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공동학술대회 개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한국언어치료학회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공동학술대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1. 선생님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공동학술대회를 2009년 11월 21일(토)일 09:00 ~18:00에 개최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별첨 및 본 학회 홈페이지(www.ksha1990.or.kr)의 공지사 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3. 학술발표대회 사전 접수기간은 2009년 11월 9일(월)~13(금) 17:00시 까지 입니다. 4.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제 4회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한국언어치료학회 공동학술대회 사전등록 3차 안내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한국언어치료학회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1 No.1

        제 4회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한국언어치료학회 공동학술대회 사전등록 3차 안내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와 한국언어치료학회에서는 제 4회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한국언어치료학회 공동학술대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홍보를 부탁드립니다. 1. 주제: 청각장애 언어재활: From Startup to Stardom 2. 일시: 2015년 11월 7일(토) 오전 9:00 ~ 오후 6:00 3. 장소: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예술회관 (대전광역시 동구 자양동)

      • KCI등재

        Speech-Language Pathologists’ Voice Assessment and Voice Therapy Practices: A Survey for Standard Clinical Guideline and Evidence-Based Practice

        최성희(Seong Hee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4

        배경 및 목적: 현재까지 한국의 언어재활 현장실무에서 음성장애를 다루는 음성언어재활사들이 임상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음성평가와 치료 및 이들의 직무 분석에 대한 자료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임상현장에서 음성평가와 치료에 대한 증거기반중재를 위한 예비 연구로서 음성언어재활사들이 담당하는 음성평가와 치료에 대한 절차와 내용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3차 기관급 병원이나 1차(또는 2차) 기관급 병원의 목소리 전문 이비인후과에서 음성장애 환자를 다루는 음성언어재활사 29명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다차원적 음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음성언어재활사의 대부분이 임상가 중심과 환자 중심의 주관적 평가를 객관적 평가와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청지각적 평가와 음향학적 검사인 CSL의 다차원적 음성프로그램(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 MDVP)이 일상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보편화된 음성평가 방법이었다. 대부분의 음성언어재활사들은 성인과 아동환자 모두에게 직접적 음성치료법과 간접적 음성치료법을 병행하여 사용하였다. 음성치료법에서는 ‘성대기능훈련’과 ‘호흡훈련’이 각각 총체적 음성치료기법과 음성촉진기법 중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평가의 절차나 말자료는 시설이나 임상가 간에 다양하였으며, 주관적 평가뿐 아니라 객관적 검사의 절차나 기기 사용 및 치료 기법들에 대한 임상 능력은 표준화된 절차보다는 개인의 임상 경험이나 다른 경험 있는 음성언어재활사나 사용자 매뉴얼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음성장애 임상 현장에 대한 기초 조사로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음성언어재활사들이 시행하고 있는 음성평가와 음성치료에 대한 향후 규준을 마련하고, 음성평가의 임상적 사용의 개선과 증거기반의 임상 중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통일된 표준화된 임상지침이나 프로토콜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s: Currently, there is minimal information regarding the voice assessment and the voice therapy of clinical practices that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use routinely and for their job analysis in Korea. This is a preliminary study for evidence-based practices of voice disorders in order to investigate common voice assessments and therapy techniques that SLPs use for the patients. Methods: Twenty-nine SLPs have completed a 37-item survey, and then the data was being analyzed. Results: The majority of SLPs routinely used clinician-based and patient-based subjective assessments with the objective method. Specifically, the auditory-perceptual analysis and the 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 of Computerized Speech Lab in acoustic analysis were most commonly used for voice assessments. The procedures of recording voice were diversed depending on SLPs and facilities. In voice therapy, most SLPs used a combination of indirect and direct treatment methods for both adults and children with voice disorders. The vocal function exercises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holistic voice therapies, and the most widely used voice facilitation technique was respiration training for patients with hypofunctional and hyperfunctional voice disorders. Additionally, many SLPs relied on their senior SLPs or user manuals when developing skills of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s as well as the therapy itself.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a consensus for standardized protocol or a guideline of voice assessment is essential to provide effective treatments based on evidence-based practice.

