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등학교 급식종사자들의 위생관련 업무 수행도 분석

        홍완수,윤지영 한국조리과학회 200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ethods for foodservice employees to perform by measuring their levels of sanitation and hygiene practices. The employees' sanitation and hygiene competency list for school foodservice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job standardization. The competency list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1) before starting the work, (2) during the work and (3) after the work. The levels of the employees' sanitation and hygiene practices were evaluated by dietitians and by the employees themselves. Most schools had conventional foodservice systems (83.4%), which were operated by contract management (94.8%). It was found that the highest practice level related to sanitation and hygiene before starting work, with the lowest levels observed after work. The item related to the cleaning and sanitizing of dishes had the lowest practice level score. Employees perceived their sanitation and hygiene practice after work to be worse than before starting and during work. The items of "Clean and sanitize all large stationary equipment after every use, and record equipment monitoring chart" and "Do not clean dishes and utensils in production area" had the lowest scores by employees. The scores of the employees were similar to the perception of the dietitians.

      • KCI등재

        Cone-beam CT를 이용한 제II급 부정교합 아동의 상기도 형태에 관한 3차원적 연구

        홍지숙,김대성,오경민,김윤지,이규홍,박양호 대한치과교정학회 201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0 No.3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olumes and areas of the upper airways in children with Class II malocclusion, using three dimensional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and to compare the volumetric and cross-sectional measurements and cephalometric variables to investigate possible relationships between the upper airway and facial morphology. Methods: CBCT scans were obtained from 37 subjects (17 boys and 20 girls; average age, 11.02 years). The upper airway volumes and areas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cephalometric variables. Results: The area of the PNS-posterior plane (SPP)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Class II malocclusion group (p < 0.05). Also, the volumetric and cross-sectional measurements were lower in Class II than in Class I malocclusion groups,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p > 0.05). The Class II malocclus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smaller values of PFH, mandibular body length, pog to N perp and showed larger values of FMA, ANB, and facial convexity than the Class I malocclusion group. The volume of the upper airway in front of PNS point (W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ANB (p < 0.05). Conclusions: The Class II malocclusion group had a narrower upper airway associated with a decreased posterior facial height and a divergent growth pattern than the Class I malocclusion group. 성장기 아동의 상기도 협착은 두개안면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3차원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제II급 부정교합 아동의 상기도 부피 및 단면적 계측치와 측모두부계측치를 비교하여 상기도와 안면 형태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7명의 아동(남자 17명, 여자 20명, 평균 연령 11.02세)의 CBCT를 촬영하였다. 연구 결과, 상기도의 PNS-posterior plane에서의 단면적(S_(PP))은 제II급 부정교합군에서 유의하게 작았다 (p < 0.05). 상기도 부피 계측치는 제II급 부정교합군에서 제I급 부정교합군보다 작았으나,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제II급 부정교합군은 후안모고경(PFH), mandibular body length (p < 0.05), Pog to N perp (p < 0.01)에서 제I급 부정교합군보다 유의하게 작은 값을 보였고, FMA (p < 0.05), ANB, facial convexity (p < 0.01)는 유의하게 큰 값을 보였다. 제II급 부정교합군의 PNS 전방의 상기도 부피(W_(N))는 ANB difference 각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 < 0.05). 제II급 부정교합 아동은 상대적으로 좁은 상기도 부피를 가지며 이에 따른 감소된 후안모고경(PFH)과 하악골의 divergent한 안면 성장 양상을 보였다.

      • Ni-ZnFerrite의 磁氣的 特性에 미치는 燒結온도의 영향

        尹志洪,朴奎殷,金奎用 제주대학교 1982 논문집 Vol.14 No.-

        Ni-Zn Ferrite는 1200℃이상의 온도에서는 소결성이 좋으며 Bi₂O₃를 첨가하여 소결한 것은 1250℃에서 최대투자율 2050을 얻었으며 보자력은 0.13 Oe로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주파수에 따른 초투자율은 높은 주파수 영역에서는 다른 조건에서 소결시킨 시료에 비하여 낮은 값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되는 주파수의 영역에 따라서 적절한 소결온도, 적절한 첨가물이 결정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 magnetic properties of Ni-Zn ferrites with additive(Bi₂O₃;0.3wt%)and without additive have been measured. The maximum permeability is 2050, the initial permeability is 1538 at 1.55MHz and the coersive force is 0.130Oe.

