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탄소 공간지도에 기반한 산림생태계의 이산화탄소흡수량 잠재력 분석

        양병윤,이모세,구경아 한국지도학회 2023 한국지도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중요한 탄소흡수원의 역할을 하는 산림생태계 탄소흡수 잠재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탄소 공간지도 제작을 목표로 한다. 연구지역은 대한민국 전역으로, 시도 및 시군구의 공간 단위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첫째, 침엽수림(Conifers), 활엽수림(Non-Conifers), 혼효림(Mixed), 상록활엽수림(Evergreen broadleaf forests), 죽림(Bamboo)의 면적을 지역별로 산정한 후, 이들 면적에 대한 연간 이산화탄소흡수량 고유계수를 적용하여 지역별 이산화탄소흡수량과 전국 단위의 흡수량을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산림지의 이산화탄소흡수량은 2010년 56,352,485t CO2/yr, 2015년 55,391,298t CO2/yr, 2020년 52,633,417t CO2/yr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면적의 감소가 주요 감소 원인으로 분석되었고, 부분적으로 기후변화 등에 따른 식생의 종조성 변화도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하여, 상록활엽수림 및 죽림의 면적을 기반으로 탄소흡수량을 분석한 결과 상록활엽수는 55,928t CO2/yr, 죽림은 591,183.4t CO2/yr의 이산화탄소흡수량을 얻을 수 있었다. 지자체별 탄소흡수량 분석결과에서는 태백산맥, 소백산맥을 포함하고 있는 시군구가 다른 지역에 비해 산림지역의 이산화탄소흡수량이 많다는 것을 파악되었고,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등 대도시 인접 지역은 상대적으로 이산화탄소흡수량이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탄소흡수원으로써 산림지의 관리에 있어서 산정체계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라 변화될 식생대의 분포와 식생별 수목의 종조성 변화를 고려한 임목별 연령별 흡수계수 산정 자료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상록활엽수와 죽림의 경우가 중요한 예시가 될 것이다. 또한, 탄소흡수량 감소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산림면적 감소인 것을 고려할 때, 산림지 면적의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복원 정책의 수립과 이행이 요구되며, 죽림 등 탄소흡수량이 높은 식생의 보전, 확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관리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산림면적의 회복을 위하여 지자체 단위에서 면적 기반 산림관리와 지역 단위에서 유역기반의 통합된 산림관리 정책과 이행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arbon sequestration potential of forest ecosystems, which served as important carbon sinks, and thus to create a carbon spatial map. The research was implemented at national scale and local scales including provinces,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After calculating the areas of coniferous forests, non-coniferous forests, mixed forests,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nd bamboo forests, we applied the carbon sink coefficient of each vegetation type and calculated the amount of carbon sink at local and national leve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ntire forest land absorbed about 56,352,485t CO2/yr in 2010, 55,391,298t CO2/yr in 2015, and 52,633,417t CO2/yr in 2020, declining over time. The decline in forest area was a major reason for the decline. The changes in the species composition of each vegetation could partially contribute to the decline. We also obtained the carbon absorptions for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bout 55,928 t CO2/yr) and bamboo forests (about 591,183.4 t CO2/yr). At the local government scale, we found that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including the Taebaek Mountains and Sobaek Mountains had higher carbon sinks than others, and large cities had relatively lower carbon sink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upgrade the calculation system in the management of the forest ecosystem as a carbon sink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in Korea. Considering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carbon absorption is the reduction of forest area,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ctive restoration policies to restore forest area are required, and sustainable management for conservation and expansion of vegetation with high carbon absorption such as bamboo forests. In particular, in order to recover the forest ecosystem, it is urgent to develop area-based forest management plan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and watershed-based integrated forest management policy and implementation plans at the regional level.

