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중도 한국어 실어증 환자의 어휘인출결함 진단에 연결주의(connectionism) WebFit 프로그램의 적용

        하지완(Ji-Wan Ha),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연결주의 의미-음운(semantic-phonological: SP, 이하 SP) 모델의 WebFit 프로그램을 한국어에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지 살펴보고, WebFi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어휘인출결함 특성에 따라 한국어 실어증 환자를 두 집단(S-L 집단과 L-P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방법: WebFit 프로그램이 근거를 두고 있는 SP모델은 영어권 화자를 대상을 한 모델인 만큼,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에 SP 모델을 적용할 경우 해당 언어가 영어와 유사한 오류 분포율을 보인다는 것을 제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이름대기 과제(K-BNT) 시 발생하는 오류 분포율이 영어권과 유사하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실험 1). 그러고 나서 한국어 실어증 환자 20명을 WebFi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S-L 집단과 L-P 집단으로 분류한 후, 집단 분류가 적절하게 되었음을 밝히기 위하여 Goodglass (1993)와 Hadar et al. (1998)의 연구에 근거하여 두 집단 간 음소 착어 비율, 의미 착어 비율, 따라말하기 점수를 비교하였다(실험 2). 결과: 한국어(K-BNT)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어와 비단어 비율은 각각 18.2%, 81.7%, 단어 내 오류 비율은 의미 오류 0.7%, 형태 오류 9.8%, 혼합 오류 0.5%, 비관련 오류 9%의 비율로 나타났다. 이것은 Dell et al. (1997)이 제시한 오류 분포율의 패턴과 매우 유사한 것이다. 20명의 대상자들에게 WebFit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S-L 집단(10명)과 L-P 집단(10명)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의미 착어 비율은 S-L 집단이 L-P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음소 착어 비율은 L-P 집단이 S-L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S-L 집단에 비하여 L-P 집단은 따라말하기 점수가 유의하게 떨어졌다. 논의 및 결론: 한국어(K-BNT)에서 나타날 수 있는 오류 분포율이 SP모델을 기반으로 한 영어권의 오류 분포율과 매우 유사하므로, 연결주의 WebFit 프로그램을 한국어 대상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WebFi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한국어 실어증 환자들을 S-L 집단과 L-P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두 집단의 분류는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WebFit 프로그램을 한국어 실어증 환자들에게 적용할 때 고려하여야 할 점과 제한점 등을 논의 부분에 제시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applying WebFit, a connectionist SP-model program, to the Korean population. This study also aim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classifying Korean aphasiacs into two groups (S-L and L-P) according to lexical retrieval failure pattern using WebFit. Methods: The SP-model on which the WebFit program is based is aimed at English speakers. Therefore, when applying the model to a language other than English, the error distribution rates should be similar to those for English. Thus, this study reviewed the distribution rates of errors occurring in K-BNT to evaluate whether they are similar to the error distribution rates in English (Experiment 1). Twenty Korean aphasics were classified into the S-L or L-P group using WebFit. The phonemic paraphasia rates, semantic paraphasia rates, and repetition score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based on studies by Goodglass (1993) and Hadar et al. (1998) in order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group classification (Experiment 2). Results: The word rate and the nonword rate in K-BNT were 18.2% and 81.7%, respectively. Among the error rates in the words, the semantic error rate was 0.7%, while the formal, mixed, and unrelated error rates were 9.8%, 0.5%, and 9%, respectively. These results are very similar to the error distribution rates suggested by Dell et al. (1997). Through the application of WebFit, the 20 subjects were classified ten into the S-L group and ten into the L-P group. The semantic paraphasia rate of the S-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L-P group (p < 0.05), while the phonemic paraphasia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P group (p < 0.05). Moreover, the repetition score of the S-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L-P group (p < 0.01). Discussion & Conclusions: The connectionist program WebFit can be applied to Korean subjects as the error distribution rates in K-BNT are similar to those in English on which the SP model is based. This study also verified that Korean aphasiacs can be classified into the S-L group and the L-P group using WebFit. Moreover, such classification seems appropriate considering that the two group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onemic paraphasia, semantic paraphasia, and repetition scores. Points of consideration and limitations of the application of WebFit to Korean aphasiacs are suggested in the discussion section.

