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승민,박홍배,이상철,여향순,강명원,김규순,최병인,오원주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1988 Clinical Endoscopy Vol.8 No.1
Sine 1976, 2380 eases of ERCP were performed at the Kwangju Chrietian Hospital. Nighty eight patients with periampullary choledochaduodenal fistula diagnosed at ERCP were revewed, Following result were obtained 1) Cases were most commonly noted from fifth decade to seventh decade, and sex distribution was similar. 2) Right upper quadrant abdominal was most common clinical manifestation, and duration of illness prior to diagnosis were from 2 months to 20 years. Several weeks or days before ERCP, sudden disappearance of pain suggeeted spontaneous extrustion of a stone from the common bile duct to the duodenum with resultant PACD formation. 3) On past history, various types biliay operations had carried out in 26 patients. Subtotal gastrectomy with gastrojejunostomy in 1 patients, operation for CBD ascaris removal in 1 patient. 4) Most PACDF had finding formed recently on ERCP and fibrosis, inflamation, granulation, atrophic change, adhesive stenosis were noted additionally. 5) Most common cause of PACD by ERCP was biliary teact stone. 6) Endoscopic sphincteropapillotomy(EST) were performed in 39 patients with PACDF due to CBD stone and surgical intervention were done in 36 patients due to CBD stone also. It was interesting that EST were performed in 3 patients with old stenotic fistula.
대학생의 감성 지능에 따른 이모티콘의 감정 해석 능력의 관계성 연구
이승민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4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3 No.4
빠른 커뮤니케이션을 선호하는 젊은 세대는 이모티콘을 사용하여 짧은 시간 안에 감정이나 반응을 전달하여 메세지의 길이를 줄이면서, 보다 직관적인 소통을 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20대의 이모티콘 사용자들이 이모티콘이 나타내는 감정을 얼마나 정확하게 식별하는지 평가하고 이러한 능력이 감정지능과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대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이모티콘 감정읽기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성지능과 이모티콘의 감정읽기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 감성지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성지능은 이모티콘 감정읽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젊은 세대에 있어 이모티콘의 감정 반응에 대한 남녀의 차이는 의미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모티콘의 제작에 있어 단순한 인구통계학적 접근보다는 의사소통의 맥락, 관계 또는 메시지의 복잡성, 문화적 맥락 등 다양한 상황의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Young people who prefer quick communication use emoticons to convey emotions and reactions in a short time to shorten the length of messages and pursue more intuitive communication.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how accurately emoticon users in their 20s can identify the emotions represented by emoticons and empirically analyzed how this ability is related to emotional intellig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 reading ability of emoji by gender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Furthermore, whe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 read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by gender,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 reading. This study confirms that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al responses to emoji are not meaningful for younger generations and suggests that the creation of emoji should take into account a variety of circumstances, such as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the complexity of the relationship or message, and the cultural context, rather than a simple demographic approach.
