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폐 혈관종의 외과적 치험 -2례 보고-

        박재길,박성용,이선희,Park, Jae-Gil,Park, Seong-Yong,Lee, Seon-Hui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Vol.30 No.6

        혈관에서 기원되는 종양은 혈관외피 세포로부터 발생되는 종양 혈관외피종과 glomus tumor)관 혈관내피 세포로부터 발생되는 종양(를상피 혈관내피종)의 두가지로 구분된다. 이들은 매우 드물게 발생되며 악성종양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폐에서 발생된 경우에는 무증상의 작은 종괴로부터 증상이 있는 커다란 종양 의 형태로 나타난다. 최근 저자들은 단일성의 유상피 혈관내피종과 혈관외피종 각각 1례를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 고하는 바이다. a Tumors of vascular origin are sub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composed of pericytes (hemangiopericytoma and glomus tumor), and those composed of endothelial cells(hemangioendothelioma). They are uncommon, potentially malignant tumors, and in the lung, the tumors may present as a small asymptomatic nodule or a large symptomatic lesion. Recently we experienced two cases of solitary pulmonary vascular tumors(epithelioid hemangioendothelioma and hemangiopericytoma), and reviewed them with references.

      • SCOPUSKCI등재

        개흉술후 동통억제를 위한 침의 효과

        조규석,김수철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Vol.30 No.2

        개흉술을 시행받은 환자에 있어서 수술후 발생하는 동통은 해결하기 힘든 문제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어 왔다. 저자들은 침의 효능에 주목하여 개흉술후 동통억제에 침치료가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1995년 3월부터 9월까지 흉부질환으로 액와 절개술을 이용한 개흉술을 시행받은 20례를 무작위로 2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동통치료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진통제를 투여한 군을 대조군(n=10)으로 하고 침 치료를 시행한 군을 실험군(n=10)으로 하였다. 수술후 진통효과를 평가하기 위 해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에서 정한 수술후 통증에 대한 점수체계를 이용하였다. 환자가 느끼는 동통의 정 도와 술측의 팔운동장애의 정도에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진통제의 투여회수는 침 치료를 시행한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저자들은 개흉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수술후 동통억제시 침술을 이용함으로써 진통제의 투여회 수를 줄일 수 있으며 간기능 저하인 환자나 진통제 주사에 대 해 부작용을 나타내는 환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소흉골절개술을 통한 이중판막치환술 -1례 보고-

        백완기,김현태,심상석,조상록,박현희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Vol.31 No.1

        근래 들어 최소 침습적 심장수술을 위한 여러 가지 다양한 소절개법이 개발되고 있다. 소절개를 통한 심장판막수술이 기존의 정중 흉골절개술에 비해 단일판막수술의 경우, 수술시야의 확보에 있어 그다지 뒤떨어지지 않으나, 다중판막수술과 같이 서로 떨어져 있는 두 병소를 동시에 수술해야 할 경우 단일 소절개로 양쪽 병소를 다 잘 볼 수 있는 만족스러운 수술시야를 얻기란 용이하지 않다. 본 인하병원 흉부외과에서는 최근 횡흉골절개를 통한 최소 침습적 방법으로 대동맥판막치환술을 2례 시행한데 이어, 금번 소흉골절개를 통한 이중판막치환술을 시행한 바, 수술시야는 비교적 만족스러웠으며 수술 후 환자의 호응도도 높았기에 수술방법을 중심으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대동맥궁 단절을 동반한 Taussig-Bing 기형에서 새로운 일차적 완전 교정술 - 1례 보고 -

        정종필,서동만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Vol.30 No.1

        Tausslg-Bing 기형은 드물게 대동맥궁 중단과 병발되며, 이 경우 양대혈관의 크기 가 현저히 달라 대동맥 전환술을 시행함에 어려움이 있다. 생후 20일 된 환아가 상기 진단으로 내원하여, 다장기부전에 대한 3주간의 집중관리 후 수술을 받았다. 수술은 심실중격 결손의 복원, 대동맥 전환술 및 광범위한 대동맥궁형성술로 이루어졌으며, 대혈관들의 크기 차이는 상행 및 하행 대동맥의 절편을 이용하여 원위신대동맥(distal neoaorta)를 형성하므로써 극복하였다. 환아는 큰 문제 없이 회복하였으며, 수술후 시행한 심도자상의 결과도 양호한 상태로 16개월간 추적 관찰중이다.

