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초기 밀매음 여성의 문화 표상-은근자(慇懃子)를 중심으로-

        우수진(Woo, Su-Jin) 우리문학회 2023 우리文學硏究 Vol.- No.79

        이 논문은 근대 초기에 은근자 또는 은군자라고 불리며 극장이나 공원, 거리 등에서 호객했던 밀매음 여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들은 이 시기의 다른 성노동 여성이었던 기생이나 창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논외되어 왔다. 성매매는 일부일처제라는 근대적인 가족제도에 위배되는 것이었지만, 많은 사람들의 비판과 반대에도 불구하고 필요악으로 제도화되었다. 그리고 그 결과 제도 밖의 성매매인 밀매음은 공창보다 더 불온하고 위험한 것으로 여겨졌다. 밀매음은 근대 사회가 만든 인위적인 제도의 모순적인 균열 그 자체였다. 성매매는 단순히 합법과 불법으로 구분되지 않으며 나아가 윤리의 문제로 쉽게 재단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밀매음은 그 자체가 하나의 직업이나 정체성이었다기보다 사실상 여성과 빈곤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하층민 여성은 언제든지 밀매음 여성이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은근자는 신문지상이나 문학, 연극 작품에서 대부분 부정적인 인물 내지는 악인으로 형상화되었다. 그리고 그 안에서 여성 섹슈얼리티는 주로 부도덕의 표상으로서 불온하고 위험한 것으로 재현되었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재현을 통해 여성의 섹슈얼리티는 공공적으로 가시화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성(적인 것)을 사회적으로 확산시켰다. This thesis examines the women known as Eungeunza (慇懃子, 隱君子). prostitutes who would seduce men in theatres, parks, and streets in the early modern period. This group of women has been relatively unstudied compared to other sex workers of this period, such as Gisaeng (妓生) or Changgi (娼妓). Prostitution violated the modern monogamous family system but was institutionalized as a necessary evil. As a result, illicit prostitution ― so-called Eungeunza ― was regarded as more disturbing and dangerous than regular prostitution. However, Eungenza represented a contradictory crack in the artificial system of modern society. This is because prostitution cannot be simply divided into legal and illegal, furthermore, it cannot be easily judged ethically. The critical discourse and regulation surrounding Eungeunza reproduced a public perception of female sexuality as rebellious and dangerous. This representation of Eungenza′s sexuality eventually permeated society. Even in modern literature and plays, they had been characterized as individuals who freely express their desires and sexuality often lacking morals and social norms. In this regard, Kim Woo-jin’s play ″Lee Young-nyeo(李永女)″ stands out as an exceptional example of naturalism and modern play of naturalism.

      • KCI등재

        심리적 안전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성장마인드셋과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우수(Choi, Woo-Su),오상진(Oh, Sang-Jin)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불확실한 경영 환경 속 기업에게 혁신 수단으로서 창의성을 제시하기위해, 심리적 안전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성장마인드셋, 조직지원인식과의 관계를 실증하여, 창의성 제고를 위한 실용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내 기업에 근무하는 다양한 업종의 구성원 총 42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353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였다. 심리적 안전, 창의성, 성장마인드셋, 조직지원인식과 관련된 이론 및 선행 연구를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통계 도구로는 CFA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SPSS25, AMOS25, Macro Process3.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모형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심리적 안전은 성장마인드셋, 조직지원인식, 창의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장마인드셋과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기업 현장의 조직문화 요인과 창의성 간의 관계를 동기부여 이론으로 검증했다는데 의의가 크다. 특히, 창의성을 특별한 재능 소유자의 전유물이 아니라 조직 문화의 변화를 통해 구성원들에게 확산시킬 수 있는 혁신의 도구로 제안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esent creativity as a means of innovation to companies in uncertain business environment, demonstrate the impact of psychological safety on creativ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growth mind-se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process, and suggest practical measures to enhance creativity. [Methodology] Data were collected from 353 members. Hypothesis was set based on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sychological safet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growth mind-set and creativity. The collected data were review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CFA, and hypothesis 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SPSS 25, AMOS 25, and Macro Process 3.0 by Bootstrap. [Findings] Psychological safe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growth mind-se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creativity,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growth mind-se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ere also significant. [Implic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factors and creativity at corporate sites with the theory of motivation. In particular, creativity is not the exclusive property of a particular talent owner, but it has implications for spreading to members through changes in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rough this, proposed as a tool for innovation.

