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제주방언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한 대학에서의 방언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 제주대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

        권미소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talize Jeju dialect based on thorough analysis on usage and perception of Jeju dialect according to student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A study based on survey of 160 students from Jeju National University who attended all twelve years of primary school using Jeju dialect about questions on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 toward education and policy issues regarding Jeju dialect. First, 85.5% of survey provided positive response such as “friendly” and “warm”. When the next survey asked about preservation of Jeju dialect, 93.4% agreed on the need to implement policies in the form of “development of contents related to Jeju dialect” and “education of Jeju dialect”. In regards to education of Jeju dialect, 92.6% provided positive response that dialect learning need to be provided through school education. Chapter three covers the current situation of Jeju dialect used in Jeju National University and analyzed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Currently, Jeju National University provides educational courses under the name of “Understanding Jeju Dialect,” but the number of subjects is far short compared to the number of students showing interest in taking the course. Contents covered in the dialect courses are either overused or misled which leads to misunderstanding of dialect in various ways. In chapter four provided strategies on revitalizing Jeju dialect for student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such as proper education on Jeju dialect, establishment of dialect education center, Jeju dialect expert training, and certification system. Providing essential liberal art courses by different level is also essential however all contents and educational materials need to be verified through specialized institutions. Finally, the university needs to implement a Jeju language certification system for promotional purposes. As the official public university, Jeju National University needs to take responsibility for preservation and education of Jeju dialect. After students of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with proper intellectual understanding of Jeju dialect, they will be able to properly establish policies necessary for the Jeju region to further preserve the Jeju dialect by playing a leading role in Jeju Island. 이 글은 제주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주방언에 대한 인식과 사용 실태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제주방언 활성화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제주대학교 재학생 160명에게 제주방언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제주방언 교육, 제주방언 정책 문제 등에 대해 질문한 결과 전체의 85.5%가 제주방언에 대해 ‘친근하다’, ‘정겹다’의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제주방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92.6%가 긍정적인 시각을 가졌으며 교육의 형태는 ‘학교 교육’을 통해 실현되기를 바랐다. 또 전체의 93.4%가 제주방언 보존을 위한 정책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었고, ‘제주방언 관련 콘텐츠 개발’, ‘제주방언 교육’의 형태로 정책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현재 제주대학교에서는 ‘제주방언의 이해’라는 교과목명으로 방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과목 수강을 희망하는 학생의 수에 비해 과목의 수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제주대학교 내 방언을 활용한 콘텐츠는 대개 자주 사용되어 식상해진 어휘를 활용한 것이거나 방언을 잘못 사용해 오해를 부를 만한 것들이 확인되었다. 이에 제주대학교 재학생을 위한 방언 활성화 방안을 대학 내 방언 교육, 방언 교육원 설치, 제주방언 전문가 양성 등으로 제안하였다. 방언 교육은 단계별, 수준별 필수 교양 교과목을 설치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으며, 대학 내 제주방언과 관련되어 생산되는 콘텐츠나 교육 자료 등은 제주방언의 쓰임을 검토, 감수할 수 있는 전문 기관을 통해 검증받아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제주대학교는 거점 국립 대학으로서 제주방언의 보전과 연구, 교육에 대한 책무를 지니고 있다. 제주대학교를 졸업한 인재들이 제주 사람의 삶과 문화를 담은 제주방언을 정확히 인지하고 활용할 때 비로소 지역에 필요한 정책을 제대로 수립하고, 나아가 제주도 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 濟州大學校 卒業生의 就業問題와 그 對策

        徐庚林,金斗和,朴泰秀,姜東植 濟州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89 學生生活硏究 Vol.11 No.-

