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폰탄 수술에서의 부정맥수술

        임홍국,한국남,김용진,김웅한,이정렬,노준량 대한흉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8

        Background: Refractory atrial arrhythmias in patients late after the Fontan operation result in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We reviewed our experience with arrhythmia surgery in patients who had Fontan operation. Material and Method: Between July 1986 and December 2003, 275 early survivors after Fontan operation were reviewed. Fourteen patients underwent arrhythmia surgery at reoperation after Fontan operation, and mean age at reoperation was 16.8±7.1 (range: 4.5~30.6) years. Mechanisms of arrhythmia included atrial flutter in 8 patients, and atrial fibrillation in 2. Arrhythmia surgery has evolved from isthmus cryoablation in 12 patients to right-sided maze in 2 patients. Thirty-two patients underwent prophylactic isthmus cryoablation concomitantly at initial Fontan operation. Result: Postoperative arrhythmias occurred in 68 patients (24.7%) among 275. There was no early and late mortality after the arrhythmia surgery. After redo Fontan operation, all patients maintained normal sinus rhythm. Atrial flutter recurred in 3 patients who had sinus conversion with medication and 7 required permanent pacemakers with a mean follow-up of 26.5±29.1 (range: 2~73) months. All patients have improved to NYHA class I or II. After prophylactic cryoablation at initial Fontan operation, 29 patients (90.6%) had sinus rhythm, 1 patient had junctional tachycardia, 1 patient had sinus nodal dysfunction, and 1 patient had AV block with a mean follow-up of 51.3±19.8 (range: 4~80) months. Conclusion: Redo Fontan operation, and concomitant arrhythmia surgery reduced atrial arrhythmias and improved NYHA functional classification. 배경: 폰탄 술식 후 추적과정 동안 혈역학적 이상에 부정맥이 발생하는 경우 예후 및 사망률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폰탄 술식 후 발생한 부정맥의 종류 및 빈도에 대하여 평가하고, 폰탄 술식과 관련하여 부정맥수술을 시행한 환자들에 대한 후향적 임상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6월부터 2004년 3월까지 폰탄 수술을 받고 조기 생존한 27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폰탄 수술과 관련하여 부정맥수술을 한 환자는 46명이었다. 폰탄 수술 후 재수술 시 시행한 부정맥수술이 14예였으며, 재수술 당시 평균 연령은 16.8 7.1 (범위: 4.5∼30.6)세였다. 부정맥은 심방조동이 8예였으며, 심방세동이 2예였다. 부정맥수술은 냉동소작술에 의한 협부차단이 12예였고, 우측 maze 술식이 2예였다. 첫 폰탄 수술 시 동반 술식으로 예방적 냉동소작술에 의한 협부 차단을 32예에서 시행하였다. 결과: 폰탄 술식 후 추적관찰 동안에 부정맥의 발생은 조기 생존한 275명 중 68명(24.7%)에서 발생하였다. 폰탄 수술과 관련하여 시행한 부정맥 수술 후 조기 및 만기 사망은 없었다. 폰탄 수술 후 재수술 시 시행한 부정맥수술 후 평균 26.5 29.1 (범위: 2∼73)개월 동안의 추적 관찰 기간 중 14명의 환자에서 정상동율동을 보이고 있다. 3예에서 일시적 심방 조동이 재발하여 항부정맥 약물 투여 후 정상 동율동을 보였으며, 7명은 영구형 심박조율기가 필요하였다. 환자의 증상은 수술 전 NYHA 기능분류 IV (2예), III (8예), II (4예)에서 수술 후 I (11예), II (3예)로 호전되었다. 첫 폰탄 수술 시 동반 술식으로 예방적 냉동소작술을 시행한 환자에서는 평균 51.3 19.8 (범위: 4∼80)개월 동안의 추적 관찰 기간 중 28명(90.3%)의 환자에서 정상동율동을 보이고 있으며, 심실성기외수축과 접합부성 빈맥이 1예, 동기능장애가 1예, 방실전도차단이 1예로 3명에서 부정맥이 발생하였다. 결론: 폰탄 환자에 대한 적절한 부정맥수술로 동율동 유지를 통한 증상의 완화 및 기능적 분류의 호전을 볼 수 있어 임상 경과와 예후에 도움이 되었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선천성 심장 기형에 동반된 부정맥에 대한 수술적 치료

