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집중영양치료료 적응대상과 영양지원 상태와의 관련성

        천인애,신병철,류소연,박상기,최민선,김경종,유영선,신민호,왕희선,이희정,조주연,강현구,김광준,임태환,강민구,김잔디,오지은,손주혜,김원빈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7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배경 및 목적: 영양불량환자에게 영양치료를 통해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집중영양치료료가 고시되어 실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영양치료료 적응대상에 해당하는 환자의 영양집중지원팀의 활동 전 영양지원 상태를 알아보고, 집중영양치료료 적응대상과 영양지원 상태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C대학병원 영양집중지원팀에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의뢰된 2,132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영양지원 상태 분류를 위해 영양공급량은 집중영양치료료를 처방 전날의 영양 공급량을 사용하였고, 환자별 필요열량은 BMI를 기준으로 20~35kcal/kg로 계산하여 환자별 필요열량을 산출하였다. 환자별 필요열량 대비 열량공급율을 토대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제시한 영양섭취부족자 분율에 해당하는 75%미만을 기준으로 하여 영양지원 상태를 75% 미만과 75%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집중영양치료료 적응대상과 영양지원 상태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성별, 연령, BMI, 진료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시 집중영양치료료 적응대상 중 영양지원 상태에 관련을 주는 주요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성별, 연령, BMI, 진료과, 혈중 알부민, 경장영양, 정맥영양, 중환자실 집중치료 중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영양지원 상태는 55.4%였고, 집중영양치료료 적응대상인 혈중 알부민 ≤3.0g/dl 47.7%, 경장영양 19.2%, 정맥영양 57.2%, 중환자실 집중치료 중 15.5%였다. 다른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영양지원 상태 75% 미만에 대한 교차비가 경장영양(aOR=3.77, 95% CI=2.71-5.24)에서 미해당에 비해 해당에서 높았고, 정맥영양(aOR=0.38, 95% CI=0.30-0.47), 중환자실 집중치료 중(aOR=0.70, 95% CI=0.54-0.91)에서는 미해당에 비해 해당에서 낮았다. 집중영양치료료 적응대상 수는 1개에 비해 3개 이상(aOR=0.54, 95% CI=0.37-0.77)에서 영양지원 상태 75% 미만에 대한 교차비가 유의하게 낮았다. 영양지원 상태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집중영양치료료 적응대상을 알아보기 위해 다른 특성과 집중영양치료료 적응대상을 통제한 상태에서 영양지원 상태 75% 미만에 대한 교차비가 경장영양(aOR=2.06, 95% CI=1.43-2.98)에서만 미해당에 비해 해당에서 높았고, 정맥영양(aOR=0.44, 95% CI=0.34-0.58), 혈중 알부민 ≤3.0g/dl (aOR=0.77, 95% CI=0.60-0.99) 순으로 미해당에 비해 해당에서 낮았다. 결론: 집중영양치료료 적응대상 중 75%미만으로 영양지원을 받는 경우가 경장영양은 높았고, 정맥영양은 낮았다. 따라서 경장영양으로 영양을 공급받는 환자의 영양지원 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입원 환자 중 경장영양으로 영양을 공급받게 되는 환자의 영양집중지원팀에 의뢰 후 관리가 누락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유아기 아동의 식습관과 부모 특성과의 관련성