        오늘날에 있어서의 職業의 意味는 생계유지의 수단이 됨과 동시에 자아를 실현하고, 심리적인 만족을 느끼며 능력을 발휘하는 터전으로 본다. 이런 의미에서 濟州大學生의 職業觀은 비교적 건전하다고 할 수 있다. 직업을 갖는 목적으로 경제적 안전(36.8%), 일을 통한 자아실현(33.2%) 에 상당한 비중을 두고 있다. 특히 여학생들의 경우에는 자아실현의 의지가 남학생보다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더구나 자립할 수 있는 직업을 이상적인 직업으로 보고 있는 점, 직업선택 기준을 재학생과 졸업생 모두가 적성 및 흥미에 두고 있는 점에서 제주대학생들의 직업관은 현실과 이상을 적절히 조화하려는 의지가 담겨 있다고 말 할 수 있겠다. 卒業生들의 就業實態를 보면, 공개모집을 통해 취업하는 경우가 많고(43.8%), 직업도 전공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71.5%). 전적경험도 적고(80.6%), 직무의 만족도도 비교적 높다. 다만 轉職을 희망하는 경우(25.6%) 가 많은데, 이것은 在學時에 취업준비가 미흡했었다는 사실을 가리킨다. 在學生들의 就業準備 常態를 보면, 거의 다수가 취업준비를 하지 않고 있으(75.2%), 3학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시작하고 있다(41.5%). 제주도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제주대학생들은 타대학 학생들보다 한 발 앞서 취업준비를 서둘러야 하는 상황인데, 그렇지 못하고 있다. 在學生들의 就業選擇 要件을 보면, 전공하과 선택동기로 적성 및 흥미검사 결과와 취업 전망을 들고 있으며(66.6%), 직업과 전공학과와는 관련이 있어야 하고(84.4%), 기업체의 직원 채용은 공개모집을 희망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제주대학생들의 직업데 대한 의식이 매우 건전함을 말해주고 있다. 在學生들의 就業 相談 對象을 보면, 친구·선배, 가족, 등에서 주로 의지하고 있으며, 취업정보도 선배나 홍보매체를 통하여 얻고 있다. 이것은 앞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대학이 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在學生들의 學敎에 바라는 事項을 보면, 학교 당국의 취업대책 마련을 최우선으로 들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취업정보 자료 제공, 직업관 확립 오리엔테이션, 지도교수의 취업지도를 바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재학중에 취업준비상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말해 준다. 결론적으로, 濟州大學生들의 就業觀은 소박하고 건전하지만, 평상시에 진로교육이 없고, 취업준비도 모자란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학교 당국도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lan of employment by investigating the sense of occupation of the undergraduates and the state of employment of the graduates of Cheju National University.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includes 624 undergraduates and 242 graduates, and the contents of investigation are the sense of value of occupation, the state of employment, readiness for employment, requisites for the selection of occupation, information and consultation on employment, relation to this university after graduation, relation to alumni in the work place, and the matters that they expect of this university.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sense of value of occupation, the purposes of jobs are economic stability(36.8%) and self-realization through work(33.2%), and the tendency to commence work for self-realization is more apparent among girl students than among boy students, the criteria of selecting occupation are aptitude and interest in work. In terms of the state of employment of the graduates, many graduates are employed through public invitation(43.8), and their jobs agree with their majors(71.5%). They don'ts change occupation (80.6%), and they are comparatively content with their jobs. In terms of the readiness for employment of the undergraduates many students are not ready to be engaged(75.2%), and they start preparing for employment in the junior year(41.5%). In terms of the criteria of selecting occupation, the motives for choosing majors are aptitude, interest and the prospect for employment(66.6%). The students hope that occupation will be related to majors(84.4%), and that they will be employed by public collection. Then generally depend on friends, seniors and family members for the consultation on employ ment. They also gather information of employment from friend, seniors and mass media. This shows that the university authorities are not active in finding jobs. In terms of the matters that the students expect of the university, they desire the school authorities to devise a plan for employment, to provide information on employment, to orient themselves to the establishment of their views of occupation and to have academic advisors guide in finding occupation. The planes for employment based on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ies of employment guidance of this university should be unified The Financial Aid Office in the Office of Student Affairs and Section of employment Guidance in the Student Guidance Center, which are concerned with finding jobs, should have organic correlation with each with each other, yet they should be merged into the Employment Guidance Section of the Student Guidance Center for the publication of employment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for the operation of employment materials, and for the relation with the consulting room. Second the operation of employment morgue should be activated. At the present time, the Student Guidance Center of this university has no employment morgue. However, an employment morgue should be set up and operated to provide students with information of rapidly changing occupation such as the structure of jobs, the tendency of employment, new kinds of jobs and the condition of work. Third, early education of the readiness of employment is needed. Most students of this university start preparing for employment in the junior year, which gives difficulty in finding jobs, considering the regional condition. According, early education of occupation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the activities of aptitude tests, educating the sense of occupation, seminars on part-time jobs and occupation, special lectures on finding jobs, and the study by inspection. Fourth, strong ties with the institutes concerned should be established. Close relation should be preserved with the related section of government and the various social bodies and companies as well as with the relation of this university to facilitate employment through continuous exchange of information. Fifth, relations with the employed alumni should be reinforced. Advices can be obtained on the understanding of occupation, attitude toward jobs and employment guidance by close relations with the employed alumni, and seminars or social meetings should be held for these advices.