        황의동,임유미,박정준,서동만,이재원,윤태진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12

        배경: 선천성 심 질환에 동반된 심실성 혹은 상심실성 부정맥은 심기형에 대한 수술에 병행하여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천성 심 질환에 동반된 부정맥의 양상 및 부정맥 수술의 중기 성적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선천성 심 질환 및 동반 부정맥에 대한 수술이 동시에 시행된 43명의 환자의 임상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시 환자의 연령은 4세에서 75세(중간 값: 52세)이었다. 가장 흔한 심 질환은 심방 중격 결손(23예)이었으며, 기타 엡스타인 기형(5예), 과거 심방-폐동맥 연결형 Fontan 수술을 받은 기능적 단심증(3예)의 순이었다. 부정맥의 유형으로는 심방 조동-세동이 37예로 가장 많았고, 간헐적이면서 지속적이지 않은 심실성 빈맥이 2예, 기타 여러 유형의 상심실성 부정맥이 4예이었다. 심방 조동-세동 및 일부 상심실성 부정맥에 대하여 양심방 maze 술식이 18건(변형 Cox maze III 술식: 5예, 우심방 maze와 폐정맥 냉동 분리술: 13예), 우심방 maze 술식이 18건 시행되었으며, 짧은 병력의 심방 조동 만을 가진 4명의 환자에서는 하대정맥-삼첨 판막 협부 냉동 절제 만이 시행되었다. 또한 심실성 빈맥을 가진 2명의 환자들은 우심실 유출로 냉동 절제술이 시행되었고, 엡스타인 기형에 동반된 방실 결절 회귀성 빈맥에 대해서는 결절 주변 냉동 절제가 시행되었다. 수술 사망 및 부정맥 수술로 인한 합병증은 없었다. 수술 후 추적기간은 1개월에서 95.2개월(중간 값: 23.8개월)이었으며, 추적 기간 중 1명의 환자가 수술 후 5개월째 전격성 간염으로 사망하였다. 전체 환자의 동율동 회복률은 수술 직후 및 수술 후 3∼6개월에 각각 79% 및 81%이었다 (양심방 maze 군: 72% 및 83%, 우심방 maze 군: 77%, 77%). 양심방 maze 술식 및 우심방 maze 술식을 받은 환자 군에서 각각 1명씩 동방 결절 기능 부전으로 인공 심박동기를 삽입하였다. 결론: 선천성 심기형에 동반된 부정맥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안전하게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우수한 중기 성적을 보인다.

      • KCI등재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 있어서의 심장 리듬의 장애:비강내 지속성 양압호흡 치료법의 효과