        천인애,한미아,박종,최성우,류소연 한국모자보건학회 2013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17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ietary habits of early childhood and various factors of their parent and child.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506 parents whose child participated in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child of a public health center, G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hich composed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etary habits of early childhood and parent's attitude for their child's health and nutrition. The used statistical analyses were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Mean ages of children were 6.4±0.7 years. The rates of having a breakfast daily, less drinking of carbonated beverage and less eating of fast food among children were 63.4%, 30.9%and 74.2%, respectively.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children’s age, mother's occupation, concerns for child’s health, concerns for nutritional balance of child's meals and identification of food label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aving breakfast daily. And concerns for nutritional balance of child's meals and identification of food label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ess drinking of carbonated beverage. Finally identification of food label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ess eating of fast food. Conclusions: Interest in children’s health status, considering the nutrition balance for children's meals and reading the food labels on the food were associated with children’s dietary habits. Therefore thes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in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s dietary habits. 본 연구는 시 G S구의 어린이 건강증진 프로그램에참여한 4~7세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는 원아를 대상으로 부모의 태도가 자녀의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을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녀를 통해 전달된 설문지를 부모중 한 명이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부모와 자녀의 일반적 특성과 자녀의 식습관 조사를 위해 일주일간 아침식사, 탄산음료, 패스트푸드 섭취정도와 부모의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자녀의 건강에 대한 관심정도, 자녀의 식사 제공시 영양고려 여부, 가공식품 구입 시 영양표시확인여부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카이제곱검정및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녀의 식습관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대상자는 총 1,506명으로 연령평균은 6.4±0.7세였다. 연구결과 자녀의 일주일간 식습관은 매일 아침식사섭취 63.4%, 탄산음료 1회 이상 섭취 69.1%, 패스트푸드 1회 미만 섭취 74.2%로 많았다. 자녀의 일주일간아침식사 결식여부는 자녀의 연령, 어머니의 직업유무, 자녀의 건강에 대한 관심정도, 자녀의 식사 제공시 영양 고려여부, 가공식품 구입 시 영양표시 확인여부에관련이 있었고, 탄산음료 섭취여부는 자녀의 식사 제공시 영양 고려여부, 가공식품 구입 시 영양표시 확인여부, 패스트푸드 섭취여부는 가공식품 구입 시 영양표시확인여부에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유아기 아동의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 보육기관에서 마련하는학부모 모임이나 행사시 학부모 교육프로그램 내용에반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도 부모와 자녀를 대상으로 한 식습관 관련 요인을 알아볼 수 있는 연구가 계속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Associations between food insecurity and healthy behaviors among Korean adults

        천인애,류소연,박종,보희경,한미아 한국영양학회 2015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Vol.9 No.4

        BACKGROUND/OBJECTIVES: Food insecurity has been suggested as being negatively associated with healthy behaviors and health statu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s between food insecurity and healthy behaviors among Korean adults. SUBJECTS/METHODS: The data used were the 2011 Community Health Survey, cross-sectional representative samples of 253 communities in Korea. Food insecurity was defined as when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ir family sometimes or often did not get enough food to eat in the past year. Healthy behaviors were considered as non-smoking, non-high risk drinking,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eating a regular breakfast, and maintaining a normal weigh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food insecurity and healthy behaviors. RESULTS: The prevalence of food insecurity was 4.4% (men 3.9%, women 4.9%). Men with food insecurity had lower odds ratios (ORs) for non-smoking, 0.75 (95% CI: 0.68-0.82),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0.82 (95% CI: 0.76-0.90), and eating a regular breakfast, 0.66 (95% CI: 0.59-0.74), whereas they had a higher OR for maintaining a normal weight, 1.19 (95% CI: 1.09-1.30), than men with food security. Women with food insecurity had lower ORs for non-smoking, 0.77 (95% CI: 0.66-0.89), and eating a regular breakfast, 0.79 (95% CI: 0.72-0.88). For men, ORs for obesity were 0.78 (95% CI: 0.70-0.87) for overweight and 0.56 (95% CI: 0.39-0.82) for mild obesity. For women, the OR for moderate obesity was 2.04 (95% CI: 1.14-3.63) as compared with normal weight. CONCLUSIONS: Food insecurity has a different impact on healthy behaviors. Provision of coping strategies for food insecurity might be critical to improve healthy behaviors among the population.

