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Comparison of trophic factors changes in the hippocampal CA1 region between the young and adult gerbil induced by transient cerebral ischemia.

        Yan, Bing Chun,Park, Joon Ha,Kim, Sung Koo,Choi, Jung Hoon,Lee, Choong Hyun,Yoo, Ki-Yeon,Kwon, Young-Geun,Kim, Young-Myeong,Kim, Jong-Dai,Won, Moo-Ho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2012 Cellular and molecular neurobiology Vol.32 No.8

        <P>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neuronal death/damage in the gerbil hippocampal CA1 region (CA1) and compared changes in some trophic factors, such as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GDNF)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the CA1 between the adult and young gerbils after 5 min of transient cerebral ischemia. Most of pyramidal neurons (89%) were damaged 4 days after ischemia-reperfusion (I-R) in the adult; however, in the young, about 59% of pyramidal neurons were damaged 7 days after I-R. The immunoreactivity and levels of BDNF and VEGF, not GDNF, in the CA1 of the normal young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normal adult. Four days after I-R in the adult group, the immunoreactivity and levels of BDNF and VEGF were distinctively decreased, and the immunoreactivity and level of GDNF were increased. However, in the young group, all of their immunoreactivities and level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young group. From 7 days after I-R, all the immunoreactivities and levels were appare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normal adult and young. In brief, we confirmed our recent finding: more delayed and less neuronal death occurred in the young following I-R, and we newly found that the immunoreactivities of trophic factors, such as BDNF, GDNF, and VEGF, in the stratum pyramidale of the CA1 in the young gerbil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the adult gerbil 4 days after transient cerebral ischemia.</P>

      • SCOPUS
      • KCI등재
      • KCI등재

        수평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교정적 견인 : 증례 보고

        김미니,김영재,김정욱,장기택,김종철,한세현,이상훈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4

        본 증례는 수평 변위 매복과 치근 만곡을 가진 상악 중절치를 폐쇄 노출법을 이용한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여 영구 전치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하였다. 상악 영구 전치가 수평으로 매복된 경우,가급적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며, 촉진,시진,방사선 사진 등을 이용한 적절한 치료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상악 영구 전치의 매복이 조기에 적절히 치료되지 못하면 정중선의 변위,인접치의 이동에 의한 맹출 공간의 감소,치조골 높이의 차이 뿐만 아니라,이로 인한 심미적인 문제를 야기하여 소아 심리 발달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매복치의 치료는 매복치의 형태,위치,상태에 따라 다양하나,주기적 관찰 방법,상부 연조직과 경조직을 단순히 제거하여 맹출을 유도하는 방법,외과적 노출 후 매복치를 교정적으로 견인하는 방법,치아 이식술,발치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이중 이번 증례에서 시행한 매복치의 교정적 견인은 매복치의 치축이 정상 맹출로와 일치되지 않으며,주기적인 관찰 후 더 이상의 맹출이 기대되지 않을 때 시행하는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으로 매복의 심도,치아의 발육단계,만곡의 부위와 정도,수술방법과 견인방향 등을 고려하여 치료의 예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Maxillary central incisor impactions occur infrequently. Their origins include various local causes, such as odontoma, supernumerary teeth, space loss, and disturbances in the eruption path, also trauma and apical follicular cysts. Impacted teeth can cause serious dental and aesthetic difficulties as well as psychological problems especially in anterior regions. Although the impaction of maxillary incisor occurs less frequently than that of the maxillary canine. it is of concern to parents during the early mixed dentition stage because of the uneruption of the tooth. Forced eruption of impacted teeth should be considered in young patients because this technique can lead to suitable results from a periodontal, occlusal, and esthetic perspective at an earlier stage better than with other treatment options. This report presents the surgical and orthodontic treatment of cases with horizontally impacted and dilacerated maxillary central incisors. For each patient. we used the closed eruption method. placed an attachment on the impacted tooth on surgery, and fully closed the flap. Traction was applied immediately. The impacted tooth erupts through the healed tissue in a manner resembling normal eruption.

      • KCI등재
      • Graves 병과 혈청 면역글로불린-E의 연관성

        김현영,박기룡,김성훈,김지연,송수근,최영식,박요한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5