      • KCI등재

        제주형 대학 통일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제주대학교 '통일교육론' 수업설계안을 중심으로

        박성근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3 탐라문화 Vol.- No.7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plan for Jeju-style university unification education to be applied to classe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at Jeju National University. The Jeju region has a relatively high level of peace and unification consciousness compared to other local governments, as the tangerine sending project, which was the beginning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by local governments, was carried out in the past. Based on the newly amended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ct as a result of the 2018 Korean Peninsula Peace Process, regional-based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are actively underway. Accordingly, the need for Jeju-type unification education, which is a regional-based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has emerged in Jeju as well.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meet the flow of regional-based unification education by presenting a design plan for unification education specifically targeting college students in the Jeju area. Specifically, this study will emphasize the need to reflect social and educational changes in unification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while examining educational philosophical method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such as constructivism and facilitation. Based on this, in the second half of the thesis, I will propose a topic-oriented project lesson plan that can interpret Jeju's unique resources such as its historical resources, tourism resources, and status as an island of world peace from a new persp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제주형 대학 통일교육 방안을 구상하는 것에 있다. 제주 지역은 과거 지자체 남북교류협력 사업의 시초격인 감귤 보내기 사업이 진행되었던 만큼 평화⋅통일의식이 타 지자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2018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결과로 새롭게 개정된 남북교류협력법에 의거 지역 기반의 남북교류협력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만큼, 제주 역시 지역 기반의 평화⋅통일교육인 ‘제주형 통일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히 제주 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통일교육 수업설계안을 제시함으로써 이러한 지역 기반 통일교육의 흐름에 부합하고자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 통일교육에 있어 사회적⋅교육적 변화를반영할 필요성을 역설하는 한편, 구성주의 및 퍼실리테이션과 같은 대학생들의 특성에 적합한 교육철학적 방법들을 검토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논문의 후반부에는 제주가 가진 역사자원, 관광자원, 세계 평화의 섬이라는 지위등과 같은 독특한 자원들을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 주제중심의 프로젝트 수업계획안을 제안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언론의 특정 지역공간 담론화에 대한 분석 -"제주올레"를 중심으로

        이영윤 ( Young Yun Lee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0 탐라문화 Vol.0 No.36

