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경회로망에 의한 용접 결함 종류의 정량적인 자동인식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김재열,김영석,김병현,유신,김훈조,정진홍 한국공작기계학회 1997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6 No.1

        A neural network approach has been developed to determine the depth of a surface breaking crack in a steel plate from ultrasonic backscattering data. The network is trained by the use of feedforward three-layered network together with a back-scattering algorithm for error correction. The signal used for crack insonification is a mode converted 70˚ transverse wave. A numerical analysis of back scattered field is carried out based on elastic wave theory, by the use of the boundary element method. The numerical data are calibrated by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data. The numerical analysis provides synthetic data for the training of the network. The training data have been calculated for cracks with specified increments of the crack depth.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has been tested on other synthetic data and experimental data which are different form the training data.

      • 위전절제술 후 Kim 's Tie 부근 공장에 국소 재발한 위암환자 1예

        배병구,서병조,유항종,강윤경,김진복,Bae Byung-Gu,Suh Byoung-Jo,Yu Hang-Jong,Kang Yun-Kyung,Kim Jin-Pok 대한위암학회 2005 대한위암학회지 Vol.5 No.1

        위암은 국내에서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암으로서 근치적 절제술 및 확대 영역 림프절 절제술의 도입과 더불어 술후 보조 항암화학요법 및 면역요법 등의 이용으로 최근 치료성적의 향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수술적 치료를 포함한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형태의 재발을 경험하게 되고, 대부분의 재발은 3년 이내에 일어난다. 재발양상으로는 크게 국소재발, 원격재발, 복막재발 등이 있으며, 여러 가지 재발양상이 한꺼번에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이 중 국소재발의 호발 부위로는 림프절($48\%$), 문합부($32\%$, 잔존 위($20\%$)의 순으로 보고되고 있다. 증례: 51세의 여자 환자로 1999년 10월 진행성 위암으로 근치적 위전절제술을 시행 받았고, 당시 병기는 T3N1M0(IIIa,AJCC 1997)이었다. 수술 후 10회의 보조적 정맥 주사용 항암화학요법 및 경구용 항암화학요법을 2년간 실시하였고, 외래를 통한 추적검사상 약 5년간 재발을 보이지 않았으나 2004년 9월 시행한 내시경상 Kim's tie 부근공장에서 궤양성 병변을 발견하고 조직검사를 시행, 병리학적으로 낮은 분화도를 보이는 인환 세포암종 형태의 위선암 재발로 진단하고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방법은 Kim's tie 위치를 포함해 근위부 6.5 cm, 원위부 4 cm의 절제연을 두고 공장부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당시 다른 복부장기로 전이는 없었으며 전이성 복수도 없었다. 수술 후 별다른 합병증 없이 회복하였으며 보조 항암화학요법 제제로써 TS-1을 사용하며 외래 통한 추적검사 중이다. Despite improvements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gastric adenocarcinomas, the recurrence rates remain high in patients with advanced-stage disease. Most of the recurrence occurs within 3 years of the surgical resection, and nearly $90\%$ of the patients with recurrence die within 2 years of the diagnosis of recurrence. A recent study analyzed recurrence patterns for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potentially curative gastrectomy. For those patients, $33\%$ of the recurrences involved locoregional sites, $44\%$ the peritoneum, and $38\%$ distant sites. A 51-year-old female patient was diagnosed with stomach cancer and underwent a total gastrectomy with D2 lymph node dissection during Oct. 1999. The pathologic report indicated a T3N1M0 tumor. We performed immunochemotherapy for 2 years with regular follow up. A gastrofiberscopic examination done during sep. 2004, cancer recurrence was found at the Kim's tie site of the jejunual loop. We did an abdominal exploration and a segmental resection of cancer site with pathologically negative resection margins. After the operation, we started secondary chemotherapy with TS-1.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Gullian Barre Syndrome 患者 1例에 대한 症例報告

        임승민,안정조,최영,조현경,김민상,유병찬,오병렬,김윤식,설인찬 대전대학교 한방병원 2002 惠和醫學 Vol.11 No.1

        Gullian Barre Syndrome is an acute symmetric polyradiculoneuropathy that typically presents as a progressive flaccid paralysis. The pathology is believed to be caused by both cellular and humoral immune processes The possibility of death is 3-5% and About 20% of patients require mechanical ventilaton.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a patient who had suspected Gullian Barre Syndrome for 60days, his condition weakness and pain was impoved through the herb and acupucture Therefore I reported it for the treatment.