      • KCI등재

        19-64세 성인의 체형인식 불일치와 신체활동과의 관련성: 2010년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천인애,류소연,박종,한미아,최성우,고대식 대한비만학회 2014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3 No.4

        배경: 바람직한 체형인식은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동기부여에 영향을 주나 대중매체를 통해 형성된 잘못된 신체이미지로 인해 체형불만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0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참여한 19-64세 성인 172,132명의 체형인식 불일치와 신체활동 실천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자기보고에 의한 체중과 신장을 이용하여 계산한 BMI와 자신의 체형에 대한 인식을 이용하여 체형인식 일치 여부를 분류하였으며,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과 걷기활동 등의 신체활동과 사회인구학적 특성, 건강행태와 건강상태 등의 변수를 이용하였다. 복합표본설계를 고려하여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카이제곱검정과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은 22.1%, 걷기활동은 45.0%가 실천하고있었다. 비만도와 체형인식의 일치 여부를 분류한 결과 일치 74.9%,불일치 25.1%였으며, 불일치 중 과소평가한 경우는 20.1%, 과대평가한 경우는 5.0%였다. 다른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분석한 체형인식불일치의 걷기활동 실천에 대한 교차비는 0.92 (95% CI, 0.90-0.95)로유의하게 낮았으나,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에 대한 교차비는 유의하지 않았다. 일치인 경우에 비해 과소평가에 의한 불일치의 걷기활동 실천에 대한 교차비는 0.93 (95% CI, 0.90-0.96)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나,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에 대한 교차비는 유의하지 않았다. 과대평가에 의한 불일치의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에 대한 교차비는 0.69 (95% CI, 0.63-0.76), 걷기활동 실천에 대한 교차비는 0.89(95% CI, 0.84-0.95)로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체형인식이 불일치하는 경우 신체활동의 실천이 낮음을 알 수있었다. 신체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체형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중요하며, 정확한 기준에 대한 체형인식 개선을 위해 교육과 홍보가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광주 전남지역 성인의(19-64세) 건강생활실천과 대사증후군 인지와의 관련성

        천인애(In Ae Chun),류소연(So Yeon Ryu),박현희(Hyeon Hui Park),박종(Jong Park),한미아(Mi Ah Han),최성우(Seong Woo Choi)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3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8 No.4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associations between the practice of health behaviors and awareness of metabolic syndrome (MetS) among adults aged 19 to 64 years in the Gwangju-Jeonnam area. Method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2010 Community Health Survey (CHS). Health behaviors considered in this study were smoking, alcohol drinking, physical activity, low-salt diet, and perception of stress. The index for the health behaviors was calculated as the sum of the practice of each health behavior (range: 0-5). The analysis was weighted with a complex sampling design, and the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ractice of health behaviors and awareness of MetS. Results: A total of 19.8% of the population were aware of MetS. The perception of Me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ealthy behaviors, including nonsmoking (aOR = 1.33, 95% CI = 1.14?1.56), non-high-risk drinking (aOR = 1.54, 95% CI = 1.27?1.88), engagement in physical activity (aOR = 1.48, 95% CI = 1.28?1.72), and a low-salt diet (aOR = 1.30, 95% CI = 1.13?1.51). The ORs of the perception of Me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 health behavior index of 2 to 3 (aOR = 1.64, 95% CI = 1.01?2.66) and in those with an index of ≥4 (aOR = 2.47, 95% CI = 1.51?4.04) than in those with an index of 0. Among all health behaviors, physical activity had the highest OR for the perception of MetS (aOR = 1.50, 95% CI = 1.29?1.74).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associations between health behaviors, especially physical activity, and awareness of MetS. Therefore,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s may be needed to enhance awareness of MetS and to effectively prevent MetS and non-communicable diseases.

