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이성 척추암 환자의 확산강조영상 검사 시 조영제 주입 전·후 ADC값의 변화에 대한 고찰

        김응찬(Engchan Kim),김기홍(Kihong Kim),박철수(Cheolsoo Park),이선엽(Sunyeob Lee),유흥준(Heungjoon Yoo),조재환(Jaehwan Cho),장현철(Hyuncheol Jang),김보희(Bohui Kim),한만석(Manseok Han) 한국방사선학회 2011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5 No.1

        전이성 척추암 환자를 대상으로 1.5 T MR 기기에서 조영제 주입 전·후 확산강조영상에서 전이가 된 요추의 신호대 잡음비, 대조도대 잡음비, 현성 확산 계수가 어떤 변화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영상의 정량적 분석에서는 전이성 척추암 그룹의 경우 조영제 주입 전 확산강조영상에서 전이성 척추암이 있는 부위와 척추암이 있는 부위의 위, 아래 척추등 세 부위의 신호대 잡음비는 척추암이 있는 부위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조영제 주입 후 확산강조영상에서는 조영제 주입 전보다 세 부위 모두 신호대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척추암이 있는 부위의 위, 아래 척추등 두 부위 에서는 대조도대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증가했다. ADC map영상에서는 조영제주입 전에서 신호대 잡음비는 척추암이 있는 부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조영제 주입 후에서는 조영제 주입 전보다 전이성 척추암이 있는 부위와 척추암이 있는 부위의 위, 아래 척추등 세 부위 모두 신호대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ADC map영상에서의 현성 확산 계수는 조영제 주입 전에서 현성 확산 계수는 척추암이 있는 부위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조영제 주입 후에서는 주입 전보다 세 부위 모두 현성 확산 계수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정상 그룹의 경우 확산강조영상에서 요추체 3, 4, 5번 세 부위 모두 신호대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증가했고 ADC map영상에서는 조영제주입 후 확산강조영상에서 세 부위 모두 신호대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ADC map영상에서의 현성 확산 계수는 세 부위 모두 현성 확산 계수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영상의 정성적 분석에서 조영제 주입 후 확산강조영상에서 전이성 척추암이 있는 부위의 신호강도가 증가하였고 ADC map영상에서는 신호강도가 감소하였다. 조영제 주입 후 확산강조영상에서 전이성 척추암이 있는 부위와 척추암이 있는 부위의 위, 아래 척추 등 세 부위 모두 신호대 잡음비와 대조도대 잡음비가 증가하고 현성확산계수가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고 조영제 주입 후 확산강조영상이 여러 가지 척추질환으로의 적용에 도움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To examine the possible changes in the SNRs, CNRs, and ADC values for lumbar spines with metastasis based on the DW images before and after contrast agent injection taken from metastatic spinal cancer patients using a 1.5 T MR machine. The quant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in case of spinal cancer subjects, both SNRs and CNRs at all of those assessed loca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DWI after contrast agent injection compared to before, while on the ADC map images, SNRs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other hand, significantly decreased ADC values at all the assessed locations were found on the ADC map images. With reference to the norm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SNRs were found at all of the assessed locations on the DWI image after injection compared to before, while significantly decreased SNRs were found on the ADC map image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ADC values at all the assessed locations were found on the ADC map images.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after contrast agent inje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signal intensities were found at the locations with spinal cancer on the DWI. In contrast, significantly decreased signal intensities were found on the ADC map images. The implication from the results showing that SNR and CNR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ADC 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at, above, and below the location of metastatic spinal cancer on DWI after contrast agent injection is that DWI obtained after contrast agent injection can be made available for wider application to vertebral disorders.

