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체외순환 없이 시행하는 흉강 내 이소성 심장이식의새로운 실험모델.
신재승,선경,손호성,정재승,김형묵 대한심장학회 2004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4 No.6
Background and Objectives:A variety of experimental heterotopic heart transplantation models have beendevelop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However most were complicated and used extracorporeal circulation.A new and simple experimental working heterotopic intrathoracic heart transplantation model has beendeveloped in dogs, which could be performed without support of extracorporeal circulation. Materials andMethods:Six mongrel dogs were used for the three heterotopic heart transplantation experiments. The heterotopichearts were transplanted in the right thoracic cavity using a right thoracotomy. The superior venacava and left atrial cuff of the donor heart was anastomosed to the superior vena cava and left atrium of therecipient heart. Consequently, the aorta and pulmonary artery were anastomosed to the ascending aorta andright atrial appendage of the recipient heart, without cardiopulmonary bypass. The electrocardiograms ofthe donor and recipient hearts were measured by electrodes placed at the ventricular apexes and on the skin.Results:The donor hearts survived for 10, 6 and 18 days after transplantation, without any immunosuppressiveagents or anticoagulants. The electrocardiograms of both hearts could be measured using the electrodes. Therewere no wave or voltage changes on electrocardiography. Conclusion:This working heart model of heterotopicintrathoracic transplantation, without cardiopulmonary bypass, may be useful in studies for various purposes,i.e., the effects of different pharmacological agents on the conduction system of the denervated heart and thehemodynamic changes of the recipient with auxiliary support of the transplanted heart. 배경 및 목적: 이소성 심장이식의 실험적 연구는 수술술기의 개발, 심장이식 후 면역거부반응현상에 대한 연구, 면역거부 Korean Circulation J 2004;34(6):593-599 598 반응에 대한 약물치료제의 개발, 심장이식 후 혈류역학 의 변화나 전기생리적 변화에 관한 연구목적으로 시행 되고 있다. 이상적인 동물실험모델은 기술적으로 간단하 여 따라 하기 쉬워야 하며, 연구목적의 적용이 가능하 여야 한다. 더불어 이상적인 기능성 이소성 심장이식 실 험모델은 면역거부반응과 혼동을 초래할 수 있는 체외 순환으로 야기되는 염증반응이 없어야 하며, 심장이식 후 공여심장의 보조기능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저자 등은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실험모델을 개발하 고자 하였다. 방 법: 세 번의 이식실험에 총 6마리의 수컷 실험견을 사용 하였다. 공여심장을 수여견의 우측 흉강내에 위치한 후 수여견의 좌심방을 폐정맥을 포함한 채로 심방간구 뒤 를 혈관감자로 차단한다. 폐정맥의 분지는 각각 혈관조 리개를 사용하여 혈류를 차단하고 수여견의 좌심방과 공여심장의 좌심방소매와 문합한다. 수여견 상대정맥 전 방과 공여견의 상대정맥의 단단부를 문합한다. 수여견의 우심방귀와 공여견 폐동맥을 문합한다. 마지막으로 수여 견의 상행대동맥과 공여견의 대동맥을 문합을 시행하고 이식심장의 박동을 회복시킨다. 수술 중 공여심장과 수 여심장의 우심실 및 피부에 심박동 조율선을 각각 부착 시킨 후 각 심장의 심박동을 심전도로 확인하였다. 결 과: 총 3건의 이소성 흉강내 심장이식결과 수술술기에 따 른 어려움과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심장이식을 위 한 심장의 허혈 보존시간은 각각 120분, 105분, 90분 이었으며, 심전도를 통한 공여심장의 전기활동은 각각 10일, 6일, 18일간 지속되었다. 심실의 첨부와 피부전 극을 통한 각 심장의 심전도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두 개의 심실 첨부에 부착한 전극을 통하여 통합된 두 개 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심실첨부와 피부전극을 통한 심전도에서 다른 심장의 심전도는 매우 낮은 전압 으로 나타나므로, 각 심장의 QRS 파형 측정을 통한 심 실성 부정맥의 발생여부는 확인 가능하였으나 심실첨부 와 피부전극의 위치로 인해 심전도 파형에 관한 일반적 인 해석은 불가능하였다. 결 론: 본 이소성 심장이식 모델은 수술 술기가 간단하며, 인 조혈관과 체외순환이 필요 없고, 혈류역학을 보조할 수 있는 기능성모델이라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모델을 이용하여 자율신경계가 차단된 심장의 전기생리기능에 미치는 약물효과 및 기전연구, 이식심장으로서 환자의 혈류역학의 변화에 관한 연구목적 등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흉부둔상환자에서 중증우측혈흉을 동반한 심장파열 -치험 2례-
정은규,이병욱,윤용한,백완기,김광호,류송현,김혜숙,김정택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Vol.34 No.2