        나진오,김철영,신철,김용현,박재석,박재형,박미영,신성희,서순용,박희남,노영무,김영훈 대한심장학회 2004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4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sleep apnea syndrome predisposes to cardiac rhythmdisturbances and cardiovascular risks such as systemic hyperten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types and frequency of cardiac arrhythmias which occurred during sleep and the effects of nasal continuous positiveairway pressure (nCPAP) therapy in the patients with sleep apnea syndrome. Subjects and Methods:The subjectswere 197 patients who were referred to the Sleep Research Center of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for polysomnographydue to snoring and sleep apnea from Jan. 1st 2000 to July 31st 2002. Of the 197 patients, 44 withsevere sleep apnea syndrome, whose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 exceeded 40/hr, were enrolled. Theirelectrograms on polysomnography before and after nCPAP therapy were analyzed. Results:Of the 44 subjects,32 (72.8%) showed cardiac arrhythmias. The types of arrhythmias were atrial premature beats (APBs, n=17),premature ventricular complexes (PVCs, n=15), sinus bradycardia (heart rate less than 40 per minute, n=6), sinuspause (n=1), and sinoatrial block (n=5). No fatal arrhythmias were identified. Most, 93.2%, of these arrhythmiasarose immediately after hypopneic or apneic episodes, and were accompanied by a significant decrease in SaO2,from 91.4% to 84.7% (p<0.05). After nCPAP therapy, these arrhythmias were completely disappeared in 11 patients(34.4%) and diminished in 15 (46.9%). Hypopneic or apneic episodes were preceded by cardiac arrhythmiasin only 36.4% with nCPAP (p<0.05 vs. before). Conclusion:Cardiac arrhythmias were demonstrated in 72.8% ofcases of severe sleep apnea syndrome, which were mostly benign and preceded by hypopneic or apneic episodes.nCPAP therapy decreased the frequency of hypopnea and apnea with elevated arterial O2 saturation, andeffectively eliminated cardiac arrhythmias. (Korean Circulation J 2004;34 (2):186-194) 배경 및 목적: 수면 무호흡 증후군(sleep apnea syndrome)에서 수 면 중 서맥성 또는 빈맥성 부정맥의 빈도가 높다는 것 은 이미 몇몇 연구를 통해 관찰된 바 있으며 최근에는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서 전신 고혈압 및 심혈관계 질환의 이환률 및 사망률이 높아진다는 보고가 있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이에 대한 보고는 아직까지 미미 한 상태로 우리나라의 중증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부정맥의 종류 및 빈도를 알아보고 또한 비강 내 지속성 양압호흡(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nCPAP) 치료 후 이들의 변화를 알아보고 자 하였다. 방 법: 수면 중 호흡장애지수(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가 40 이상인 중증의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 44명을 대상으로 심전도의 변화와 비강내 지속성 양압호흡 치료 후 이들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 과: 비강내 지속성 양압호흡 치료 전에 시행한 수면다원 검사 심전도상 총 44명의 환자중 32명(72.8%)에서 부 정맥의 발생이 관찰되었으며, 부정맥의 종류는 심방기 외수축, 심실기외수축, 동성서맥, 방실차단, 동휴지 등 이었다. 이들의 93.2%는 수면 중 저호흡 또는 무호흡 과 연관되어 동맥내 산소분압이 저하되면서 발생하였다. 비강내 지속성 양압호흡 치료후에는 총 수면시간 및 수 면효율 등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호흡 장애지수 및 동맥내 산소분압 농도가 유의하게 개선되 었으며 부정맥을 보였던 환자의 26명(81.3%)에서 부 정맥이 소실되거나 빈도가 감소하였다. 치료후 나타나 는 부정맥 중 저호흡 또는 무호흡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비율은 36.4%로 치료 전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93.2% vs 36.4%;p<0.05). 또한 치료후에도 남아있 는 부정맥들은 심박동 조율기등의 치료를 요하는 유의 한 서맥은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중증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 있어 부정맥의 발현 빈도는 72.8% 였으며 이는 수면 중 무호흡 또는 저호 흡에 따른 동맥내 산소분압 저하와 연관이 있었다. 비 강내 지속성 양압호흡 치료 이후에는 수면 중 무호흡 또는 저호흡의 비율이 줄고 동맥내 산소분압이 상승하 면서 부정맥의 발생이 없어지거나 또는 빈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 KCI등재

        심박수 변이도와 퍼지 신경망을 이용한 부정맥 추출

        장형종 ( Hyoung Jong Jang ),임준식 ( Joon Shik L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9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0 No.5