      • 구형도마와 신형도마에서 Yeo2동작의 운동학적 변인의 비교 분석

        여홍철,김윤지 한국스포츠리서치 2005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Yeo2 with old model vault and Lu Bin with new model vault by three dimensional image analysis method. From this analysis, I arriv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1. Lu Bin with new model vault took longer phase time and higher peak-height comparing to Yeo with old model vault. 2.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elocity of the old model vault was similar to the new model vault at tine time of touching down and taking off the board. The Lu's hip and shoulder joint angles were bigger than the Yeo's at the time of touching down and taking off the board.

      • 여행업 종사원의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인식에 관한 연구

        이윤섭,박지홍 문화관광연구학회 2001 문화관광연구 Vol.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ome desirables to build relationship with customer of Travel agency. In the future, the success and failure of travel agencies have to achieve effectively the corporate goals, positively coping with the corporat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professional management system with the strong international responsiveness. In this respect, They have to concentrate on the customers focused on the environments and give the priority of customer's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management. In travel agency management the importance of travel agency must be evaluated to form, develope and maintain building relationship with customer. It is possible for customer database marketing to attain the aim of marketing thru every activity by the stage of building relationship with customer, keeping relationship with customer, and interest maximization of both travel agency and customer.

      • KCI등재

        제4경추의 형태와 초경을 통한 성숙지표에 관한 연구

        이규홍,황용인,김윤지,박양호,백승학,차경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8 No.1

        본 연구는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성장 중인 아동의 제4경추 형태를 경추 몸체부 하연의 만곡 정도에 따라 분류하고 초경의 시기와 수완부 골 성숙 단계를 평가하여, 성장 중인 아동의 골격적 부정교합의 진단 및 악정형 치료를 위한 성장 시기 평가에 제4경추의 형태 변화가 진단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11-14세 여자 환자 중, 같은 날짜에 촬영된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사진과 수완부 방사선사진이 모두 있는 81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사진상 제4경추 몸체부 하연의 만곡 정도에 따라 세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Group A - 제4경추 몸체부 하연의 만곡 정도가 1.05 mm 이하, Group B -제4경추 몸체부 하연의 만곡 정도가 1.05- 2.07 mm 사이, Group C -제4경추 몸체부 하연의 만곡 정도가 2.07 mm 이상)세 그룹에서 각각 제4경추 몸체부의 수직 길이, 수평 길이, 수직/수평 비율, 초경의 시기, 수완부 골 성숙 단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평균 수완부 골 성숙 단계는 Group A가 SMI 5.67 ± 2.57단계, Group B는 SMI 8,73 ± 2.41 단계, Group C는 SMI 10.00 ± 1.47단계로 나타났다. GroupA에서 Group B, Group C로 갈수록 제4경추의 수직 길이, 수평 길이, 수직/수평 비율, 수완부 골 성숙 단계에 있어서 각각 유의하게 더 큰 값을 보였다. 본 연구대상 아동의 평균 초경 시기는 11.64 ± 0.92세를 보였다. 제4경추 몸체부 하연의 만곡 정도, 수직 길이, 수평 길이, 수직/수평 비율은 수완부 골 성숙 단계와 각각 서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초경을 경험한 그룹이 초경을 경험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제4경추의 수직 길이, 수평 길이, 수직/수평 비율, 수완부 골 성숙 단계에 있어서 유의하게 큰 값을 보였다. 연구 결과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사진상 제4경추 하연의 만곡 깊이가 2.07 mm 이상인 경우 성장의 완료 단계에 가까운 시기로 나타나 이 시기의 악정형적 치료는 큰 효과를 얻을 수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morphologic changes of the fourth cervical vertebra body to determine the skeletal age of orthodontic patients during growth. Methods: Eighty-one female patients aged from 11 to 14 who had cephalograms taken on the same day were examin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concavity of the lower border of the fourth cervical vertebra (Group A: less than 1.05 mm, Group B: 1.05 - 2.07 mm, Group C: greater than 2.07 mm). Menarcheal timing, SMI stage, length, width and ratio of length and width of the fourth cervical vertebra body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Results: The average SMI stage of group A,B and C were 5.67 ± 2.57, 8.73 ± 2.41, and 10.00 ± 1.47, respectively. Length, width, ratio of length and width, and SMI stage were greater in group B than group A and in group C than group B. Mean menarcheal timing was 11.64 ± 0.92 years. Concavity depth, length, width, ratio of length and width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MI stage, especially with the concavity depth.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 a simple method for determining the timing of orthopedic treatment by measuring the concavity depth of the fourth cervical vertebra on the cephalogram.