흉부둔상에 의한 심장파열은 50% 이상의 치사율을 갖는 질환으로 응급실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전형적인 심장압전을 동반하기 때문에 이학적 소견이나 심장초음파 또는 흉부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그러나 저자의 경우와 같이 심장압전의 징후가 없이 중증 우측혈흉만 있는 경우 심장파열을 진단하는 것은 어렵다. 만약 고속의 자동차사고로 인한 흉부둔상을 받은 환자에서 늑골골절이 없이 우측에 중증의 혈흉이 있어 응급개흉술을 받아야 한다면 심장파열의 가능성을 염두에두고 수술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인하대학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흉부둔상에 의한 중증우측 혈흉과 심낭파열을 동반한 심장파열 2례를 심패바이패스와 자가수혈 장치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박경민,송재관,강덕현,최봉룡,김재중,박성욱,박승정,김유호,유빈 대한심장학회 2005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5 No.11
Background and Objectives:Despite the sporadic case reports on the cardiac involvement of Behcet’s disease,any systemic investigation has not been reported on.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of the patients with the cardiac manifestations of Behcet’s disease. Subjects and Methods:We retrospectivelyanalyzed the clinical data of 217 patients (mean age: 39±11 years) with Behcet’s disease who were diagnosed inAsan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90 to September 2000. The patients were subgrouped into the mucocutaneous,cardiac, vascular, central nervous system, gastrointestinal and ocular group according to the involved organ.Results:Among 217 patients, nineteen (8.8%) were found to have cardiac involvement: aortic regurgitation wasfound in ten patients (53%), right ventricular thrombi in six (32%),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two (11%),and myocarditis in one (5%). The incidence of initial oro-genital ulcers at the first clinical presentation wassignificantly lower in the cardiac Behcet’s group than in the other subgroups (52% vs 90%, p=0.001). Theevent-free survival rate during a mean follow-up duration of 67±46 months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in thecardiac Behcet’s group (63% vs 14%, p=0.0001). Conclusion:Aortic regurgitation and right ventricular thrombusare two common types of cardiac Behcet’s disease. Although its incidence is low, cardiac Bechcet’s disease has acharacteristic pattern for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it has a worse prognosis compared with the other subgroupsof Behcet’s disease that have other solid organ involvement. 배경 및 목적:베체트병은 만성적이며 전신을 침범할 수 있는 염증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표피점막, 안구, 정맥, 중추신경, 소화기 등을 침범한 증례보고들이 있었으나 이 질환에서 심장침범의 빈도나 임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방 법:1990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 내과에서진료된 환자 중 국제진단기준을 만족하는 총 217명의 환자(평균나이 39±11, 남자 116명)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침범된 장기를 기준으로 표피점막, 소화기, 중추신경, 심장, 혈관, 안구 등 6개 군으로 나누어 임상특성을 비교하였다.결 과:전체 217명 중 심장을 침범한 베체트병 환자는 19명(8.8%)이었다. 이들의 평균나이는 36세이었고, 남녀 비는 12/7(1.7:1)이었다. 심장을 침범한 군의 분포는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이 열명 이었고 우심실 혈전증이 여섯 명, 급성 심근경색이 두명, 심근염이 한명 이었고 심장 침범 군을 다른 군과비교하여 나이, 성비 등은 차이가 없었다. 초기 병원방문 당시 환자들이 호소하는 주 증상에 있어 베체트병 환자들에게 진단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구강 및 성기궤양의 존재가심장 침범 군에서 다른 군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낮았다(49% vs 90%, p=0.001). 또한 심장 침범 군에서 다른 군보다 사망 및 재입원 등의 임상사건의 발생률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63% vs 14%, p<0.001).결 론:대동맥판 폐쇄부전증과 우심실내 종괴병변은 심장을 침범하는 베체트병의 가장 중요한 두가지 임상발현 양상이었다.심장을 침범한 베체트병은 드물게 나타나며 구강성기궤양 증상이 늦고 초기에 발열, 호흡곤한, 흉통등 비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특징적인 임상발현을 갖고 있었으며 다른 고형장기 침범 환자들에 비해 예후가 불량함을 알 수 있었다.
