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8)

        김재홍,김준호,반재용,이정우,황성주,정준규,정성태,강진문,조흔정,홍창의,정혜신,이한승,김이선,이봉길,이종호,선영우,한기덕,윤성필,이성훈,안종성,박석범,문승현,조항래,김형섭,류지호,황재영,박준홍,손상욱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2001 한양의대 학술지 Vol.21 No.1

        In recent years, gonorrhea has been pan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n STD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PPNG), w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enereal Disease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na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In 1998, 93 strians of N. ge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60(64.5%) were PPNG.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which had been decreased to 39% in 1996 after a peak of 74.3% in 1993, is increased to 64.5% in 1998.

      • KCI등재

        임신성 유방암과 40세 미만의 유방암과 비교

        양반석 ( Ban Seok Yang ),박세호 ( Se Ho Park ),이소희 ( So Hee Lee ),박형석 ( Hyung Seok Park ),황혜원 ( Hye Won Hwang ),이준상 ( Jun Sang Lee ),고시몬 ( Si Mon Ko ),김승일 ( Seung Il Kim ),박병우 ( Byeong Woo Park ) 대한임상종양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7 No.2

        목적: 본 연구는 임신성 유방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징과 예후를 조사하여 임신이 임신성 유방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1987년부터 2007년 사이에 치료받은 14명의 임신성 유방암환자들의 임상병리적 특성, 치료방법, 생존율을 855명의 40세 미만침윤성 유방암 환자들과 chi-square 검정, Kaplan-Meier 방법, 그리고 Cox`s hazards 모델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임신성 유방암은 임신기간중또는출산후1년이내에진단된유방암으로정의하였다. 결과: 14명의 임신성 유방암 환자 중, 7명은 임신 중에 진단되었으며, 7명은 산후 1년 내에 진단되었다. 평균 증상기간은 7.6개월이었고, 임신성 유방암과 40세 미만 유방암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각각 32.6세, 34.6세였다 (p=0.044). 임신성 유방암은 모두 유관암이었으며, 병기, 호르몬 수용체 발현, 치료방법은 임신성 유방암과 40세 미만 유방암 사이에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임신성 유방암 환자의 5년 무병 생존율과 전체 생존률은 57.1%, 70.0% 였으며, 생존율은 두 그룹 사이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다변량 분석에서도 임신여부는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임신성 유방암 환자 중 출산전과 후에 따른 생존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젊은 유방암 환자와 비교하여 임신성 유방암은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예후는 차이가 없었으며, 임신성 유방암 환자와 태아를 위해 적극적인 진단과 다학제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pregnancy-associated breast cancer (PABC) and to determine the implications of pregnancy itself on the prognosis of PABC. Methods: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treatment patterns, and survival of 14 PABC patients were compared to those of 855 invasive ductal carcinoma (IDC) patients under 40 years of age, who were treated between 1987 and 2007, using a chi-square test, the Kaplan-Meier method, and Cox`s hazards models. PABC was defined as breast cancer diagnosed during pregnancy or within the first year after delivery. Results: Among 14 PABCs, 7 were diagnosed during pregnancy and 7, during the first postpartum year. The mean duration of the symptoms was 7.6 months. The mean age at diagnosis of PABC and IDC under 40 years was 32.6 and 34.6 years, respectively (p=0.044). All PABCs were ductal type. Hormone receptors, treatment modalities, and tumor and node stage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PABC and IDC under 40 years. Five-year disease-free, locoregional relapse-free, distant relapse-free, and overall survival of PABC was 57.1%, 71.3%, 56.4%, and 70.0%, respectively. Surviva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In Cox°Øs models, PABC was not associated with survival outcomes. Among PABC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survival between patients diagnosed before and after delivery. Conclusion: Pregnancy itself does not increase the risk of poorer outcomes among young breast cancer patients. Vigilant diagnosis and multidisciplinary treatment should be recommended to best manage woman with PABC and her baby.

      • Laminate Veneer용 도재의 표면처리가 치질과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반용석,정현곤,홍순호 慶北大學校 齒科大學 1991 慶北齒大論文集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porcelain laminate veneer and enamel according to the surface treatment and thermocycling. Group Ⅰ, as a control group, was sandblasted only; group Ⅱ was sandblasted and etched; group Ⅲ was snadblasted and silane treated; and group Ⅳ was sandblasted, etched and silane treated. A porcelain block was placed onto the etched enamel under a 150g static load and the bonded site was light-cured from 4 directions for 1 minute each. The 72 bonded specimens were stored in water at 37℃ for 1 day. Half of each group were themocycled at 4℃ and 60℃ for 100 cycles with a dwelling time in each bath of 1 min. Following thermocycling, the specimens were installed in an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the 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After the specimens were fractured, the fractured surfaces were examined with SEM.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hear bond strength of the sandblasted and etched and silane treated group(Group Ⅳ) was the strongest of all, and the shear bond strengths between the snadblasted group (Group Ⅰ) and the sandblasted and silane treated group (Group Ⅲ)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p>0.05). 2. When the 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after thermocycling, only the sandblasted, etched and silane treated group (Group Ⅳ) was statistically different (p<0.05). 3.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views of the fractured surfaces show more irregularities and more resin fragments in the etched group than in the unetched group. 4.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views of the fractured surfaces show a more delicate surface after thermocycling and after silane treatment than before thermocycling and before silane treatment. J. Kyungpook Nat. Univ Sch. Dent Vol.8, No.1, 141∼153, 1991.

