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방사선 투시 유무에 따른 내시경적 인공관 유치 성공률의 차이

        조광범,장병국,박경식,정우진,황재석,안성훈,김갑철,권중혁,조창민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4 Clinical Endoscopy Vol.29 No.3

        Backgroud/Aims: Sometimes, the endoscopic stent insertion may be done without fluoroscopic guidanc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success rate of endoscopic stent insertion with or without fluroscopic guidance. A total of hundred and sixty three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obstruction were included. Methods: The group I comprised 82 patients in which the stent insertion was done without fluoroscopy. The group II included 81 patients in which stent was inserted under the fluoroscopy. Results: The locations of obstruction are at esophagus and cardia (group I /group II, 44/40 patients), at pylorus and duodenum (15/34 patients) and at post-operative stenosis of gastro-jejunal anastomosis (23/7 patients). The statistical difference of success rate were not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79/82 (96.3%) in group I, 80/81 (98.2%) in group II, p=0.620]. Among group I, three patients (3.7%) were failed due to incomplete guidewire insertion. These patients were the two cases of jejunal stenosis of esophago-jejunal anastomosis and one case of duodenal obstruction with carcinomatosis peritonei. However, in these cases, the stents were successfully inserted under the fluoroscopic guidance. Conclusion: The success rate of the endoscopic stent insertion with or without the fluoroscopic guidance is not different. But in cases of inaccurate guidewire insertion, especially in patients with pyloric obstruction, the endoscopic stent insertion under the fluoroscopic guidance may be more safe and successful. 목적: 내시경적 인공관 유치술은 일반적으로 방사선 투시하에서 이루어지나 방사선 투시가 없는 상태에서 시행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방사선 투시 여부에 따른 내시경적 인공관 유치술의 성공률을 비교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계명의대 동산의료원 소화기내과에서 방사선 투시 없이 시행된 내시경적 인공관 삽입 82예를 대상군으로, 경북의대 부속의료원 소화기내과에서 방사선 투시 하에 시행된 내시경적 인공관 삽입 81예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결과: 두 군 사이의 평균 연령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대상군: 대조군, 62.6±11.8세: 66.3±11.3세, p=0.804). 폐쇄 위치는 식도 및 위 분문부가 대상군 44예(대조군 40예), 위 유문부 및 십이지장 15예(34예), 수술 후 위-공장 문합부 협착 23예(7예)로 차이가 없었다(p=0.210). 인공관 삽관 성공률도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대상군: 대조군, 96.3%: 98.8%, p=0.620). 대상군에서 인공관 유치가 실패한 경우는 십이지장 폐쇄 1예, 술 후 위-공장 문합 후 공장 협착된 2예로서, 유도철사 삽입이 어려웠거나 불분명한 경우였으며 방사선 투시 하 내시경적 삽관으로 바꾼 후 전례에서 인공관 유치를 할 수 있었다. 대상군의 평균 삽관 시간은 14.5분이었으며, 식도/위 분문부에서 가장 짧았으며, 위 유문부가 상대적으로 오래 걸렸다. 결론: 방사선 투시 없이도 안전하면서 성공적인 인공관 유치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협착이 심하여 유도관 삽관이 어렵거나 불분명할 때는 방사선 투시 하에서 유도관과 인공관을 삽관하는 것이 더 안전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원발성 간세포암종의 척수전이 1례

        조광범,손정호,박경식,권두영,이영수,황재석,허정욱,박승국,안성훈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2

        Hepatocellular carcin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malignancies reported in Korean adult males. Hepatocellular carcinoma usually spreads to regional lymph nodes around porta hepatis via lymphatics and to distant metastasis via hematogenous spread. The lung is most common distant metastatic site, followed by the adrenal glands, local lymph nodes and bones. But metastasis to the spinal cord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s very rare. Recently we experienced a patient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who had suffered from lower leg weakness for 10 days. The patient was proved to have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metastasis to the spinal cord. MRI showed an ovoid intracordal mass between the twelfth thoracic and first lumbar vertebra level. After emergency irradiation, the patient could recover.(Korean J Hepatol 2002;8:218-222)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포스터 전시 : 점액을 생성하면서 담관내 성장형을 보인 말초 담관암 2예