      • KCI등재

        척추암으로 오진된 척추 결핵으로 인한 흉추 병적 골절 - 1예 보고 -

        김대근,조재환,김재현,하정기,이동호,이춘성 대한척추외과학회 2015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2 No.2

        Study Design: A case report. Objectives: To report the case of a patient whose preoperative imaging results seemed to show metastatic spine tumor but who actually had a vertebral pathologic fracture caused by spine tuberculo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uberculosis spondylitis is classified into peridiscal, central, anterior, and posterior spondylitis according to the portion involved, and central spondylitis can be mistaken as a tumor. Materials and Methods: Imaging studies were performed in a 79-year-old female with progressive lower extremity weakness. We found a T12 pathologic vertebral fracture, which was suspected to be metastatic cancer. Results: We performed surgery and found spine tuberculosis in the pathological and immunological examinations. Two weeks postoperatively, the patient could walk with crutches and underwent anti-tuberculosis therapy. Conclusions: Even when the results of imaging studies predict spinal metastasis, we should keep in mind the possibility of spinal tuberculosis. 연구 계획: 증례 보고목적: 영상검사에서 척추 전이암으로 의심되는 흉추 병적 골절이 있는 환자에서 결핵성 척추염으로 진단되는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문헌 요약: 척추 결핵은 침범 부위에 따라 추간판 주위성, 중심성, 전방, 후방으로 구분되며, 중심성인 경우에는 종양으로 오인될 수도 있다. 대상 및 방법: 외상없이 내원 2주전부터 진행되는 하지 위약감을 주소로 내원한 79세 여자에게 시행한 영상 검사상 흉추 12번의 전이암이 의심되는 병적 골절이 발견되었다. 결과: 환자는 수술을 하였으며 함께 시행한 병리 및 면역학적 검사상 결핵성 척추염으로 진단되었다. 환자는 위약감이 점차 회복되어 술 후 2주째부터 목발 보행이 가능하였으며, 결핵치료도 병행하고 있다. 결론: 영상 검사의 결과 척추 전이암이라고 진단 예측되어도 척추 결핵의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KCI등재

        척추뼈전이암 환자의 체부정위방사선치료계획 비교: 동시통합추가치료법 대 RTOG 0631 프로토콜

        박수연,오동렬,박희철,김진성,김종식,신은혁,김혜영,정상훈,한영이,Park, Su Yeon,Oh, Dongryul,Park, Hee Chul,Kim, Jin Sung,Kim, Jong Sik,Shin, Eun Hyuk,Kim, Hye Young,Jung, Sang Hoon,Han, Youngyih 한국의학물리학회 2014 의학물리 Vol.25 No.3

        척추뼈전이암 환자를 대상으로 본원의 동시통합추가치료법(SIB)과 RTOG 0631 프로토콜에 따른 체부정위방사선치료계획을 세우고, 선량분포를 비교하였다. 간암 원발인 척추 뼈 전이암 환자 5명을 대상으로 전산화단층촬영 영상과 자기공명영상(T1, T2)를 바탕으로 영상융합을 시행하였다. 본원에서 시행하는 SIB방법은 영상에서 보이는 종양을 GTV로 설정하고, GTV를 포함한 전체 척추체부(entire vertebral body, VB)를 CTV1로 정의하였고 GTV에 18 Gy CTV1에 10 Gy를 1회 처방하였다. RTOG 0631 프로토콜 방법은 GTV의 침윤 정도에 따라 주변부의 추근, 좌우 횡돌기 및 극돌기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CTV2로 정의하였고 18 Gy 1회 처방하여 체부정위방사선치료계획을 시행하였다. 선량체적화 결과값을 선량-체적 히스토그램을 통해 분석한 결과, 두 방법 모두 표적에 대하여 처방 선량을 만족하였으며, 척수 및 정상 장기에 대하여는 SIB방법이 RTOG 0631프로토콜보다는 낮은 값을 보였다. 또한, 전체 VB의 조사선량분포를 정량화한 결과, RTOG 0631프로토콜에서도 SIB방법과 동일한 처방선량 허용치 85%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상 장기에 대한 선량은 RTOG 0631 프로토콜에 따른 치료 방법이 높은 편이었다. 주변부 장기의 부작용이 우려되는 임상적 상황의 경우 조사 체적이 적은 SIB방법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SIB방법이나 RTOG 0631 프로토콜에 따른 표적체적 설정을 통한 체부정위방사선치료계획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향후 다양한 연구를 통해 종양제어확률 및 부작용 확률의 차이를 분석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compared dose distributions from simultaneously integrated boost (SIB) method versus the RTOG 0631 protocol for spine radiosurgery. Spine radiosurgery plans were performed in five patients with localized spinal metastases from hepatocellular carcinoma. The computed tomography (CT) and T1- and T2-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ere fused for delineating of GTV and spinal cord. In SIB plan, the clinical target volume (CTV1) was included the whole compartments of the involved spine, while RTOG 0631 protocol defines the CTV2 as the involved vertebral body and both left and right pedicles. The CTV2 includes transverse process and posterior element according to the extent of GTV. The doses were prescribed 18 Gy to GTV and 10 Gy to CTV1 in SIB plan, while the prescription of RTOG 0631 protocol was applied 18 Gy to CTV2. The results of dose-volume histogram (DVH) showed that there were competitive in target coverage, while the doses of spinal cord and other normal organs were lower in SIB method than in RTOG 0631 protocol. The 85% irradiated volume of VB in RTOG 0631 protocol was similar to that in the SIB plan. However, the dose to normal organs in RTOG 0631 had a tendency to higher than that in SIB plan. The SIB plan might be an alternative method in case of predictive serious complications of surrounded normal organs. In conclusion, although both approaches of SIB or RTOG 0631 showed competitive planning results, tumor control probability (TCP) and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NTCP) through diverse clinical researches should be analyzed in the future.