      • KCI등재

        흡연 및 음주행태와 저염식생활 실천과의 관련성: 2008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천인애 ( In Ae Chun ),박종 ( Jong Park ),한미아 ( Mi Ah Han ),최성우 ( Seong Woo Choi ),류소연 ( So Yeon Ryu ) 대한영양사협회 2013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19 No.3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2008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129,151명을 대상으로 흡연 및 음주 행태가 저염식생활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 저염지수에 따른 일반적 특성은 성별은 저염지수 0과 1은 남자가, 저염지수 2와 3은 여자가 많았고(P<0.001), 연령은 19∼44세가 저염지수 0∼3에서 모두 많았다(P<0.001). 교육수준은 고등학교가 저염지수 0∼3에서 모두 많았고(P<0.001), 월평균 가구 소득은 저염지수 0∼2는 101∼200만원이, 저염지수 3은 201∼300만원이 많았다(P<0.01). 결혼상태는 유배우인 경우가 저염지수 0∼3에서 모두 많았으며(P<0.001), 비만정도는 저염 지수 0∼3에서 모두 정상이 많았다(P<0.001). 2. 저염지수에 따른 흡연행태와 평생 흡연량은 비흡연자가 저염지수 0∼3에서 모두 많았다(P<0.001). 저염지수에 따른 음주행태는 현재 음주자가 저염지수 0∼3에서 모두 많았으며(P<0.001), 음주빈도는 저염지수 0∼2는 주 1회 미만이, 저염지수 3은 연간 비음주자가 많았다(P<0.001). 1회 음주량은 저염지수 0∼1은 3∼6잔이 많았고, 저염지수 2∼3은 1잔 미만이 많았다(P<0.001). 저염지수에 따른 흡연과 음주의 병행여부는 저염지수 0∼3에서 모두 음주만 하는 경우가 많았다. 3. 저염식생활 실천여부에 따른 흡연행태에서 흡연 상태는 비흡연자에 비해 현재흡연자가, 평생 흡연량은 많을수록 저염식생활을 실천하는 정도가 낮았다(P<0.001). 저염식생활 실천여부에 따른 음주행태에서 음주상태는 비음주자에 비해 현재 음주자가, 음주빈도는 잦을수록, 1회 음주량은 많을수록 저염식생활을 더 실천하지 않았다. 저염식생활 실천여부에 따른 흡연 및 음주의 병행여부는 둘 다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둘 다 하는 경우가 저염식생활을 더 실천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흡연과 음주 행태는 저염식생활 실천여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생활습관의 개선은 개인의 실천여부에 따라 건강상태유지 및 질병예방이 가능하기 때문에 국가에서 건강증진종합계획 수립 시 중점과제로 지정하고 예산을 투자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의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생활습관 개별의 요인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들이 함께 작용하게 되므로 향후 지역사회 보건사업 수립 시 금연과 절주 및 영양 사업이 연계하여 진행할 수 있는 사업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related behaviors including smoking, alcohol intake, and the practice of a low-salt diet using data from a Community Health Survey conducted in 2008. The study subjects were 129,151 persons (19 years and older) without cardiovascular diseases or diabetes mellitus diagnosis history. An index for evaluating low salinity was created by summing three low salinity-related questions (range: 0∼3), and a low-salt diet was defined if the index of low salinity was 3. We examined the levels of smoking and alcohol intake according to the index of low salinity, and conduct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odds ratios of low-salt diet practice in relation to smoking and drinking behavior, adjusting fo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moking and drinking status significantly improved as the level of low salinity index increase. Adjusting for general characteristics, those with smoking, alcohol intake, or a combined habit of the two behaviors had significantly lower odds ratios for practice of a low-salt diet. In conclusion, smoking and drinking behavior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practice of a low-salt diet. Based on these findings, it may be necessary to have comprehensive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s that consider the multiple effects of smoking, drinking, and a low-salt diet.