박재형 대한심장학회 2008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8 No.7
심내막 심근생검 (Endomyocardial biopsy, EMB)은 원인 불명의 심부전 혹은 심근질환의 확진에 필수적인 검사법이 다. 금번호에 게재된 Oh 등1)의“심내막 심근생검의 임상적 유용성: 단일센터의 임상경험”은 심근생검의 국내보고로는 두 번째 보고로서 상당히 의미있는 내용을 기술하고 있어 주목된다. 저자 등은 심근병증의 원인규명에 있어서 EMB의 진단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2005년까지 단일 센터에서 30예의 심근 생검예를 분석하였다. 전체를 4군으로 나누었고 제1군 (n=11) 은 좌심실비대와 영상검사에서 침윤심근병증이 의심되는 경 우, 제2군 (n=15)은 원인불명 심부전이 빨리 진행되는 경우, 제3군 (n=2)은 말초 호산구 증가증과 급성심부전이 있는 경 우, 제4군 (n=2)은 그 외의 경우로 부정맥야기 우심실이형성 증과 심장 종괴였다. 결과를 보면 이들 중 병리진단이 가능하 였던 경우는 제1군 27.3%, 제2군 13.3%, 제3군 100%, 제4 군은 50%였다. 시술과정에서 별다른 합병증은 없었고 결론 적으로 저자 등은 심근생검이 심부전의 원인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됨을 보고하였다. 원인불명의 심부전과 심근질환의 진단을 위하여 EMB를 시행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Oh 등1)이 고찰에서 지적한 것처 럼 EMB의 제한점이 있다. 첫째, 생검의 위치가 부정확한 것, 둘째, 조직학적 해석의 차이, 셋째, 치료와 예후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점 등이다. 이에 덧붙여 최근에는 비침습적인 생표식자 (biomarker)를 이용한 진단의 발전과 MRI 등 심 장영상진단의 발달로 인해 더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게 된 점이다. 이 논평에서는 Oh 등1)의 논문과 관련하여 EMB 방법 개선으로 병리조직학적인 진단율의 제고, 심근염의 활동성 여부의 결정, 혹은 심부전과 심근질환으로 인한 예후의 판정 에 대하여 효율을 높이는 문제를 다루고자 함은 아니다. 다 만 최근 발달하고 있는 심장영상진단과 심근생검과 관련하여 몇 가지 제언하고자 한다. 우선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심장의 심근염 등 심근질환 혹은 심부전의 진단에 있어서 CT 혹은 MRI의 유용성이다. Oh 등1)도 고찰에서 기술한 것처럼 영상진단 중 특히 MRI를 이용한 심근염 등 심근질환에 대한 보고가 많이 있다. Mahrholdt 등2)은 87명의 심근염 환자에 대하여 EMB와 MRI 를 시행한 경험을 보고하였다. 이들 중 EMB에서 parvovirus B19가 49예에서, HHV6가 16예에서 나타났으며 parvovirus 의 경우 MRI상 지연조영증강 (late gadolinium enhancement, LGE)이 외측심실벽의 심외막하 부위에 나타났고 수개월 내 에 소실되었다. 한편 HHV6의 경우 LGE가 중격에 있었고 추적에서 점차 진행하여 만성심부전을 나타내었다. Magnani 등3)은 심근염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최신동향을 고찰하 면서 심근염의 진단을 위하여 EMB와 아울러 심장 생표식 자 검사, 면역학적 접근, 심장의 영상진단이 필요함을 제시 하였다. 심장영상 중 기존의 심초음파 소견도 중요하며 indium이나 gallium을 이용한 핵의학적 영상도 있으나 최근 조영증강 MRI의 영상법이 유용함을 주장하였고 여러 보고 자들에 의하여 심근염에서 국소적 조영증강이 나타남이 보 고된 것을 예로 들었다. 특히 MRI에서 LGE로 나타난 곳을 생검한 경우 양성예견율 (positive predictive value) 71%,음성예견율 (negative predictive value) 100%로 보고되었음 을 예로 들면서 이와 같은 영상법을 이용한다면 EMB의 예 민도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MRI에 대한 기대감이 모...
우측 심장을 이환한 감염성 심내막염의 임상상에 대한 연구
박창범,김재중,송재관,최기준,이명준,이세환,김유호 대한심장학회 2005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5 No.8