        본 논문은 특정 지역공간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는 주체로서 언론의 역할에 대한 연구다. 연구를 위한 사례는 `제주올레`다. 제주올레는 현재 제주가 자랑하는 전국적인 관광상품이다. 제주올레가 전국적 인기를 얻은 배경에는 언론의 역할이 컸다. 언론이 적극적으로 제주올레에 담론을 형성하면서 제주올레는 `길`을 넘어 관광상품으로까지 정체성을 확대하였다. 한편 담론을 통해 일상에서 누구나 걷고 체험하는 `길`이 `상품`으로 재생산되면서 제주인이 제주의 길에 소외되는 현상이 벌어지는 것 아닌지 연구할 필요가 제기됐다. 이에 본 논문은 언론이 형성하는 담론에 따라 길에서 출발한 제주올레가 관광상품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언론이 담론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주체가 된 권력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언론과 특정 권력관계가 형성한 담론에 따라 제주의 길이 분할, 배제되고 있지 않은지 탐색하였다. 궁극적으로 제주올레를 둘러싼 담론에 제주주민이 제주의 길에 소외되지 않은지 파악해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mass media as the subject of producing a discourse of a certain regional place-Jeju Olle. The pathway walking, Jeju Olle, is a popular tourist commodity of Jeju Province. The mass media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 commodity. As they produced a discourse of Jeju Olle trekking that aroused the public attention, the trekking has been extended beyond simply a pathway walking to a tourist attraction. However, the study raised the question "Is the value proper to Jeju pathways rightly understood by tourists and Jeju citizens?" because Jeju Olle trails, along which the citizens of Jeju walk in their everyday life, were transformed into goods and as a result they could be alienated from their roads.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through which Jeju Olle tails which used to be ordinary pathways have been changed into a tourist commodity by mass media discourse.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he so-called power, or the subject of discourse, which is influential in forming a discourse, with the aim of seeing if Jeju Olle was structured in social discourse produced by mass media and groups of power, and ultimately if the citizens of Jeju was excluded from such a discourse and distant from their roads.

      • KCI등재후보

        대한뉴스의 제주기록에 대한 고찰

        김동만 ( Dong Man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0 탐라문화 Vol.0 No.37

        대한뉴스의 제주기록은 1954년부터 1994년까지 모두 107편이 남아있다. 이 영상기록은 제주의 정치, 행정, 산업발전, 제주의 옛 모습을 담고 있다. 대한뉴스의 제주기록은 비록 정부의 시선에 의해 기록되어진 영상이지만 제주에 대한 공식영상기록이라는 점과 약 반세기에 걸쳐 제주사회의 변화상을 보여주는 거의 유일한 영상기록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영상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대한뉴스에는 국민을 설득하는 선전영화로 정부가 제주를 바라보는 시선과 국가 정책과 관련하여 국민들에게 제주를 어떻게 설명하고 어떻게 보이길 원했는지에 대한 국가 이미지 선전 전략이 내포되어 있다. 제주영상기록들 중 가장 많은 내용은 산업경제 분야로 목축과 수산업, 감귤산업 육성에 대한 부분과 도로개통, 전기가설 등 근대화를 이루는 과정, 관광산업 개발의 과정 등이 시각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외에도 제주의 축제와 일상사도 소개되고 있다. 제주관련 대한뉴스에 나타난 대표 이미지는 10년 주기별로 구분 했을 때 시대별로 천지연폭포->정방폭포->한라산->한라산->유채꽃으로 옮겨 간다. 산업적 대표이미지는 1950년대: 목축->1960년대: 수산업->1970년대: 감귤->1980년대: 감귤->1990년대: 유채꽃(관광)으로 변화된다. 이를 통해 시대별 정부의 제주시책을 엿볼 수 있다. 창출된 이미지는 정부의 시책홍보에 작동하고, 결론적으로는 제주의 지역성을 규정하는데 직간접적으로 기여 했다. 대한 뉴스의 수용자였던 일반국민들에게도 제주에 대한 고착화된 이미지는 제주지역성을 규정하는데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짐작된다. 더불어 대한뉴스의 제주기록은 의도되지 않은 정보들로 하여금 뜻밖의 제주의 옛 모습을 찾을 수 있어 제주반세기의 일상사를 재현하는데 중요한 자료적 의미를 갖고 있음도 확인된다. 50~60년대 농촌마을의 풍경과 제주의 전통적인 어로작업, 해녀들의 모습은 시대의 변화상을 느끼게 한다. 초창기 한라문화제 모습과 탐라미인들이 꽃수레 시가행진, 뉴스에 등장하는 거리의 모습과 사람들, 복식과 차량도 흥미롭다. 이들 정보는 지나간 제주현대사의 일상을 재현하는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 The numbers of the reports on Jeju in Daehan News reaches 107 from 1954 to 1994. This video recordings cover politics, administration and industry of Jeju including the past of Jeju. Even though the reports on Jeju had been recorded by the view of the government, it has important video material values because it was the official video recording and showed the changes of Jeju society almost for the half century. Majority of the reports on Jeju in Daehan News were about the livestock farming, fishery, tangerine industry as the industry and econony, paving the road and laying electric wires, etc as the modernization, and the process of the improvement of the tourist industry. In addition, there wre the festivals and daily lives in Jeju. When I divide the reports on Jeju into every 10 year cycle, the representative images about Jeju in Daehan News had been changed from Cheonji Waterfall, Jeongbang Waterfall and Mt. Halla to rape flowers in times. The representative industrial images were livestock farming in 1950s, fishery in 1960s, tangerine in 1970s and 1980s, rape flower(four) in 1990s. By these changes of the images, we can consider the policies of Jeju by the government in times. The Creative images were activated to the policy advertisement of the government and helped to define the locality of Jeju directly or indirectly. It is supposed that the fixed images of Jeju had greatly influenced to the ordinary people who were the audiences of Daehan News for defining the locality of Jeju. In the meantime, as we can unintentionally find the past of Jeju from the reports on Jeju in Daehan News, these video recordings have important material values to represent the daily lives for the past half century in Jeju. We can fell the changes of the times as we see landscape of rural areas in 1950s and 1960s, the traditional fisheries and the woman-divers. The very early Halla Cultural Festivals, the parades of the Tamra beauties, the streets and people on the reports and clothes and vehicle are also interesting. These informations from the reports on Jeju in Daehan News will provide important moment to represent the daily lives of the past Jejus modern history.