      • KCI등재

        Investigating Ways of Developed and Undeveloped Features from Satellite Images -Balancing Coastal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양병윤 한국측량학회 2012 한국측량학회지 Vol.30 No.2

        This research attempted to find possibilities of the practical use utilizing geospatial methods for the balanced promotion of sustainable coastal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through a case study of Jekyll Island, one of Georgia’s barrier islands. In response, this research provided ways for practical use i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plans. First this research thoroughly investigated the 1996 master plan of Jekyll Island and tried to recalculate developed and undeveloped areas. Second, new estimations for developed areas were investigated through field survey. Third, this research proposed the use of the satellite images with different levels of spatial resolutions and tested different classification schemes to find possibilities for practical use. For these purposes, first, we classified developed and undeveloped features by manual digitization using an aerial photo image with 0.5m spatial resolution. Second, a Landsat 7 ETM+and a QuickBird satellite images with mid- and high-levels of spatial resolutions were applied to identify developed and undeveloped areas using both the National Land Cover Data (NLCD) and the Coastal Change Analysis Program (CCAP)classification schemes. Also, GEOBIA (Geographic Object-Based Image Analysis) was conducted to accurately identify developed and undeveloped areas.

      • KCI등재

        GIS 분석을 통한 긴급의료지도 개발에 관한 연구

        양병윤,황철수 한국지도학회 2005 한국지도학회지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의료자원의 불균형분포에 관하여 물리적 접근성을 토대로 응급의료서비스가 취약한 지역을 찾아내며, GIS공간분석기법인 Location-Allocation Model을 통해 효율성과 형평성을 고려한 최적의 입지선정을 이루기 위함이다. 취약지역을 위한 접근성 분석은 이송단계에 중점을 두었으며, 응급의료기관을 등급별로 구분하고 운송수단의 공공의 주체가 되는 119소방서와의 관계를 통하여 거리와 시간의 영역을 고려한 접근성 분석이 가능 하였다. 결과적으로 GIS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한 지리적 관점은 공간상에 발생하는 응급의료자원의 공간적 효율성과 공간적 형평성을 이룰 수 있으며, 그 문제를 통해 공간재배치를 위한 사회 정치 경제적인 의사결정에 효과적인 대안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a vulnerable area of the unbalanced discriminated Emergency Medical service based on the physical accessibility and by sing GIS spatial analysis method like Location-Allocation Model for finding optimum location concerning efficiency and equity of the effective location and allocation of vulnerable area. The accessibility analysis for vulnerable area performed a point of transfer stage and the help of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and 119 emergency center relations it was possible for distance and time to analyzing the accessibility in more detail. As a result. it is approached for Geographical view from using concerned GIS spatial analyzing technique that occurred problem in a space can be making spatial efficiency and spatial equity. Through the problem. it will be possible to make an effective proposal or means to help a decision by the social, economical and political factor for relocation.

      • KCI등재

        남자 소년원 퇴원생의 성공적 사회화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양병윤,김윤나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4 청소년시설환경 Vol.22 No.1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the successful socialization process of male juvenile discharges, and five men discharged from juvenile detention cente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the central themes were "strengthening the juvenile protection disposition and careful guidance and management of protective officials," "positive change through experiences of severe difficulties," "healthy human relations experiences and positive perspectives," "learning a positive lifestyle," and "quick work activities after discharge." As a result of the study, for the successful socialization of juvenile discharged students, it wa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through careful guidance and management of protective public officials and long-term juvenile experienc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while implementing career plans such as reading and obtaining certificates, positive identity was strengthened, and positive relationships and lifestyles were acquired through regular studies or work, stopping flying and experiencing a successful socialization process. In addition, we were able to find the context of experiencing successful socialization while making and implementing constructive plans by recovering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accepting advice from adult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산림토양과 갯벌의 탄소흡수량 분석을 위한 탄소 공간지도 제작

        양병윤,이모세,구경아 국토지리학회 2023 국토지리학회지 Vol.57 No.4

        This study aims to create a carbon spatial map to analyz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bsorption on forest soils and tidal flats. First, the coefficient for forest soil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was determined, and then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bsorption of forest soil by region was estimated. The carbon absorption coefficient of tidal flats was estimated using the coefficient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The areal data of forest soil and mudflats were obtained from the ‘Forest soil map’ and the ‘2018 mudflat area survey’, respectively. The result showed the total annual carbon sink of forest soil was 1,910,172.01 t C/yr, and when analyzed by province, the annual carbon sink decreased in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 The decline of forest areas was the main reason for the decrease in both provinces. The total carbon sink of Korea’s mudflats was 224,723.6 t C/yr. The highest carbon sink was estim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second in Jeollanam-do, and the third in Chungcheongnam-do. Even though Jeollanam-do had a wider tidal flat tha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carbon sink was higher in Incheon Metropolitan.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the importance and potential role of tidal flats and forest soils in the realization of carbon neutrality in Korea. Also it is expected that important basic data will be used in the establishment of land management plan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in the future.