Background and Objectives:Right-sided infective endocarditis (RtIE) occurs in about 5-10% of total infectiveendocarditis cases. In western countries, many cases of RtIE are related to drug addiction. However, there beenonly scant reports of right-sided infective endocarditis in Korea.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clinicalcharacteristics of RtIE, such as frequency, predisposing risk factors, causative organisms and in-hospital mortalityin Korea. Subjects and Methods:All episodes diagnosed as infective endocarditis, between 1989 and 2003, at theAsan Medical Center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using Duke’s criteria. A total of 308 patients were diagnosedas infective endocarditis. Results:RtIE was found in 34 patients (11.0%), with a mean age of 44.1±15.0 years.Fifteen patients had congenital heart diseases. However, several in-hospital invasive procedures and skin injurieswere the most common predisposing risk factors in patients with uncorrected congenital heart disease (group A),whereas unknown causes were most common in patients without uncorrected congenital heart disease (group B).The most common causative organisms in groups A and B were Streptococcus viridans (6/15, 40%) and Staphylococcusaureus (13/19, 68.4%), respectively. In group A, the location of vegetations was variable according to the turbulentflow, but was exclusively at the tricuspid valve in group B. There were 6.7% (1/15) and 26.3% (5/19) inhospitalmortalities in groups A and B, respectively (p=0.196). Conclusion:No drug addict with RtIE was seen.The most important predisposing risk factor in patients with RtIE was the presence of uncorrected congenital heartdisease. The predisposing risk factors, causative organisms and the locations of vegetation in patients with RtIEdiffered according to the patient’s uncorrected congenital heart disease. 배경 및 목적: 서구에서 우측 감염성 심내막염은 약물중독자에게 흔히 발 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한국인에게서 이에 대한 위 험인자 및 특징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 없다. 방 법: 1989년부터 2003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치료받은 심내막 염 환자들 중 Duke criteria로 definite 또는 possible 우측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총 308명의 환자들 중 우측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진단받 은 환자는 34명(11.0%)이었다. 우측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진 단받은 환자들의 평균연령은 44.1±15.0세였고 남자가 18명 이었다. 교정되지 않은 선천성 심질환이 15명(44%)에서 동반 되어 있었고, 19명은 없었다. 우측 감염성 심내막염에서 교 정되지 않은 선천성 심장 질환이 가장 큰 선행 위험인자 이 었고, 선천성 심장 질환이 없는 환자들에서는 수술, 중심 정 맥관 삽입술, 내시경 등의 침습적인 시술 및 칼, 침술, 외상 등의 피부손상 등이 주요 선행 위험인자들이었다. 원인균주 는 선천성 심장 질환이 있는 환자들에서는 S. viridans가 가 장 많았고, 선천성 심장 질환이 없는 경우는 S. aureus가 가 장 많았다. 우종의 위치는 선천성 심장 질환이 있는 경우 우 심실 6명, 폐동맥판 3명, 폐동맥 3명, 삼첨판 1명 등으로 와 류의 형태에 따라서 우심실의 여러 부위에 분포를 하고 있 던 것에 비하여, 선천성 심장 질환이 없는 환자들은 19명 모 두 삼첨판에 존재하였다. 병원내 사망률은 우측 감염성 심 내막염 환자들이 좌측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들보다 높았고, 이 중 선천성 심장 질환을 가지지 않은 환자들의 사망률이 선 천성 심장질환을 가진 환자들보다 높았다. 결 론: 우리나라에서는 서구와 달리 우측 감염성 심내막염의 빈 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교정되지 않은 선천성 심장질환 이 가장 큰 위험인자이었다. 선천성 심질환의 유무에 따라 심내막염 유발사건, 원인균, 우종의 위치 및 사망률이 다름 을 확인하였다.
