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오재응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1 소음 진동 Vol.1 No.2
가전제품의 고부가가치를 위해서는 제품의 기본성능 충실화와 함께 소음진동 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여야 한다. 소음진동의 제어는 소음진동을 일으키는 원인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최적의 소음진동방지 대책을 제시함으로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국내의 가전 3사와 학계는 산학협동연구를 통한 제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소음진동 제어 연구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본 글에서는 가전제품중 다양한 소음 특성을 갖고 있는 냉장고의 경우 진동에 의한 소음 제어 방법으로 진동 전달 특성 변경이 유효한 방법임을 제시 하고자 한다. 가전제품의 소음진동의 발생은 주로 홴등에 의한 유체유동 소음특성과 기계 구조물의 진동에 의한 소음 특성을 모두 갖는 냉장고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으로 Sound Intensity법과 가속도 측정법을 이용하여 진동의 전달 경로를 파악하고 냉장고의 압축기 진동에 의한 소음 제어의 대책을 제시하였다.
허광,권혁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5 소음 진동 Vol.5 No.2
1968년 경인고속도로를 시작으로 국내 도로환경이 변화하면서 교통소음이 주거환경에 문제로 제기되었으며, 80년대부터 시작된 포장재질의 콘크리트화 추세는 교통소음의 증가요인이 되었고, 신도시 고속도로 및 도시외곽 순환도로 등의 확충 사업은 주거환경 내에서도 교통소음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도로교통소음은 주거환경의 쾌적성을 침해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1993년 국내 환경오염 피해진정 건수중 소음.진동의 민원이 약 44%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며. 문제가 교통소음의 발생원은 자동차 발생소음(power level)은 각 음원별 소음특성을 검토 하는 것이 중요하나 소음의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각 음원별 특성을 포함한 연구로 1970년대 이후 급속히 전개되어 왔으나, 최근 도로변 건물의 고층화 현상은 방음(전파경로)대책 수립에 한계를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노면(포장)형태에 따른 자동차 주행소음의 특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