      • KCI등재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구어와 문어 문장산출 능력 비교

        하지완(Ha, Ji-Wan),편성범(Pyun, Sung-Bom),황유미(Hwang, Yu Mi),이호영(Yi, Hoyoung),심현섭(Sim, Hyun Sub) 한국음성학회 2013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5 No.3

        Traditionally it has been assumed that written abilities are completely dependent on phonology. Therefore spoken and written language skills in aphasic patients have been known to exhibit similar types of impairment. However, a number of latest studies have reported the findings that support the orthographic autonomy hypoth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fluent aphasic patients have discrepancy between speaking and writing skills, thereby identifying whether the two skills are realized through independent processes. To this end, this study compared the K-FAST speaking and writing tasks of 30 aphasia patients. In addition, 16 aphasia patients, who were capable of producing sentences not only in speaking but also in writing, were compared in their performances at each phase of the sentence production process. As a result, the subjects exhibited different performances between speaking and writing, along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 skills at positional and phonological encoding phases of the sentence production process. Therefore, the study"s results suggest that written language is more likely to be produced via independent routes without the mediation of the process of spoken language production, beginning from a certain phase of the sentence production process.

      • KCI등재

        알츠하이머 치매 및 치매의심 집단과 정상 노인의 발화 비교분석을 통한 삽입어(filler)의 기능 연구

        하지완(Ji-Wan Ha),정윤희(Yoon Hee Jung),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구문적, 어휘적, 인지적 처리과정과 관련하여 삽입어의 기능을 밝히는 것으로, 알츠하이머 치매 집단, 치매의심 집단, 그리고 정상 노인의 발화에서 나타난 삽입어를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치매의심군, 경도 치매군, 중도 치매군과 정상인 각 10명씩의자발화를 수집한 후, 자발화 상에서 나타나는 총 삽입어 비율을 집단 간 비교하였다. 그런후, 구문적 측면에서는 긴 발화와 짧은 발화의 삽입어 비율을, 어휘적 측면에서는 ‘삽입어+대체어’의 비율을 비교하였고, 인지적 측면에서는 전체 발화 샘플을 단순그림, 연속그림, 설명과제로 분류하여 각 과제에서 삽입어 비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발화샘플 전체에 대한 총 삽입어 비율은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집단에 상관없이 모든 피험자는 짧은 발화보다 긴 발화에서삽입어를 더 많이 산출하였고, 긴 발화에 대한 집단 간 삽입어 비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경도치매 집단은 정상 집단보다, 중도 치매 집단은 정상 집단과 치매의심 집단보다 ‘삽입어+대체어’를 더 많이 사용하였고, 중도 치매 집단은 설명 과제에서 정상 집단보다 삽입어를 더 많이사용하였다. 논의 및 결론: 총 삽입어의 비율을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구체적으로 삽입어가 어떠한 경우에 출현하는가를 분석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삽입어의 기능적인 특성을 분석하여 화자의 언어-인지적인 문제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Background & Objective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fillers in the utterances of questionable dementia, mild and moderate Dementia of Alzheimer’s Type (DAT), and normal elders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fillers in relation to the utterance length, lexical retrieval, and cognitive demand. Methods: The total ratios of the filler were compared among groups. For utterance length, we compared the ratios of the filler between short utterances and long utterances within each group and the ratios of the filler of each utterance among groups. We also compared the ratios of ‘filler + substitute’ and the ratios of the filler of each task among groups in relation with lexical retrieval and cognitive demand, respectively. Results: None of the groups differed in their overall filler quantity. Long utterances had significantly more fillers than short utterances in all groups, and the ratios of the filler of each utteran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However, the ratios of the substitute following the fill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ild DAT patients and normal elders and between moderate DAT patients and normal elders or elders with questionable dementia. Also, the ratios of the filler in the explanatory task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oderate DAT patients and normal elders. Discussion &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we can obtain valuable information on a speaker’s linguistic and cognitive difficulties by examining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fillers in spontaneous speech.