박영환,윤치순,정원석,김명옥,조범구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Vol.32 No.6
배경: 복잡심장기형의 경우 완전교정술식의 높은 난이도와 사망율로 말미암아 심장이식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정상심장을 이식하기에 곤란한 복잡기형의 경우 수술전 자세한 계획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신생아의 복잡심장기형에서 심장이식을 고안하기위한 동물실험을 하였다. 대상 및 방법: 8마리 신생돼지를 사용하여 4차례 심장이식실험을 하였다. 실험 1: 성인에서의 심장이식과 같은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실험 2: 좌심형성부전증후군(Hypoplastic Left Heart Syndrome)의 경우를 모의실험하기 위하여 공여돈의 대동맥궁을 이용한 성형수술을 하였다. 실험 3: 폐동맥성형술을 동반한 심장이식을 하였다. 실험 4: 이식후 장기 생존을 위한 실험을 시도하였다. 결과: 신생돈에서의 심장이식수술은 큰 어려움없이 시행할 수 있었다. 실험후 인공심폐순환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나 2마리는 폐동맥연결부위와 좌심방연결부위의 출혈로 사망하였다. 결론: 이상의 실험으로 대혈관의 위치에 따라 세심한 수술계획을 한다면 거의 실행하지 못할 복잡심장기형이 없을 것으로 보이며 신생아의 경우는 특히 출혈에 대해 주의를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저위험군의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B-Type Natriuretic Peptide와 장기 예후
안민수,유병수,이경훈,윤영진,김성윤,김장영,이승환,윤정한,최경훈 대한심장학회 2009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9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In acute coronary syndrome (ACS), the B-type natriuretic peptide (BNP) level is a strong predictor of mortality. Most ACS patients have a history of myocardial infarction (MI) or high risk ACS, clinical entities that are anticipated to lead to elevated BNP levels. Therefore, we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BNP levels and long-term prognosis in low-risk patients with unstable angina (UA). Subjects and Methods: Between September 2002 and June 2004, BNP was measured in baseline samples from 137 patients referred for angiography. UA was defined as a clinical diagnosis paired with significant coronary artery narrowing. Patients had to exhibit no ST segment changes or abnormal Q waves, no elevation of cardiac enzymes, and no abnormal left ventricular diastolic or systolic function or regional wall motional abnormality on echocardiography.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s) were defined as cardiovascular death, MI, or readmission due to heart failure. Results: The mean patient age was 62.2±10 years, and 70 (51.1%) of the patients were men.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44.5 months. Six patients died due to cardiac causes, 4 were admitted due to heart failure, and 2 had MIs. The mean BNP level was not different between patients suffering MACEs and those not suffering MACEs. Other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between the groups. Kaplan-Meier survival curv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enefit in the BNP ≤80 pg/mL group (p=0.037). There were no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on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A single BNP measurement was not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but was related to event-free survival in patients with low-risk UA. 