      • KCI등재

        교정치료에 따른 사춘기 성장 아동의 상기도 폭경과 안면 성장 변화와의 관계 연구

        김윤지,복규석,이규홍,황용인,박양호 대한치과교정학회 200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에서 사춘기 성장 동안 기도의 변화가 안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9 - 11세(평균 10.7세)의 교정환자 36명을 대상으로 하여 초진 시(T1)와 치료 종료 시(T2)에 각각 측모두부방사선사진과 수완부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다. 측모두부방사선사진상의 기도 폭경을 기준으로 하여 대상을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폭경이 좁은 그룹(AW-Narrow: 5.2 - 8.6 mm), 중간 그룹(AW-Medium: 8.9 - 11.5 mm), 넓은 그룹(AW-Wide: 11.7 - 16.0 mm). T1과 T2시기에 각 그룹 간의 안면 계측치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T1 - T2 사이의 계측치의 변화량을 각 그룹별로 비교하여 성장을 평가하였다. 각 그룹의 기도 폭경 증가량은 AW-Narrow, AW-Medium, AW-Wide group에서 각각 4.55 mm, 3.84 mm, 1.94 mm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1시기의 각 그룹 간의 비교에서 AW-Narrow group에서 다른 그룹에 비해 PFH가 유의하게 작은 값을 나타냈다. T1 - T2 사이의 성장 평가에서는 AW-Narrow group에서 다른 그룹에 비해 PFH/AFH, facial axis, ANS (T1 - T2), and Gn (T1 - T2)의 변화가 유의하게 큰 값을 보였다. 이 시기의 안면 성장 기간 동안 기도 폭경이 좁은 그룹에서 기도 폭경 및 안면 성장의 보상성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바람직하지 않은 안면 성장을 예방하기 위한 외과적 기도 처치를 고려할 때 자발적인 개선 가능성을 고려하여 좀 더 신중한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how airway changes influence facial growth during puberty in Korean children. Methods: Thirty-six patients aged 9 to 11 (mean age: 10.7 years) were selected. Cephalograms and hand-wrist x-rays were taken at pre-treatment (T1) and post-treatment (T2). The sample was divided into narrow (5.2 . 8.6 mm, AW-Narrow), medium (8.9 . 11.5 mm, AW-Medium), and wide (11.7 . 16.0 mm, AW-Wide) groups according to the airway width at T1. Cephalometric measurements at T1, T2 and growth from T1 to T2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Results: The degree of increase in airway size in each group was 4.55 mm, 3.84 mm and 1.94 mm in the AW-Narrow, AW-Medium, and AW-Wide groups, respectively. Moreover,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ignificant smallest posterior facial height was found in the AW-Narrow group at T1. For the growth values from T1 to T2, the AW-Narrow group showed significantly larger values of PFH/AFH, facial axis, ANS (T1 - T2), and Gn (T1 - T2) than the AW-Medium group. Conclusions: The compensational changes in the airway width and facial growth were found in the narrow group. Surgical approach of the airway to prevent unfavorable facial growth in these years of age should be carried out, but with careful deliberation because these problems may be improved naturally.

      • 호르몬 불응성 전립선암 환자에서 mitoxantrone과 prednisone의 병합화학요법 후 통증완화 및 삶의 질 측정

        이홍우,이지열,김세웅,이충범,강성학,조용현,황태곤,박용현,윤문수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3

