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鉛暴露 作業者의 鉛中毒 早期發見을 위한 集團檢診法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홍대용,김장락,정주화,최현림,윤형렬 慶尙大學校 1995 論文集 Vol.34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current lead indicators used in screening lead who were sspeted to have been exposed to lead were selected as 'case'and 207 female workers from non-lead industry were selected for 'control'.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ean values of blood lead for case and control were 31.4㎍/dl, 22.2㎍/dl,respectively. The difference observed in the mean concentration between case and control was statistically signifi-ant(P<0.01) 2. The mean values for blood ZPP by hematofluorometer for case and control were 31.3㎍/dl, 25.4㎍/dl,respectiely. And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3.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working duation and blood lead, blood ZPPlovel. 4. According to the simple correlation analysis,ZPPand urine lead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blood lead(P<0.01) 5. According to the discriminant analysis using blood lead as a dependent variable, it showed 89.1% predictability when using 40㎍/dl as a cutting value which is used as a screenig cutting value for industry workers health examination, while 81.8% for 30㎍/dl,77.54% for 20㎍/dl, respectively. 6. Lead related simptons which is used for screening the lead ntoxicated patients were used as a dependent variable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useful lead indicator. And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were found to be ZPP, Age, and Hct. 7. Above results suggest that objective evalution of feasibbility of several lead indicators should be developed to correct the disutility of current lead screeng system in Korea.

      • Flavobacterium meningosepticum에 의한 균혈증 1예

        장성원,유진홍,진승원,김선우,김연식,박순민,이대훈,최민호,최주연,신완식,강문원,강지민 대한화학요법학회 1997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5 No.1

        1996년 6월 카톨릭대학교 부천성가병원에 뇌경색으로 입원했던 61세 남자 환자의 혈액에서 Flavobacterium meningosepticum을 분리하였다. 환자는 폐렴을 동반한 패혈증의 예로 ceftriaxone과 metronidazole을 투여하였으나 입원 48시간만에 사망하였다. Flabovacterium meningosepticum is a rae cause of nosocomial infection which shows multi-drug resistance. It mainly invades patients with impaired immunity.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F. meningosepticum bacteremia in a patient with chronic debilitated state owing to stroke. The clinical progress was so rapid that he died within 48 hours. Blood culture revealed F. meningosepticum which showed characteristic yellow colony in blood agar plate.