        본 논문에서는 심전도 신호로부터 부정맥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심박수 변이도와 퍼지 신경망을 이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제안한 부정맥 진단 알고리즘은 32개 RR 간격의 심박수 변이도, 즉 평균 25초 내외의 심박수 변화를 이용하여 부정맥을 진단하는 알고리즘이다. 부정맥 진단 알고리즘은 32개 RR 간격을 이용하여, 통계적 특징 6개를 추출한 후, 가중 퍼지소속함수기반 신경망으로 학습하여 정상 구간과 부정맥 구간을 분류한다. 부정맥 진단 알고리즘은 Tsipouras 논문군(48개 레코드)에서 SE와 SP 각각 80% 이하의 성능을 보이는 기존연구와는 달리, SE는 88.75%, SP는 82.28%, 전체 분류율은 86.31%의 신뢰성 있는 결과를 나타낸다. This paper presents an approach to detect arrhythmia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and a fuzzy neural network. The proposed algorithm diagnoses arrhythmia using 32 RR-intervals that are 25 seconds on average. We extract six statistical values from the 32 RR-intervals, which are used to input data of the fuzzy neural network. This paper uses the neural network with weighted fuzzy membership functions(NEWFM) to diagnose arrhythmia. The NEWFM used in this algorithm classifies normal and arrhythmia. The performances by Tsipouras using the 48 records of the MIT-BIH arrhythmia database was below 80% of SE(sensitivity) and SP(specificity) in both. The detection algorithm of arrhythmia shows 88.75% of SE, 82.28% of SP, and 86.31% of accuracy.

      • KCI등재

        R 피크 검출 정확도를 개선한 홀터 심전도 모니터의 개발

        최정현,강민호,박준호,권기구,배태욱,박준모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22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23 No.2

        의료현장에서는 최근 디지털 헬스케어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생체신호 측정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생체신호 중 가장 중요한 신호로 심전도를 들 수 있으며, 특히 부정맥 환자에 있어 심전도 신호의 연속 모니터링은 매우 중요하다. 부정맥은 동결절(sinus node), 동빈맥(sinus tachycardia), 심방조기수축(atrial premature beat, APB),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등으로 그 발병원에 따른 형태가 다양하며, 발병 이후의 예후가 좋지 않으므로 일상 중 연속 모니터링은 부정맥의 조기 진단과 치료방향 설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부정맥 환자의 심전도 신호는 매우 불안정하며, 부정맥을 자동 검출하기 위한 주요 특징점으로 작용하는 정확한 R-peak 포인트의 검출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 측정하는 홀터 심전도 모니터링 기기와 분석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으며, 부정맥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심전도 신호의 R-peak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발병원인으로 인한 부정맥의 형태적 구분 및 예측을 위한 알고리즘과 임상 데이터에 근거한 유효성 검증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SCOPUSKCI등재

        관상동맥 우회술 후 마그네슘 투여가 심 부정맥을 예방하는 효과

        김준현,송현,김용희,이은상,이재원,송명근,Kim, Jun-Hyun,Song, Hyun,Kim, Yong-Hee,Lee, Eun-Sang,Lee, Jay-Won,Song, Myung-Ku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4