      • KCI등재

        유창성장애 집단과 정상 집단의 간투사 비교연구

        하지완(Ji-Wan Ha),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3

        배경 및 목적: 간투사는 말더듬 집단뿐만 아니라 정상 집단에서도 많이 나타나는 정상적인 비유창성 유형이며, 또한 비유창성 평가시 사용되고 있는 비유창성 유형이다. 본 연구는 말더듬 아동집단 및 말더듬 성인집단의 간투사 비율을 정상 아동집단 및 성인집단과 각 각 비교하였고 각 집단이 보이는 간투사의 사용 특성과 역할을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말더듬 아동, 정상 아동, 말더듬 성인, 정상 성인 각각 15명으로부터 자발화를 수집, 전사한 후 집단 간 단일간투사와 복합간투사의 사용비율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각 집단의 피험자를 대상 으로 간투사 사용비율이 발화길이와 구문복잡성과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하였고, 나아가 간투 사가 포함된 발화와 간투사가 포함되지 않은 발화 사이에 발화길이와 구문복잡성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단일간투사 사용비율은 아동집단과 성인집단 모두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복합간투사 사용비율은 아동집단 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성인집단 간에서는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상아동 집단은 간투사 비율과 발화길이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 나, 나머지 세 집단은 간투사 비율과 발화길이 및 구문복잡성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모든 집단에서 간투사가 포함된 발화는 간투사가 포함되지 않은 발화보다 유의하게 더 길 었고 구문이 더 복잡하였다. 논의 및 결론: 간투사의 사용비율은 말더듬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기 보다는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유창성 평가 시 개인차이가 큰 평가항목은 신중하게 적용해야 하며, 아동의 간투사를 평가할 경우는 발화길이와 구문복잡성을, 성인의 경우는 간투사의 반복횟수를 고려하여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Some of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the frequencies of interjection did not differ between people who stutter (PWS) and people who do not stutter (PWN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frequencies of interjection between PWS and PWNS and to investigate the interjectional characteristics in each group. Methods: The ratios in single interjections and multiple interjections were compared between children who stutter and children who do not stutter, and between adults who stutter and adults who do not stutter.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mean utterance length and mean syntactic complexity in each group were associated with changes in frequency of interjections, and whether utterance length and syntactic complex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utterances with interjection and utterances without interjection within a subjec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multiple interjectional ratio between adults who stutter and adults who do not stutter. Pearson correlations in interjectional ratio-utterance length and in interjectional ratio-syntactic complexity were not significant except in children who do not stutter. Utterances with interjection were significantly more complex and longer than utterances without interjection. Discussion &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interjectional ratios should be qualitatively as well as quantitatively compared between PWS and PWNS.

      • KCI등재

        한국판 프렌차이 실어증 선별검사 (Korean version of Frenchay Aphasia Screening Test: K-FAST)의 신뢰도와 타당도

        하지완(Ji-Wan Ha),편성범(Sung-Bom Pyun),이호영(Ho Young Lee),황유미(Yu-mi Hwang),남기춘(Kichun Na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뇌손상 환자에서 한국판 프렌차이 실어증 선별검사(Korean version of Frenchay Aphasia Screening Test: K-FAST, 이하 K-FAST)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였다. 방법: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50명의 실어증 환자와 42명의 비실어증뇌손상 환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Chronbach’s ɑ를 통해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Kendall’s coefficient of concordance를 산출하여 검사자간 신뢰도 및 재검사 신뢰도를검정하였다. 총 검사와 하위 검사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구인타당도를 측정하였고, P․K-WAB과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공인타당도를 검정하였다. ROC 곡선을 분석하고 정상인 평균의 -1 표준편차 값을 적용한 절단점을 이용하여 민감도와 특이도를 구하였다. 결과: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총 검사 .88, 간략형 검사 .81), 검사자간 신뢰도(총 검사 .92, 간략형 검사.94), 재검사 신뢰도(총 검사 .979~ .990, 간략형 검사 .979~ .998)에서 높거나 매우 높은 신뢰도가 입증되었다. 구인타당도(총 검사와 하위 검사 간 .820~ .973, 간략형 검사와 하위 검사간 .737~ .910)와 공인타당도(총 검사와 실어증지수 간 .904, 간략형 검사와 실어증지수 간.910) 검정 결과 우수한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ROC 곡선 분석 결과에서는 진단유용성을 입증하지 못 하였지만, 절단점을 적용한 민감도와 특이도 산출 결과 특이도는 낮지만 민감도는높은 검사로 평가되었다(총 검사의 민감도 90.0%, 특이도 31.0%, 간략형 검사의 민감도 88.0%,특이도 28.6%). 논의 및 결론: K-FAST는 신뢰도, 타당도, 민감도가 높은 검사도구라고 할수 있다. 그러나 뇌손상 환자들의 특성은 검사의 특이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실어증 뿐 아니라 기타 인지 의사소통장애 여부를 선별해주는 도구로 K-FAST를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Early identific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aphasia are important steps in maximizing rehabilitation gains. A routine screening test is an invaluable tool in the identification and appropriate referral of patients with potential communication problems. Nevertheless, there is nostandardized aphasia screening test availabl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renchay Aphasia Screening Test (K-FAST). Methods: We used test data from 50 aphasic patients and 42 non-aphasic, brain-damaged patients. An internal consistency and intra-/inter-rater reliabilities of the K-FAST were analyzed by the Cronbach’s ? value and Kendall's coefficient of concordance, respectively. A constructive validity through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and subtest scores and a concurrent validity through correlations between the scores of the K-FAST and K-WAB were measured. The diagnostic accuracy of the K-FAST in brain-damaged patients was measured by the area under the ROC curve, whil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evaluated using the cut-off value of the normal data. Results: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indices of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intra-/inter-rater reliabilities of the K-FAST showed good reliabilities. There were significantly strong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and subtest scores of the K-FAST, and between the scores of K-WAB and K-FAST. For detecting aphasia among brain-damaged patients, the sensitivity was high while the specificity was low. Discussion & Conclusion: Our results show that K-FAST could be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screening Korean Aphasics. However, the specificity of the K-FAST appeared to be adversely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ain-damaged patients.