      • 初等敎育의 效率化를 위한 視聽覺媒體活用의 問題點과 改善方案

        張榮浩,金弘周,洪奇七 대구교육대학교 1988 論文集 Vol.24 No.-

        본 연구는 교과교육에 있어서 시청각매체의 활용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교과교육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硏究問題를 설정하였다. ① 시청각 매체의 보유 및 관리실태는 어떠한가? ② 시청각 매체의 제작 및 활동실태는 어떠한가? ③ 교육방송 활용실태는 어떠한가? ④ 시청각 매체의 활용에 대한 교사의 연수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調査對象은 대구·경북지역 국민학교(976개교)와 그 학교에 근무하는 남·여교사 각 1명(남 1,058명, 여 888명), 위 지역내의 시(군) 교육청 자료실 담당자(20명) 및 전국 교육대학 시청각 교과 담당교수(10명)였다. 調査道具는 본 연구진이 자체 개발한 4종의 질문지(학교용, 교사용 교육청 자료실용, 교육대학용)로써 설문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1988, 6.30∼7.16이었으며 우편으로 질문지를 우송하고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로 電算處理하였는데 문항별 빈도 및 백분율, χ2검증을 통해 그 경향을 분석하고 조사 결과에 더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1) 視聽覺機敎材 保有 및 管理實態 (1) 保有實態 가) 학급수에 따라 소요 기준수가 제시된 기재 각 기재를 소요기준 이상 보유한 학교의 백분율(%)을 보면 텔레비젼 84.5%, 슬라이드 환등기 75.1%, 투시 환등기 56.1%, 휴대용 확성기 43.0%, 휴대용 전축이 10.1%이며 이들 모두 학급수가 많을수록, 도시일수록 기준이상 보유율이 낮다. 반면 사진기 93.0%, 이동식 램프가 59.2%로써 학급수가 적을수록 농어촌일수록(소요기준 학교당 1대) 보유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6mm 영사기는 9.4%로써 13∼36학급 정도에서 중소도시 지역에서, 기준이상 보유율이 약간 높고 라디오 겸용 녹음기는 89.0%로써 25∼36학급 정도에서 중소도시 지역에서 약간 낮으며 자석철판은 9.4%로써 대도시가 농어촌에 비해 낮다. 또한 융판은 12.0%로써 학급수와 지역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 나) 보유 권장사항으로 되어 있는 기재 실물환등기의 보유교는 21.0%인데 학급수별로는 약간 다르나 뚜렷한 특징이 없고 지역별로는 농어촌보다 대도시가 미보유교가 더 많다. OHP와 같은 기준을 적용할 경우 기준이상 보유교가 12.9%에 불과하다. 이동식 스크린의 보유교는 63.0%인데 학급수가 적고 농어촌일수록 미보유교가 더 많다. 그러나 OHP와 같은 기준을 적용할 경우 기준이상 보유교는 43.%로써 학급수가 적고 농어촌일수록 더 많이 보유하고 있다. 8mm영사기, 8mm촬영기, 16mm촬영기, 현미투영기 및 TP복사기는 학급수에 관계없이 1대를 소유기준수로 할 때 그 보유율은 각각 8.3%, 0.8%, 0.2%, 17.7%, 8.7%fp 불과하다. 다) 시설기준에 없는 기교재 시설기준에 없는 기재인 비디오 카메라, 녹화기(VTR), 컴퓨터의 보유율은 각각 11.0%, 57.6%(10.7% 2대 이상), 95.3%(1∼10대 정도 90.8%)로서 도시일수록 보유율이 높다. 한편, 시설기준에 없는 교재인 슬라이드, TP, 녹음테이프, 비디오 테이프의 보유율은 각각 81.7%(21종 이상 4.6%), 24.4%, 84.8%(31개 이상 35.9%), 60.7%(31개 이상 10.5%)이며 농어촌일수록 보유율이 낮다. (2)관리실태 첫째, 기재보관 장소는 자료실(44.7%), 숙직실(21.4%), 교무실(17.7%) 순인데 농어촌·중소도시는 자료실에, 대도시는 숙직실에 보관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둘째, 기재 관리자는 과학주임(73.9%), 시청각 담당교사(23.4%) 순이다. 24학급 이하나 농어촌·중소도시는 과학주임이 25학급 이상이나 대도시는 시청각 담당교사가, 관리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셋째, 기재조작 설명서 비치여부는 조작 설명서가 비치된 학교는 18.6%인데 학급수가 많을수록, 도시일수록 비치율이 높다. 네째, 기교재분류 정리상태는 잘 되어 있는 경우는 26.9%인데 학급수가 많을수록 도시일수록 그 비율이 높으며 다섯째, 기교재 확충 결정방법으로서는 각 교사의 건의에 의해(39.5%), 학교장의 결정(29.2%), 관련부서(10.4%)순이다. 학급수가 많을수록, 도시일수록 관련부서 건의에 의해 결정하는 비율이 높다. 2) 視聽覺機敎材 製作 및 活用實態 첫째, 시청각교재 제작 경험을 보면 파일자료, 괘도, 융판자료 및 녹음자료는 교사의 75%정도가, 그림극자료, TP자료, 슬라이드 자료는 30∼40%정도, 비디오 테이프, 필름자료는 20%미만의 교사가 제작한 경험이 있으며 비교적 제작하기 힘든 자료(슬라이드, 영상자료 등)은 남교사, 경력많은 교사일수록 제작경험이 더 많다. 