      • KCI등재

        언어치료전공 임상교과 및 임상실습의 국내 현황 조사

        김재옥(Jaeock Kim),최성희(Seong Hee Choi),김향희(HyangHee Kim),장선아(Son A Chang),김효정(Hyo Jung Kim),황보명(BoMyung Hwang),박현린(Hyun Rin Park),박희준(Hee-June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3

        배경 및 목적: 현재까지 국내 언어치료학과를 개설하고 있는 대학수는 총 50개교이고, 교육과정 프로그램은 총 87개까지 양적으로 증가하고 성장하였으나, 국내 전반에 걸친 임상교육, 훈련 및 환경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아직 제공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적인 임상의 질적 기준을 마련하고자 국내 언어재활전공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전문대학, 4년제 대학교 및 대학원을 대상으로 임상 교과와 임상실습 운영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임상교과과정, 임상실습, 임상교육환경으로 설문을 구성하였으며, 국내 언어치료교육과정 프로그램 87개 중 설문에 회신한 57개(10개 전문대학, 19개 4년제 대학교, 28개 대학원) 과정들의 자료룰 분석 하였다. 결과: 비록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국가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핵심 임상 교과과정은 운영하고 있으나, 임상교과 학점, 시수, 훈련 내용과 실습 영역 및 임상환경은 다르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대학원 프로그램들은 언어치료전공자나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임상수업활동이나 임상실습을 면제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가장 많이 실습하는 주된 영역은 학령전기/학령기 언어발달장애 영역이었다. 모든 실습과목 담당 교수진이나 임상감독자들은 언어치료를 전공한 교원으로 언어재활사자격증을 가진 전문가였으나, 세 개의 학제 간에 다양한 자격증 유형과 교수진의 형태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언어치료학과 프로그램들 간의 일관된 질적 임상 훈련이나 교육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임상교육 훈련 내용이나 임상 환경에 관한 좀 더 구체화된 최소 표준 임상규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언어재활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우리의 미래 의사소통장애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임상교육과 훈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number of educational programs in speech-language pathology/therapy in Korea continues to increase, and has reached a total of 87 programs in 50 universities. However, no nationwide survey on the clinical curricula and practica of the educational programs has been carried out. Method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items on clinicbased courseworks, clinical practicum, and clinical educational setting was distributed, and a total of 57 (10 community college, 19 undergraduate, 28 graduate) programs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ults: Although most of programs ran core clinical courses required for obtaining the national license, various credits of clinical courses, clinical hours, and practical area, and clinical environments were documented. Most graduate school programs permitted students with speech-language pathology backgrounds or speech-language pathologist (SLP) licenses to be exempt from clinical coursework and practicums. Language development in preschool or school-age children was the most predominant practice area in most of the programs. Supervision of clinical activities in all three types of educational settings was provided by licensed faculty or supervisors. Conclusion: In order to ensure the consistency of qualified clinical training or education across the speech-language pathology programs, standard clinical guidelines regarding education training contents or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Moreover, diverse clinical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the SLP profession and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of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in the upcoming years.

      • KCI등재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의미표상 비교

        이은영(Eun Young Lee),하지완(Ji Wan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적 의미표상과 시각적 의미표상을 비교하는 것이다. 언어적 방법 이외에 그림 과제를 통하여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시각적 의미표상 능력을 알아보고, 그 수행력을 언어적 의미표상과 비교하였다. 방법: 4-6세의 단순언어장애 집단 15명과 생활연령일치 일반 집단 15명, 언어연령일치 일반 집단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미표상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의미 설명하기'와 '그림으로 표현하기' 과제를 실시한 후, 집단 간 두 과제의 수행력 차이를 비교하고 두 과제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의미 설명하기 과제에서 단순언어장애 집단은 생활연령일치 일반 집단보다 수행력이 유의하게 떨어졌으나, 언어연령일치 일반 집단과는 차이가 없었다. 집단에 상관없이 기능적 반응은 관계적, 물리적, 분류적 반응보다, 관계적 및 물리적 반응은 분류적 반응보다 유의하게 많이 발생하였다. 그림으로 표현하기 과제에서 단순언어장애 집단의 수행력은 생활연령일치 일반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나, 언어언령일치 일반 집단보다는 유의하게 높았다. 의미 설명하기와 그림으로 표현하기 과제는 유의하게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논의 및 결론: 단순언어장애 집단이 언어뿐 아니라 시각적 의미표상에도 결함을 보인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와 그림이 하나의 의미표상을 공유하고 있거나 또는 각 의미표상이 서로 활발하게 상호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와 관련하여 언어치료 임상현장에서 고려하여야 할 바를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overcome the unsuitableness of accessing the semantic representation of language by using linguistic methods targeting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compare linguistic semantic represen-tation and visual semantic representation by targeting a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a chronological age (CA)-matched group, and a language ability (LA)-matched group. Methods: Fifteen children (aged 4-6 years) in the SLI group, 15 in the CA group, and 15 in the LA group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o assess semantic representation in the three groups, 'explaining the meaning' and 'expressing with a picture' were performed. Results: In the expressing the meaning task, the SLI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n linguistic se-mantic representation than the CA group. In the percentage of response types, functional respon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relational, physical, and classificational responses and relational and physical respon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lassificational re-sponses. In the expressing with a picture task, the SLI group's visual semantic represent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A. In addition, even though the SLI group's correct re-sponse score was higher than LA, SLI tended to omit typical characteristics of items, unlike LA.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formance on explaining the meaning and expressing with picture task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children with SLI have difficulties in semantic representations visually as well as linguistically. When considering this and prior research, we cannot deny that lin-guistic semantic representation and visual semantic representation actively interact.