      • KCI등재

        국립대학교 총장임용규정이 제주대학교에 주는 시사점

        김성욱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7 法과 政策 Vol.23 No.3

        The title of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Presidential Election System of National University in South Korea”. The Election System of University President is something that is being newly developed, a thorough examination of past problems can lead to a future the Election System of University President that is more rational and accords with substantial justice. University president has the deciding power on personal affairs and educational matters. They belong to the core of university autonomy. Therefore the member of university should have the right to decide something related in personal and educational affairs. University consists of three type of members, that is, professors, students and employees. Especially professors, who do research and do teaching by themselves, have most important meaning when it comes to deciding power. Thereafter, professors or their faculty should be guaranteed the right to participate or decide in terms of presidential selection method. The president of national university is selected in the committee of president recommendation or selected by the methods and procedures which are consented by the faculty(Public Educational Officials Act). The Committee shall select a candidate for the head of a university by any of the following means, as prescribed by the relevant university: 1. Selection at the Committee; 2. Selection under the methods and procedures agreed upon by the faculty members of the relevant university. According to this code, direct election system is adopted in most of national university. But most of national university abolished direct election system because of MOEST(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s graded support fund. I explained about the main contents of the Election System of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and suggested especially the problems(Presidential Selection Method, direct election system, Indirect election system and self-government of university) and improv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Election of University president in National University. 이 논문의 제목은 국립대학교 총장임용규정이 제주대학교에 주는 시사점이라고 하였다. 대학총장임용제도는 새롭게 창출된 제도라는 점에서 종래에 발생한 문제점들을 면밀하게 파악한다면, 장래에 정립될 총장선출제도는 보다 합리적이고 실질적 정의에 합치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대학총장은 인사와 학사에 관하여 최종적 결정권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인사와 학사에 관한 사항은 대학자치의 본질적 내용이라는 점에서 대학의 구성원들이 스스로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인사와 학사에 관한 구체적 내용에 관한 결정권은 대학의 구성원에게 유보되어야 한다. 대학의 구성원은 대학교수, 학생, 직원 등이라 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연구와 교육의 직접적 담당자인 교수는 이러한 결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대학총장의 선출과 관련하여서도 교수(또는 교수회)가 비중 있게 참여할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현행 교육공무원법에 의하면, 국립대학의 총장은 총장임용추천위원회에서 직접 선정하거나, 대학 교원의 합의된 방식과 절차에 따라 선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즉 교육공무원법 제24조에 의하면, “추천위원회는 해당 대학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라 대학의 장 후보자를 선정하여야 한다. 1. 추천위원회에서의 선정 2. 해당 대학 교원의 합의된 방식과 절차에 따른 선정”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대부분의 국립대학에서 총장직선제를 채택하였지만,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의 2단계 국립대학 선진화방안에 따라 정부의 예산이 차등적으로 지원되자, 대부분의 국립대학은 총장직선제를 폐지하고 간선제 방식으로 총장을 선출하고 있다. 직선제 폐지 이후에 총장의 선출방식과 절차에 대해서는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 저자는 국립대학교의 총장선출제도와 관련한 주요한 내용을 검토하면서, 특히 국립대학교 총장임용과 관련하여 총장선출방식과 관련한 내용을 살펴보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제주대학교의 총장임용규정에 어떠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대학 다문화교육 현황과 방향 모색- 제주대학교 다문화교육 강좌 운영 및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태도 분석

