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민구 동방한문학회 2009 동방한문학 Vol.0 No.38
Through the process of quotation and transfer, a compiler of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 changes a sentence. The modification which a compiler often using is a contraction. The kind of contraction includes a mechanical contraction and a rhetorical contraction. Dilatation is a voluntary verbal increase for an easy understanding of readers. But Dilatation wasn't used rather than a contraction. Sometime, Dilatation was used by itself. But in the majority of cases, it was used with a contraction and inversion. Inversion is an inversion of a phrase and a verbal arrangement order. The kind of inversion includes a mechanical inversion and a rhetorical inversion. A change by a mixture of a text and an annotation is a thing which made for an easy coherent sentence and it was made by the original text and an annotation's combination. In the change by a mixture of the text and an annotation, it is necessary a rhetorical technique to delete a superfluous terms and to revise a grammatical defect. A change by a verbal revision was made for an amelioration of a writing's standard. The most common form of a change is an alternation with an easy concise writing. Through the process of quotation and transfer, a compiler of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 changes a sentence. The modification which a compiler often using is a contraction. The kind of contraction includes a mechanical contraction and a rhetorical contraction. Dilatation is a voluntary verbal increase for an easy understanding of readers. But Dilatation wasn't used rather than a contraction. Sometime, Dilatation was used by itself. But in the majority of cases, it was used with a contraction and inversion. Inversion is an inversion of a phrase and a verbal arrangement order. The kind of inversion includes a mechanical inversion and a rhetorical inversion. A change by a mixture of a text and an annotation is a thing which made for an easy coherent sentence and it was made by the original text and an annotation's combination. In the change by a mixture of the text and an annotation, it is necessary a rhetorical technique to delete a superfluous terms and to revise a grammatical defect. A change by a verbal revision was made for an amelioration of a writing's standard. The most common form of a change is an alternation with an easy concise writing.
SD척도법을 통한 공공시설물 환경색채에 관한 심리적 반응 연구 - 서울시 둔촌동 시설물을 중심으로 -
강민구,이현성,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시설물은 하나의 객체로써 공공공간에 설치되어져 각각의 역할에 맞게 그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하나의 시설물이 지닌 요소는 재질, 형태 등으로 분류되며, 공간의 위치, 활용성 등에 따라 모두 다르게 표현되고 있다. 이에 획일화되지 않은 요소들의 구성은 공간의 사용자에게 피로감 및 혼란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시설물의 여러 요소 중 환경색채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자의 심리적 반응에 끼치는 색채의 영향성을 조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은, 첫째, 공공시설물의 종류 및 색채를 규정하는 자료와 심리적 반응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을 선정하고, 대상에적용시킬 공공디자인 색채표준 가이드를 도출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에 도출된 색채를 적용하고, 사용자의 심리적 반응을 파악하기 위해 PAD모형에 기반한 평가어휘를 추출 후 SD척도법에 맞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조사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Cronhach-α)을 실시하고, 공공시설물의 색채와 평가어휘에 관한 내용을 기술통계 기반으로 도식화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연령대별로 공공시설물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시설물의 색채에 대해 느끼는 심리적 반응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0대의 경우 단청 빨간색의 색채 위주로 평가어휘에 대한 반응이 나타났으며, 30대는 단청 빨간색, 서울 하늘색 그리고 남산 초록색에 심리적 반응을 보임으로써 20대보다 30대가 여러 색채에 영향받고 있다는 것을발견하였다. 또한 40대는 단청 빨간색과 무채색 계열의 기와 진회색에 심리적 반응을 나타냈는데, 기와 진회색의 반응은 20~30 대와 차별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공시설물 중 자전거 거치대의 색채변화에서는 전 연령대에서 사용자의 심리에양극화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공공시설물의 환경색채와 인간의 심리에 대한 연관성 모색을 통해 세분화시킨 색채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은 지역 시민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추후 시설물의크기, 재질, 사용성 등 복합적인 요소들에 관한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공공시설물 색채의 선정에 있어서 본 연구가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강민구 동방한문학회 2002 동방한문학 Vol.0 No.23
A studuy of literary representation and speculation from lying sick in bed
강민구 동방한문학회 2002 동방한문학 Vol.0 No.22
GalChun Im Hun's Literary Imagination and Expression of Consciousness
안도 다다오 건축의 기하학을 통한 공간구성방식에 관한 연구 : 1985년도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focused on works after 1985
강민구,김진균 대한건축학회 200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composition by geometry and the changing process of that in the architecture of Ando Tadao. This study divides his architecture into two phases from a geometrically compositional point of view. Before 1985, he designed architecture by subtractive and additive composition and after that time, has composed space mostly by the collision of geometrical components. and the grid frame has been continuously used since his early works. In the case of spatial composition by the collision of geometrical components, their outlines are separated and emphasized in both exterior and interior respectively through geometrical frame and light. Also Ando organizes the space by solid and void of the grid frame and composes complex space by putting one grid frame upon another with an acute an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