      • KCI등재

        교차언어 연구를 통한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의 수용어휘력 평가

        임동선(Dongsun Yim),윤사라(Sara Yoon),이지연(Jiyeon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이중언어아동의 어휘 평가 시, 일반적으로 단일언어아동을 대상으로 제작된 표준화 검사도구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중언어아동이 사용하는 두 언어 중 한 언어만을 평가한다면, 언어능력을 과소평가하여 언어장애로 과잉 진단할 우려가 있다. 이중언어아동의 연령 증가와 언어경험의 변화를 겪으면서 우세/비우세 언어가 전환될 수 있는데, 두 언어권의 검사도구에 대한 적용이 가능한 상황에서 우세언어에 따라 검사도구 선택에 영향을 주는지, 검사결과를 통해 우세언어를 파악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42명의 만 3-6세 아동들(단일언어 vs. 한국어우세 이중언어 vs. 영어우세 이중언어)을 대상으로 수용어휘력 검사 REVT-R과 PPVT-IV를 실시하여 원점수 및 통합점수를 비교하였다. 통계처리는 공변량 분산분석,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수용어휘력검사에서 한국어만으로 평가한 경우, 한국어우세 이중언어아동집단과 단일언어아동집단의 원점수가 영어우세 이중언어아동집단보다 높았으나 한국어우세 이중언어아동집단과 단일언어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어와 영어로 평가한 경우, 한국어우세 이중언어아동집단과 영어우세 이중언어아동집단의 통합점수는 단일언어아동집단의 원점수와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통합점수 방식은 이중언어아동의 수용어휘력을 적절히 평가할 수 있었으며, 우세언어 및 비우세언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 또한 가능하게 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이중언어아동의 수용어휘력 평가를 위해 표준화된 언어평가도구의 적용이 가능하지만 우세언어와 비우세언어를 제시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하며, 우세언어에 따라 두 언어권에 해당되는 검사도구 중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Objectives: Standardized tests are generally used in clinical settings in order to evaluate vocabulary size. However, this method may either overestimate or underestimate bilingual children’s vocabulary skill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standardized tests used with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ho have a different dominant languag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ocial status of a language may influence bilingual chil¬dren’s language outcomes and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composite scoring systems in standardized tests. Methods: Forty-two participants age 3 to 6 formed three groups: Ko¬rean-English bilinguals who speak Korean dominantly (KD-KEB), Korean-English bilinguals who speak English dominantly (ED-KEB), and monolinguals who speak Korean (K-MO).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and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fourth edition (PPVT-IV) were used; raw score and composite scoring systems were com¬pared (within groups). Results: The raw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ho are dominant in Korean and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ho are dominant in English an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ho are dominant in Korean and Korean speaking monolingual children. How¬ever, the three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mposite scores of REVT-R and PPVT-IV. Conclusion: Standardized tests can be used to evaluate bilinguals’ receptive vo¬cabulary if composite scoring systems are applied. Thus, standardized test can be used se¬lectively based on dominant language.

      • KCI등재

        교육환경과 언어치료 분야의 협력을 위한 학령기 다문화아동 이중언어 사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정민지,황상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아동의 이중언어 사용과 관련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경험, 인식 등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언어치료 분야와의 협력과 연계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선행연구 분석과 교사 집단면담을 통해 기초설문지를 구성하고 예비실험을 거쳐최종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전라북도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189개의 설문지를 수거하고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통해 결과를 산출하였다. 결과: 교사의 57.5%가 다문화 관련 수강을 하였고 아동의 학교생활문제, 언어발달에 관한 교사 교육 요구가 높았다. 다문화아동 중 20.4%가 이중언어를 사용하고 있었고, 교사 중 31.2%는 이중언어습득을 권유하였다. 교사들은 이중언어습득에대하여대체로긍정적이었으나대다수의교사가한국어를먼저배워야한다고생각하고있었다. 이중언어교육의필요성에대해서도 긍정적이었으며, 이중언어교육은 부모, 언어발달지도사, 언어치료사 등이 제공해야 한다고 답하였다. 이중언어학습 시기는 유치원 때, 태어나자마자, 초등학교 시기 등의 순서로 응답하였다. 배경 변인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이중언어습득에서는 근무지역, 이중언어교육의 필요성에서는 연령, 경력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 논의 및 결론: 교사들은 다문화아동의 이중언어 사용에 대하여 긍정적이었으나 학업, 학교생활, 한국어습득 등의 문제를 시급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다문화아동들의 이중언어를 포함한 언어습득과관련하여교육현장과언어치료분야의협력과연계가필요하여보인다.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예측요인에 대한 데이터 마이닝 의사결정나무모형 분석 : 한국어와 어머니 모국어에 대한 4가지 언어사용 능력(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을 중심으로

