the interaction factor(r) represents the highest value. And when the crack spacing ratio(d/b) is less than 0.4, the interaction effect is appeared remarkab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