        연구배경: Graves 병은 미만성 갑상선종, 갑상선기능한진, 안구침법 등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성 질환으로, 갑상선자극호르몬 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TRAb)가 갑상선을 자극하여 발생된다. TRAb는 Graves병 환자의 약 85%이상에서 검출되며 활성화된 TRAb는 대부분 IgE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Graves병 환자의 갑상선조직과 안구조직에 IgE의 침착과 꽃가루 등에 의한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인해 Graves병이 발생하거나 재발된 견우가 보고되어 Graves병의 병인에 IgE의 연관성이 제기 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Graves병에서의 혈청 IgE농도와 Graves병의 병기와의 관계 및 TRAb와 IgE 농도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0년 4월 1일부터 7월 1일까지 고신의료원 내분비내과를 방문한 환자 중 Graves병 46예, 만성갑상선염 6예 및 고신의료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환자 중 갑상선질환의 병력이나 가족력 및 알레르기성 비염의 병력이 없는 35예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TRAb는 갑상선자극호르몬 결합 억제 면역글로불린(TBII)으로 측정하였으며, IgE는 효소면역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IgG인 TBII는 Graves병에서 만성갑상선염과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며, IgE 평균농도는 Graves병에서 598.1±1112.9U/mL로 만성갑상선염 환자의 98350±79.7U/mL, 대조군 161.72±194.4U/mL에 비해 높았다(p<0.05). Graves병에서 알레르기성 비염의 발병율은 10.9%(5/46)였으며, Graves 병에서의 혈청 IgE 농도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병력이 있는 경우 903.1±1152.2U/mL로 없는 경우 560.8±1117.0U/mL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Graves병의 병기에 따른 TBII와 IgE 농도의 변화를 항갑상선제로 치료하지 않은 군(비치료군)과 치료한 군(치료군) 및 재발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TBII는 치료군(7.4±18.6%)에 비해 비치료군(49.9±23.9%)과 재발군(21.1±3.1%)에서 높았으며(p<0.05), 혈청 IgE치도 치료군(233.8±432.7U/mL)에 비해 비치료군(758.6±1250.0U/mL)과 재발군(1198.5±1952.1U/mL)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항갑상선제로 치료한 치료기간에 따른 TBII와 IgE 농도 변화에서, TBII는 비치료군(49.9±23.9%)과 1년 미만 치료군(24.8±3.8%)에서 1년 이상 치료군(2.22±1.97%)에 비해 높았으며(p<0.05), 혈청 IgE 농도는 비치료군(758.6±1250.2U/mL)에서 1년 미만 치료한 군(158.3±91.5U/mL)과 1년 이상 치료군(252.7±483.4U/mL)에 비해 높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Graves 병에서 IgE 농도는 증가되어 있었으며, Graves 병의 각각 다른 병기에서의 혈청 IgE 농도의 변화는 Graves qudd의 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IgG인 TBII치의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혈청 IgE와 Graves 병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IgE와 더불어 CD23항원 등의 다른 검사도 병행하는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It is widely believed that Graves' disease is and autoimmune disorder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the circulation TSH receptor antibody (TRAb). The majority of the activity of TRAb is of the immunoglobulin G(IgG) class. However, other immunoglobulin such as immunoglobulin E(IgE), may play a rloe in the activity. IgE accumulation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the thyroid gland and ocular muscles of subjects with Graves' disease. Furthermore, it has been noted that recurrence of Graves' disease can be induced by and allergy to pollen. Because an allergy to pollen is commonly associated with IgE, IgE might play a role in the induction of Graves' disease. Therefore, investigated whether IgE was elevated in Graves' disease, and evaluated the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TRAb and IgE Graves' disease. Methods: Forty-six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nd 6 with chronic thyroiditis, diagnosed at the Kosin Medical Center between April, 2000 and July, 2000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irty-five persons without thyroid disease or a history of allergic rhinitis were used as normal controls. The level or TRAb was measured using thyrotropin binding inhibitory immunoglobulin (TBII). Serum total IgE was measured using as enzymeimmunoassay method. Test for thyroid function, TBII and total IgE were performed in all cases, and the results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TBII, as IgG, and the serum IgE level were higher in the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nd the levels of the latter were 598.1±1112.9U/mL, 98.5±79.7U/mL and controls 161.7±194.4U/mL in the Graves' patients, those with thyroiditis and the controls, respectively (p<0.05). The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in Graves' disease was 10.9%. The serum IgE level in Graves' disease with, and without, allergic rhinitis were 903.1±1152.2U/mL and 560.8±1117.0U/mL,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clinical stage, the serum TBII level was higher in the untreated Graves', and relapsed patients 49.9±23.9% and 21.1±3.1%, respectively, than in the treated group, 7.4±18.6% (p<0.05). The serum IgE level was higher in the untreated Graves' and relapsed patients 758.6±1250.2U/mL and 1198.5±1952.1U/mL, respectively, than in the treated group 233.8±432.7U/mL, although this wa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reatment, the serum TBII levels were higher in the untreated Graves' patients, and those treated for less than 1 year, than in those treated for more than 1 year, with values of 49.9±23.9, 24.8±3.8 and 2.22±1.97%, respectively (p<.05). The serum IgE level was higher in the untreated Graves' disease (758.6±1250.2U/mL) than in the groups treated for less than 12 months (158.3±91.5U/mL) and more than 12 months (252.7±483.4U/mL),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s: The concentration of IgE was high in Graves' patients, and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erum igE level in Graves'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was higher than those without. With regard to the clinical stage of Grave's disease, the change in the IgE level tended to follow that of the TBII.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define the possible role of IgE in the pathogenesis in Graves' disease (J Kor Soc Endocrinol 17:640∼648, 2002).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