둘째, 시청각 교재 제작동기는 학습지도에 필요하기 때문(83.8%), 자료전출품(8.0%) 순으로 나타났고 학습지도에 필요해서 제작한 경우는 남교사보다 여교사, 경력이 적을수록 그 비율이 높으며 자료의 출품동기는 그 반대 현상이었다. 셋째, 시청각교재 공급방법은 일부는 연구기관에서, 일부는 학교의 공동제작으로 공급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51.4%이고 연구기관에서 일괄 공급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43.3%이며 남교사와 경력이 많을수록 연구기관에서 일괄 공급 희망비율이 점차 높아졌다. 넷째, 시청각기교재 활용계획은 단원 지도계획 속에 포함하여 작성하는 경우가 65.0%로 가장 높다. 다섯째, 시청각매체 선정 활용실태는 매체특성을 잘 알고 선정하는 경우는 12.9% 뿐이다. 여섯째, 시청각 기재 이용정도는 슬라이드 환등기 57.5%(연 1∼2회 45.2%), 투시환등기 35.7%(연 1∼2회 28.5%), 실물환등기 18.7%(연 1∼2회 15.7%), 라디오 겸용 녹음기 96.1%(주 2회 이상 36.1%, 주 1∼2회 33.7%), TV 58.8%(주 2회 이상 17.2%, 년 1회 17.6%), VTR 42.5%(연 1∼2회 16.4%, 월 1회 13.7%), 사진기 71.6%(연 1∼2회 29.3%, 월 1∼2회 31.4%), 비디오 카메라 8.5%, 이동식 엠프 42.7%(연 1∼2회 24.7%), 휴대용 전축 30.1%(연 1∼2회 17.1%), 8mm영사기 5.1%, 16mm영사기 4.3%, 8mm촬영기 0.9%, 16mm촬영기 0.6%, 현미투영기 15.6%, 컴퓨터 39.5%(연 1∼2회 21.1%)이며 이상의 기재에서는 대체로 성별로는 남교사가 경력별로는 경력이 높을수록 이용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라디오의 경우는 여교사가 이용율이 더 높았다. 일곱째, 시청각 기기 활용부족 요인으로는 기기와 관련된 자료가 없어서(35.3%), 번거로와서(29.6%), 기기가 없어서(15.7%) 순이며 여교사는 번거로움이 더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시청각매체 활용성과는 흥미유발(66.6%), 내용이해(26.8%) 순이고 활동성과 분석을 한 적이 있는 학교는 24.3%인데 중소도시가 약간 높은 편이다. 이홉째, 교외 자료센터 이용안내 및 이용은 52.0%가 구두로 전달하고 안내조차 않는 학교가 38.1%이며 이용한 적이 있는 교사는 31.0%로서 이용부진 요인으로는 자료부족(45.0%), 이용불편(30.0%)의 군으로 나타났다. 3) 敎育放送 活用實態 첫째, 교육방송 수신상태는 교육방송 수신상태가 양호한 경우는 라디오가 71.3%이고 TV는 51.4%이며 대도시일수록 양호하다. 둘째, 敎育放送 활용시설 형태는 TV 방송시설이 없는 학교가 60.8%, 일원방송체제가 33.7%이다. 라디오의 경우 33.8%이며 TV는 특정 교실에 비치된 TV, VTR을 이용하여 시청하는 경우가 41.5%이고 각 교실에 비치된 TV, VTR을 이용하는 경우는 12.0%이다. 대체로 도시일수록 더 시설이 잘 되어 있다. 셋째, 교육방송 활용계획 수립방법은 교사 개인적으로 수립하는 학교가 47.1%, 학교 자체계획 27.8% 순으로 나타났으며 도시일수록 전체 계획에 따라 수립한다. 넷째, 교육방송 이용정도는 라디오의 경우 이용한 적이 있는 교사가 47.5%(연 1∼2회 이용이 20.4%, 16.0% 월 1∼2회 10.4%)로 나타났으며 남교사, 경력이 많을수록 이용율이 더 높았다. 다섯째, 교육방송 이용 장애요인은 기재가 없거나 수신상태 불량으로 이용 못하는 경우 라디오 43.1%, TV 65.8%, 번거롭기 때문이 라디오 29.9%, TV 23.2%로 나타났으며 번거롭게 느끼는 경우는 라디오는 5년 이하 교사, TV는 경력이 많을수록 높았다. 여섯째, 교육방송을 수업에 활용할 때 어려운 점은 프로그램 투입시기 결정(39.0%), 활용할 프로그램 선정(29.3%), 활용차시 결정(27.7%) 순이다. 일곱째, 교육방송 시청지도는 즉흥적 지도가 69.1%이며 사전계획에 따라 지도하는 경우가 18.0%이다. 한편 가정시청지도는 방학 때만 권장하는 경우가 46.8%로 가장 높고 평소에 자주 권장하는 경우가 19.3%이다. 여덟째, 교육방송 활용에 관한 연수 희망 내용은 방송활용하는 수업절차와 방법(77.5%), 기재 조작기술(62.2%), 시청시 학습지도 방법(53.7%) 순이다. 4) 視聽覺 媒體活用 硏修實態 첫째, 교사들의 기재 조작능력은 능숙하게 조사할 수 있는 경우가 슬라이드 환등기 30.9%, 투시환등기 23.6%, 실물환등기 14.5%, 녹음기 91.4%, TV 87.5%, VTR 36.2%, 사진기 48.8%, 비디오 카메라 3.2%, 엠프 23.9%, 전축 39.5%, 8mm영사기 5.7%, 16mm영사기 6.2%, 8mm촬영기 1.6%, 16mm촬영기 1.0%, 현미투영기 9.8%, 컴퓨터 6.7%등으로 조작능력이 전반적으로 부족하며 대체로 남교사보다 여교사가, 경력이 적을수록 조작능력이 부족하다. 