      • KCI등재

        Developmental Analysis in Korean Children’s Speech Production Using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and Whole-Word Measurements

        하지완(Ji-Wan Ha),김수진(Soo-Jin Kim),김영태(Young Tae Kim),신문자(Moonja Sh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연령별로 충분한 수의 아동들에 대해 다양한 말소리발달 지표로 말소리 산출능력을 측정한 후 그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포괄적인 말소리발달 단계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서울,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및 제주도 지역의 2세 후반부터 7세까지 일반아동들에게 UTAP2의 단어수준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음정확도, 개정자음정확도, 단어단위정확률, 평균음운길이, 단어단위근접률의 다양한 지표를 이용하여 아동들의 말소리 산출능력을 평가하였다. 2세 후반부터 5세까지는 6개월 단위로, 6세와 7세는 1년 단위로, 연령을 9개의 집단으로 구분한 후, 각 말소리지표에 대해 연령집단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모든 지표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연령 간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PCC와 PCC-R은 4세 후반까지, 단어단위 음운지표들은 5세 초반까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지표값들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와 선행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1세부터 2세 초반까지 ‘말소리 생성기’, 2세 후반부터 3세 초반까지 ‘말소리 목록 확장기’, 3세 후반부터 4세 후반까지는 ‘말소리 정교화기’, 5세 초반부터 6세까지는 ‘말소리 습득 안정기’로 말소리발달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omprehensive model for speech sound development by comparing the results of performance with segmental and wholeword measurements on the data collected for a large number of children by age. Methods: We conducted a word-level test of the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2 (UTAP2) for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rom 2 to 7 years of age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do, Kyongsang-do, Jeolla-do and Jeju-do in Korea. We assessed children’s speech production using various measurements of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PCC),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revised (PCC-R), proportion of whole-word proximity (PWP), phonological mean length of utterance (PMLU), and proportion of wholeword correctness (PWC). After dividing the ages into nine groups, we compared the differences in speech production according to gender and age group at each speech index.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indicators between sexes, but ag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PCC and PCC-R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ndex values until the age of 4 years and 11 months old, and the whole-word measurements increased significantly until the age of 5 years and 5 months ol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nd the following model is proposed for speech sound development: ‘production period of speech sound’ (age from 1 to early 2), expansion period of the speech sound inventory’ (age from late 2 to early 3), ‘elaboration period of speech’ (age from late 3 to late 4), and ‘stabilization period of speech acquisition’ (age from early 5 to age 6).

