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어휘전환과제 수행에 의미점화가 미치는 영향

        오다희(Da-Hee Oh),하지완(Ji-Wan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directions between long distance stages by comparing the semantic priming effect o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ech sound disorder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5 typically developing peers (TD group), 15 children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s (pure SSD group) and 10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with language disorder (SSD+LD group) from 3 to 5 years of age. The lexical switching task consisted of naming two pictures. A context picture (priming stimulus) was sometimes replaced with a target picture (target stimulus); the picture names were related or unrelated in meaning. The authors measured response time, response accuracy, and error type rates. Results: The response ti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ure SSD group and the TD group in semantic conditions. However, response accura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ure SSD group and the TD group. The response accuracy of the SSD+LD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emantic and non-semantic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error analysis, the SSD+LD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formal’ errors than the pure SSD group, whereas the pure SSD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unrelated’ errors than the SSD+LD group.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bi-directional interaction of each stage decayed semantic priming effect. The findings suggest that studies on communication disorders should be conducted comprehensively in a broad range of areas, not in specific areas.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말소리장애 및 언어장애 동반 여부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 예상되는 의미점화 효과의 양상을 비교하여 비인접단계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4-5세의 순수말소리장애(pure SSD) 아동 15명과 언어장애를 동반한 말소리장애(pure SSD+LD) 아동 10명, 일반(TD)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어휘전환과제를 실시하였다. 어휘전환과제는 빠르게 전환되는 두 개의 그림을 명명하는 과제로, 의미관련 여부에 따라 의미관련 조건과 의미비관련 조건으로 구분되었다. 이때의 수행력은 반응에 대한 속도와 정확도로 측정하였으며, 오반응에 대한 오류유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반응속도는 의미관련조건에 한해 pure SSD 집단과 TD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반응정확도는 pure SSD 집단과 TD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SSD+LD 집단의 경우 집단 내 의미관련 여부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pure SSD 집단과 SSD+LD 집단 간 오류유형을 비교한 결과, pure SSD 집단은 비관련오류가, SSD+LD 집단은 형태오류가 유의하게 많이 발생하였다. 논의 및 결론: 각 단계의 양방향 간 상호작용이 정적점화 효과의 감쇠를 초래함을 증명하였고, 이는 특정 영역에 결함이 있는 의사소통장애에 관한 연구가 보다 광범위한 영역에서 실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말운동프로그램 향상을 위한 한국어 비단어 중재접근법의 확립 및 임상 적용

        오다희(Da-Hee Oh),하지완(Ji-Wan Ha) 한국음성학회 2021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3 No.2

        본 연구는 국외에서 개발된 비단어 중재접근법을 수정 및 보완하여 한국어 비단어 중재접근법을 확립하고, 아동기 말실행증 아동에게 직접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궁극적인 목적은 비단어를 이용한 중재가 아동기 말실행증의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을 개선시켜 비단어 산출 및 단어로의 일반화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함에 있다. 중재는 아동기 말실행증의 진단 특성을 보이는 5세 6개월의 남아를 대상으로, ABA설계를 사용한 단일대상연구를 실시하였다. 중재에 사용된 비단어는 아동 맞춤형으로 제작하였으며, 한 회기당 60분씩 주 2회로,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재한 3음절 비단어의 모든 지표가 향상되었으며, 중재하지 않은 3음절, 4음절 비단어 및 단어로의 일반화를 확인하였다. 단, 단어로의 일반화 효과는 비단어로의 일반화 효과에 비해 미비하였다. 비단어 중재는 대상 아동의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그 결과 운동프로그래밍 손상에 기인한 전환 오류가 크게 감소하였고, 중재하지 않은 비단어의 산출 능력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강력하게 습관화된 단어 오류를 완전히 개선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이는 보다 집중적이고 반복적인 중재 일정을 제공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결과일 것이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nonword intervention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a Rapid syllable transition treatment (ReST) and to determine its effect by applying it to children with CAS.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nonword interventions are effective for nonword production ability and generalization of real words. Single-subject research using the ABA design was performed for a child aged five years and six months with diagnostic features of CAS. The nonwords used in the interventions were made suitable for the individual child.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in one-hour sessions, twice a week for six weeks. In all cases, performance of the treated three-syllable nonwords improved, and untreated three-syllable words, four-syllable words, and nonwords showed a generalization effect. However, the generalization of treatment effects to words was smaller than for nonwords. The nonword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ubject"s speech motor programming skills. As a result, transition errors due to impaired speech motor programming were greatly reduced, and the ability to produce untreated nonwords was greatly increased. However, there was a limit to the full improvement of strongly habitable word errors, which would be expected if a more intensive and repetitive intervention schedule was provided.

      • KCI등재

        전자구개도(EPG)를 이용한 한국어 치경마찰음 /ㅅ, ㅆ/의 조음운동적 특성

        김지영(Ji-Yeong Kim),우승탁(Seong-Tak Woo),김미진(Mi-Jin Kim),오다희(Da-Hee Oh),김수진(Su-Jin Kim),하지완(Ji-Wan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전자구개도를 사용하여 한국어의 치경마찰음인 /ㅅ/와 /ㅆ/를 조음운동적 측면에서 비교 분석해보고, 치경마찰음 조음 시 나타나는 혀-구개 접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방법: 한국어가 모국어이며 발음에 문제가 없는 정상 성인 5명이 전자구개도를 착용하여 치경마찰음을 분절음 차원에서뿐 아니라 단어 내 위치 및 모음문맥을 달리하여 녹음한 후 팰라토그램을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ㅅ/와 /ㅆ/는 협착의 너비와 혀-구개 최대접촉구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ㅆ/에서 협착의 너비가 더 좁고 전체 혀-구개 접촉구간은 더 넓게 나타났다. 단어 내 위치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고모음인 /ㅣ/ 문맥에서는 저모음인 /ㅏ/에 비해 협착의 위치가 후방화되었으며, 지속시간도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혀-구개 접촉 구간도 가장 넓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전자구개도를 사용하여 한국어 치경마찰음의 혀와 구개 접촉에 관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형 전자구개도의 개발의 기초자료로써 그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s aimed an electropalatographic investigation of Korean fricatives /s/ and /s*/. All data from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oduction of 5- adult speakers who speak Korean as their first language. Methods: Electropalatography (EPG) is an instrumental technique for showing tongue and palate contact during speech. The participants recorded /s/ and /s*/ in CV (/si/, /sɑ/, /su/, /s*i/, /s*ɑ/, /s*u/) and VCV (/ɑsi/, /ɑsɑ/, /ɑsu/, /ɑs*i/, /ɑs*ɑ/, /ɑs*u/) context using EPG and then, four variables were analyzed: row of medial groove (RMG), medial groove width (MGW), medial groove length (MGL), and maximum contact frame (MCF).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ly greater medial groove width and maximum contact frame for / s*/ compared to /s/. The difference between /si/ and /sɑ/ was also found in the row of medial groove, medial groove width and maximum contact frame. /si/ was produced further back, and had a longer medial groove length. Also, it showed more total tongue-palate contact than /sa/. Conclusion: A various range of palatal contact patterns were found between typical adults for perceptually normal /s/ and /s*/. The results provided the information about tongue–palate pattern of Korean fricatives /s/ and /s*/. These findings would be utilized to build the basic data and useful information for Korean EPG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