      • KCI등재후보

        경화성 장간막염과 감별이 어려웠던 총담관암 림프절전이 1예

        박호준 ( Ho Joon Park ),이반석 ( Ban Seok Lee ),서안나 ( An Na Seo ),배한익 ( Han Ik Bae ) 대한췌담도학회 2016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1 No.4

        경화성 장간막염은 장간막에 만성 염증과 섬유화를 보이는 드문 질환으로 비교적 양호한 경과를 가지는 질환이다. 복부 컴퓨터단층촬영을 포함한 특징적 영상소견이 진단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경화성 장간막염은 몇몇 악성 질환들과 유사한 형태를 보일 수 있으며, 이들은 치료방법 및 경과 자체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악성 질환에 대한 적극적 배제가 중요하다. 저자들은 체중 감소 및 지속되는 설사 증상으로 내원한 75세 남성 환자가 복부 컴퓨터단층촬영상 장간막 혈관 주변 연무양 감쇄의 특징적 소견을 보여 경화성 장간막염으로 오인하였으나, 추적관찰 및 추가적으로 시행한 조직검사와 양성자방출 컴퓨터단층촬영술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총담관암과 그에 동반된 림프절전이로 진단하였던 드문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Sclerosing mesenteritis is a rare disease presenting as chronic inflammation and fibrosis of mesentery around the small and large intestine. And in most cases, it shows indolent and benign clinical course resulting in favorable prognosis. It is often diagnosed through characterized radiologic finding in abdominal examinations including computed tomography scan. However, it is important to rule out other conditions involving mesentery when diagnosing sclerosing mesenteritis. In the case of malignancy, the method of treatment and prognosis can be completely different therefore thorough examinations are essential. We herein report a 75-year-old male who suffered from frequent diarrhea and weight loss. Initially, he was diagnosed with sclerosing mesenteritis through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scan showing "misty" soft-tissue attenuation around the mesenteric vessel. However, follow up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can and biopsy finding confirmed the common bile duct cancer with lymph node metastasis.

      • KCI등재

        유형이 다른 영농형 태양광발전시설 하부 재배 환경 및 벼 생산성 평가

        반호영 ( Ho-young Ban ),정재혁 ( Jae-hyeok Jeong ),황운하 ( Woon-ha Hwang ),이현석 ( Hyeon-seok Lee ),양서영 ( Seo-yeong Yang ),최명구 ( Myoung-goo Choi ),이충근 ( Chung-keun Lee ) 한국농림기상학회 2020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22 No.4

        영농형 태양광발전시설은 농지에 설치하여 전기도 생산하면서 동시에 작물도 재배할 수 있다. 영농형 태양광발전시설의 구조와 태양의 위치에 따라 차광 지점이 변화하기 때문에 시설 하부 환경을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작물생산성도 평가되어야 한다. 영농형 태양광발전시설은 “고정형”과 “추적형” 두가지 유형을 설치하였으며, 시설을 설치한 농지와 차광이 되지 않는 일반 농지(control)에 벼 재배 실험을 실시하였다. 현품벼를 2019년 6월 7일에 기계 이앙하였으며, 시비량은 N-P-K= 9.0-4.5-5.7 kg/10a 이었다. 각 태양광발전시설 하부 15개 지점에 일사와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기상을 측정하였고, 지점 별로 수량 및 수량관련요소들을 조사하였다. 벼 생육기간동안 누적 일사는 고정형의 경우 지점들 간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추적형의 경우 지점들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지만, 두 유형의 평균 누적 일사량은 비슷하였다. 고정형의 등숙률과 천립중을 제외하고 평균 기온과 수량 및 수량 관련 요소들 모두 차광율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차광율이 커질수록 감소하였다. 차광율과 수량과의 관계에서 고정형은 로지스틱식으로 추적형은 1차방정식으로 각기 다르게 나타났으며, 두 유형 모두 높은 상관을 보였다(추적형: R<sup>2</sup> = 0.62, 고정형: R<sup>2</sup> = 0.73). 두 유형의 지점 별 차광율 변동은 두 유형 간 비슷한 수량 변동에도 불구하고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 생육기간의 누적 일사에 대한 차광율보다는 특정 시기의 차광율과의 관계를 좀 더 세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agrivoltaic can produce electricity and grow crops on fields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ultivation environment and evaluate the crop productivity under agrivoltaic because the shading point changes according to structure of agrivoltaic and sun’s position. Two types of “fixing” and “tracing” agrivoltaic were installed, and a rice cultiv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fields under each agrivoltaic and without shading (control). “Hyunpoombyeo” was transplanted on June 7, 2019, and grown with fertilization of 9.0-4.5-5.7 kg/10a (N-P-K). Fifteen weather stations were installed under each agrivoltaic to measure solar radiation and temperature, and yield and yield-related elements were investigated by points. The accumulated solar radiation during the rice growing season in fixing was no much difference between points, and that in tracing was much difference between points. However, the average solar radiations of two agrivoltaics were similar. The mean temperature, yield, and yield-related elem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shading rate,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shading rate except ripening grain rate and 1000 grain weight of fixing agrivoltaic.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ding rate and yield, fixing and tracing were fitted to a logistic equation and a simple linear equation, respectively, and showed a high correlation (tracing: R<sup>2</sup> = 0.62, fixing: R<sup>2</sup> = 0.73). The shading rate variation by point for two types was large despite similar yield variation. Thus, it needs to be more closel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the shading rate for a specific period rather than the shading rate during the whole growing season.