      • KCI등재

        한국어 판 구조화 임상면담도구 개발 : 신뢰도 연구

        한오수,안준호,송선희,조맹제,김장규,배재남,조성진,정범수,서동우,함봉진,이동우,박종익,홍진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2

        연구목적: 정신장애의 정확한 진단과 평가는 임상에서뿐만 아니라 신뢰성 있는 연구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SCID)는 임상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진단도구로서, 비교적 짧은 시간에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판SCID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국문학자가 포함된 번역위원회를 통하여 연구용판 SCID를 번역한 후, 정신과 의사 2인과 임상심리학자 1인에게 한국어판SCID 실시방법을 교육시킨 뒤 한국어판SCID를 이용한 면담의 평가자간 신뢰도 (interrater reliability)를 검증하였다. 면담 대상은 1999년 2월에서 3월까지 2개 병원 정신과에 치료중인 환자 90명(남:41명, 여:29명)이었다. 결과: 현재 장애(current disorder) 평가에서 주요 우울장애, 기분부전장애, 정신분열병, 알코올 남용 및 의존, 기타 물질 남용 또는 의존, 여러 불안장애들 및 섭식장애 등과 같은 대부분 장애의 kappa값은 .70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그 이외의 양극성 장애, 망상장애, 광장공포증, 감별 불능 신체화 장애 및 건강염려증의 kappa값도 .69에서 .40사이로 수용할 수 있는 정도였다. 평생 장애(lifetime disorder)에서는 양극성 장애(k=.69)와 감별 불능 신체화장애(k=.59)를 제외한 다른 모든 장애의 kappa값이 .70이상이었다. K-SCID 면담시 Ⅰ축 질환에 대하여 흔하게 다중 진단이 내려졌으며, 평균 진단 수는 1.5∼1.7개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어판 SCID는 신뢰도가 높은 진단도구로 생각되며, 향후 정신질환의 정확한 진단과 임상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Objectives: Accurate diagnosis and assessment for psychiatric disorders is crucial for research, as well as for clinical practic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Ⅳ(SCID-RV) is a less time-consumimg and more accurate structured diagnostic interview form. It can be used by clinical professions and is known for a reliable diagnostic tool.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Korean version of SCID-RV and to test the inter-rater reliability. Methods: The authors have translated original SCID-RV into Korean, and revised in parallel with sociocultural background of Korea. Ninety patients from two psychiatric hospitals, both outpatient and inpatient, were interviewed and rated independently by three raters. Results: The kappa coefficients for most of illnesses, such as major depressive disorder, dysthymia, schizophrenia, alcohol abuse and dependency, anxiety disorder and eating disorder were excellent(>0.70) in the evaluation of current disorders. And the kappa coefficients for bipolar disorder, delusional disorder, agoraphobia, undifferentiated somatoform disorder, and hypochondriasis were acceptable(>0.40) in the evaluation of current disorders. In the evalua-tion of lifetime disorders, the concordant rates of all the diagnoses except bipolar disorder and undifferentiated somatoform disorder were excellent. Lack of hierarchy in DSM-Ⅳ allows for multiple Axis I diagnoses. Mean numbers of Axis I diagnoses per subject assigned by the three raters were 1.5-1.7. Conclusions: Our findings confirm that SCID-RV yields highly reliable diagnoses. SCID-RV is recommended for accurate diagnosis in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on psychiatric disorders.