유기농 식품의 경험적 소비가치가 소비자 태도 및 결과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승민,이소담,박노현,전태유 한국물류학회 2019 물류학회지 Vol.29 No.1
This study asked consumers with experience in organic food to find out how the experiential consumption of organic food affects consumer attitude and result behavior, and to identify the involvement of these factors as variables to reinforce these relationships. Here,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by five factors: symbolic value, economic value, utility value, functional value, and service excellence. A survey was conducted on consumers with experience in purchasing organic food for empirical analysis and analyzed the effective sample 345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 experiential consumption value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attitude. Second, experiential consumption value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result behavior. Third, involvement had significantly positive moderating role between service excellence and functional value on result behavior.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causal relation between the influence factors. And We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본 연구는 유기농 식품을 구매하거나 먹어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유기농 식품에 대한 경험적 소비가치 가 소비자 태도 및 결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들 간의 관계에서 관여도가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험적 소비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속성으로서 상징적 가치, 경제적 가치, 효용적 가치, 기능적 가치, 서비스 우수성 등 5개의 요인으로 구성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유기농 식품의 구매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유효표본 345부에 대해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기농 식품의 경험적 소비가치 중에서 기능적 가치, 효용적 가치, 서비스 우수성 요인이 소비자 태도에 대해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기농 식품의 경험적 소비가치 중에서 기능적 가치, 서비스 우수성, 효용적 가치, 상징적 가치 요인이 결과행동에 대해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기농 식품의 경험적 소비가치와 결과행동과의 관계에서 관여도가 유의적인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은 충 분히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승민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Sports Sciences Vol.22 No.1
The current investigation examined the different eye movements used by defenders during spike serve reception in a volleyball game. Six expert and six novice play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server exhibited randomized server techniques (spike and ordinary server technique) to defenders. The study required having seven perfect serves received by a defender for data collection from mobile eye trackers to be able to measure/analyze the defender’s eye movements. We analysed the defender's eye movements during the following time period: the time started when a server tossed a ball in the air in preparation to serve to a defender and stopped when the defender made contact with the ball. The time phase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ball toss phase and flight phase. The results indicated that expert players were more focused on the server’s shoulder and arm region than novice players during the ball toss phase, and experts were faster at tracking a ball than novice players during the flight phase.
이승민,이승재,강하림,함숙정,송재익,김기남 한국항공운항학회 2024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32 No.3
Wind forecast is one of the key meteorological factors required for safe aircraft takeoff and landing.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wind compensation method by learning the Korea Air Forc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 (KAF-WRF) forecast data and the Airfield Meteorological Observation System (AMOS) data at five airports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SVM). The SVM wind prediction models were composed of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learning period (30 days, 40 days, and 60 days) using seven KAF-WRF variables as training data, and the wind prediction performance at the five airports was evaluated using Root Mean Squared Errors (RMS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VM wind prediction model trained using U (east-west) and V (north-south) components performed approximately 18% better than the model trained using wind speed and wind direction. The wind correction of KAF-WRF with AMOS observations via SVM outperformed the conventional KAF-WRF wind predictions in eight out of ten cases, capturing abrupt changes in wind direction and speed with a 25% reduction in RMSE.
무인기 통제 차량 전원발생장치 구동벨트 손상 방지 및 수명 연장 개선 연구
이승민,강주환 한국품질경영학회 2022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군용 무인항공기는 작전지역에 따라 신속한 전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무인기 통제 장비는 주로 차량에 탑재하여 운용하며, 무인기의 신속한 전개를 가능케 한다. 동시에 데이터링크 가시선 확보를 위한 지상중계장비 또한 차량에 탑재하여 운용하며, 안테나 및 통신장치 등 고전력 소모 장비 탑재로 용량이 큰 전원발생장치가 사용된다. 전원발생장치는 엔진 회전력을 구동 벨트를 통해 발전기를 회전시켜 생성된 전원을 차량 쉘터 내부 장비에 공급한다. 미래에는 무인기 수요 증가와 체계 대형화에 맞춰 운용 차량의 대형화와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전원 발생장치가 연구되고 개발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운용 중인 무인기에서 발생한 지상중계차량 전원발생장치의 구동벨트 파손 결함을 분석하여 벨트 수명연장을 위한 방안 연구와 개선안 적용결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원인 분석을 통해 구동벨트 얼라인먼트 편차와 과도장력, 벨트 간 접촉부위 등을 식별하였으며, 엔진룸 인터페이스 개선 연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였다. 개선안 적용 후 운용시험 및 실제 운용중인 장비에 대한 주기적 모니터링을 통해 개선 연구의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개발될 무인기 지상중계차량 엔진룸 인터페이스와 전원발생장치 등 개발 및 설계에 적용하여 체계 운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항공기 또한 벨트를 통해 엔진 동력을 발전기로 전달하는 설계를 주로 적용하고 있으므로, 항공기 운용 안정성 확보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구동벨트 결함방지 및 수명연장으로 운용차량과 항공기 정비 업무를 최소화하여 임무 수행 효율 향상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