둘째, 기교재 분류방법 認知는 잘 알고 있는 경우가 6.0%이며 이 비율은 남교사, 경력이 많을수록 약간 높다. 셋째, 기재조작 기술 습득방법은 개인적으로 35.2%, 교내연수 33.1%, 강습회 16.2%의 순으로 나타났고 남교사는 개인적으로 익힌 경우(39%)가 가장 많은 반면 여자는 교내 연수회에서 익힌 경우(31.8%)가 가장 많으며 경력별로는 각기 다르다. 넷째, 지재조작 연수회 개최여부는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학교가 24.3%이며 학급수가 많을수록, 도시일수록 그 비율이 높다. 다섯째, 시청각교육 자가연수 희망내용은 조작기술(61.4%), 수업절차(44.7%), 자료제작(45.1%), 컴퓨터 조작(43.4%)의 순이며 성별로는 전체 경향과 비슷하다. 경력별로는 통계적으로 의의가 없다. 여섯째, 교육대학 시청각 관련교과 운영실태는 교육공학, 자료실 운영(각 2학점)이 선택과목으로 되어 있으나 수강 인원은 51.5%, 41.6%로 나타났으며 교육공학 과목을 이수하는 경우 기재조작 실습을 대부분 실시하고 있다. 5) 問題點 및 改善方案 (1) 問題點 (가) 시청각 기교재의 보유실태의 문제점으로는 보유가재가 老朽化되었고 전반적으로 보유율이 낮을 뿐 아니라 대체적으로 학급수가 많을수록, 도시일수록 기준이상 보유율이 낮았으며 시대변천에 따라 所要基準을 改訂해야 할 기재가 많았다. (나) 시청각 기재의 관리는 도난방지를 위해 숙직실, 교무실 등에 보관하는 경우가 많아 이용하기가 번거롭고, 기재이용에 따른 교재 및 附帶施設이 未備하여 이용율이 낮으며 관리담당자의 업무량이 많았다. (다) 현직교사들의 視聽覺敎材 製作經驗과 能力이 不足하여 지역 및 학급실정에 맞는 자료제작·공급이 잘 되지 않고 있다. (라) 시청각 기교재 활용율이 전반적으로 낮으며 매체활용의 體制的 接近에 대한 理解가 不足하여 매체활용의 효율성이 낮았다. (마) 교육청 자료실은 기교재 부족, 원거리로 인한 이용불편, 홍보부족 등으로 그 이용율이 낮았다. (바) 교육방송은 교내시설부족, 수신상태불량, 방송시간대의 부적절, 방송내용 및 활용안내서의 미세분화 등의 障碍要因 때문에 그 이용율이 낮았다. (사) 교육방송활용에 대한 학교 전체적인 활용계획수립 및 실천이 부진하다. (아) 현직교사들의 視聽覺敎材 製作能力이 적반적으로 不足하고 시청각 매체활용에 대한 교내연수회가 정기적으로 실시되는 학교가 적다. (자) 시청각 매체활용에 관련하여 교사들이 희망하는 연수내용은 기재조작기술, 매체를 활용하는 수업절차, 자료제작 등이었다. (차) 교육대학 시청각교육에 관련된 교과목들이 모두 선택과목인데다 주당 시간수도 적어 이론 및 실기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그나마 이러한 시청각 매체활용에 대한 이론 및 실기교육을 받지 못하고 졸업하는 rddn도 전체의 50∼60% 정도이다. (2) 改善方案 (가) 1984년 대통령령에 의해 정해진 국민학교 시청각 기재의 학급수별 소요기준은 시대의 흐름에 맞게 현실적으로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노후된 기재를 대체하고 학급수별 소요기준 이상의 기재를 보급하기 위한 當局의 財政的 支援이 따라야 한다. (나) 시청각 기교재의 관리는 각 학교실정에 다라 가장 편리하게 관리·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다) 시청각 담당교사를 각종 視聽覺 硏修敎育을 통해 專門化시켜야 하며 시청각 관련업무 이외의 업무량을 최소화해야 한다. (라) 시청각 교재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서는 전문연구기관에서 교육과정 연구를 통해 새로운 매체를 개발·보급함과 아울러 각 학교마다 共同製作計劃을 수립하여 연차적으로 확충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마) 시(군)교육청단위 자료실, 지역단위(읍·면) 자료실 및 학교단위 자료실간의 連繫性을 고려한 자료실 운영 활성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바) TV 교육방송(UHF) 難視聽地域 解消를 위한 政策이 마련돼야 한다. (사) 교육방송의 放送時間帶를 調整하여 교사들이 근무시간 중에 녹화하거나 수업에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아) 교육방송 프로그램을 녹음·녹화한 테이프를 각 학교에 배부하는 방안도 검토되어야 한다. (자) 교육방송 내용을 次時別 利用이 可能하도록 細分化하여 편성하고 교육방송 활용안내서도 더욱 상세히 작성하여 각 교사에게 1부씩 배부해야 한다. (차) 교육방송 활용을 위해 학교 전체적인 계획수립과 지도방안의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카) 현직교사들의 시청각기재 조작능력과 시청각매체 활용방법의 향상을 위해 校內硏修, 교육방송을 통한 연수 및 전문기관을 통한 一般硏修 등을 强化해야 한다. (타) 교육대학에서 현재 2학점 단위의 선택과목으로 운영되고 있는 "敎育工學"과목을 3학점 단위의 必修科目으로 개편하여 豫備敎師(교육대학생)들이 시청각매체활용에 대한 理論과 實技를 철저히 습득하도록 해야 한다.