      • KCI등재

        근골격계부담작업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천인애(Inae Chun),김유창(Yuchang Kim) 대한인간공학회 2020 大韓人間工學會誌 Vol.39 No.5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appropriateness of musculoskeletal burden work by industry, and to present the improvement direction and efficient implementation so that musculoskeletal burden work can be applied to the workplace. Backgrou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defined the scope of 11 musculoskeletal burden work in 2003. However, controversy continues over the appropriateness of musculoskeletal burden work. There are missing elements such as vibration, job stress, and a subjective load of workers in determining whether musculoskeletal burden work. Also, intermittent work with less than 60 days of work is not included in the musculoskeletal burden work.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a questionnaire of 127 safety manager, health manager, general worker, and administrative supervisor. Of the 127 respondents, 33.1% respondents were engaged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66.9% were engaged in the non-manufacturing industry. The main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are appropriatenes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11 musculoskeletal burden work. Results: The results of the appropriateness of including a subjective load of workers to the evaluation method of musculoskeletal burden work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industry. The results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11 musculoskeletal burden work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industry except for No. 4, and 48.6%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 11 musculoskeletal burden work were not appropriate. Conclusion: The 11 musculoskeletal burden work should be improved to include factors that can cause musculoskeletal disorders such as vibration and job stress. The intermittent criteria of musculoskeletal burden work need to be improved. In addition, by integrating musculoskeletal burden work No. 8 to 10 related to weight handling, it seems necessary to judge the degree of burden on a simple and clear criterion. Application: A subdivided criteria is needed so that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musculoskeletal burden work can be applied to various industri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musculoskeletal burden work.

      • KCI등재

        한국 중년여성의 예방적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사회적 불평등

        박현희 ( Hyun Hee Park ),천인애 ( In Ae Chun ),류소연 ( So Yeon Ryu ),박종 ( Jong Park ),한미아 ( Mi Ah Han ),최성우 ( Sung Woo Chio ),신준호 ( Jun Ho Shin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16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1 No.4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utilization rates of preventive health services including flu vaccination, general health and cancer screenings among Korean women aged 40-64, and to identify disparities in these services utilization according to socioeconomic factor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and study subjects were 57,522 women aged 40-64. The selected socioeconomic factors in this study were age, educational attainment, job, monthly income, marital status and residential area, and preventive health services were defined the utilizations of flu vaccination in the past year, and general health and cancer screenings in last 2 years. To examine the social disparities in utilization of preventive health services,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The service utilization rates of flu vaccination, general health and cancer screenings were 34.3%, 77.8%, and 73.6%, respectively. Increasing age, lower educational attainment, being unemployed and living in rural area had higher odds ratios for flu vaccination. Increasing age, lower educational attainment, being employed, increasing monthly income, living with partner and living in urban area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ed with receiving general health screening. The associated factors with cancer screening were increasing age, lower educational attainment, being employed with non-physical job, increasing monthly income, living with partner and living with urban area. Conclusions: This study was showed that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utilization of preventive health services were found in Korean women aged 40-64. Efforts to improve social disparities in preventive health service utilization among Korean women need an important public health focus.

      • KCI등재후보

        폐경기 여성의 신체활동 정도와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고대식,석경휴,정문성,김소희,천인애,김용남,Ko, Dae-Sik,Seok, Gyeong-Hyu,Jung, Moon-Sung,Kim, So-Hui,Chun, In-Ae,Kim, Yong-Nam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4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relations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metabolic syndrome in postmenopausal women, in order to present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on of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Based on Year 2 data of the 4th Korean National Health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prevalence rate of metabolic syndrome of the Korean women at the menopause was significantly higher as they got older and they had less physical activities. To keep their health and prevent from metabolic syndrome,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which preferences of patients and their restrictions are considered and verify the effects. 본 연구는 우리나라 폐경기 여성의 신체활동 정도와 대사증후군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추후 대사증후군 환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차년도 자료 중 폐경기 여성 1,007명을 대상으로 알아본 결과 우리나라 폐경기 여성의 대사증후군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신체활동 정도가 낮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는 결과를 얻었다. 폐경기 여성의 대사증후군을 관리 예방하기 위해서는 연령을 고려하여 환자의 운동 선호도, 운동제약 그리고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중간 신체활동프로그램 개발 및 프로그램 효과검증과 같은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