        부정맥은 심장수술 후 자주 발생하며 여러 인자가 요인이 되고 있다. 마그네슘의 정맥주사는 증상이 있는 심부전 환자나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 있어서 심실 부정맥의 빈도를 줄여준다는 보고가 있다. 이 연구는 관상동맥 우회술 후 흔하게 발생하는 미숙 심실수축을 예방하는데 있어 마그네슘의 역할을 평가해 보고자 고안하였다. 50 명의 연속된 환자를 전향적으로 무작위로 정규 관상동맥 우회술 후 심 부정맥의 발생에 대한 술후 마그네슘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모든 환자는 술전에 관상동맥 조영술, 심초음파, 심전도, 기타 임상병리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술후에는 계속적인 심전도 관찰과 마그네슘의 농도를 술직후, 술후 3시간, 6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60시간, 72시간에 각각 측정하였다. 25명의 연구군 환자들은 술후 첫 24시간 동안 4그램의 마그네슘을 계속적으로 투여받은 후 그 다음 24시간에는 2그램의 마그네슘을 72시간까지 투여받았다. 두 군 간의 임상특성은 비슷하였고(p<0.05) 술전 평균 혈청 마그네슘의 농도는 연구군에서 1.59 mg/dl, 대조군에서 1.71 mg/dl로 비슷하였다(p<0.05). 연구군에서 술후 평균 혈청 마그네슘의 농도가 술전의 농도와 비교해 보아 술후 12시간에서 36시간까지 의미있게 상승되었다(p<0.05). 대조군에서는 술후 평균 혈청 마그네슘의 농도가 술직후 감소한 상태로 72시간까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대조군과 비교하여 연구군에서 평균 혈청 마그네슘의 농도가 술후 3시간에서 72시간까지 의미있게 높게 유지하고 있었다(p<0.05). 연구군에 있어서 마그네슘의 투여로 혈역학에 악영향을 끼치는 미숙 심실 수축과 같은 부정맥의 발생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p<0.01). 연구 기간동안 마그네슘 투여로 인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마그네슘의 예방적 투여는 관상 동맥우회술 후 부정맥의 발생과 심한 정도를 경감시킨다. Arrhythmias are common after cardiac surgery and are multifactorial. Intravenous magnesium administration reduces the frequency of ventricular arrhythmias in patient with symptomatic heart failure 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role of magnesium in preventing PVCs(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s) occurred frequentl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CABG). 50 consecutive patients were prospectively entered into a randomized trial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postoperative magnesium therapy on the incidence of cardiac arrhythmias after electiv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The patients underwent coronary angiography, echocardiography, electrocardiography and clinical laboratory study preoperatively. Continuous electrocardiographic monitoring was done and magnesium level was checked 0, 3, 6, 12, 18, 24, 36, 48, 60 and 72 hours postoperatively. Study group of 25 patients were given 4g of magnesium continuously over the first 24 hours and then 2g/24hours from 25 to 72 hour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both groups were similar(p<0.05). The preoperative mean serum magnesium concentration was similar in both study group, 1.59mg/dl and control group, 1.71mg/dl. The mean postoperative serum magnesium concentration in study group elevated significantly over postoperative 12hours through 36hours(p<0.05). The postoperative mean serum magnesium concentration in control group declined and remained significantly depressed over immediate postoperation through 72hours. The mean serum magnesium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study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ver postoperative 3hours through 72hours(p<0.05).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incidence of arrhythmias such as PVCs(p<0.01) which might jeopardize hemodynamics. There were no recognized adverse effects of magnesium Administration. In conclusion, prophylactic magnesium administration seems to lessen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rrhythmias after coponary artery bypass graft.

      • KCI등재

        부정맥 판독을 위한 형태변형 및 간격변형 기반 특이심박 검출

        이승민,박길흠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9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Vol.43 No.9

        The abnormal heartbeat caused by the occurrence of arrhythmia greatly affects arrhythmia reading, so abnormal heartbeat detection is very importan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bnormal heartbeat detection method based on the shape and interval deformation of the QRS complex. The shape deformation is represented by the changes of amplitude and kurtosis in R-peak of QRS complex, and the interval deformation is represented by the change of interval between QRS complexes. The distribution of the amplitude and the kurtosis in R-peak and the interval between QRS complexes follow the normal distribution in the normal ECG signal, but do not in the arrhythmia ECG. On the basis of this, we propose an abnormal heartbeat detection method using the median and the median absolute deviation of the each features.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roposed method, MIT-BIH ADB which is a representative arrhythmia database was used. Through experiments of the proposed method, the non-detection rate of abnormal heartbeat was 0% and the over-detection rate of normal heartbeat was 1.78% on averag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heartbeat data for arrhythmia reading was minimized through the proposed method. 심전도 신호에서 부정맥의 발생에 의한 특이심박은 부정맥 판독에 큰 영향을 주므로, 특이심박검출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특이심박의 특징인 QRS군의 형태변형 및 간격변형을 기반한 특이심박 검출방법을 제안한다. 형태변형은 QRS군의 R-peak에서 전위와 첨도의 변화로 나타나고, 간격변형은 QRS군 간 간격의 변화로 나타난다. 그리고R-peak에서 전위 및 첨도의 분포와 QRS군 간 간격의 분포가 정상심전도 신호에서는 정규분포를 따르지만, 부정맥 심전도에서는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다. 이를 바탕으로 각 심박 특징들의 중간값과 중간절대편차를 이용하여 특이심박 검출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의 성능평가를 위해 대표적인 부정맥 데이터베이스인 MIT-BIH ADB를 사용하였다. 제안한방법의 실험을 통해, 특이심박 미검출율은 0%이며, 정상심박의 과검출율은 평균 1.78%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정맥 판독을 위한 심박데이터가 제안 방법을 통해 최소화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다변량 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부정맥 예측