      • ELISA에 의한 뇌척수액내 Fibronectin의 측정과 임상적 의의

        김숙희,박충서,이병헌,조준승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0 慶北醫大誌 Vol.31 No.3

        신경계 질환의 진단은 임상 소견과 뇌척수액 검사소견 등을 기초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소견이 각 질환간의 감별에 분명한 도움을 주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척수액 fibronectin을 측정하여 여러 신경계 질환과의 관련을 조사하고 나아가 이들 질환의 감별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Fibronectin은 뇌척수액내 미량으로 존재하므로 이의 측정을 위하여 먼저 측정능이 좋은 ELISA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농도가 10 ng/ml에서부터 100 ng/ml의 범위내에서 뇌척수액 fibronectin 농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결핵성 뇌막염 9례, 바이러스성 뇌막염 5례, 세균성 뇌막염 2례를 포함한 기타 신경계 질환 8례 및 정상대조군 18례 등 총 40례를 대상으로 뇌척수액내 fibronectin농도를 조사한 결과, 결핵성 뇌막염군은 4.21±2.32 ㎍/㎖, 바이러스성 뇌막염군은 0.9±0.79 ㎍/㎖, 기타 질환군은 2.05±2.48 ㎍/㎖, 그리고 정상대조군은 1.35±0.84 ㎍/㎖의 평균값을 보여 결핵성 뇌막염군이 기타 질환군을 제외한 타 질환군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0.01). 결핵성 뇌막염의 경우 1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2.9 ㎍/㎖ 이상이었고, 3례(38%)에서는 4.6 ㎍/㎖ 이상이었던 반면, 바이러스성 혹은 무균성 뇌막염에서는 1례에서만 2.2 ㎍/㎖이고 나머지는 모두 1 ㎍/㎖ 이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뇌척수액내 fibronectin농도의 측정은 결핵성 뇌막염과 바이러스성 뇌막염의 감별진단에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The diagnosis of neurologic diseases is based on the clinical symptoms and cerebrospinal fluid findings. These findings, however, are often ambiguou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cerebrospinal concentration of fibronectin. Fibronectin level in cerebrospinal fuid was measured by ELISA which could detect fibronectin in the range from 10 ng/ml to 100 ng/ml. Nine cases of tuberculous menigitis, 5 cases of viral meningitis, 8 cases of miscellaneous neurologic conditions and 18 cases of normal controls were studied. The mean value of fibronectin level in cerebrospinal fluid in tuberculous meningitis was 4.21±2.32 ㎍/㎖, in viral meningitis 0.9±0.79 ㎍/㎖, in miscellaneous neurologic conditions 2.05±2.48 ㎍/㎖ and in controls 1.35±0.84 ㎍/㎖. The fibronectin level in tuberculous meningit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other groups except the miscellaneous neurologic conditon(p<0.01). Cerebrospinal fluid fibronectin level appeared to be useful to differentiate tuberculous meningitis fro viral meningitis. Those levels were higher than 2.9 ㎍/㎖ in all except one case and higher than 4.6 ㎍/㎖ in 38% of tuberculous meningitis cases, but, 2.2 ㎍/㎖ in only one case of viral meningitis and lower than 1.0 ㎍/㎖ in all except one case of viral meningitis. It is suggested that measurement of fibronectin level in cerebrospinal fluid is a useful test for diagnosis of tuberculous meningitis, especially for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tuberculous and viral meningitis.

      • 걷기운동중 발목중량부하가 에너지대사과정에 미치는 영향

        조병훈,김병로,정성림 창원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04 경남 체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발목 중량부하 걷기운동시 적정 부하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C대학교 체육학과 남자 대학생 7명을 대상으로 체중의 0%, 3%, 6%, 9% 중량부하 한 후 총 20분간 운동하면서 매 4분간 심박수, 산소섭취량, 이산화탄소량,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목 중량부하 걷기운동시 심박수는 중량부하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처치시점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발목 중량부하 걷기운동시 산소섭취량은 각 중량부하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처치시점별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발목 중량부하 걷기운동시 이산화탄소량은 중량부하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처치시점별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발목 중량부하 걷기운동시 심박수는 중량부하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처치시점별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량부하 걷기운동시 발목부위의 적정 부하량은 체중의 약 6%~9%이며 운동시간은 약 8분 이상이 타당하다고 생각되나 이에 대한 반복적인 연구가 앞으로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력 유무와 연성 신경학적 특성

