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1세기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 원광대학교 의과대학의 교육목표 개정과정

        이학승,김요식,송윤강,오재민,양연식,정선관 원광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9 圓光醫科學 Vol.24 No.1

        교육목적은 대학의 교육이 지향하는 대전제이다. 그러므로 대학교육 목적과 목표가 어떤가에 따라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이 달라진다. 원광대학교 의과대학의 교육목표는, '지덕겸수'로 요약되는 '과학과 도학을 겸비한 전인교육'의 건학정신과 '학술탐구'와 '덕성함양'의 원광대학교 교육목표와 일치하게 현재까지 유지되었다. 그러나 현행 교육목표의 여러 문제점이 발견되었고, 시대상의 변화에 따라 원광대학교 의과대학에서도 사회적 변화 빛 의료인에 대한 시대적 요구에 걸맞은 의학교육의 목적 및 목표의 재설정 과정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 결과 개정 작업을 통해 새로운 교육목표를 설정하게 되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기본진료능력을 지닌 의사를 양성한다. 2. 원불교 교리 이념을 반영한 윤리적, 도덕적인 의사를 양성한다. 3. 평생 학습하는 연구하는 의사 혹은 의과학자를 양성한다. 4. 사회적 책무를 수행하는 리더십을 갖춘 의사를 양성한다. 5. 지역 사회에 공헌하는 봉사정신을 갖춘 의사를 양성한다. Purpose : With the changes to the medical environments and to the medical educational systems, we aimed to evaluate the current mission statement of the School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and to revise it. Methods : To establish the new goal and mission statement, a Special Committee for the Revision of Medical School Mission and advisory group were organized in 2008. This special committee conducted through five steps of action, which are composed of investigation, education, development, surveillance of various opinions, and announcement. Results : For the development of new goal and mission, the revised, final goal and mission statements decided through the five steps of action. The new mission of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was as follows; 1. Doctor who can diagnose and treat easily 2. Ethical and moral doctor who practice Won Buddhism 3. Doctor or Medical Scholar who studies lifelong study 4. Doctor who has leadership to social responsibility 5. Doctor who goes into service to a local community. Conclusion : The authors expect that the new goal and mission of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would be helpful in giving the guideline on the educational process of medical school and will give the information to reform the medical school system according to the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 말라리아의 임상적 고찰

        최경숙,박무림,정병학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2001 圓光醫科學 Vol.16 No.1-2

        연구배경: 국내의 말라리아는 1970년대 말부터 근절되었으나, 1993년을 기점으로 급증하는 추세이어서, 이에 대한 역학적, 임상증상이나 경과 및 치료결과에 대하여 분석하고, 서구문헌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8년 10월부터 2001년 8월까지 고열과 오한을 주소로 원광대학병원에 입원하여 말라리아로 확진된 28례의 환자들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서구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통계학적인 분석은 SPSS 9.0 통계 프로그램의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다. 결 자: 총 28례에서 원인원충은 전 례 모두 P. vivax이었고, 27례에서 발병 1년 이내에 전역한 경력이 있었고, 여자1례는 경기도 북부지역이나 외국여행의 경력이 없는 상태에서 진단되었다. 토착형 말라리아는 6월부터 10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고, 고열과 오한(100%), 설사(14%), 오심이나 구토(35%), 심박수 항진(28%), 간종대(21%), 비장종대(39%)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혈액검사상 평균혈색소는 12.4±1.8 g/dl이었고, 평균혈소판 수는 99,860±64,740/u1이었으며, 간기능의 이상을 보인 경우는 11례(39%)이었다. 혈뇨는 5례(18%), 총빌리루빈치의 상승은 10예(36%)에서 관찰되었다. 전 예에서 chloroquine phosphate를 3일간 1500 ㎎을 투여하고, 이후 primaqulne 15 ㎎을 매일 14일간 투여하여 28례 전 예에서 발열과 오한이 사라지면서 이상소견을 보였던 검사들도 정상화되어 가는 양상을 보였고, 치료중 나타난 약제의 부작용은 없었다. 서구의 Stanley 등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빈혈, 백혈구 감소의 빈도가 더 높았다. 결 론: 최근 국내 말라리아의 발생은 급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발열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반드시 말라리아를 감별진단하여야 한다. 또한 국내 토착형 말라리아에 대한 유전적인 소인 등의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Vivax malaria, which was once thought to be eradicable since more than 20 years ago, has made a dramatic resurgence since 1993 in the northern parts of Kyeonggi-do. We analyzed the cases of malaria who were treated in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with regards to epidemiology,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reatment outcome. Method: We retrospectively analyzed, clinical data of 28 confirmed cases of malaria treated in the same hospital from October, 1998 to August, 2001. We also compared out data to meta-analysis reports from western contries. Results: Twenty-eight cases of malaria were enrolled. All cases were diagnosed as vivax malaria. All 28 patients had fever and chills. Hematologic abnormalities were the most common laboratory findings. Our patients showed anemia, thrombocytopenia, leukopenia and elevation of transaminase more frequently than western patients. Conclusion: The number of malaria cases has been increasing by year. Early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malaria are important. To prevent indigenous malaria, anyone who travels to endemic areas should receive proper education and chemoprophylaxis, considering the pattern of drug resistance. Further genetic studies are desired to determine the subspecies of plasmodium vivax.