        이민혜,노호석 한국통계학회 2019 응용통계연구 Vol.32 No.5

        Studies on predicting arrhythmia using machine learning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with increasing number of arrhythmia patients. Existing studies have predicted arrhythmia based on multivariate data of feature variables extracted from RR interval data at a specific time point. In this study, we consider that the pattern of the heart state changes with time can b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arrhythmia prediction. Therefore, we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predicting the arrhythmia with multivariate time series data obtained by extracting and accumulating the multivariate vectors of the feature variables at various time points. When considering 1-nearest neighbor classification method and its ensemble for comparison, it is confirmed that the multivariate time series data based method can have better classification performance than the multivariate data based method if we select an appropriate time series distance function. 최근에 부정맥 환자가 증가하면서 머신러닝을 이용한 부정맥을 예측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특정한 시점의 RR 간격 데이터에서 추출한 특징변수 다변량 데이터에 기반하여 부정맥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심장 상태가 시간에 따라 변해가는 패턴도 부정맥 예측에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특징변수의 다변량 벡터를 추출하여 쌓음으써 얻어지는 다변량 시계열 데이터로 부정맥을 예측하는 것의 유용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1-Nearest Neighbor 방법과 그것을 앙상블(ensemble)한 learner를 중심으로 비교했을 경우 시계열의 특징을 고려한 적절한 시계열 거리함수를 선택하여 시계열 정보를 활용한 다변량 시계열 데이터 기반 방법의 분류 성능이 더 좋게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GAN 오버샘플링 기법과 CNN-BLSTM 결합 모델을 이용한 부정맥 분류

        조익성,권혁숭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6 No.10

        Arrhythmia is a condition in which the heart has an irregular rhythm or abnormal heart rate, early diagnosis and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can cause stroke, cardiac arrest, or even death. In this paper, we propose arrhythmia classification using hybrid combination model of CNN-BLSTM. For this purpose, the QRS features are detected from noise removed signal through pre-processing and a single bit segment was extracted. In this case, the GAN oversampling technique is applied to solve the data imbalance problem. It consisted of CNN layers to extract the patterns of the arrhythmia precisely, used them as the input of the BLSTM. The weights were learned through deep learning and the learning model was evaluated by the validation data.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classification accuracy, precision, recall, and F1-score were compared by using the MIT-BIH arrhythmia database. The achieved scores indicate 99.30%, 98.70%, 97.50%, 98.06% in terms of the accuracy, precision, recall, F1 score, respectively. 부정맥이란 심장이 불규칙한 리듬이나 비정상적인 심박동수를 갖는 것을 말하며, 뇌졸중, 심정지 등을 유발하거나 사망에도 이를 수 있는 만큼, 조기 진단과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심전도 신호의 QRS 특징 추출에 적합한 CNN과 기존 LSTM의 직전 패턴의 수렴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BLSTM을 연결한 CNN-BLSTM 결합 모델을 이용한 부정맥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전처리 과정을 통해 잡음을 제거한 심전도 신호에서 QRS 특징점을 검출하고 단일 비트 세그먼트를 추출하였다. 이때 데이터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AN 오버샘플링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 후 합성곱 계층을 통해 부정맥 신호의 패턴을 정밀하게 추출하도록 구성하고 이를 BLSTM의 입력으로 사용한 후 매개변수를 학습시키고 검증 데이터로 학습 모델을 평가한 후 부정맥 분류의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MIT-BIH 부정맥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분류의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 F1-score를 비교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각각 99.30%, 98.70%, 97.50%, 98.06%로 우수한 분류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