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나무 , 편백나무산출묘(山出苗)의 활착영향인자(Ⅰ)

        이정석,오광인 한국임학회 1979 한국산림과학회지 Vol.43 No.1

        삼나무, 편백나무의 經濟林 造林에 있어서 활착율이 極히 低調한 事例가 往往 있었다. 이에 對한 영향 因子를 究明코저 一次로 1-1의 實生山出苗와 삼나무의 揷木苗를 供試材料로 하여 室外, 室內 OED green을 葉莖에 處理한 것과 無處理한 것을 午前, 午後 종일 室內에서는 4日間 乾燥處理한 後 침적처리 시험을 하였으며 아울러 함수율을 測定分析하였다. 處理된 苗木은 同一 條件의 苗床에 植栽하여 만족할만한 관리를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삼나무, 편백나무의 山出苗의 OED green처리는 室內와 室外間에 高度의 有意性이 있었으며 무처리의 경우 오전, 오후, 종일 間에도 高度의 유의성이 있었다. 침적처리는 유의성이 없었다. 2. 삼나무 揷木苗는 건조처리간에 고도의 유의성이 있었다. 건조시간과 침적시간과의 상호작용에 유의성이 있었다. (6時間 건조할 경우 8時間 침적하였을 때 效果가 있었다) 3. 室內에서 4日間 건조처리를 계속했을 때 2日 경과 後부터 활착율이 현저히 떨어졌다. OED green 및 침적처리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무처리에 비해 좋았다. 4. 함수율은 9時부터 15時사이에 급속히 떨어졌으며 室內에 比하여 室外處理가 극히 낮았다. 5. OED green과 無處理間의 含水率은 差가 적었다.

      • Frank L. Wright 초기건축의 공간구석 특성에 관한 연구

        이정석,이용재,권성진 순천향대학교 부설 산업기술연구소 2004 순천향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variation of spatial composition in Frank L. Wright's architecture focusing on the houses of Prairie in the early period(1892~1910). The view point of architectural organization, the classified principle of spatial composition be related to the geometric space and the organic space in that period. We select the houses of Frank L. Wright : Blossam House(1892), Winslow House(1893), Heller House(1896), Willits House(1902), Martin House(1904), Coonley House(1907).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patial composition on the houses of Prairie is variated from the linear symmetry to symmetrical axial centripetal and non-symmetric expansion.

      • '전통주의 담론' 연구 : <수난이대>를 중심으로

        이정석 崇實語文學會 2003 崇實語文 Vol.19 No.-

        전통주의 담론에는 공동체의 파괴와 수난을 전통적인 정서와 논리로 치유하고자 하는 염원이 투영되어 있다. 이때 화해와 치유의 염원은 인도주의(humanitarianism)의 면모를 보여주기 때문에, 기존의 논의에서는 전통주의 담론을 휴머니즘 담론에 포괄하여 설명하려 한다. 하지만 표면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감상적 인도주의는 휴머니즘과는 다른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할 성질의 것일 뿐 아니라, 전통주의 담론은 서사양식의 측면에 있어서도 휴머니즘 담론과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그동안 휴머니즘 담론으로 분류되던 〈수난이대〉를 새롭게 '전통주의 담론'으로 분류하여 그 서사적 구현양상을 고찰했다. 그 결과 〈수난이대〉가 민중의 수난과 전통적인 한의 정조를 짙게 풍기면서 전흔의 극복의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전통주의 담론양식의 전형을 보여주는 작품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난이대〉는 '맺힘과 풀림의 서사구조' 속에 민중이 역사적 상처와 고통을 딛고 일어나 현실세계와 화해하는 양상을 잘 담아내고 있다. 이때 여타의 전통주의 담론과 마찬가지로 가능한 한 서사 내부에서 역사적 현실을 배제한 채 인간과 자연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향토적 공간을 배경으로 주체의 화해를 모색한다. 이 주관적 소망이 투사된 낭만적 화해의 서사는 역사적 현실이 남긴 상처와 고통을 치유하고 고단한 주체를 위로하는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미래지향적 전망을 모색하지 못하고 복고적 퇴행성을 드러내거나, 현실 순응적 태도로 일관하면서 현실에 안주하는 무력성을 보여주는 것은 그 한계로 지적될 만하다.

      • 觀賞植物 泰山木揷木에 關한 實驗硏究(第2報)

        李偵錫 全南大學校 農漁村開發硏究所 1965 農業科學技術硏究 Vol.3 No.-

        Since it is difficult to propagate M. grandiflora with seedlings. According to increase its demands it is necessary to produce them domestically. From 1963 to 1964 the experiments has been made on the seedlings of M. Kobus D. C,(2 years old). This experiments was made to know technique difference between two technicians and different to be taken scion from different season.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new shoots growth from the scion grafted on April 24 (field working by veneer grafting) accurred from May 25 to July 10 after grafting. 2. The scion taken from the mother trees on the gragted date before 15 days is 10% higher than that before 60 days in the number of grafted trees. The most successful rate of graft union was 34.8% of the C methods. 3. There was no technique difference between two technicians. 4. The growth from the scions in the A, B methods w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as compared with the C methods. The means of growth in theh A, B methods was 25.55-36.03cm and 8.58cm in the C methods.