요 약배경 및 목적급성 관동맥 증후군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 생화학적지표들이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BNP는 급성 관동맥증후군에서 위험도를 계층화하고 장기 사망에 대한 강력한예후인자로서 유용성을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저위험군의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에 대한 예후 인자로서 BNP의 중요성에 대한 보고는 아직 없었다. 이에 저위험군의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장기 예후 지표로서 내원시에 측정한 BNP의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2002년 9월부터 2004년 6월까지 허혈성 심질환으로 내원하여 관동맥 조영술을 시행 받고 50% 이상 협착이 동반된 환자 중 저위험군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 139명을 대상으로 하여 주요 심장 사건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심근경색의 재발이나 심부전으로 인한 재입원)을 추적조사하였다. 불안정형 협심증은 ACC/AHA 치료 지침에 따른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 중 관동맥 조영술상 50% 이상의 협착이 동반된 환자로 정의하였다. 저위험군의 정의는 심전도상 0.1 mV 이상의 ST 분절 하강이나 상승이 없고 비정상적인 Q파가 없으며, 심근 효소의 상승이 없는 환자로 정의하였다. 또한 심초음파상 좌심실 구혈률이 45% 미만이거나이완기 기능이 위정상 (pseudonormalized pattern), 제한형(restrictive filling)을 보인 환자와 신기능 장애를 가진 환자는 제외하였다. 결 과12명 (8.6%)의 환자에서 주요 심장 사건이 발생하였다. 주요 심장 사건이 발생한 군과 발생하지 않은 군 사이에 BNP 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BNP치가 80 pg/ mL 초과군이 event free 생존율이 낮았다. 그러나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분석에서 주요 심장 사건의event free 생존율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인자는 없었다. 결 론본 연구에서 내원시 측정한 BNP치는 저위험군 급성 관동맥 증후군 환자에서 주요 심장사건에 대한 독립적인 예후인자는 아니었지만 event free 생존율과 연관이 있었다.
김호봉(Ho-Bong Kim)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 2014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 Vol.2 No.1
Purpose : This study is designed to discuss the vision of the cardiorespiratory physical therapy for the future. The vision of the cardiorespiratory physcial therapy will be achieved with the enthusiasm and interests of physical therapists in Korea. Currently, academic conference for the cardiorespiratory physcial therapy has been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from the medical societies. The vision of the cardiorespiratory physical therapy will be realized with various programs for the research and training in the cardiorespiratory physical therapy. Korean cardiorespiratory physical therapists’ mission is to improve public health by enhancing clinical excellence in physical therapy practice through credentialing clinical specialist. The Korean academy of cardiorespiratory physical therapy(KACRPT) needs to move toward the vision of cardiorespiratory physcial therapy for the public health promotion.