        염미경,김민호,권상철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6 교육과학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t the university through a case of Jeju National University.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tual condi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lectures and the attendees’ activities in the course, 2015. This result of this study shows some implication as follows: Firstly, the students were taken by the high interest in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and the students with the idea to participate in various cultural activities after tak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increased.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showing that the possibility to participate in cultural activities for students to take greater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Secondly, Jeju National University has not established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for secondary student teachers college students, so a kind of multiculural education courses are offered. Thus, diverse programs and courses related to multiculture need to be opened inside and outside of universit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ulticultural programs and activities for university students in conjunction with their local community. 이 글에서는 대학다문화교육의 현황을 제주대학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주대학교에서 운영 중인 전체 다문화교육 강좌, 즉 일반교양과 교직 강좌를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일반교양 다문화교육 강좌에 대해서는 수업활동내용 고찰과 함께 수강 학생들에 대한 인식과 태도조사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일반교양 다문화교육 강좌 수강을 통해 학생들은 다문화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고, 강좌 수강 후 다문화 관련 활동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보인 학생들이 많아졌으며, 학생들의 다문화 관련 인식과 태도도 강좌 수강 후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학에서의 다문화교육 관련 강좌가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다음으로 제주대학교의 경우 초등예비교사 대상 다문화교육 강좌는 운영 중이나 중등예비교사 대상 다문화교육 강좌는 아직 개설되지 않은 상태로 중등예비교사 대상 다문화교육 강좌의 개설이 필요하다.

      • KCI등재

        신광수(申光洙)의 「탐라록(耽羅錄)」에 나타난 제주에 대한 인식과 정서

        박용만 ( Park Yong-ma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1 탐라문화 Vol.- No.66