      • 圓光大學校 齒科大學 附속病院 補綴科 外來患者의 特性에 關한 調査 硏究

        陳泰淏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1986 圓光醫科學 Vol.2 No.1

        The author studied the quality of prosthodontic treatment of the out patients in Won Kwang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the January of 1985 to the October of 198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patients in twenties were the most in all age groups and the sex distribution was similiar. 2. The ratio of tooth-loss was the highest for the first molar. 3. The missing area was mainly treated by fixed partial dentures. Porcelain fused to metal crown for anterial part, gold or metal crown for posterior part was used.

      • 정신분열증 환자와 우울증 환자의 MMPI-2 프로파일

        고윤화,손용훈,윤정흠,오상우,이귀행,박민철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2008 圓光醫科學 Vol.23 No.2

        Background: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MMPI-2) is superior to its predecessor in differential diagnosi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MPI-2 profiles of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depression and to discriminate among two groups.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35 patients with schizophrenia(male 24, female 11), 35 patients with depression(male 18, female 17) diagnosed by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DSM-IV) for schizophrenia & depression at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in WonKwang University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7. The data from the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t-test and discriminant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test results the comparison of schizophrenia patients and depression patients in MMPI-2 among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validity scales: F, F(P); The clinical scales: D, Pa; The restructured clinical scales: Rcd(dem), RC4, RC6, RC8; The content scales: ANX, DEP, BIZ; The supplementary scales: AGGR, PSYC, Mt, GF, O-H. Second, as a results discriminant analysis, BIZ, D were significant predictors in distinguishing patients with schizophrenia from patients with depression. Third, probability to be discriminated schizophrenia in schizophrenia was 91.4%, probability to be discriminated depression in depression was 85.7%. Conclusion: Finally, we remind readers that although the MMPI-2 may prove to be useful in the task of differential diagnosis, it should be used only in combination with other patient information. 배경: MMPI-2는 감별진단에서 기존의 MMPI 보다 더 우수하다. 본 연구는 정신분열증 환자와 우울증 환자의 MMPI-2 프로파일과 두 집단을 판별하는 연구를 하였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원광대학교 병원 신경정신과에서 정신분열증과 우울증으로 진단된 정신분열증 환자 35명(남성 24명, 여성 11명), 우울증 환자 35명(남성 18명, 여성 17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는 t-검증과 판별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검증 결과,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척도들로는 타당도 척도에서 F, F(P) 척도, 임상척도에서 D, Pa, 척도, 재구성 임상척도에서 Rcd(dem), RC4, RC6, RC8척도 였다. 내용척도에서는 ANX, DEP, BIZ척도 였으며 보충척도에서는 AGGR, PSYC, MT, GF O-H척도 였다. 2. 판별 분석 결과로서, 정신분열증과 우울증을 구별하는데 가장 유의한 예언요소는 BIZ, D척도로 나타났다. 3. 판별함수를 통한 진단율은 정신분열증을 정신분열증으로 판별해주는 정확도는 91.4%였고, 우울증을 우울증으로 판별해주는 정확도는 85.7%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MMPI-2가 두 집단을 감별하는데 유용하다고 증명되었을지 모르지만 더욱 정확하게 감별하기 위해서 환자의 기타 정보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 원형탈모증의 임상양상 및 기술역학적 연구

        이용호,하헌용,이동초,김미경,서필승,김남송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2008 圓光醫科學 Vol.23 No.2