        목적 : 호르몬 불응성 전립선암 환자의 생명을 연장시키는 치료법은 현재로는 없으며, 현 시점에서의 치료목표는 증상의 경감 및 소실에 따른 삶의 질 향상에 두고 있다. 호르몬 불응성 전립선암의 고식적인 치료에 일차적인 치료법으로 간주되는 mitoxantrone과 prednisone의 화학요법이 호르몬 불응성 전립선암 환자의 통증완화 및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 1998년 7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증상이 있는 18명의 호르몬 불응성 전립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차적인 치료의 목표는 환자 본인이 기록하는 McGill-Melzack 6단계 통증척도에서 진통제의 증량 없이 2점이 감소(또는 첫 점수가 1점일 경우 통증의 완전소실)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기준은 최소 3주 간격으로 시행한 자가 기록조사에서 연속적으로 2번 이상 유지될 때 유효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측정은 전신적 치료의 임상적 응용을 위한 실제적인 측정방법으로 개발되어 환자가 직접 작성하는 전립선암 특이성 삶의 질 측정기구(Prostate Cancer-Specific Quality-of-Life Instrument : PROSQOLI)의 비례연속형의 자가측정 척도(linear analogue self-assessment scale : LASA)를 이용하였으며, ECOG performance status를 사용하여 전신상태의 변화도 측정하였다. 결과 : 통증의 경감으로 나타나는 고식적인 치료의 반응은 66.7%(12/18)에서 나타났으며, 반응의 지속기간은 2개월에서 10개월까지로 평균 4.2±3.6개월이었다. PROSQOLI로 측정한 삶의 질은 통증에 대한 고식적인 치료반응을 보인 12명(66.7%) 모두가 삶의 질이 개선되었으며 특히 통증, 변비, 소변보기, 전반적인 복지상태에서의 유의한(p<0.05) 증가를 보였다. 치료 후 혈장 PSA 수치는 고식적인 반응의 유무에 관계없이 별 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골주사 또는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측정한 방사선학적 병변은 고식적인 반응을 보인 2명을 제외하고 치료 전과 비교하여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병합 화학요법과 관련된 특별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통증을 동반한 호르몬 불응성 전립선암에서 mitoxantrone과 prednisone의 병합화학요법은 66.7%의 환자에서 통증의 감소 및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 현재는 혈장 PSA 수치, 병소의 크기나 개수등이 치료의 지침이나 치료결과의 판정을 위한 객관적인 기준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지만, 앞으로는 환자를 중심으로 통증을 포함한 삶의 질 측정이 고식적 치료 후 치료결과 판정에 있어 객관적이고 적절한 방법이 될 것이다. Background :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rapeutic modalities prolong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hormone-refractory prostate cancer nowadays. The main goal of treatment is therefore improvement in quality-of-life including palliation of symptoms.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benefit of mitoxantrone and prednisone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symptomatic hormone-refractory prostate cancer using relevant end points of palliation regarding to pain and quality-of-life. Methods : From July 1998 to December 1999, we assessed the 18 patients with symptomatic hormone-refractory prostate cancer receiving mitoxantrone and low dose prednisone. The treatment end point was a palliative response defined as a 2-point decrease in pain assessed by a 6-point pain scale complemented by patients (or complete loss of pain if initially 1+) without an increase in analgesic medication and maintained for two consecutive evaluations at least 3 weeks apart. Health-related quality-of-life was evaluated with a series of linear analogue self-assessment(LASA) scale of the Prostate Cancer-Specific Quality-of-Life Instrument (PROSQOLI) and performance status was also measured. Results : Palliative responses were observed in 12(66.7%) of 18 patients. The duration of palliative responses were 4.2±3.6 months(range: 2 to 10 months). Treatment was well tolerated without specific side effec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level following treatment and no significant changes of radiologic findings evaluated by bone scan and/or CT were noted except 2 cases after chemotherapy. All the responding patients had an improvement in quality-of-life scales and performance status, however serum PSA levels were not changed. Conclusions : Chemotherapy with mitoxantrone and prednisone provides palliation and an improvement in quality-of-life for more than half (66.7%) of the patients with symptomatic hormone-refractory prostate cancer.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8)

        김재홍,김준호,반재용,이정우,황성주,정준규,정성태,강진문,조흔정,홍창의,정혜신,이한승,김이선,이봉길,이종호,선영우,한기덕,윤성필,이성훈,안종성,박석범,문승현,조항래,김형섭,류지호,황재영,박준홍,손상욱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2001 한양의대 학술지 Vol.21 No.1

        In recent years, gonorrhea has been pan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n STD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PPNG), w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enereal Disease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na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In 1998, 93 strians of N. ge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60(64.5%) were PPNG.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which had been decreased to 39% in 1996 after a peak of 74.3% in 1993, is increased to 64.5% in 199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