      • 장기간의 장거리 달리기가 골대사 마커에 미치는 영향

        장성동,이은희,홍명엽,문성진,김주혁,이윤관,김영준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1

        This study is purposed to analyse the effects of long-term & one-time 10km running exercise from bone metabolic marker change on bone metabolism. 7 male members(18.6±1.08) from a marathon club were subjected to the study. They were allowed to do long-term 10 km running training once a week for 6 months. And bone metabolism mark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pective times : before/after 6 months training, before/after 10 km race, one day after the race, 3 days after the race. The examination items of bone metabolism mark were serum calcium, phosphorus, paratyroid hormone, osteocalcin, calcitonin, alkaline phosphatase in blood and calcium, phosphorus, deoxypyridinolin in urine.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change in deoxypyridinolin and alkaline phosphatase but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in calcitonin, paratyroid hormone and osteocalcin(p<.01). 2) There was no change of Calcium in serum and urine but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of phosphorus in blood(p<.01). To make a conclusion, it is determined that long-term 10 km running at low intensity and low frequency tends to restrict bone metabolism circulation, but exercise at a little high level activates bone metabolism into building up bones and absorbing bones and finally shows up high bone metabolism circulation, which is inferred to have an effective influence on bone health. It is consider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ifferent exercise intensity, even same kind of exercise, influences on bone metabolism sdifferently.