        본 연구는 2004년 1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원광대학교 병원 피부과에 내원한 원형 탈모증 환자 126명중 치료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던 95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특성 및 치료 방법에 따른 치료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빈도 분석 및 교차분석을 통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탈모반면적은 성별에서 남자와 여자가 각각 26-50%일 때 53.5%, 71.4%로 가장 많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연령별로는 20대 이하와 30대, 40대 이상이 각각 26-50%일 때 54.1%, 51.9%, 58.6%로 가장 많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치료방법은 성별에서 남자와 여자 각각 부신피질호르몬 국소방법을 94.3%, 85.7%로 가장 많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연령별로는 20대 이하, 30대, 40대 이상이 각각 스테로이드 국소 주사요법을 89.7%, 100%, 93.1%로 가장 많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치료효과는 성별에서 남자와 여자 각각 완치하였다가 64.8%, 71.4%로 가장 많았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연령별로는 20대 이하와 30대의 경우 완치되는 경우가 각각 71.8%, 85.2%로 가장 많았고, 40대 이상은 부분반응 하는 경우가 58.6%로 가장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치료방법에 따른 치료효과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3). 스테로이드 pulse therapy를 사용한 경우 완치가 100%, DPCP 요법은 완치가 77.8%, minoxidil 국소요법은 완치가 73.8%, 스테로이드 pulse therapy의 경우 완치가 100%로 가장 많았다. Background: We embarked on this research in order to gain fundamental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the key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treatments and factors, such as key clinical conditions and demographic traits through the descriptive research-based procedures, on patients with alopecia areata. Methods: Based on the comprehensive data of 95 patients with verifiable treatment records out of 126 alopecia areata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department of dermatology of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4 to October 2008, We examined the significance tests through the analysis of frequency and range of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treatments using demographic traits and medical treatments. Results: In terms of the treatment effectiveness, 64.8% of the male patients and 71.4% of the female patients showed the full recovery, with virtually no significant clinical data difference. In terms of the age group variations, 71.8% of the patients in 20's and under and 85.2% of the patients in 30's showed the full recovery, and 58.6% of 40's showed only partial recovery, rendering this difference quite significant.(p<0.05). There was a noticeabl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of various treatments.(p<0.01). Through the steroid pulse therapy, 100% of the patients fully recovered, 77.8% through the DPCP(Diphencyprone) method, 73.8% through the minoxidil application treatment, 65.2% through the steroid injection treatment, and finally 33.3% of the steroid application treatment fully recovering from the hair loss. Conclusion: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the steroid pulse therapy were most dominant and clear treatment, followed by DPCP treatment, the minoxidil application treatment, the steroid injection treatment, and the steroid application treatment in this order.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the gender factor of the observed patients, the number of female patients was far smaller than that of male patients, and tremendous barriers and challenges lie in the quest to make a conclusive finding through the use of the raw data of hospital patients. As such, a variety of rigorous and dynamic clinical research endeavors and the large sample of patients are necessary and strongly recommended at this point.

      • 정신분열증 환자의 MMPI

        이금단,오상우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2001 圓光醫科學 Vol.16 No.1-2

        배경 : MMPI는 임상장면에서 가장 유용한 진단도구 중의 하나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과에 입원하고 있는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MMPI 프로파일이 어떤 유형들로 분류되는 지를 알아보고, 이에 따라 분류된 MMPI 프로파일 유형을 토대로 분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각 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내용척도, 인구통계학적 특징 및 증상들을 살펴보았다. 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1998년 1월부터 2000년 8월까지 원광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에 입원하여 임상심리검사에 의뢰된 환자들 중 임상심리전문가와 정신과 주치의에 의해 정신분열증으로 진단된 환자 61명으로 남자 37명, 여자 24명으로, 이들의 MMPI와 정신분열증 프로토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 하였다. 결과 : 정신분열증으로 입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MMPI 상에서 분할점을 T점수 65점으로 잡았을 때 이들은 F-6은 유형을 보였고, 군집분석결과, 잠재성 정신분열증 유형, 편집형 정신분열증 유형 및 정상 유형이 확인되었다. 의뢰사유에 있어서는 불안/신경예민, 짜증, 과대망상에서만 각 군집간에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입원한 정신과 환자 중 MMPI의 F-6-8 척도치가 T점수 65점 이상을 보이는 경우에는 정신분열증으로 진단을 내릴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렇지만 정신분열증 환자 집단은 동질적인 특성을 지닌 집단이 아니라 이질적인 특성을 지닌 집단이므로 이들에 대한 치료와 재활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개별적인 정신병리와 성격특성을 우선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Background : The MMPI has known one of the most powerful diagnostic tools in clinical setting.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stinct MMPI profile, the cut-off score and chief complaints in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 : 61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ale 37, female 24) administered the MMPI and Symptom Check Lists were collected by the authors. Results : The MMPI profile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howed F-6-8 profile and 65 T was identified as the cut-off score. K-mean cluster analysis showed three sub-clusters, which were latent schizophrenia profile, paranoid schizophrenia profile and normal profile. And only a few chief complaints were found the differences among sub-clusters. Conclusion : This study concluded that elevations above 65 T in F-6-8 profile could be diagnosed as schizophrenia. Howeve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re not homogeneous but heterogeneous.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ir individual psychopathology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hould be examined prior to therapy or rehabilitation.