      • KCI등재

        전자구개도(EPG)를 이용한 한국어 치경마찰음 /ㅅ, ㅆ/의 조음운동적 특성

        김지영(Ji-Yeong Kim),우승탁(Seong-Tak Woo),김미진(Mi-Jin Kim),오다희(Da-Hee Oh),김수진(Su-Jin Kim),하지완(Ji-Wan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전자구개도를 사용하여 한국어의 치경마찰음인 /ㅅ/와 /ㅆ/를 조음운동적 측면에서 비교 분석해보고, 치경마찰음 조음 시 나타나는 혀-구개 접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방법: 한국어가 모국어이며 발음에 문제가 없는 정상 성인 5명이 전자구개도를 착용하여 치경마찰음을 분절음 차원에서뿐 아니라 단어 내 위치 및 모음문맥을 달리하여 녹음한 후 팰라토그램을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ㅅ/와 /ㅆ/는 협착의 너비와 혀-구개 최대접촉구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ㅆ/에서 협착의 너비가 더 좁고 전체 혀-구개 접촉구간은 더 넓게 나타났다. 단어 내 위치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고모음인 /ㅣ/ 문맥에서는 저모음인 /ㅏ/에 비해 협착의 위치가 후방화되었으며, 지속시간도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혀-구개 접촉 구간도 가장 넓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전자구개도를 사용하여 한국어 치경마찰음의 혀와 구개 접촉에 관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형 전자구개도의 개발의 기초자료로써 그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s aimed an electropalatographic investigation of Korean fricatives /s/ and /s*/. All data from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oduction of 5- adult speakers who speak Korean as their first language. Methods: Electropalatography (EPG) is an instrumental technique for showing tongue and palate contact during speech. The participants recorded /s/ and /s*/ in CV (/si/, /sɑ/, /su/, /s*i/, /s*ɑ/, /s*u/) and VCV (/ɑsi/, /ɑsɑ/, /ɑsu/, /ɑs*i/, /ɑs*ɑ/, /ɑs*u/) context using EPG and then, four variables were analyzed: row of medial groove (RMG), medial groove width (MGW), medial groove length (MGL), and maximum contact frame (MCF).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ly greater medial groove width and maximum contact frame for / s*/ compared to /s/. The difference between /si/ and /sɑ/ was also found in the row of medial groove, medial groove width and maximum contact frame. /si/ was produced further back, and had a longer medial groove length. Also, it showed more total tongue-palate contact than /sa/. Conclusion: A various range of palatal contact patterns were found between typical adults for perceptually normal /s/ and /s*/. The results provided the information about tongue–palate pattern of Korean fricatives /s/ and /s*/. These findings would be utilized to build the basic data and useful information for Korean EPG system.

      • KCI등재

        혈관 생성 억제 제를 투여한 신생마우스 폐 조직에서 Retinoic acid의 세포자멸사의 억제

        주선영 ( Sun Young Ju ),조경아 ( Kyoung Ah Cho ),유경하 ( Kyung Ha Ryu ),우소연 ( So Youn Woo ),박은애 ( Eun Ae Park ),조수진 ( Su Jin Cho ) 대한주산의학회 2008 Perinatology Vol.19 No.1

        목적: Retinoic acid는 폐포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미숙아의 기관지폐이형성중의 예방에 사용되고 있다. 기관지폐이형성중의 병태생리는 미숙한 폐의 내피세포와 외피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일으킴과 관련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VEGFR2 억제가 신생 폐에서 세포자멸사를 증가시키는지, 또 retinoic acid의 투여가 본 폐 발달 억제 동물모형에서 세포자멸사를 억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VEGFR2 억제제인 SU1498을 생후3일된 마우스에 주사하고, 폐포발달이 이루어지는 그 후 10일간 retinoic acid나 위약을 주사하였다. 형태학적인 분석을 하였고, 세표자멸사를 비교분석하기 위해서 TUNEL 염색과 Annexin V을 표지자로 FACS출 시행하였다. 자멸사한 세포를 확인하기 위해서 동일초점 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SU1498를 주사한 마우스에서 폐포면적과 평균폐포용적이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세포자멸사도 약 3배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자멸사한 세포는 내피세포와 상피세포에 분포하였다. Retinoic acid를 주사한 약 50%의 세포자멸사가 감소하였고, 형태학적으로 정상에 가까운 폐포 발달이 유지되었다. 결론: VEGFR2 억제를 하면 내피세포와 상피세포의 세포자멸사가 증가되면서 폐 발달이 저해되었다. 이어서 retinoic acid를 주사하면 세포자멸사가 억제되어 폐 발달유지에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retinoic acid에 의한 세포자멸사의 억제가 기관지폐이형성증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Background: Retinoic acid is known to play a role in alveolar regeneration and is used in the prevention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in premature infants. Many factors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BPD induce apoptosis of the endothelium and epithelium of the premature lung. We hypothesized that VEGFR2 inhibition would increase apoptosis in the newborn lung and retinoic acid would decrease apoptosis in our model of inhibited lung growth. Material and Methods: SU1498, a VEGFR2 inhibitor or vehicle was given to three-day-old mice. Subsequent retinoic acid or vehicle injection was given for ten days for the duration of alveolarization. Morphometric analyses were performed. Apoptosis was assessed with TUNEL staining and Annexin V staining. Co-localization of apoptotic cells with endothelial and epithelial cells was performed. Results: SUI498 injection reduced alveolar surface area and mean alveolar volume in newborn mice. Apoptosis was increased by three-fold in SU1498 injected mice. Apoptotic cells co-localized to endothelial and epithelial cells. Retinoic acid significantly reduced the degree of apoptosis by 50% in SU1498 injected mice and maintained lung development. Conclusion: VEGFR2 inhibition caused an arrest in lung development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apoptosis of endothelial and epithelial cells of the neonatal lung in mice. Subsequent retinoic acid treatment reduced apoptosis and we speculate that retinoic acid may preserve lung growth in bronchopulmonary dysplasia by inhibiting apoptosis in the neonatal lung.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 침습성 진균 감염에 대한 이트라코나졸 액과 플루코나졸 시럽의 예방 효과 : 전향적, 무작위, 비교 임상시험