      • KCI등재
      • 齒牙硬組織의 異常에 關한 調査 : Part Ⅰ- Variation in number

        이정석 梨花女子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院 1972 韓國生活科學硏究院 論叢 Vol.9 No.-

        A study of congential dental anomalies was done through annual examination of Ewha Womans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Data of 5,354 students, aged 18-22 yea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is project. Variations in number, variation in size, fusion, and anomalies in tooth position were included in the study. Among them, the variation in number-anodontia-were very interesting and made an article here. The frequency of congenitally missing permanent teeth of this study were quite different from other reports, especially from European and American studies. That is, Oriental origin in its pattern of the missing was considerably diferent from them. And racial differences were found even a little. Supernumerary tooth and fusion were checked and recorded in addition to them. A statistical report of variation in number is very significant to understand the dental status of Korean college girls, particularly to understand the practical missing teeth in DMF teeth of them. The cause of tooth loss in this student group would be the next project as a serial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evalance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was 6.6%(N=347). 2. The order of frequency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was lower lateral incisors (23.4%), upper lateral incisors (17.1%), lower second bicuspids (14.8%), and upper second bicuspids (14.6%), while the European studies reported as upper lateral incisors and upper second bicuspids and lower second bicuspids and so on. An the Japanese one was similar with this data. Lower canines was revealed the lowest frequency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The average was 1.6 teeth per head. (N=561).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pper and lower nor right and left teeth. 4. 145 retained deciduous teeth instead of permanent teeth are found occuring in 561 cases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25.8%). 5. Supernumerary teeth were checked in only 23 cases on the maxillary except two cases on mandible. 6. Fusions were found in only 13 cases on mandibular anteriors except one case on a maxillary anterior. The prevalance was 0.2%.

      • 永久齒 拔齒의 原因別 統計 및 齒齡에 關한 報告

        이정석 梨花女子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院 1977 韓國生活科學硏究院 論叢 Vol.18 No.-

        健全한 齒牙의 維持 保存은 齒科醫學의 窮極的 目標이다. 그러나 여러 原因으로 拔去하게 됨으로써 年齡 增加에 따라 現存 齒兒數는 減少되어가고 이에 따라 本來의 機能도 喪失되어간다. 筆者는 過去 二年間 梨花炳院 齒科에 來院한 患者 2,221名 중 永久齒를 拔去한 519名 815個齒牙를 그 原因을 ① 齒牙우식증 ② 齒周疾患 ③ 補綴上 理由 ④ 埋伏 또는 囊腫 등의 口腔外科的 理由 ⑤ 矯正治療의 目的 ⑥ 外傷으로 分類하고 拔去當時의 年齡을 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齒牙 拔去의 原因 중에서 齒牙우식증이 48.9%, 齒周疾患이 29.0%로서 全體例의 約 8割(77.9%)을 占하여 外科的 理由가 11.7%로 비교적 높았다. (2) 年齡의 增加에 따라 齒牙우식증으로 인한 拔去는 漸次 低下되고 反對로 齒周疾患으로 因한것은 顯著한 上昇 추세를 보였다. (3) 性別로 보면 男子에서는 上下握 對比가 57.5:42.5인데 女子에서는 41.0:58.9%이고 齒牙別로는 下握第三·第一大臼齒가 가장 높은 편이고 下握 中·側切齒 및 上下握 犬齒에서 가장 낮았다. (4) 齒齡은 上下握 第二大臼齒, 下握中·側切齒등이 높았고, 下握 第三·第一大臼齒 등이 낮아 拔齒의 原因과 密接한 關係가 있음이 明白히 立證되었다. This was to study 1) the cause of extraction by age and tooth types, and 2) tooth mor-tality with 2,221 out-patients who had visited to the Department of Dentistry,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74 to December 1975.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519 of 2,221 patients (23.3%) were extracted their one or more teeth by various causes and the average number of extracted teeth were 1.5 in male and 1.6 in female. (2) The most prevalent causes of tooth loss were due to advanced dental caries (49.0%), periodontal disease (29.1%), and impacted teeth, cyst or other oral lesions (11.85). (3) While the age increased tooth mortality due to dental caries was reduced gradual-ly from 73.1% in adolescent group to 15.8% in the 5th decade, and the number of tooth loss caused by periodontal disease was getting higher in the 4th decade (50.8%) and in the 5th decade (82.25). (4) Mean age of permanent tooth mortality in male was 37.70 and in female was 34.41. (5) The relatively high mortalities of individual teeth were revealed as follows; ??(15.7%), ??(14.9%), ??(10.6%), ??(9.8%). (6) The maxillary and mandible second molars, mandible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retained longest, and mandible first and third molars, maxillary central incisors and third molars showed shortest in their mean age. (7) The tooth mortalities of male were longer than female, and maxillary teeth were longer than mandibular tee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