      • 생쥐의 卵子自然成熟 및 體外受精에 있어서 卵丘細胞의 役割

        이희섭,홍기연,이희민,최은하,김원신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1995 圓光醫科學 Vol.11 No.2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cumulus cell augments spontaneous maturation in vitro of oocyte and in vitro fertilization of the mouse. The maturation rate was evaluated by analyzing the metaphase Ⅱ chromosomal configurations 24 hour after incubation and the fertilization frequency was evaluated by observation of zygotic division to 2-cell 16 hour after insemination. The maturation rate of cumulus-oocyte complex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at of denuded oocytes(86% versus 81%). The fertilization frequency of cumulus-oocyte complex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enuded oocytes (59% versus 29%, p<0.05). It is concluded that the presence of cumulus cell does not augment the spontaneous maturation of immature oocyte but augments the fertilization frequency in mouse.

      • 악성 흉막삼출액에서 Bleomycin을 이용한 흉막유착설의 시술효과

        박정현,김학렬,양세훈,정은택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2002 圓光醫科學 Vol.17 No.1

        목적: 악성 흉막삼출액이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호흡곤란, 흉통등의 증상을 유발시키므로 흉막경화제에 의한 흉막유착술을 시행할 수 있다. 흔히 사용되던 talc의 심각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고, doxycycline 주사제도 국내에서 발매되지 않고 있다. 이에 연자들은 항암제로 소개된 bleomycin을 이용한 흉막유착술의 단기와 중기효과, 부작용 및 생존율 등을 전향적으로 확인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1년 12열까지 원광대학교 부속병원에 내원하여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악성 흉막삼출액으로 흉막유착술이 필요한 2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특별한 전 처치 없이 bleomycin 60 unit를 식염수와 함께 흉강 내 주입 후, 1일 후의 흉관에 의한 배액량을 확인하고 부작용을 관찰하였으며, 1개월 후에 흉부 방사선상으로 재 저류 유무를 확인하였다. 또한 시술 반응군과 비반응군으로 나누어 중앙생존기간을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시술 1일 후 26예중 10예(38%)에서 배액이 없었고, 8예(31%)에서 배액량이 100ml이하였으며, 8예(31%)는 100ml이상이었으나 시술 전보다 감소하였으며 증가된 경우는 없었다. 유의할만한 부작용은 4예(고열 3예, 흉통 1예)에서 발생하였으나, 대증요업으로 조절되었다. 시술 1개월 후 흉부 방사선과 26예중 9예(35%)는 재 저류액이 없었고, 10예(38%)는 저류액이 있으나 시술 전보다 감소하였으며, 1예(4%)는 이전과 변화가 없었고, 6예(23%)는 시술 전보다 저류액이 증가하였다. 시술 후 단기 및 중기효과를 반응군과 비반응군으로 나누어 중앙생존기간으로 양군간을 비교하였을 때, 반응군에서 연장이 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서 bleomycin에 의한 흉막유착술은 다른 경화제보다 특별한 전 처치가 필요 없는 간편하고, 비교적 부작용이 적은 안전한 방법이며, 효과적인 치료성적을 보이는 시술로 사료된다. Background : Malignant pleural effusions are common and significant problems in patients with advanced malignancy. Repeated thoracentesis provides temporary symptomatic improvement, but most patients progressively cause dyspnea or pleuritic pain. So pleurodesis with sclerosing agent is effective as a palliative treatment. There are many drugs used as pleural sclerosing agents. But doxycycline hasn't been used in Korea since 1999. And recently talc has been reported serious side effects. In this study, pleurodesis with bleomycin was prospectively investigated for its short term and middle period effects and its side effects. Methods : Twenty-six patients with malignant pleural effusion were prospectively analyz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bleomycin pleurodesis. Without special management before the procedure, 60 units of bleomycin in 50-100ml of normal saline were instilled into the pleural space via a small bore catheter(8-10 F). Andthen repeated positional changes and rotations were done for 2 hours. We measured the drainage amount and evaluated the side effects after 24 hours and checked the existence of the effusion by chest radiography after 1 month. Results : After 24 hours, the drainage amount showed that the responder group(none or ≤ 100ml) was 69%, and that the nonresponder group(> 100ml) was 31%. Side effects (high fever in 3 cases and severe pleuritic pain in 1 case) were 15%(4/26), but patients recovered easily by symptomatic management. After 1 month, chest radiography showed that the response rate(complete or partial response) was 73%. Differences of survival times between responder and nonresponder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 We are suggest that bleomycin as a pleural sclerosing agent is a relatively simple, safe and effective agent. But a prospective study with a larger number of patients must be warranted.