        최수미,이동건,최정현,박선희,엄기성,김유진,김희제,민창기,유진홍,김동욱,이종욱,민우성,신완식,김춘추 대한감염학회 2005 감염과 화학요법 Vol.37 No.2

        목적 :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 호중구 감소 기간 동안 이트라코나졸 액(ITZS)과 플루코나졸 시럽(FCZS)의 진균 감염에 대한 예방 효과를 전향적으로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1년 8월부터 2002년 6월까지 가톨릭 조혈모세포이식센터에 입원하여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만 18세 이상의 환자들을 각각 ITZS와 FCZS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침습성 진균 감염 발생과 약제 관련 부작용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ITZS군에 40명, FCZS군에 38명이 배정되었고, FCZS군 환자의 평균 나이가 더 많았다. 시험 약제 평균투여기간은 ITZS군 16.4일, FCZS군 21.9일로 ITZS군이 더 짧았다. 이는 ITZS군에서 소화기 부작용으로 인한 약제 중단이 더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시험 약제 투여 후 총 빌리루빈 수치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약제 관련 부작용은 모든 환자에서 가역적이었다. 호중구감소 기간동안 표재성 진균 감염은 두 군에서 모두 발생하지 않았고, 침습성 진균 감염은 ITZS군 5명(12.5%), FCZS군 8명(21.1%)으로 FCZS군에서 많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사망률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침습성 진균 감염에 대한 이트라코나졸 액과플루코라졸 시럽의 예방 효과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앞으로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잘 짝지어진 대조군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부작용 중 간독성과 관련하여 이식시 투여되는 여러 약제들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 : Though fluconazole is widely used for antifungal prophylaxis, it is ineffective against mould infections including Aspergillus species. Itraconazole has a broader spectrum than fluconazole but the capsule form shows erratic bioavailability in neutropenic patients. In this study, we compared itraconazole oral solution (ITZS) with fluconazole syrup (FCZS) for the prevention of invasive fungal infection (IFI) in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recipients. Materials and Methods : Adults receiving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from september 2001 to June 2002, were randomly allocated to either the ITZS group or the FCZS group. We prospectively evaluat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each drug. Results : Out of 78 patients (40 patients in the ITZS group and 38 patients in the FCZS group) who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37 patients completed the course of prophylaxis without any evidence of IFI. The mean duration of prophylaxis was 16.4 days for the ITZS group and 21.9 days for the FCZS group (P<0.006). Drug-related adverse events occurred in 28 patients (70.0%) and 19 patients (50.0%) in the ITZS group and the FCZS group, respectively. Common adverse events of ITZS were nausea, vomiting, and diarrhea. Drug-related reversible hepatotoxicity occurred in 4 patients in the ITZS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elevation of total bilirubin level in the ITZS group. The incidence of suspected IFI occurred in 5 patients (12.5%) who received ITZS, compared with 8 (21.1%) who received FCZS (P=0.372). There were no proven IFIs or superficial (oral/vaginal) fungal infections in both groups. Overall mortality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2.5% in the ITZS group versus 5.3% in the FCZS group, P=0.610). Conclusion : ITZS and FCZS showed similar protection against IFI during pre-engraftment period. Poor tolerability due to gastrointestinal troubles of ITZS might limit its success as prophylactic therapy. Well matched controlled study with large number of patients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 태권도 우수선수들의 정신력 특성

        최상진,조옥성,백우석,이갑철,고봉수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ntal toughness of Taekwondo players and to suggest way of performance enhancement using Loehr's Psychological Performance Inventory. Subjects were 188 Taekwondo elite players. Each factor'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Mental Toughness were calculated, and ANOV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of the difference of mean. The results are as follow;: 1. On the level of self-confidence, it shows that the man players is higher than the woman players (school career F=5.846, P<.05: sex distinction F=8.876, P<.01). 2. On the level of attention control, it shows that the woman players is higher than the man players (school career F=4.483, P<.05: sex distinction F=9.814, P<.01). 3. On the level of visual and imagery control, it shows that the man players is higher than the woman players (school career F=7.790, P<.01: sex distinction F=5.000. P<.05). 4. On the level of arousal control, motivation, positive energy and attitude control, i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xual and school career.