      • SCOPUSKCI등재

        활로 4징증의 완전교정술에 대한 장기 성적

        이연재,황상원,김한용,유병하,Lee, Yeon-Jae,Hwang, Sang-Won,Kim, Han-Yong,Yu, Byeong-Ha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Vol.30 No.12

        활로 4징증은 청색증이 있는 선천성 심장기형 중에서 가장 흔한 질환이다. 마산삼성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84년 4월부터 1993년 12월 까지 활로 4징증으로 완전교정을 받은 39례를 경험하였다. 그 관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자가 14명, 여자가 25명이며 연령은 최소 2세에서 최고 36세로 평균 13.33$\pm$7.40세이었다. 심실중격결손증은 제 1형이 10례(25.6%), 제 2형이 19례(48.8%), 제 1형과 제 2형이 복합된 경우 10례 (25.6%)이었다. 우심실 유출로 폐쇄는 누두부와 폐동맥 판막이 함께 협착이 있는 경우가 19례(48.7%)로 가장 많고, 누두부 협착과 폐동맥 판막 및 판륜 협착이 함께 있는 경우 10례(25.6%), 누푸부 협착만 있는 경우 1례, 폐동맥 판막 협착만 있는 경우가 1례 있었다. 우심실 유출로 재건술은 첨포확장술이 33례(84.6%)에서 필요했고, 이중에 단일 판첨을 내재한 첨포를 사용한 2례를 포함하여 10례에서 경판륜 첨포확장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36명의 생존자중 23례에서 2 dimensison 및 도플러 심에코를 시행하였다. 가장 흔한 합병증은 부정맥이었고 특히, 완전우각차단이 30 례(76.9%)에서 있었다. 수술 사망률은 7.7%이었으며, 사망원인은 저심박출증이었다.

      • SCOPUSKCI등재

        흉부 대동맥류의 외과적 치료외과적 접근 및 술후 문제점

        이준영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8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1 No.1

        12 Patients with thoracic aortic aneurysm were operated between May 1985 to Sept. 1987 at the our departmen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surgical results and considered diagnosis, surgical approach and perioperative problems of thoracic aortic aneurysm. There are 9 males and 3 females in the patients. The age ranged from 23 to 61 years with the mean age at 40.6 years. The cause of the aneurysm was atherosclerosis in 5, Marfan`s syndrome in 4, syphilis In 1, trauma in 1 and annuloaortic ectasia in 1 case. According to DeBakey`s classification, Type I was 1 case, Type II was 5 cases and Type III was 6 cases. Among 6 patients with ascending aortic aneurysm, Bentall`s operation in 4 cases and ascending aorta reconstruction using to Dacron Tube Graft in 2 cases were performed successfully. 6 cases with descending aortic aneurysm were managed by prosthetic graft replacement. Chylothorax was observed in 1 patient and postoperative hemorrhage necessitating reopening of the chest occurred in 4 of operative survivors. There were 2 hospital deaths; one patient was dead during the operation and one patient was dead during the post-operative course due to low cardiac output syndrome

      • SCOPUSKCI등재

        말초동맥 폐쇄질환에 대한 외과적 고찰

        김해균,윤용한,이두연,문동석,이택연,홍윤주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Vol.31 No.3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에서는 1990년 3월 1일부터 1992년 7월 31일까지 2년 4개월 동안 치료했던 말초동맥 폐쇄질환에 대한 연령 및 성별분포, 수술방법, 수술후 경과, 수술후 합병증등을 관찰하였다. 이들 환자의 동맥폐쇄질환에 관계하는 병인에는 동맥경화증이 28예, 버거씨병이 31예, 외상에 의한 경우가 7예, 수술합병증이 4예, 악성종양에 의한 경우가 1예, 동맥염에 의한 경우가 1예 있었다. 환자들에서 행해진 치료방법에는 우회로 형성수술이 27예, PGE1 투여가 23예, 혈전제거술 16예, 교감신경절제술이 4예, 단단문합술이 2예가 있었다. 치료는 PGE1 투여가 18예, 우회로 형성수술이 4예, 자가정맥편을 이용한 재건술이 2예, In situ bypass graft가 1예, 교감신경 절제술이 4예에서 시행되었다. 동맥경화성 말초동맥 폐쇄질환의 수술후 경과에서 증상이 완전히 소실된 경우를 satisfactory, 증상이 호전되지 않은 경우를 unsatisfactory라 했을때, 21명의 환 渼\ulcorner증상의 호전이 있었고(good), 9명의 환자는 증상이 완전히 호전되지 않았다. 버거스씨 병에 의한 TAO의 경우 수술전 Fontain lass상 Grade III,IV에 해당하는 환자에서, 술후 완전히 증상의 소실이 된 경우(class 0) 14예 이었으며, 수술후 Fontain class I이 12예, Fontain class II가 3예가 있었다. 1예의 경우에는 amputation을 시행하였다. 외상에 의한 말초혈관 질환에서는 1예에서 amputation을 시행하였으며, 1예는 graft infection이 이었고, 1예에서는 사망하였다.