심장이식 후 Mycophenolate Mofetil과 Interleukin-2 단일항체를이용한 면역억제제 병합요법의 효과와 안전성
안정민,김재중,송명근,김형용,이창훈,송재관,박성욱,박승정,김인옥 대한심장학회 2006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6 No.12
Background and Objectives:An immunosuppressive regimen including the use of mycophenolate mofetil (MMF)and an interleukin-2 monoclonal antibody (IL2mAb) has shown promise to prevent acute rejection after hearttransplantation. There has been a lack of report on the evaluation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this regimen inpatients receiving heart transplants in Korea. Subjects and Methods:From November 1992 to December 2003,111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received heart transplants in our institute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patientswho received the immunosuppressive regimen with MMF and an IL2mAb (group A, n=51) and patientswho did not receive the regimen (group B, n=60). We compared the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in each groupincluding the survival rate and the occurrence of acute rejection and infection at 24 months post transplantation.Results:Both drugs were tolearated in all patients except in 5 patients who complained of gastrointestinal sideeffects due to MMF. Despite a longer ischemic time (137.4±54.6 vs. 92.3±25.8 hours, p<0.05) and a lower serumlevel of cyclosporine (212.3±66.8 vs. 259.1±62.1 ng/mL, p<0.05), the rate of treatment for acute rejectionwas lower in group A than in group B (16% vs. 53%, p<0.05). In addition, the median time to the first treatmentfor acute rejection was almost twice as long for group A as for group B (91 vs. 43 days, p<0.05). The 2-yearsurvival rate and the incidence of major infection requiring hospitalization in both groups were 94% vs. 88%and 26% vs. 21%, respectively, which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Conclusion:An immunosuppressive regimenincluding the use of MMF and an IL2mAb is efficacious and safe as a prophylaxis against acute rejectionwithout the increased risk of major infection in patients who have received heart transplants in Korea. (KoreanCirculation J 2006;36:794-801) 배경 및 목적: Mycophenolate mofetil(MMF)와 Interleukin-2 단일항 체(IL2mAb)를 이용한 면역억제제 병합요법은 심장이식환 자에서 거부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하지만,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임상 연구는 없는 실정 으로 저자들은 심장이식을 받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약제를 이용한 면역억제제 병합요법의 효과와 안정성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2년 1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111명의 환자가 본원 에서 심장이식을 받았고, 이들을 MMF와 IL2mAb를 포함 한 면역억제제 병합요법을 시행한 군(A군, n=51)과 이들 약제가 포함되지 않은 면역억제제 병합요법을 시행한 군(B 군, n=60)으로 나누어, 심장이식 후 2년 동안의 급성 거부 반응의 발생, 주감염의 발생률, 그리고 생존율 등을 비교하 고자 한다. 결 과: 연구기간 중 MMF에 의하여 5명의 환자에서 위장관계 부작용이 발생하였고, 1명이 약물을 중단하였다. 그러나, IL2mAb에 의한 싸이토카인 유리 증후군이나 알레르기 반 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A군에서 cyclosporine 농도(212.3± 66.8 vs. 259.1±62.1 ng/mL, p<0.05)가 낮게 유지되었고, 허혈시간(137.4±54.6 vs. 92.3±25.8 시간, p<0.05)이 길 었음에도 불구하고, 2년 경과관찰기간 중, 치료를 요하는 거부반응의 발생 횟수(16% vs. 53%, p<0.05)가 현저히 적 었고, 심장이식 후 거부반응 발생까지의 시간 또한 A군이 B군에 비해 두배이상 길었다(91 vs. 43 days, p<0.05). 그 러나, 두 군간의 2년 생존율은 A군 94%, B군 88%였고, 항 생제 치료가 필요했던 주감염의 발생률은 A군 26%, B군 20%로 모두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 론: MMF와 IL2mAb을 이용한 면역억제제 병합요법은 심장 이식을 받은 한국인에서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이식심장에 대한 급성 거부반응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흉곽가동운동에 따른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심혈관계 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장일용(Il-Yong Jang),고대식(Dae-Sik Ko),서태화(Tae-Hwa Seo),박종항(Dae-In Jung),정대인(Jong-Hang Park)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 2015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 Vol.3 No.1
Purpose : This study conducted the following experiment to examine change of cardiovascula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chest mobility exercise and chest stretching exercise to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 :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measured modified Bathel Index(MBI) and Cardiovascular function was measured by blood pressure(systolic and diastolic), pulse and oxygen concentration on comparative analysis of pre, post exercise and each groups in 20 chronic stroke patients subjects. Results : These result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diastolic blood pressure & pulse were statistically decreased and oxygen concentration & MBI were increased on chest mobility exercise group. Conclusion : Chest mobility exercise would be lead to positive incr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ardiovascular function on chronic strok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