      • KCI등재

        ETACS와 CDMA 디지털 셀룰라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Interference Canceller System의 설계 및 구현

        장원호,홍주석,이윤현 한국항행학회 2002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6 No.4

        본 논문에서는 인접한 대역에 ETACS와 CDMA 방식의 디지털 셀룰라 시스템이 공존하는 중국 상해 지역의 간섭환경에서 기존의 간섭제거장비보다 이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Interference Canceller Systern(ICS)을 설계하고, 개발된 부품들을 통해 구현하였다. 구현된 ICS는 무선 채널환경의 변화에 안정적이면서 인접한 대역의 ETACS와 CDMA방식의 디지털 셀룰라 시스템 간에 약 29dB이상의 간섭 제거 성능을 보유한 시스템임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vide the Interference Canceller Systems(ICS) in the wireless environments in the presence of co-existing ETACS and CDMA digital cellular systems to effectively cancel the interference than the established canceller systems. We proved the enhanced cancelling performances more than 29 dB cancell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co-existing ETACS and CDMA digital cellular systems and the stabilized system characteristics in the rapidly changing wireless circumstances.

      • KCI등재

        Advanced Indentation System을 이용한 연성 파괴인성 평가식의 모델링

        주장복,이정석,심홍석,이승건,권동일 대한금속재료학회 2004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42 No.1

        Fracture properties of various structural steels were determined non-destructively using the advanced indentation system (AIS), which is developed on the basis of continuous indentation technique. In this study, conventional critical strain model was modified to predict the ductile fracture toughness from the AIS data. In deriving the ductile fracture toughness model, fracture strain and characteristic length were estimated using the stress triaxiality and the work-hardening exponent. AIS tests were conducted on carbon steels, stainless steels, aluminum alloys and copper alloys. For all these materials, the results of indentation test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standard fracture toughness test methods, which shows that the present analysis can predict successfully the ductile fracture toughness of structural steels.

      • Squalene Adjuvant를 이용한 단백질 항원의 세포성 면역반응 유도

        도현주,김성열,안종성,하영주,이승찬,오재택,장명호,정홍석,문홍모,박해준 大韓免疫學會 1996 大韓免疫學會誌 Vol.18 No.3

        To investigate the role of adjuvant for cytotoxic T lymphocytes (CTL) induction, squalene-based adjuvant was studied its capability eliciting to the induction of cellular immunity as well as humoral immunity to exogeneous proteins. Ovalbumin (OVA) was used as model proteins. It was demonstrated that antigen formulation consisted of metabolizable oil squalene mixed with Tween 80 and pluronic L121 (S/TJ121) could induced the antigen specific CTL responses and antibodies irrespective of immunization routes in mice. We also demonstrated that this antigen formulation was a inducer of CD8+,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MHC) class I-restricted, and antigen-specific C;1'Ls. These data suggest that the squalene-based emulsion system is a potent adjuvant inducing cellular immunity as well as humoral immunity.

      • KCI등재
      • 중·고등학교 청소년의 자살사고 및 자살시도의 유병률과 자살시도의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조성진,전홍진,김장규,서동우,김선욱,함봉진,서동혁,정선주,조맹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6