        이은주(Eun Ju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2

        배경 및 목적: 언어와 밀접한 관련을 보이는 교차문화와 다문화에 대한 연구에 있어 다문화 수용성과 한국어와의 관련성에 대한 다문화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한국어와 외국어(다문화 청소년의 어머니 모국어)에 다양하게 노출되어 있는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한국어와 외국어 4가지 기능(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언어사용 능력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방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의 2차(2012년, 만11세) 1,439명과 5차(2015년, 만 14세) 1,238명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다문화 수용성을 예측하는 언어능력(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와 외국어, 다문화 청소년 어머니의 한국어)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의사결정나무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만 11세 초등학교 5학년 다문화 청소년에게 있어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말하기 능력과 다문화 청소년 어머니의 한국어 쓰기 능력이 다문화 수용성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만 14세 중학교 2학년 다문화 청소년에게 있어서는 다문화 청소년 어머니의 한국어 듣기능력과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듣기능력이 다문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예측하는 변수로서 작용하였다. 논의 및 결론: 우리가 다문화를 수용하는 것은 외국어 능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과 소수 다문화 대상자(이번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이 주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결과는 결혼이민자가정이 다수를 차지하는 한국 다문화 사회 특유의 현상일 수도 있으므로 결과 해석에 있어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다. Objectives: There have been no studies of the association betwee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n the studies of cross-cultu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both Korean and foreign languages (multicultural mother’s native language) skills as factors that influence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Methods: A decision tre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skills (Korean and foreign languages) predicting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1,439 (2012 yr. 11 years old) and 1,238 (2015 yr. 14 years old)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MAP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urvey) by the NYPI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Result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who are 11 years old and in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abil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speak Korean and the ability of mothers to write in Korean predic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who are 14 years old and in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the ability of foreign mothers to listen to Korean language and the ability of multicultural teenagers to listen to Korean language acted as variables to predict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Conclusion: It is not by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that we embrace multiculturalism, but by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minority multicultural subjects (mother of multicultural families) that are the main influences in this study. However, these findings may be unique to Korea’s multicultural society, where marriage immigrants account for a majority, so there is caution in interpreting the results.