      • 척추 전이암 환자의 정위적방사선치료 시 시간 경과에 따른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조용완,김주호,안승권,이상규,조정희,Cho, Yong Wan,Kim, Joo Ho,Ahn, Seung Kwon,Lee, Sang Kyoo,Cho, Jeong Hee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5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7 No.1

        목 적 : 치료 중에도 지속적으로 X-ray 영상을 획득하여 환자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CyberKnife(Accuray Incorporated, USA) 치료 방식의 특성을 이용하여, 치료 중 환자의 움직임을 보정할 수 없는 경우 척추 전이암 정위적방사선치료의 적절한 치료 시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CyberKnife를 이용하여 정위적방사선치료를 받은 척추 전이암 환자 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경추 환자는 8명, 흉추는 26명, 그리고 요추는 23 명이었다. 치료 중 획득한 X-ray 영상을 종합하여 치료 부위 별로 분류한 후, 치료 시작 시간을 기준으로 5 분마다 구간을 나누어 시간에 따른 환자의 움직임이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결 과 : 경추의 경우, 회전 방향으로 15 분 이후부터 움직임의 증가폭이 커지기 시작하였다. 흉추에서는 특별히 움직임이 증가하는 구간은 없었으나 시간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기 때문에 대략 40 분 이후 의미 있는 값이 나올 것이라 추정된다. 요추의 경우, 치료 시작 20 분 이후 수직 이동 방향과 회전 방향으로 움직임이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치료 중 환자의 움직임을 보정할 수 없는 치료 시스템의 경우, 치료 시간은 경추의 경우 15 분, 흉추의 경우 40 분, 요추의 경우 20 분 이내가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만약 치료 시간이 이보다 긴 경우, 치료 중간에 추가적인 환자 정렬을 실시하거나 추가적인 PTV margin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per treatment time of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for spine metastasis cancer by using the image guidance system of CyberKnife(Accuray Incorporated, USA) which is able to correct movements of patients during the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 Fifty seven spine metastasis cancer patients who have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of CyberKnife participate, 8 of them with cervical spine cancer, 26 of them with thoracic spine cancer, and 23 of them with lumbar spine cancer. X-ray images acquired during the treatment were classified by treatment site. From the starting point of treatment, motion tendency of patients is analyzed in each section which is divided into every 5 minutes. Results : In case of cervical spine, there is sudden increase of variation in 15 minutes after the treatment starts in rotational direction. In case of thoracic spine, there is no significantly variable section. However, variation increases gradually with the passage of time so that it is assumed that noticeable value comes up in approximately 40 minutes. In case of lumbar spine, sharp increase of variation is seen in 20 minutes in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direction. Conclusion : Without having corrections during the treatment, proper treatment time is considered as less than 15 minutes for cervical spine, 40 minutes for thoracic spine, and 20 minutes for lumbar spine. If treatment time is longer than these duration, additional patient alignments are required or PTV margin should be enlarged.