      • KCI등재

        파라다이스-유창성 검사(Paradise-Fluency Assessment: P-FA)에 대한 언어치료전문가들의 견해

        하지완(Ji-Wan Ha),이은주(Eunju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파라다이스-유창성 검사(Paradise-Fluency Assessment: P-FA,이하 P-FA)에 대한 언어치료전문가들의 평가와 의견을 분석한 것이다. 방법: 유창성장애 전문가 6인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전사한 모든 면담내용을 텍스트 문서로 전환한후 Nvivo 2 (2002)를 사용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는 ‘P-FA를 환영하다’,‘P-FA에게 바란다’, ‘서로 다른 곳을 보다’, ‘P-FA를 넘어 말더듬을 만나다’의 4개 주제로정리되었다. 각 주제의 하위주제들을 살펴보면, ‘P-FA를 환영하다’에서는 시간단축과 편리함,유창성 외 영역의 정보 제공, 깊이 있는 정보 제공, 그리고 표준화검사 환영이, ‘P-FA에게바란다’에서는 채점 및 해석 방법 보완, 과제와 자료의 보완, 전반적 판단과 일치가, ‘서로다른 곳을 보다’에서는 선별검사의 역할 요구, 심화된 검사의 역할 요구, 그리고 과제의 목적에 대한 견해차가, ‘P-FA를 넘어 말더듬을 만나다’에서는 샘플의 대표성 문제, 훈련과 경험의필요성, 무엇이 말더듬인가?, 표준화 검사의 한계, 그리고 핸디캡 파악이 각각의 하위주제로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들은 추후 P-FA를 개정하는데 중요한 방향을 제공할 것이며, 사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고 더욱 유용한 유창성장애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데에도움이 될 것이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aradise-Fluency Assessment (P-FA) is a norm-referenced fluency assessment tool that can be used for both clinical and research purpose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stimates, suggestions and requests provided by specialized users regarding P-FA. Method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speech-language pathologistswho specialize in stuttering.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by the qualitative method using Nvivo 2 (2002). Results: Four main themes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1) advantages of P-FA,(2) suggestions about P-FA, (3) disagreement between developers and users of P-FA,and (4) issues of stuttering beyond P-FA. Advantages of and suggestions about P-FA mean user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with P-FA, respectively. From disagreement between developers and users, we concluded that P-FA developers’ intentions were not effectively delivered to the users. Issues of stuttering itself were also raised in all interview processes.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used to improve and to implement the P-FA as a fluency assessment tool in a more effective manner.

      • KCI등재

        Developmental Phonological Error Patterns in a Word-Level Test for Children Aged 2-7 Years Old

        하지완(Ji-Wan Ha),김수진(Soo-Jin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단어 수준 발화에서 일반 아동의 발달 과정 중 나타나는 발달적 오류패턴의 연령 별 발생률을 비교하고, 각 오류패턴에 대해 정상발달로 간주할 수 있는 연령대를 규정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 지역의 2세 후반부터 7세까지 일반 아동 620명을 대상으로 UTAP2의 단어 수준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반응에 대해 음운 오류패턴 분석을 실시한 후, 연령 집단 간 평균 오류패턴 발생률을 산출하고 일원분산분석을 이용하여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모든 연령집단에서 10% 이상의 아동들이 사용한 오류패턴들을 파악하여, 각 오류패턴에 대해 정상발달로 간주할 수 있는 연령 기준을 마련하였다. 결과: 음절구조 변동, 음운대치 변동, 동화 변동, 왜곡 변동 중 음운대치 변동의 발생률이 가장 높았고, 특히 마찰음의 파열음화, 파찰음의 파열음화, 유음생략과 같은 방법 변동이 두드러졌다. 연구개음의 전방화와 경음화는 2세 후반 또는 3세 초반, 어말종성생략과 유음의 활음화는 3세 후반, 어중종성생략, 유음생략, 마찰음의 파열음화, 파찰음의 파열음화와 어중종성역행동화는 4세 후반, 유음의 비음화는 5세 초반, 치경마찰음의 치간음화는 7세까지 정상발달로 간주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전국 규모의 대규모 일반 아동 집단을 대상으로 발달적 오류패턴의 분류 체계를 확립하고, 연령에 따른 발생률과 정상발달 오류패턴의 양상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paper reports a developmental study on two aspects of phonological error patterns: The incidence rate of error patterns and age-appropriate error patterns by age. Methods: Speech samples of 62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d between 2;6 and 7;11 years, randomly selected throughout Korea, were collected through the word-level test UTAP2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2). After performing error pattern analysis on the response data, the incidence rates of error patterns among age groups were compared; and by analyzing the error patterns used by at least 10% of the children in the same age group, age-appropriate error patterns error patterns were identified. Results: The incidence rate of phonological substitution patterns was the highest, and in particular, stopping of fricatives and affricates and liquid deletion were the most frequent. The age-appropriate error patterns were identified as follows. Velar fronting and tensing up to late 2 or early 3 years old, word-final code deletion and gliding of liquid up to late 3 years old, deletion of word-medial coda deletion, liquid deletion, stopping of fricatives and affricates, and assimilation of word-medial coda up to late 4 years old, nasalization of liquid up to early 5 years old, and (inter) dentalization up to 7 years old, all of which were age-appropriate.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d a classification system of developmental error patterns, and identified age-appropriate error patterns from a large sample of children by age.