      •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관상동맥 중재시술 후 재협착율 및 재협착 예측인자

        오석규,김남호,유남진,윤경호,안선호,박병현,이명수,심혁,이상재,김재권,이동수,배은철,박양규,정진원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2002 圓光醫科學 Vol.17 No.1

        배경 : 관상동맥 중재시술 후 재협착의 발생은 아직도 해결하지 못한 중요한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이에 저자들은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시술을 받았던 환자들 중 추적관상동맥 조영술을 실시한 환자를 대상으로 재협착의 발생 빈도 및 재협착에 관여하는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0년 10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원광대학교병원에 관상동맥 질환으로 내원하여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시술을 실시했던 환자 중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을 실시했던 84명의 환자(남자 62명, 평균연령 59±10세), 110병변을 대상으로 하였다. 추적관상동맥 조영술은 평균 8.7개월(2∼22개월)에 실시하였으며, 재협착은 추적관상동맥 조영술상 50% 이상의 내경협착이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스텐트 삽입군과 PTCA군간의 임상적 특성, 위험인자, 관상동맥 조영술상 특성 및 재협착율을 비교하였고, 스텐트 삽입군에서 재협착과 관련된 임상적 특성과 관상동맥 조영술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환자의 임상적 진단은 심근경색증이 51명(61%), 불안정 협심증 28명(33%), 안정형 협심증 5명(6%) 이었으머, 병변의 위치는 좌전하행지 46병변(42%), 우관상동맥 37병변(34%), 좌회선지 27병변(24%)이었다. 추적관상동맥 조영술상전체 재협착율은 23.6%(26/110병변)였으며, 스텐트 삽입군과 PTCA군의 재협착율은 각각 23.0%(20/87병변)와 25.0%(6/23병변)로 두 군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P=0.756). 스텐트 삽입후 재협착과 관련된 인자로는 당뇨병(P=0.033), 병변의 유형(P=0.021), 수정한 병변의 유형(P=0.004) 및 완전폐쇄 병변(P=0.017)이 관계하였으며, 그 외의 다른 인자들은 관계하지 않았다. 결론 : 관상동맥 질환의 치료에 있어 스텐트 삽입술은 PTCA 단독 치료보다 재협착율 감소에 유용한 치료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스텐트 삽입술후 재협착 발생과 관련된 인자로는 당뇨병, 병변의 유형, 수정한 병변의 유형 및 완전폐쇄 병변등이 관여하였으며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Restenosis remains one of major clinical problems in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PCI).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stenosis rate after PCI and to identify clinical and angiographic factors that can predict restenosis after coronary stent placement. Methods : One hundred and ten treated lesions of 84 patients(59±10 year-old, 62 male), who underwent PCI and follow-up angiography in the Wonkang University Hospital from October 2000 to December 2001, was included. Follow-up angiography was performed at average 8.7 months(2∼22 months) after PCI. Angiographic restenosis was defined as a stenosis of over 50% diameter at follow-up coronary angiography. Clinical variables, risk factors,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stenosis rate of the stenting group(87 lesions) were compared with that of the PTCA group(23 lesions). In the stenting group, the clinical and angi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restenosis after PCI was analyzed. Results : The clinical diagnosis of the subjects were myocardial infarction in 51 patients, unstable angina in 28, and stable angina in 5. The overall restenosis rate was 23.6%(26/110 lesions). The restenosis rate was 23.0%(20/87 lesions) after stent placement and 26.0%(6/23 lesions) after PTCA(p=0.756). In the stenting group, diabetes(p=0.033), lesion type(p=0.021), modified lesion type(0.004), and total occlusion(0.017) were associated with restenosis after stent placement, but other factors were not associated. Conclusion : Coronary stent placement results in a lower rate of restenosis in the treatment of the patient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Diabetes, lesion type, modified lesion type and total occlusion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restenosis after coronary stent placement.