        연구목적 :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중·고등학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살 사고 및 자살시도의 빈도, 성별과 연령(13∼15세 vs 16∼18세)에 따른 자살사고 및 시도의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 자살사고 및 자살시도가 있는 청소년의 특징, 그리고 자살시도의 위험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부천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24개교 및 고등학교 20개교의 청소년 71,102명중에서 무작위 집락 표본 추출범으로 청소년 2,203명(남자 1,105명, 여자 1,098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살시도 및 자살사고의 정의에 관한 항목은 Moscicki가 사용한 자살행동에 관한 4항목 중 2항목을 사용하였다. 우울증에 대한 조사도구는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알코올 의존에 대한 조사도구는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의 알코올 의존 관련 항목을 사용하였다. 조사자료 통계는 빈도, 백분율, chi-square test, 단변인 및 다변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 과 : 본 조사연구의 분석결과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전체 대상자의 자살 사고률은 30.7%, 자살 시도률은 5.3%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자 대상자의 자살 사고률과 시도률은 26.9%, 3.4%이었고, 여자 대상자의 자살 사고률과 시도률은 34.9%, 7.3%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별에 따라 자살 사고률과 시도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연령(학년)을 13∼15세(중학교)와 16∼18세(고등학교)의 두 연령층으로 조사하였을 때, 중학생의 자살 사고률과 시도률은 30.1%, 4.3%이었고, 고등학생의 자살 사고률과 시도률은 31.6%, 6.4%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에 따른 자살 사고률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자살 시도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전체 조사 대상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다변인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에 의하면, 자살 시도의 위험요인이 여자, 알코올 의존, 중등도 및 중증 우울 증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녀별로 시행한 단변인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에 의하면, 남자는 알코올 의존이 있을 때, 여자는 알코올 의존, 중등도 및 중증의 우울 증상이 있을 때 자살시도의 위험성이 높았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자살 사고률 및 자살 시도률이 각각 29.6%(남자 25.6%, 여자 33.7%)와 5.31%(남자 3.3%, 여자 7.3%)인 점과 자살시도의 위험요인이 우울 증상의 정도, 알코올 의존인 점을 고려할 때 알코올 의존 및 우울 증상의 조기발견과 치료, 그리고 자살 사고자 및 자살 시도자에 대한 정신의학적 접근과 추적관찰에 대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Aims of this study were 1) to estimate prevalence rates of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2) to find out whether the gender difference and age difference(13-15 years vs 16-18 years) for suicide behaviors exist, 3) to analyse correlates of suicide attempts among junior and high school adolescents aged 13-18 years old. Methods :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in a cluster random sample of 2,203 school adolescents(male 1,105, female 1,098). Data were obtained on a wide range of constructs including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during past 2 weeks, depressive symptoms, symptoms of DSM-IV alcohol dependence, family structure, socioeconomic status, smoking, satisfaction with school achievement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Chi-square test were done for analysing gender difference and age difference of suicide behaviors.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for each sex, respectively. Results : 1) The prevalence of suicide ideation during past 2 week was 30.7% in the total sample. The prevalence rates of male and female ideators were 26.9% and 34.9%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suicide attempt during past 2 week was 5.3% in the total sample. The prevalence of suicide attempt in males was 3.4% and 7.3% in females. 2) Gender difference was significant. That is, female respondents showed higher rate of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In our study age difference was found only at the rate of suicide attempt. That is, older adolescents(16-18 years) showed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rate of suicide attempt than younger adolescents(13-15 years). 3)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rrelates for suicide attempt were female, moderate to severe depressive symptoms, alcohol dependence in the total sample. In males the correlate for suicide attempt was alcohol dependence. In females, were moderate to severe depressive symptoms, and alcohol dependence. Conclusion : Depressive symptoms, alcohol dependence, presence of suicidal ideation were strong predictors for suicide attempts. This suggest that early detection of treatment of depression and alcohol dependence is important and psychiatric approach and follow-up be needed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 KCI등재

        꽃꽂이시 절화조합이 장미의 절화수명과 미생물 증식에 미치는 영향

        박윤점,정주연,장홍기,허북구 한국화훼연구회 2001 화훼연구 Vol.9 No.2

        Various combinations of cut rose and other cut flowers were accomplished to provide basic data for vase life extension of cut rose. The vase life of cut rose combined with other cut flowers was as follows ;rose (8 days) > rose + gladiolus (6 days) > rose + calla (4 days) > rose + chrysanthemum (4 days) > rose + carnation (3 days) > rose + gerbera (2 days). The vase solution of cut rose without other cut flowers had the lowest concentration (1.2×105 CFU/mL) of bacterial cells. On the other hand, The vase solution of cut rose with gerbera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9.3×106 CFU/mL) of bacterial cells.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vase life of cut rose is extended by reducing the bacterial cells in the vase solution though the proper combination with effective cut flow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