        조광범,박경식,황준영,박혜원,황재석,안성훈,박승국,권중혁,강구정,강유나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담관암은 위치에 따라서 간내 담관암과 간외(원위부) 담관암으로 나누며, 간내 담관암은 담관의 이차 분지부보다 말초에 위치한 말초형(peripheral type)과 간문형(hilar type)으로 구분된다. 이중 말초형 담관암의 성장형태는 육안적으로 종괴형성형(mass-forming type), 담관주위 침윤형(periductal infiltrating type), 담관내 성장형(intraductal growth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간내 담관암은 대부분 진단당시에 이미 주변 장기 침윤 및 원격전이에 의하여 근치적 절제술이 어려운, 예후가 불량한 악성 종양이나, 췌관에서 발생하는 점액 생산성 유두종양(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tumor, IPMT)과 유사하게 점액을 생성하면서 담관내 성장형을 보이는 말초형의 간내 담관암의 경우는 점액으로 인한 담관의 확장 등으로 인하여 비교적 초기에 발견되어서 근치적 수술의 적응이 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저자들은 황달과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두 명의 환자에게서 점액을 생성하면서 담관내 성장형을 보인 말초 담관암을 진단하였고 근치적 수술을 시행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1. 63세 남자가 5일전부터 시작된 발열과 오한을 동반한 심와부 및 우상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력에서 15개월 전에 심와부 포만감으로 내원하여 우측 간내 담관의 경한 확장소견과 함께 γ-GT 353 U/L를 확인하였으나 별다른 처치 없이 지냈다고 한다. 내원 당시 의식은 명료하나 급성 병색을 보이며, 활력증후로는 체온이 38℃이외에는 정상이었다. 공막에 황달이 관찰되었고 우상복부 압통을 호소하였다. 혈액검사결과 백혈구 12,130/mm3, AST/ALT 335/241 IU/L, ALP 175 IU/L, γ-GT 330 IU/L, total bilirubin 4.7 mg/dL amylase/lipase 1,430/839 U/L 이었다. CT 및 MRCP에서 간의 8번 분절에서 포도송이 모양의 낭성 담관확장을 관찰할 수 있었고, 그 외 원위부 전체 담관의 확장소견이 보였다. ERCP를 시행하였을 때 넓게 개구된 유두부를 통하여 다량의 점액이 배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치적 치료를 위하여 8번 간분절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절제면에서 종양세포는 발견되지 않았다. 병리조직학적 검사상 점액으로 인한 낭성 확장과 함께 담도내 성장형을 보이면서 분화가 잘 된 점막내 담관암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증례 2: 67세 남자가 황달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3년 전에 발열을 동반한 상복부 통증이 있었으며, 간내 담관의 확장소견이 있어 간흡충증으로 인한 담관염으로 생각하고 치료 후 증상 호전되어 관찰하면서 지내오던 중, 3일전부터 소변이 짙어져서 내원하였다. 활력증후는 정상이었고 공막에 황달이 관찰되었다. total bilirubin 5.3 mg/dL 이외에는 혈액검사에서 특이소견이 없었다. MRCP에서 간의 6번 분절에서 포도송이 모양의 낭성 담관확장을 관찰할 수 있었고 원위부 담관도 확장되어 있었다. ERCP을 시행하였을 때 넓게 개구된 유두부를 통하여 다량의 점액이 배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치적 치료를 위하여 5번과 6번의 간분절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절제면에서 종양세포는 발견되지 않았다.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점액으로 인한 낭성 확장을 보이면서 담도내 성장형을 보이면서 분화가 잘 된 점막내 담관암과 고도 이형성 부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점액을 생성하면서 담관내 성장형을 보인 말초형 담관암은 최근 보고가 증가하고 있는데, 점액생성으로 인하여 비교적 조기에 발견되며 근치적 수술의 대상이 됨을 위 증례와 문헌고찰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유두팽대부 종양의 내시경 유두절제술

        조광범 대한상부위장관ㆍ헬리코박터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Helicobacter Upper Gastrointesti Vol.22 No.4

        Ampullary tumors originate from the ampulla of Vater and are often discovered incidentally during an upper endoscopy. These tumors usually occur sporadically and may be benign or malignant in nature. Tumor growth clinically presents with cholestasis, pancreatitis, and bleeding. Patients with ampullary adenomas are often asymptomatic; however, removal of these lesions is recommended in view of their malignant potential. Following advances in endoscopic techniques and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 considering high recurrence, mortality, and morbidity rates associated with surgery, endoscopic papillectomy may be useful as first-line treatment for adenomatous lesions with ambiguous malignant changes or focal intraepithelial carcinoma. Although it is relatively safe and easy to perform, the operation is a high-level procedure that may be associated with serious complications. It should be performed by an experienced endoscopist at a well-equipped hospital/center with emergency facilities and support personnel. Accurate resection is associated with high treatment success rates. Most complications are mild and can be treated medically. Pancreatitis i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and pancreatic duct stenting is useful for prophylaxis. Recurrence may occur, and is more frequently observed during segmental resection; therefore, close periodic follow-up is essential. Although there are no unified indications or guidelines for endoscopic papillectomy, endoscopic papillectomy may be safe and effective for management of ampullary adenomas. Careful patient selection and follow-up are mandator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