        조선시대 제주는 신화가 살아있는 공간이었다. 다가갈 수 없었던 육지인 들에게 제주는 관념적 공간이었지만 실제 제주를 경험한 지식인에게 제주는 목숨을 걸어야 하는 현실의 공간이었다. 1764년 서울에서 파견되었다가 풍랑에 발이 묶여 45일간 제주에 머물렀던 申光洙에게 제주는 ‘갇힌 공간’이었다. 신광수가 제주에 체류하며 남긴 「耽羅錄」에는 모두 49편의 시가 신광수와 李瀷의 서문과 함께 실려 있다. 원래 신광수와 함께 간 이익, 박수희가 창화한 것이지만 신광수의 문집에는 다른 두 사람의 시는 없고 두 편의 서문과 본인의 시만 수록하였다. 신광수는 육지로 돌아온 이후 제주에서 기록한 창화록을 주위 지식인에게 보여 睦萬中, 丁範祖, 李玄煥의 서문을 받았다. 이외에도 蔡濟恭은 그에 대한 묘지명에서 이 일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그러나 신광수와 육지 벗들의 서문에는 제주를 바라보는 인식에는 큰 차이가 존재한다. 제주는 육지인들에게 신선이 사는 동경의 공간인 동시에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가기 싫은 공간의 이중성이 나타난다. 이에 비해 신광수에게 제주는 絶島이자 자신의 의지와 무관한 孤立無援의 공간이었다. 벗어나고 싶어도 벗어날 수 없는 ‘갇힌 공간’이었다. 개성주의 문학사상이 확고하게 자리 잡았던 18세기 문학은 현실과 괴리된 관념이 더 이상 허용되지 않았다. 주위의 지식인조차 제대로 이해하기 어려웠던 제주의 경험을 기록한 「탐라록」은 신광수의 제주 인식은 18세기 문학을 바라보는 중요한 기록이 된다. During the Joseon Dynasty, Jeju(濟州) was a place where myths lived. Jeju was an ideological space for landlords who could not approach, but for intellectuals who actually experienced Jeju, Jeju was a real space where they had to risk their lives. Jeju was a “confined space” for Shin Kwang-soo(申光洙), who was dispatched from Seoul in 1764 and stayed in Jeju for 45 days after being trapped in a storm. In the ‘Tamna-Rok(耽羅錄)’ left by Shin Kwang-soo while staying in Jeju, there are 49 poems along with the forewords of Shin Kwang-soo and Lee Ik(李瀷). Originally, it was created by Lee Ik, Park Soo-hee, who went with Shin Kwang-soo, but in Shin Kwang-soo's writings, there were no other poems, only two prefaces and his own poems. After returning to the mainland, Shin Kwang-soo showed the changhwa-rok(唱和錄) recorded in Jeju to the surrounding intellectuals and received the forewords of Mok Man-jung(睦萬中), Jeong Man-jo(丁範祖), and Lee Hyun-hwan(李玄煥). In addition, Chai Je-gong(蔡濟恭)'s name of the grave for him recorded this in detail. However,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Shin Kwang-soo and his friends on land in their preface to seeing Jeju. In the land, the duality of the space where Shinseon(神仙) lives in, and the space that they don't want to go to, which can lead to death, appears. On the other hand, for Shin Kwang-soo, Jeju was both a remote island and a space of an isolated employee that had nothing to do with his will. It was a "confined space" that could not escape even if it wanted to escape. Literature in the 18th century, in which individualistic literary thoughts were firmly established, was no longer allowed to have an idea apart from reality. Shin Kwang-soo's perception of Jeju, which “Tamna-rok”, about the experience of Jeju, which was difficult for even the surrounding intellectuals, to understand properly becomes an important record for viewing 18th century literature.