      • 만삭아에서 증상이 있는 자발성 기흉의 임상적 연구

        김옥란,금승운,황민우,유승택,이창우,최두영,김종덕,오연균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2008 圓光醫科學 Vol.23 No.1

        Background: Symptomatic spontaneous pneumothorax is estimated to occur in 0.05-1% of all term newborn infa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ymptomatic spontaneous pneumothorax by distinguishing primary and secondary pneumothorax and the differences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pneumothorax.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erm newborn infants who were born at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0 to June 2007, having respiratory difficulty, being shown pneumothorax in the chest X-ra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preceding diseases; primary pneumothorax and secondary pneumothorax group, then each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Results: The incidence of symptomatic spontaneous pneumothorax was 0.66%.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ex, maternal age, gestational age, delivery mode, Apgar scores, oligohydramios, and renal and cardiac anomaly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pneumothorax. The onset of symptoms was within 6hours after birth in the majority,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pneumothorax. The pneumothorax was more frequent in right side. The most common preceding disease of secondary pneumothorax wa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The treatment performed most commonly was oxygen therapy with chest tube insertion. The mean duration of oxygen therapy was 5.6±3.8 days, and it was longer in secondary pneumothorax than in primary pneumothorax.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incidence of symptomatic pneumothorax in term neonate infants was 0.66%, and most of them occurred in 6hours after birth. It occurred more frequently to right side. The major preceding disease of secondary pneumothorax wa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hest tube insertion and ventilator therapy was needed in most patients, and oxygen therapy was ceased rapidly in primary than secondary pneumothorax. 배경: 만삭아에서 증상이 있는 자발성 기흉의 빈도는 0.05-1%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 질환 유무에 따라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구분하고 임상적 양상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원광대학교 병원에서 출생한 만삭아 중 호흡곤란으로 입원하여 흉부 방사선 소견에서 기흉으로 진단되어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치료한 환아를 대상으로 선행 질환 유무에 따라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구분하고 임상적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4.821명의 만삭아 중 증상이 있는 자발성 기흉의 빈도는 0.66%였다. 일차성과 이차성 두 군 간의 성별, 산모 연령, 재태 주령, 분만 형태, Apgar 점수, 양수과소증, 콩팥과 심기형의 차이는 없었다. 증상 발생시간은 1시간 이내 15례(46.8%), 1-6시간 9례(28.1%)로 6시간 이내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일차성과 이차성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기흉의 발생 부위는 우측이 20례(62.5%)로 가장 많았고, 일차성에서 이차성에 비해 더 의의 있게 우측에 발생하였다. 이차성 기흉의 선행 질환은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이 7례(21.9%)로 가장 많았다. 치료는 흉관 삽입과 함께 호흡기 치료를 받은 경우가 17례(53.1%)로 가장 많았으며, 이차성에서 일차성에 비해 더 많았다. 산소 투여 기간은 일차성은 7일 이내가 11례(64.8%), 이차성은 7일 이상이 8례(53.3%)로 가장 많아 의의를 보였으며, 평균 산소 투여 기간은 5.6±3.8일이고 일차성(4.1±3.2일)에 비해 이차 성(7.3±3.9일)에서 더 오래 산소가 필요하였다. 결론: 만삭아에서 증상을 보이는 기흉의 빈도는 0.66%였으며, 증상 발생 시기는 대부분 출생 후 6시간 이내였고, 발생 부위는 우측이었으며, 이차성의 주 선행 질환은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이었다. 대부분 흉관 삽입과 함께 호흡기 치료를 필요로 하였으며, 일차성에서 더 빨리 산소를 제 거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