      • KCI등재

        기계학습을 이용한 벼 수발아율 예측

        반호영 ( Ho-young Ban ),정재혁 ( Jae-hyeok Jeong ),황운하 ( Woon-ha Hwang ),이현석 ( Hyeon-seok Lee ),양서영 ( Seo-yeong Yang ),최명구 ( Myong-goo Choi ),이충근 ( Chung-keun Lee ),이지우 ( Ji-u Lee ),이채영 ( Chae Young Lee ), 한국농림기상학회 2020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자연 조건에서 쌀가루용 벼의 수발아율을 예측하기 위한 것으로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기상요소들에 따른 수발아율을 간단히 예측할 수 있는 초기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에 위치한 6개 지역에서 쌀가루용 벼 3품종을 재배하였다. 수확 후 수발아율과 출수일을 조사하였으며, 각 지역의 종관기상대의 일 평균 기온과 상대 습도, 그리고 강수량 정보를 이용하여 기계학습 모델 중 하나이며, 정확도가 높은 GBM 모델로 수발아율을 예측하였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강원과 충북, 그리고 경북의 6개 지역에서 쌀가루 용 벼 3품종에 대해 재배 실험을 수행하였다. 조사 항목은 출수일과 수발아율이었다. 기상자료는 동일한 지역명의 종관기상대를 이용하여 일 평균 기온 및 상대 습도, 그리고 강수량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발아율 예측을 위해 기계학습 모델인 Gradient Boosting Machine (GBM)을 이용하였으며, 학습 투입 변수로는 평균 기온과 상대 습도, 그리고 총 강수량이었다. 또한 수발아 피해 관련 기간을 설정하기 위해 출수 후 몇 일 후부터 그 이후의 기간에 대한 실험도 수행하였다. 자료는 수발아 피해 관련 기간의 교정을 위한 training-set과 vali-set, 검증을 위한 test-set으로 구분하였다. training-set과 vali-set으로 교정한 결과, 출수 후 22일 후부터 24일동안에서 가장 높은 score를 나타내었다. test-set으로 검증한 결과는 3.0%보다 낮은 구간에서 수발아율을 약간 높게 예측한 경향이 있었지만, 높은 예측력을 보였다(R<sup>2</sup>=0.76). 따라서,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특정기간동안의 기상요소들로 수발아율을 간단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특정기간 동안에 평균 기온과 상대 습도, 그리고 총 강수량으로 높은 수발아율 예측 성능을 보였으며,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일반 농가들을 대상으로 수발아에 관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조기 수발아 예측 시스템으로 이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품종마다 휴면 정도 차이로 인한 수발아 관련 기간에 차이가 있으므로, 다른 쌀가루용 벼 품종에 대해서도 추가로 조사하고, 개별 품종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한다면 좀 더 정확도 높은 예측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ice flour varieties have been developed to replace wheat, and consumption of rice flour has been encouraged. damage related to pre-harvest sprouting was occurring due to a weather disaster during the ripening period.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e-harvest sprouting rate prediction system to minimize damage for pre-harvest sprouting. Rice cultivation experiments from 2017 to 2019 were conducted with three rice flour varieties at six regions in Gangwon-do, Chungcheongbuk-do, and Gyeongsangbuk-do. Survey components were the heading date and pre-harvest sprouting at the harvest date. The weather data were collected daily mea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rainfall using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with the same region name. Gradient Boosting Machine (GBM) which is a machine learning model, was used to predict the pre-harvest sprouting rate, and the training input variables were mea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total rainfall. Also, the experiment for the period from days after the heading date (DAH) to the subsequent period (DA2H)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period related to pre-harvest sprouting. The data were divided into training-set and vali-set for calibration of period related to pre-harvest sprouting, and test-set for validation. The result for training-set and vali-set showed the highest score for a period of 22 DAH and 24 DA2H. The result for test-set tended to overpredict pre-harvest sprouting rate on a section smaller than 3 .0 %. However, the result showed a high prediction performance (R<sup>2</sup>=0 .76).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re-harvest sprouting rate could be able to easily predict with weather components for a specific period using machine learning.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