      • Metastatic Cancer Detection during Evaluation of Flank Pain in Painclinic Patients

        김영미 ( Young Mi Kim ),김선욱 ( Seon Wook Kim ),한철식 ( Cheol Sig Han ),정미화 ( Mi Hwa Chung ),최영룡 ( Young Ryong Choi ),강화자 ( Wha Ja Kang ),최은미 ( Eun Mi Choi ) 경희대학교 경희의료원 2011 慶熙醫學 Vol.27 No.1

        54세 남자 환자와 82세 여자 환자가 대증적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는 옆구리 통증을 주소로 본원 통증 클리닉을 방문하였다. 과거력과 이학적 검사, 혈액 검사와 흉부 X선 검사상 척추 주위의 전이암이 의심되어 정밀 검사가 진행되었고 조직 검사와 컴퓨터 단층 촬영, 자기 공명 영상 검사에서 각각 폐암과 난소암이 진단되었다. 옆구리 통증을 유발하는 원인중 하나인 척추내 또는 척추 주위 종양은 혈액성 전이에 의한 전이암이 대부분이다. 원발암을 진단 받기 전에 통증 클리닉을 방문한 환자에서 옆구리 통증을 단순한 양성 통증으로 오인하는 경우 원발암의 진단과 치료가 늦어지게 되어 예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저자들은 원발암을 진단 받기전 옆구리 통증을 주소로 본원 통증 클리닉을 방문한 환자에서 검사 도중 척추 주위 전이암을 발견한 경험을 하였기에 문헌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척추 전이가 최초 증상으로 발현된 분화 갑상선암 2예

        김국진,이잔디,윤지섭,임치영,남기현,장항석,정웅윤,박정수,Kuk-Jin Kim,M,D,Jandee Lee,M,D,Ji Sup Yun,M,D,Chi-Young Lim,M,D,Kee-Hyun Nam,M,D,Hang-Seok Chang,M,D,Woong Youn Chung,M,D,and Cheong Soo Park,M,D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06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6 No.1

        Bone metastases as the first manifestation of thyroid carci- noma are extremely rare. Interestingly, evaluation at appropriate initials and proper treatment will lead to satisfactory long-term survival. We report here on two such cases; the patients presented with back pain and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spine lesion revealed a metastatic carcinoma. A wide excision of the bone lesion was carried out and the histopathology was consistent with features of metastatic carcinoma of the thyroid. The management of thyroid carcinoma and the subsequent bone metastases is reviewed and the controversial points are highlighted. (Korean J Endocrine Surg 2006;6:46-49)

      • SCOPUSKCI등재
      • 유두상 갑상선 암의 척추전이 1예

        양석민(Suk Min Yang),장재원(Jae Won Chang),신유섭(Yoo Seob Shin),김철호(Chul-Ho Kim)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3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9 No.2

        Thyroid cancer is known as its relatively high cure rate after surgical treatment and spinal metastasis of thyroid cancer is extremely rare as the prevalence is only 2-13%. Spinal metastasis is usually asymptomatic and discov-ered incidentally in most cases. A 66-year-old man was diagnosed as thyroid papillary cancer with spinal metas-tasis. We treated the patient by surgery, adjuvant radiotheraphy and radioactive iodine therapy. C6 corpectomy was followed for the residual spinal metastasis by the department of neurosurgery. The patient had no functional complication by the surgical process. At 24 months after surgery, there was no sign of recurrence and the patient led social life without any discomfort. We presen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