      • KCI등재

        수화-구화 이중언어와 수화 단일언어 사용에 따른 청각장애 청소년의 상위언어 능력과 실행기능에 관한 연구

        전송이(Song-I Cheon),하승희(Seung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2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talinguistic abilities based on grammaticality-semanticality judgment tasks and executive functions in sign-speech bilingual and sign monolingual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ecutive function and metalinguistic ability in sign-speech bilingual and sign monolingual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wenty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at achronological age between 12 to 16 years and their language age was between 8 and 10 years old. The first group consisted of ten students using sign language only and the second group included ten students using both sign and oral language in their daily life. The grammaticality-semanticality judgment tasks consisted of twenty sentences with an equal number of four sentence types and grammatically incorrect sentences involving case particle errors. The test tools used for measuring the executive function were the computerized continuous performance tests(CCPT),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WCST), maze test, and digit span test. This study investigated four domains of the executive function in the two groups: attentional control, shifting, planning, and working memory. Result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cores for sign-speech bilingual students and sign monolingual students of grammaticality-semanticality judgment tasks by GM sentence typ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ther sentence types.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ign-speech bilingual students and sign monolingual students in the measures associated with executive function. (3)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etalinguistic total score and the completed category of WCST(shifting) and the commission error of the CCPT(attentional control) in the sign-speech bilingual students group.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ign monolingual students have greater difficulty completing grammaticality-semanticality judgment tasks with GM sentence types than sign-speech bilingual studen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ign monolingual group might have less knowledge of language or greater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task than the signspeech bilingual group. In addition,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etalinguistic ability and the executive functions including shifting and attentional control suggest that the experience of learning and using two languages may contribute to the positive development of certain metalinguistic skills.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수화-구화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청각장애 청소년과 수화만을 사용하는 청각장애 청소년의 문법-의미판단과제를 이용한 상위언어능력과 실행기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생활연령이 만 12∼16세에 해당하며 언어연령이 8∼10세로 통제된 청각장애 청소년으로, 첫 번째 집단은 수화를 단일언어로 사용하는 학생 10명, 두 번째 집단은 수화-구화를 이중언어로 사용하는 학생 10명이다. 상위언어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 문법-의미 판단과제는 총 20문항으로 격조사 오류를 문법요소로 하여 4가지 유형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의 실행기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전산화된 연속수행검사(CCPT), 위스콘신카드분류검사(WCST), 미로과제, 숫자 따라외우기 과제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두 집단의 주의통제력, 전환능력, 계획능력 그리고 작업기억을 반영하는 실행기능을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수화-구화 이중언어 사용 집단과 수화를 단일언어로 사용하는 집단 간 옳은문법-옳은의미(GM) 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나머지 세 유형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수화-구화 이중언어 사용 집단과 수화를 단일언어로 사용하는 집단 간 실행기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수화-구화 이중언어 사용집단에서 상위언어능력 총점과 전환능력을 측정하는 WCST의 완성범주수, 주의통제력을 측정하는 CCPT의 오경보 오류수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는 수화를 단일언어로 사용하는 학생이 수화-구화를 모두 사용하는 학생에 비해 문법-의미 판단과제에서 문법과 의미유형 모두 올바른 유형 판단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화 단일언어 사용자가 수화-구화 이중언어 사용자에 비해 언어적 지식이 부족하거나 과제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수화-구화 이중언어 사용자에게서 나타난 상위언어능력과 전환능력과 주의통제력과 관련된 실행기능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수화-구화를 동시에 습득하고 사용하는 경험이 상위 언어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취학전 이중언어아동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이수복(Soo-bok Lee),심현섭(Hyun Sub Sim),신문자(Moon-Ja Sh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2 No.2

        배경 및 목적: 4~6세 이중언어아동(14명)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영어 상황에서 총비유창성 빈도 및 유형별 빈도를 산출하여 단일언어아동 자료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만 4~6세의 총 28명(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 14명,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한국어 단일언어아동 14명)을 대상으로 하여 놀이상황 및 과제상황에서 총비유창성 빈도, 비유창성 유형을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총비유창성 평균빈도는 단일언어아동보다 이중언어아동에서 3배 이상 차이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정상적 비유창성 빈도 역시 이중언어아동집단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유형별로는 간투사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놀이상황보다 과제상황에서 비유창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중언어아동의 우세언어, 비우세언어에 따른 결과는 비우세언어에서 비유창성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우세언어에서도 비유창성이 정상 기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유창성 유형은 우세언어, 비우세언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정상적 비유창성인 간투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표현언어검사 점수가 높을수록 비유창성 빈도가 적게 나타났으며, 생활연령, 제2언어 노출 연령이 어릴수록 비유창성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중언어아동과 단일언어아동의 비유창성 특성을 구분짓는 질적, 양적 차이는 비유창성 유형에 따른 빈도에서 찾을 수 있었다. 비우세언어에서 관찰된 비유창성은, 언어능력이 비유창성에 영향을 주며 이중언어아동이 언어에 숙달된 정도가 비유창성에 중요한 요소임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isfluency between Korean-English bilingual and Korean monolingual children. Methods: Twenty-eight children (14 bilinguals, 14 monolinguals with the same chronological age[C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tasks consisted of play situation and task situation. Statistical methods of one-way ANOVA and repeated two-way ANOVA were adopted to test differences between the bilinguals and the monolinguals, and Mann-Whitney was adopted to test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dominant and the English-dominant bilinguals. Results: Firstly, the scores of total disfluency and normal disfluency of the bilingua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monolinguals. The most frequent type of disfluencies was interjection in both groups. All showed higher score in the task situation than the play situation. Secondly, the bilinguals showed more disfluencies in their non-dominant language. Thirdly, lower CA, younger exposure age to the second language, and lower scores of expressive language test had negative effects on the occurrence rate of disfluency. Discussion & Conclusion: Bilingual and monolingual children we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different each other in scores and types of disfluency. The disfluency observed in non-dominant language of the bilinguals indicates that language ability influences on their disfluencies and that language proficiency of bilingual is an important factor in dysfluent spee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