      • 플라이애시를 다량 치환한 콘크리트의 탄산화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우상,강태경,백민수,김성식,정상진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1(구조계)

        This study evaluated durability through measurement of substituted test piece's pH degree and experiments of carbonation. Comparing and evaluating cared test piece's pH degrees which we got before the carbonation and after the carbonation. After evaluating carbonation depth through carbonation, evaluating carbonation properties by fly-ash replacement ratio pH degree was decreased by cement replacement ratio of fly-ash. And in the case of substitution of the same amount of fly-ash. Fine aggregate replacement ratio was increased. When the test piece. Which had been cared in high temperature, was promoted to carbonation. Among the test piece which was replaced with fly-ash 40%, the test piece which has high rate of fine aggregate proved opposition of carbonation. Through the test, I summarized that the test piece cared in high temperature was mostly effected by compress strength the test piece cared in low temperature was mostly effected by pH degree.

      • SCOPUSSCIEKCI등재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치성보상과 두개안면골격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전영진,박수병,손우성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상하악절치의 치성보상 양상과 골격형태 사이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정상교합자 59명, 미약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91명 그리고 심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5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미약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는 전치부 반대교합의 유무에 따라 반대교합이 없는 군과 반대교합군으로 세분하여 연구하였다.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15개의 골격형태 계측항목과 16개의 상하악절치 경사도 및 위치 계측항목으로 분석한 뒤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군의 상하악 전치부 치성보상 양상을 보면 II-B군에 비해 II-A군과 III군의 상악 중절치는 순측경사 되어 있으며 II-A군이 III군 보다 크게 순측경사 되어 있었다. 하악절치는 II-A군과 II-B군에 비해 III군이 설측경사 되었으며 II-A군과 II-B군의 차이는 없었다. 2. II-A군과 II-B군 사이의 수직적인 골격형태 차이는 크지 않았고 하악절치 보다는 상악절치 위치 및 경사도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3. II-A군의 하악절치와 II-B군의 상악절치 계측항목이 골격형태와 상관성이 높았으며 특히 하악절치 계측항목중에서는 ∠IMPA, ∠FMIA, 상악절치 계측항목중에서는 ∠U1-FH, ∠U1-SN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4. 하악절치 계측항목중 ∠IMPA, ∠FMIA는 모든 군에서 골격형태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상악절치 계측항목중에서는 ∠U1-SN, ∠U1-FH, U1-facial plane(mm)이 다른 계측 항목에 비해 상관성이 높았다. This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analyze the degree of dental compensation according to horizontal components of craniofacial skeleton and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dental compensation and craniofacial pattern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The material select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standard lateral cephalogram of 59 subjects in normal occlusion group, 91 subjects in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and 58 subjects in sever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The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class III malocclusion without anterior crossbite group and the other was class III malocclusion with anterior crossbite group. 1.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out anterior crossbite group showed the most labial inclination of upper incisors, followed by sever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and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anterior crossbite group, the latter showing the least. The amount of lingual inclination of lower incisors was the largest in sever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out anterior crossbite group and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anterior crossbite group. 2.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vertical skeletal structure between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out anterior crossbite group and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anterior crossbite group, the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pper incisors measurements. 3. The measurements of lower incisors in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out anterior crossbite group and upper incisors in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lusion with anterior crossbite group represented a high correlation with skeletal structure. Especially, ∠IMPA and ∠FMIA of lower incisor measurements, and ∠U1-FH, ∠U1-SN of upper incisor measurement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skeletal structure in each group. 4. ∠IMPA and ∠FMIA of lower incisor measurement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skeletal structure in all groups. ∠U1-FH, ∠U1-SN and U1-facial plane(mm) of upper incisor measurements represented higher correlation with skeletal structure than any other upper incisor measur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