      • KCI등재

        어휘인출과 구어동반 제스처의 관계

        하지완(Ji-Wan Ha),심현섭(Hyun Sub Sim) 한국인지과학회 2011 인지과학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구어동반 제스처가 어휘인출과정의 개념화와 어휘화 가운데 어떠한 단계와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제스처와 발화 분석을 위하여, 모 방송국의 TV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중 제시된 목표단어의 의미를 설명하여 전화상대방이 그 단어의 이름을 맞추게 하는 게임의 동영상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자료로 이와 같은 TV 자료를 선택한 이유는 프로그램의 게임과제가 어휘인출의 개념화 과정과 어휘화 과정을 동시에 유도할 수 있는 과제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20회의 동영상 자료를 재생하여 목표단어와 목표단어 설명과정에서 출연자들이 산출한 발화를 전사하고, 출연자들이 사용한 제스처를 어휘 제스처(lexical gesture)와 운동 제스처(motor gesture)로 구분하여 기록하였다. 구어동반 제스처가 어휘인출과정의 개념화와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구체적 단어와 추상적 단어 설명 시 동반된 제스처의 사용양상이 다른지, 그리고 단어 개념의 난이도와 제스처 양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제스처가 어휘인출과정의 어휘화와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출연자가 목표단어 설명 시 산출한 발화의 단어 양과 제스처 양, 그리고 저빈도어 비율과 제스처 양사이의 상관관계를 각각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단어 개념의 심상성(imageability)에 따라 유의하게 많이 동반되는 제스처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구체적 단어 설명 시에는 추상적 단어 설명 시보다 어휘 제스처가 유의하게 많이 동반되었고, 추상적 단어 설명 시에는 구체적 단어 설명 시보다 운동 제스처가 유의하게 많이 동반되었다. 또한 구체적 단어의 경우 개념의 난이도와 제스처 양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목표단어 설명 시 산출된 발화의 단어 양과 제스처 양, 저빈도어 비율과 제스처 양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구어동반 제스처가 어휘인출 과정의 개념화부를 반영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이제까지 많은 연구들에서 간과되어 왔던 운동 제스처의 기능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을 것이다. At what point in the process of speech production are gestures involved? According to the Lexical Retrieval Hypothesis, gestures are involved in the lexicalization in the formulating stag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ackaging Hypothesis, gestures are involved in the conceptual planning of massages in the conceptualizing stage. We investigated these hypotheses, using the game situation in a TV program that induced the players to involve in both lexicalization and conceptualization simultaneously. The transcription of the verbal utterances was augmented with all arm and hand gestures produced by the players. Coverbal gestures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of gestures: lexical gestures and motor gestures. As a result, concrete words elicited lexical gestures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than abstract words, and abstract words elicited motor gestures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than concrete words. The difficulty of conceptualization in concrete word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lexical gestures. However, the amount of words and the word frequency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both gestures. This result supports the Information Packaging Hypothesis. Most of all, the importance of motor gestures was inferred from the result that abstract words elicited motor gestures more frequently rather than concrete words. Motor gestures, which have been considered as unrelated to verbal production, were excluded from analysis in many gestural studies. This study revealed motor gestures seemed to be connected to the abstract conceptualiz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