      • SCOPUSKCI등재

        흉복부 대동맥류의 외과적 치료

        김경환,안혁,Kim, Kyung-Hwan,Ahn, Hyuk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0 Journal of Chest Surgery Vol.33 No.11

        배경: 흉복부 대동맥류는 질환 자체가 광범위하고 수술 중 척수를 포함한 각종 장기의 보호 및 허혈 방지라는 면에서 아직도 수술 합병증이 높은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의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치료성적, 합병증 발생, 사망률 등을 검토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흉복부동맥류로 수술을 시행한 3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 검토을 통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남자가 22명, 여자가 16명, 평륜 연령은 46.2$\pm$12.3세였고, 크로포드 진단분류 상 1형 이 13례(34.2%), 2형이 19례(50%), 3형이 4례(11%), 4형이 2례(4.8%)였다. 만성 대동맥박리증에 관련된 경우가 29례(76.3%)로 가장 많았고, Marfan 증후군이 동반된 경우가 9례(23.7%)에서 있었다. 원위부 대동맥 관류를 35례에서 시행하였으며, 고동맥-고정맥 심폐바이패스를 31례에서, 좌심방-고동맥 바이패스를 4례에서 시행하였다. 심폐바이패스를 이용한 31례중 4례에서 초저체온하 완전순환정지를 이용하였다. 대동맥 차단 중 복강내 주요 대동맥 분지로의 선택적 관류를 시행하였다. 대동맥류의 최대직경은 평균 8.2$\pm$2.4cm이었고, 동맥류가 파열된 경우는 11례(28.9%)에서 있었다. 전례에서 인조혈관을 이용한 대동맥의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단계적으로 흉복부 대동맥을 겸자하면서 인공혈관을 문합하였고, Adamkiewicz 동맥으로 생각되는 부위의 늑간 동맥을 문합해주었는데, 8번째부터 12번째 흉추 사이의 늑간 동맥 중 역류혈류가 나타나고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것들을 문합해 주었다. 술 후 조기사망은 3례에서 있었으며, 사인은 심폐기 이탈 실패 (2례), 저혈압 및 산증(1례) 등이었다. 조기 합병증으로는 애성 5례, 출혈 5례, 창상간염 3례, 장기간의 인공호흡기보조가 3례 등이 있었다. 치명적인 조기 합병증인 하지마비는 2례(5.3%)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1례는 대동맥의 심한 석회화로 늑간동맥을 문합해 주지 못했던 경우였다. 35명의 환자에서 평균 추적기간은 103.1$\pm$6.1 개월, 2년 생존율은 93.8%, 5년 생존율은 86.1%, 8년 생존율은 80.7%였다. 추척기간 동안 4례의 만기사망이 관찰되었고, 사인은 2례에서는 갑작스런 의식소실이 발생하여 규명하기 어려웠으며, 대동맥-식도루 발생에 의한 경우가 1례, 경동맥류 파열에 의한 경우가 1례 등이었다. 만기 합병증으로는 복부 대동맥류(2례), 상행 대동맥 및 대동맥 근부 확장(1례), 대동맥-늑막루(1례), 창상 부위 탈장(1례), 역행성 사정(1례) 등이 있었다. 결론: 저자들은 흉복부대동맥류의 수술에 있어 심폐우 회술 혹은 좌심방-고동맥 바이패스를 통한 원위부 관류 및 저체온법, 수술 시 척수의 혈류공급과 관련된 늑간동맥의 연결 등으로 주요 신경합병증의 발생을 줄이고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향후 임상 경험 축적과 함께 보다 정련된 위험인자의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 SCOPUSKCI등재

        폐격리증 2례 보고 및 대한 흉부외과학회지에 발표된 19례의 문헌 고찰

        곽영태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8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0 No.4

        Bronchopulmonary sequestration is a rare congenital malformation of the lung, concerning about the abnormal feeding systemic artery, may happen a serious complication of heeding during operation if not recognized before operation. High index of suspicion of sequestration is the key to successful operative procedure with the aid of characteristic recurrent and long-standing symptoms, its location, and invasive or non-invasive diagnostic tools. We report 2 cases of intralobar type of bronchopulmonary sequestration and review 10 articles about the subject, totaling of 21 cases.

      • SCOPUSKCI등재

        폐국균종의 외과적 치료

        박서완,이형렬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6 Journal of Chest Surgery Vol.29 No.5

        폐국균증은 Aspergillus fulmigatus라는 곰팡이에 의 해 폐공동에 유발되는 위 협적 인 기 회 감염으로 외 과적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부산대 학교병 원 흉부외과에서는 1984년 1월부터 1994년 8월라지 폐국균종으로 진단된 12명의 환자에 대해 수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연령은 38.8세이었으며 주증상은 9례에서 객혈이었고 그중 2례에서 생명 을 위협하는 다량객혈이 있었다 9레에서 기존의 공동성 폐질환을 가지고 있었고그주원인은폐결핵이 었다. 가장 흔히 시 행된 술식은 폐엽절제술(6례)이 었다. 주요 술후 합병증으로는 대량출혈 (2례), 폐렴 (2 례), 기관지흥막루를 동반한 농흥(1례)이 발생하였으며 1례의 환자가 사망하여 수술사망률은 8.3%였다 술후 추적관찰기 간동안 증상의 재발례는 1례도 없었다. 결론적으로 폐국균종으로 진단된 경우 증상이 경미하더라도 초기에 적극적인 수술을 시행함으로써 높은 완치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