      • KCI등재
      • SCOPUSKCI등재

        기존의 면역 억제 치료를 경험한 비이식 신질환 환자에서 Mycophenolate Mofetil을 이용한 구제요법

        양병윤 ( Byeong Yun Yang ),강진 ( Jin Kang ),송상헌 ( Sang Heon Song ),이동원 ( Dong Won Lee ),곽임수 ( Ihm Soo Kwak ) 대한신장학회 2008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7 No.1

        목적: 신이식후 거부 반응 억제를 목적으로 개발된 mycophenolate mofetil (MMF)가 사구체 신염 등 비이식 신질환에서 사용된 예들이 최근 많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다른 면역억제제에 비해 부작용의 빈도가 낮고 효과 면에서 동등성이 있음을 입증하는 보고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대상 환자 수가 작고, 일부 특정 질환들에서는 보고자들 마다 다양한 결과를 보이고 있어 아직도 Cyclophosphamide 등을 대체 할 만한 지에 관한 의구심이 남아 있다. 이에 저자들은 대체 목적으로써가 아닌 전통적인 면역억제치료를 경험한 환자들에게 MMF를 투여하여 구제요법으로서의 MMF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7년 4월까지 본원에서 사구체 신염이나 신증후군 범위의 알부민뇨를 보이는 신증으로 치료 받고 있는 환자들 중 MMF를 복용한 환자는 29명이었으며 그 중 6개월 이상 복용한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16명은 기존 면역억제치료를 받았으나 관해가 오지 않았거나 재발한 환자들이었고 2명은 관해는 왔으나 기존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관해 유지를 MMF로 한 경우였다. 치료 성적은 단백뇨의 정도와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 변화로 평가 하였고 단백뇨의 경우 시험지검사법을 통해 음성, 미량인 경우 완전 관해 (CR), 1+인 경우 부분 관해 (PR), 2+ 이상인 경우 치료 실패 (TF)라고 정의하였다. 결과: 대상환자는 남자가 9명, 여자가 9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39.4±11.0세였다. 질환별로는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LE)가 7명, 미세변화성 질환 (MCD)가 4명, 막성 신병증(MN)가 2명, IgA 신병증 (IgAN)가 2명, 초점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FSGS)가 1명, 조직검사를 하지 않은 신증후군 2명이었다. 기존 면역억제치료에 저항성을 보인 군 16명 중 11명 (69%)에서 CR이 유도되었으며, 유지요법을 위한 MMF치료군 2명도 관해가 12개월 이상 유지되었다. 질환군별로는 SLE가 6명 중 4명에서, MCD는 4명 중 3명에서 CR을 보였다. MMF 치료 기간 별 단백뇨가 감소한 환자 비율은 3개월째가 69% (p=0.005), 6개월째 81% (p=0.001), 9개월째 86% (p=0.002), 12개월째는 91% (p=0.004)로 나타났다. 부작용은 MMF로 치료받은 모든 환자 2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는데 폐렴이 1명, 설사 2명, 구토가 1명으로 총 4명에서 발견되었다. 결론: 비이식신질환에서 특히, SLE, MCD에서 MMF가 구제요법으로 사용되어 단백뇨가 감소하고 관해가 유도되거나 유지되었고, 부작용도 적었다. 그리고, MMF 사용후 관해 유지 여부는 6개월 이상 관찰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Mycophenolate mofetil (MMF) is thought to have not only low frequency of adverse side effects but also have equal efficacy to other conventional immunosuppressants (CIS). But It`s hard to conclude that CIS may be replaceable with MMF. So we inquired into another aspect of MMF as Rescue therapy in non-transplant renal diseases. Methods: Twenty nine patients with non-transplant renal diseases received MMF therapy between January 2000 and April 2007. Eighteen patients who had received MMF more than 6 months were included. Sixteen of the 18 patients included were resistant to CIS and two were patients who maintained complete remission (CR) with MMF because of the adverse side effects of CIS. Treatment outcome was evaluated by dip-stick urine test. CR was defined by negative or trace, partial remission (PR) by 1 positive and treatment failure (TF) by more than 1 positive. Results: Eleven of the resistant 16 patients had shown CR (69%) and maintained CR. Two of maintenance therapy with MMF had kept CR more than 12 months. The proportions of the patients who had shown decreased proteinuria in each treatment duration were 69% for 3 months (p=0.005), 81% for 6 months (p=0.001), 86% for 9 months (p=0.002) and 91% for 12 months (p=0.004), respectively. There were few adverse effects. Conclusion: We observed the efficacy of MMF in decreasing proteinuria and maintaining CR as Rescue therapy for previously treated non-transplant renal disease patients with CIS. Large controlled clinical trials are expected for defining this effect.