      • KCI등재

        일제강점기 제주인의 이주노동과 제주사회의 변동 - 제주와 오사카 간 해상항로의 영향을 중심으로 -

        노우정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2 탐라문화 Vol.- No.71

        이 원고는 일제강점기 제주도와 일본을 잇는 해상운송로의 개설이 제주사회에 미친 영향을 다루고 있다. 제주는 오랫동안 한반도의 변방이었고 일본에 의한 개항 이후에도 낙후된 상태에 있었다. 농업은 경쟁력을 상실하면서잉여노동력이 늘어나는 상황이었고, 그나마 풍부한 수산자원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방식의 어업과 해녀의 물질 정도가 근대적 시장경제에 적응하며 경쟁력을 갖고 있었다. 내부적으로는 본격적인 근대화를 추진할 물적인 토대가없었던 것이다. 심각한 위기상황에서 당시 제주인들은 섬의 바깥에서 대안을 찾아냈다. 해녀들은 한반도 내륙과 일본 등을 넘나들며 ‘출가물질’을 했고, 제주인들 다수는 일본 오사카로 건너가서 공장에 취업을 한 것이다. 당시 일본은 고도성장기를 맞이하고 있어서 외부의 노동력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산업기반이 없던 제주인들은 일자리를 얻고, 일본인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노동력을 구하는 셈이었다. 이에 따라 비교적 제주와 일본 오사카를 잇는 해상운송로가 개설되고 또확장되었다. 일본에 정착하는 제주인들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를통해 제주는 경제적으로 안정을 되찾게 되었다. 일제가 패망한 이후 양국 간의 교류는 장기간 단절되었지만 일제강점기에 해상운송으로 인한 이주노동의 여파는 오랫동안 계속되었다. 제주로 귀환하지 않은 제주인들에 의해 제주의 산업화를 위한 지원이 지속되었던 것이다. 제주-오사카를 잇는 해상운송로의 개설은, 그로 인한 지속적인 인적교류가 국경을 넘어 예상하지 못한변화를 지속적으로 만들어낸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고려시대 제주 지역 불교의 성격과 의미

        박종기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3 탐라문화 Vol.- No.74

        고려 시기 건립된 수정사와 원당사지 등에서 출토된 유물의 제작 연도(편년)에따르면, 제주 지역 사찰은 대체로 11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건립되었다. 이는 탐라국이 고려 군현으로 편입된 12세기보다 이른 시기이다. 고려 초기 태조 때부터 제주 지역은 고려왕조와 교류하기 시작했으며, 11세기 현종 때 구당사가 파견된 이후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졌다. 제주 지역 불교는 백련결사의 사상적 기반인 천태종이 성행한 전남 서남해안의 강진 완도지역 일대 사찰과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해 신앙과 사상체계를 공유했다. 전남 서남해안 일대의 사찰은 해로(海路)사원으로, 항해의 안전과 해난 구제를 강조한 관음신앙을 공유했다. 제주 지역에서 출토된 기와와 도자기편이 서남해안 일대에 생산된 제품이 유입되거나 그곳의 영향을 받아 생산된 사실도 그를 뒷받침한다. 몽골이 제주 지역을 지배한 이후 제주 지역에서 불교는 분화와 변화의 조짐이 나타난다. 몽골인과 제주인의 종교적 안식처로서 각각 법화사와 묘련사로 역할이 분화되었다. 특히 원나라의 지배를 받던 시기에 강진의 백련사와 연결되어 천태종경판을 판각한 사실은 법화사와 구별되는 묘련사의 위상을 보여 준다. 제주 지역은 중국과 일본을 연결하는 해로상의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어 외부 세계의 불교와도 교류했다. 고려 후기 일본 승려는 제주를 발타라존자가 거주하는 불교의 성지로 인식했으며, 제주 지역 불교와 교류했다. 인도차이나 인도 등지의 남방불교의 요소도 제주 지역 불교에 나타나고 있다. 제주 지역 불교는 제주 지역에 수용된 이후 이곳의 민간 토착신앙과 교류를 통해 토착화하는 과정을 겪었다.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좀 더 고찰되어야 할 과제이다. The Buddhist temple was built in about 11th century. It was reported that many celaton remains and roof tiles which were excavated in Jeju area’s temple sites were made in about 11th century. The temple was built more earlier than the Goryeo government established the local administraion system at Jeju in the 12th century. Before the establisment of loacl administration the rulers of Jeju at the time of Tamla visited the capital of Goryeo and dedicated the local goods to the king from 10th century. They visited the temple and had conversation with buddhist monks, so the Buddhist ideology was introduced in Jeju Island naturally. The characteristics of Jeju Buddhist ideology was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which was the belief of praying for the safety of sailing. The Beobhwasa temple in Jeju was the cascred temple. Including Jeju island, the temples in the coasts of West and South sea of Korea peninsula worshiped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As Jeju island was located between Japan and China, the belief of foreign Buddhism influenced Jeju Buddhism. It was also another characteristic of Jeju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