        김은남,장기용,강병조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995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 No.2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연성 신경학적 증상을 알아보고 또한 가족력 유무에 따른 연성 신경학적 증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1995년 7월부터 동년 10월까지 국립부곡정신병원에 입원치료중이며 DSM-IV 진단 기준에 의해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병록지와 환자 가족의 정보를 근거로 하여 1차 인척 중에서 정신분열병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들을 가족력이 있는 환자군으로 분류하였다. Buchanan과 Heinrich의 신경학적 평가척도의 한국어판을 이용하여 가족력이있는 정신분열병 환자군20명, 가족력이 없는 정신분열병 환자군 20명 그리고 정상대조군 20명 사이의 연성 신경학적 이상소견을 비교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성 신경학적 평가척도의 총점은 정신분열병 환자군은 23.93±6.66, 정상대조군은 3.55±2.46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01). 정신분열병 환자군은 감각통합 영역, 운동조정 영역, 복합활동순서화 영역, 그리고 기타 영역에서 정상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001) 2) 연성 신경학적 이상 소견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력의 유무와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가족력이 있는 환자들이 신경학적 평가척도의 모든 영역에서 가족력이 없는 환자들보다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정상대조군보다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연성 신경학적 이상소견이 많이 나타났다. 이는 생물학적 표지로서의 연성 신경학적 증상의 중요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가족력 유무에 따른 연성 신경학적 이상 소견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이 생물학적 표지가 trait marker인지 state marker인지는 좀더 연구를 해 보아야 할 것 같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neurologic soft sign(NSS) in schizophrenics and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NSS and family history of schizophrenia. All Patients were hospitalized in Bugok National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995 to October, 1995 and diagnosed as schizophrenia based on DSM-IV criteria. Schizophrenics were classified as familial schizophrenics if at least one first-degree relative had a clear history of schizophrenia, based on review of any medical records and reports of family informants. The authors evaluated NSS using the structured tool for measuring neurological abnormalities, Neurological Evaluation Scale-Korean Version(NSE-K). A comparison of NSS score was made among three groups subjects consisting of 20 familial schizophrenics, 20 non-familial schizophrenics and 20 normal contr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chizophrenics were significantly more impaired than normal controls on total scores of sensory integration, motor coordination, sequencing of complex motor acts and other areas(P<0.0001). 2) NSS scores were not correlated with family history of schizophrenia. Mean item scores of familial schizophrenics were higher than non-familial schizophrenics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bnormal NSS may be one of possible biological markers of schizophrenics.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no differences in NSS scores between familial schizophrenics and non-familial schizophrenics. therefore, A further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whether NSS is a trait marker of schizophrenics.

      • KCI등재

        한국에서 메스암페타민 남용 또는 의존 환자의 인격장애에 관한 연구

        김소영,권성민,조성남,권도훈,강병조,김형태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3 생물치료정신의학 Vol.9 No.2

        연구 목적 : 메스암페타민 남용 또는 의존이 없는 군과 있는 군 사이의 인격장애의 유병율을 알아보고, 메스암페타민 남용 또는 의존군에서 동반 인격장애가 그들의 전반적 기능 및 일반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대상은 정상대조군에서 메스암페타민 남용 또는 의존이 없는 50명과 정신병원에 입원한 메스암페타민 남용 또는 의존환자 50명이었다. 메스암페타민 남용과 전반적 기능에 대한 평가는 DSM-Ⅳ에 의거하였고, 인격장애를 평가하기 위해 대상군 모두에서 PDQ-4+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정상대조군은 34%에서 적어도 1개 이상의 인격장애를 나타내었으며, 한 사람 당 평균 3.94개였다. 메스암페타민 남용 또는 의존군은 64%에서 적어도 1개 이상의 인격장애를 보였으며, 한 환자 당 평균 4.72개였다. 메스암페타민 남용 또는 의존군에서 동반 인격장애의 유무는 시작 연령, 사용 용량, 그리고 입원 또는 구치 횟수와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3개 이상의 동반 인격장애를 가질 경우,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전반적 기능이 떨어졌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 우리나라에서도 일반인에 비해 물질사용장애 환자에서 인격장애를 동반할 가능성이 높으며, 물질사용장애 환자 중에서도 인격장애를 동반한 군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기능이 떨어진다는 결론이 가능하게 되었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personality disorders between normal control group and hospitalized methamphetamine abuse or dependent patients and, among the latter, the influence of comorbid personality disorder on their global assesment func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Methods : Subjects were 50 non-methamphetamine abuse or dependent persons in the general population group and 50 methamphetamine abuse or dependent patients admitted to the psychiatric hospital. Methamphetamine abuse or dependence and the global assesment function were diagnosed according to DSM-Ⅳ, and the presence of personality disorder was assessed with the PDQ-4+. Results : In the normal control group, 34% of subjects had at least one personality disorder and the average number of personality disorder was 3.94 per person. In the methamphetamine abuse or dependent group, 64% of the patients had at least one personality disorder and the average number .of personality disorder was 4.72 per patient. The presence of comorbid personality disorder were not associated with onset age, use dosage and the number of admission or arrest among the methamphetamine abuse or dependent group. But, when methamphetamine abuse or dependent patients had more than three personality disorders, the global assessment function was impaired. Conclusion : In our study, substance use disorder patients had the higher possibility of comorbid personality disorder in Korea, and among substance use disorder patients, those with comorbid personality disorders were associated with the greater global impair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