      • KCI등재후보

        신장 ; 상염색체 우성 다낭신 환자의 신장기능 악화인자 분석

        양병윤 ( Byeong Yun Yang ),이나리아 ( Naria Lee ),손정민 ( Jung Min Son ),강진 ( Jin Kang ),성은영 ( Eun Young Sung ),송상헌 ( Sang Heon Song ),이동원 ( Dong Won Lee ),이수봉 ( Soo Bong Lee ),곽임수 ( Ihm Soo Kwak ) 대한내과학회 2010 대한내과학회지 Vol.78 No.2

        목적: 상염색체 우성 다낭신(ADPKD)은 가장 흔한 유전질환의 하나이자 말기 신질환(ESRD)의 중요한 원인 질환이다. 그러나 국내의 연구가 많지 않고, 대부분 말기 신질환군과 아닌 군을 단면적으로 비교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임상양상 외에도 여러 다양한 검사 소견들을 독립변수로 하고 신장기능 저하 속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신장기능 악화인자를 분석하였다. 방법: 1995년에서 2005년까지 본원을 내원하여 ADPKD를 진단받고 3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증상 및 징후, 혈액 및 소변 검사, 초음파에 나타난 신장과 낭종의 크기를 수집하고 그들과 GFR 감소속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60명 중 남자가 31명, 여자가 29명이었으며,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5.6년이었다. 진단 당시의 나이는 평균 41세였고, ESRD로 가는 평균 나이는 52세였다. 임상증상이나 징후들은 이전 보고와 차이가 없었으나 본원의 경우에 드문 증례로 신세포암, 지주막 낭종, 비장 동맥 동맥류 등이 발견되었다. 이분형 변수 중 GFR 저하 속도차가 크고 통계적으로 유의했던 변수로는 고혈압의 유무, 총 콜레스테롤 240 mg/dL 이상의 고지혈증 동반 여부, 145 mmol/L 이상의 높은 혈청 소디움 농도 동반 여부였으며 단순 회귀 분석에서는 알부민, 평균 신장 길이가 GFR 감소 속도와 통계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다중 회귀 분석에서는 고혈압(β=0.261, p=0.003), 평균 신장 길이(β=0.211, p=0.029), 145 mmol/L 이상의 혈청 소디움 농도(β=0.244, p=0.024)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ADPKD 환자에서 신기능을 악화시키는 독립적인 인자 중 고혈압이 가장 영향력이 높았으며, 평균 신장 길이와 고나트륨혈증도 중요한 악화인자였다. Background/Aims: Previous studies of 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ADPKD) in Koreans have been predominantly cross-sectional and insufficient to elucidate factors determining renal func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6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DPKD in our hospital from 1995 to 2005. We surveyed the basal characteristics, symptoms, signs, blood and urine laboratory findings, radiologic extrarenal abnormalities, and kidney length through ultrasonography, and these measure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ir relationship to decreased renal function. Result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ymptoms and signs, were similar to those reported previously. Following t-test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e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related to renal function deterioration were as follows: hypertension (with decreased renal function, 2.5 mL/min/1.73 m2/year more rapidly than the no-hypertension group, p=0.006), hypercholesterolemia (p=0.007), hypernatremia (p=0.011), mean kidney length (β=0.378, p=0.029), and albumin (β=-2.067, p=0.003).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significant factors were hypertension (β=0.261, p=0.016), mean kidney length (β=0.211, p=0.047), and hypernatremia (β=0.244, p=0.024). Conclusions: Th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deteriorating renal function in Korean patients with ADPKD were hypertension, hypernatremia, and mean kidney length. (Korean J Med 78:207-214, 201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